KR100477978B1 -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 - Google Patents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7978B1
KR100477978B1 KR10-2002-0028850A KR20020028850A KR100477978B1 KR 100477978 B1 KR100477978 B1 KR 100477978B1 KR 20020028850 A KR20020028850 A KR 20020028850A KR 100477978 B1 KR100477978 B1 KR 100477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system
image side
object side
angl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0957A (ko
Inventor
장요셉
Original Assignee
장요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요셉 filed Critical 장요셉
Priority to KR10-2002-0028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7978B1/ko
Publication of KR20030090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9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4Reversed telephoto object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six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협소한 공간에 장착이 용이한 주변광량의 확보가 우수한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체측에 볼록면을 갖고 상측으로는 오목면을 갖는 음의 배율렌즈인 제1 렌즈 및 제2 렌즈와, 물체측과 상측에 각각 볼록면을 갖는 양의 배율렌즈인 제3 렌즈와, 상기 제3 렌즈로부터의 빛을 선택적으로 수렴하는 조리개와, 물체측에 오목면을 갖고 상측으로는 볼록면을 가지며, 양측이 비구면인 양의 배율렌즈인 제4 렌즈와, 물체측과 상측에 각각 볼록면을 갖는 양의 배율렌즈인 제5 렌즈 및 물체측과 상측으로 각각 오목면을 갖는 음의 배율렌즈인 제6 렌즈로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협소한 공간에 장착이 용이하며, 이와 동시에 광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OPTICAL SYSTEM FOR WIDE ANGLE CAMERA}
본 발명은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협소한 공간에 장착이 용이한 주변광량의 확보가 우수한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광각 카메라는 화각이 85°가 넘는 렌즈를 사용하는 것으로, 넓은 범위의 촬영에 적합한 카메라 이다. 이러한 예로는 CCD를 이용한 CCD 카메라 및 CMOS를 이용한 CMOS 카메라를 들 수 있다.
상기 카메라에 사용되는 렌즈는 유리 재질로 제작되어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상면만곡이나 왜곡이 생기기 쉬워 주변광량이 현저하게 저하(30% 내지 60% 미만)되어 이로써 광학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CMOS 카메라에는 주변광량이 70% 이상인 렌즈가 사용됨으로 CMOS 카메라에 적합한 렌즈가 현재까지 개발되지 않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협소한 공간에 장착이 용이하며, 이와 동시에 광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변광량비가 90% 이상으로 설계된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로서 렌즈의 중심과 주변의 밝기차이를 해소할 수 있어 CCD 및 CMOS 카메라에 사용할 수 있는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의 광학전장이 24.50mm인 것을 17.45mm로 광학전장을 축소시킨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넓은 화각과 수차보정이 양호한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개의 음과 양의 구면렌즈가 복합적으로 조립는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에 있어서, 물체측에 볼록면을 갖고 상측으로는 오목면을 갖는 음의 배율렌즈인 제1 렌즈 및 제2 렌즈와, 물체측과 상측에 각각 볼록면을 갖는 양의 배율렌즈인 제3 렌즈와, 상기 제3 렌즈로부터의 빛을 선택적으로 수렴하는 조리개와, 물체측에 오목면을 갖고 상측으로는 볼록면을 가지며, 양측이 비구면인 양의 배율렌즈인 제4 렌즈와, 물체측과 상측에 각각 볼록면을 갖는 양의 배율렌즈인 제5 렌즈 및 물체측과 상측으로 각각 오목면을 갖는 음의 배율렌즈인 제6 렌즈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의 배열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물체측에 볼록면을 갖고 상측으로는 오목면을 갖는 음의 배율렌즈인 제1 렌즈(10) 및 제2 렌즈(20)와, 물체측과 상측에 각각 볼록면을 갖는 양의 배율렌즈인 제3 렌즈(30)와, 상기 제3 렌즈(30)로부터의 빛을 선택적으로 수렴하는 조리개(70)와, 물체측에 오목면을 갖고 상측으로는 볼록면을 갖으며, 양측이 비구면인 양의 배율렌즈인 제4 렌즈(40)와, 물체측과 상측에 각각 볼록면을 갖는 양의 배율렌즈인 제5 렌즈(50)와, 물체측과 상측으로 각각 오목면을 갖는 음의 배율렌즈인 제6 렌즈(60) 및 영상정보를 입력하는 촬상소자(9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렌즈(10) 내지 제3 렌즈(30)는 렌즈와 렌즈가 밀착되어 나란히 배열되며, 상기 제3 렌즈(30)와 제4 렌즈(40)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또한,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5 렌즈(50)와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6 렌즈(60)는 서로 면접촉되도록 맞닿아 있으며, 상기 제4 렌즈(40)와 맞닿은 위치에 조리개(70)가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촬상소자(90)는 CCD 및 CMOS 등을 포함하며, 상기 촬영소자(90)의 상부에 윈도우 글라스(8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5매의 구면렌즈((10), (20), (30), (50), (60))와 1매의 비구면렌즈 (40)를 복합적으로 조립하여 적절한 배율의 분배 및 생산성 있는 유리재질을 선정하여 양산성을 고려하였다.
그리고, 비구면렌즈(40) 1매를 플라스틱으로 제작하여 양산성 및 경량화를 이루며, 수차보정-구면수차와 자오상면만곡(tangential field curvature)보정상태가 양호하도록 하고, 전장길이 17.45mm, 구경비 F/2.0, 시계각(화각)을 150°로 선정하여서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전체 렌즈계의 초점거리를 f, 후면 초점거리(back focal length)를 B, 광학계의 첫 번째 제1 렌즈(10)에서 마지막 제6 렌즈(60)까지의 거리를 T, 제4 렌즈(40)의 비구면인 면에서 기준구면의 새그(Sag)를 Xa, 비구면에 의한 새그(Sag)를 Xo라 할 때,
1.1 ≤ B/f ≤2.5
Xa-Xo > 0
T/f ≤6.05
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광학계의 전장길이가 17.45mm로 광학계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1매의 비구면렌즈(40)를 플라스틱으로 제작하여 제작비용의 상승을 절감시켰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에 있어서, 구면에서 기준구면의 광축상의 곡률이 C(=1/R)인 면에서 광축에서의 높이가 Y인 경우 비구면에서 새그(Sag) Xa와 구면에서의 새그(Sag)Xo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구면에서 기준구면의 광축상의 곡률이 C(=1/R)인 면에서 광축에서의 높이가 Y인 경우, 비구면에서 새그 Xa와, 구면에서 새그 Xo를 비교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구면렌즈인 경우 : Xo=CY2/{1+(1-C2Y2)1/2
비구면렌즈인 경우 : Xa=CY2/〔1+{1-(K+1)C2Y21/2〕+ADY 4+AEY6+AFY8+AGY10
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C는 곡률(C=1/R;R은 렌즈의 반경), Y는 높이, K는 코닉 상수 (conic constant), 및 AD, AE, AF, AG는 비구면계수를 각각 나타낸다.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학계의 데이터를 나타낸 것으로서, 렌즈의 곡률반경, 중심 간격, 렌즈의 굴절률 및 렌즈의 분산계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렌즈면 8의 K = 13.7442, AD = -0.7503911E-02, AE = -0.6654387E-03, AF = -0.4488295E-03, AG = 0.3402781E-03이며, 렌즈면 9의 K = -0.43933, AD = -0.6852725E-03, AE = -0.8424579E-03, AF = 0.1431682E-04, AG = -0.1829575E-04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경을 투영측정기(PROFELE PROJECTOR)에서 측정한 유효경(dl : mm), 구면계(SPHEROMETER)로 전체 렌즈계의 초점거리 측정치를 f, 후면 초점거리를 B, 광학계의 첫 번째 제1 렌즈(10)에서 마지막 제6 렌즈(60)까지의 거리를 T, 투영검사기에 의한 화각측정치 θ, 해상력측정치의 중심(CR)과 주변(PR)이 구경비(f/dl=F/2.0), 제4 렌즈(40)의 비구면인 면에서 기준구면의 새그를 Xa, 비구면에 의한 새그를 Xo라 할 때,
1.1 ≤ B/f ≤2.5
Xa-Xo > 0
T/f ≤6.05
의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상기 조건이 만족되면 넓은 화각(θ= 150°)으로 물체의 상을 촬상소자로 보내므로 넓은 시야범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자오상면 수차와 구결상면 수차를 각각 광축 상에 0, 0.5, 0.7, 1.0 영역에서 도시화 하였으며, 자오상면 만곡(T : Tangential Field Curvature) 및 구결 상면 만곡(S : Sagittal Field Curvature), 백분 왜곡(DISTORTION)을 도시화하였다.
광학계에서 왜곡 수차는 상 거리와 물체 거리가 비슷할 때 최소가 된다. 그리하여, 일반적인 광학계에서는 렌즈의 형상과 굴절능의 배치 및 조리개의 위치를 조정하여 왜곡 수차를 보정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양(+)의 굴절력을 가진 플라스틱 비구면 렌즈(40)를 배치함으로써 구면수차 및 자오상면 수차의 보정 상태가 양호하고, 중심뿐만 아니라 주변의 밝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협소한 공간에 장착이 용이하며, 이와 동시에 광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주변광량비를 90%이상 확보함으로써 렌즈의 중심과 주변의 밝기차이를 해소할 수 있어 물체의 선명한 상을 얻을 수 있으며, 넓은 화각과 수차보정이 양호하다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플라스틱 비구면 렌즈를 장착함으로서 경량화 및 렌즈의 제작 비용을 절감시키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광각 카메라용 광학계의 배열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의 비구면 렌즈에 관한 새그(Sag)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 렌즈 20 : 제2 렌즈
30 : 제3 렌즈 40 : 제4 렌즈
50 : 제5 렌즈 60 : 제6 렌즈
70 : 조리개 80 : 윈도우 글라스
90 : 촬상소자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다수개의 음과 양의 구면렌즈가 복합적으로 조립되는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에 있어서,
    물체측에 볼록면을 갖고 상측으로는 오목면을 갖는 음의 배율렌즈인 제1 렌즈 및 제2 렌즈;
    물체측과 상측에 각각 볼록면을 갖는 양의 배율렌즈인 제3 렌즈;
    상기 제3 렌즈로부터의 빛을 선택적으로 수렴하는 조리개;
    물체측에 오목면을 갖고 상측으로는 볼록면을 갖는 양의 배율렌즈인 제4 렌즈;
    물체측과 상측에 각각 볼록면을 갖는 양의 배율렌즈인 제5 렌즈; 및
    물체측과 상측으로 각각 오목면을 갖는 음의 배율렌즈인 제6 렌즈로 구성되는데,
    상기 렌즈들 중 상기 제4 렌즈만이 양측이 비구면으로 형성된 비구면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전체 렌즈계의 초점 거리를 f, 후면 초점 거리를 B라 할 때, 1.1 ≤ B/f ≤2.5 인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제4 렌즈의 비구면이 물체의 위치에 대응하는 입사면에 형성되고 상기 비구면에서 기준 구면의 새그(Sag)를 Xo, 비구면에 의한 새그(Sag)를 Xa라 하면, Xa - Xo > 0 인 조건을 만족하며, 광학계의 첫번째 렌즈면에서 마지막 렌즈면까지의 거리를 T, 전체 렌즈계의 초점 거리를 f라 할 때, T/f ≤6.05인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
  5.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비구면을 이루는 제4 렌즈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
KR10-2002-0028850A 2002-05-24 2002-05-24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 KR100477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850A KR100477978B1 (ko) 2002-05-24 2002-05-24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850A KR100477978B1 (ko) 2002-05-24 2002-05-24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957A KR20030090957A (ko) 2003-12-01
KR100477978B1 true KR100477978B1 (ko) 2005-03-23

Family

ID=32384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850A KR100477978B1 (ko) 2002-05-24 2002-05-24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79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373B1 (ko) * 2005-11-22 2007-05-02 송순향 비구면을 이용한 감시카메라용 광학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434B1 (ko) * 2006-10-16 2007-10-05 삼성전기주식회사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101768575B1 (ko) * 2016-09-20 2017-08-17 주식회사 소모에너지엔테크놀러지 수평화각 54도의 장파장 적외선 카메라 및 카메라용 렌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6044A (ja) * 1994-10-05 1996-04-23 Moritoshi Higure 広角度視認装置
JPH10232350A (ja) * 1997-02-19 1998-09-02 Kyocera Corp 小型ズームレンズ
KR19990026185A (ko) * 1997-09-23 1999-04-15 이해규 줌렌즈
JP2002098886A (ja) * 2000-09-21 2002-04-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単焦点レンズ及びそれに用いるガラス接合レン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6044A (ja) * 1994-10-05 1996-04-23 Moritoshi Higure 広角度視認装置
JPH10232350A (ja) * 1997-02-19 1998-09-02 Kyocera Corp 小型ズームレンズ
KR19990026185A (ko) * 1997-09-23 1999-04-15 이해규 줌렌즈
JP2002098886A (ja) * 2000-09-21 2002-04-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単焦点レンズ及びそれに用いるガラス接合レン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373B1 (ko) * 2005-11-22 2007-05-02 송순향 비구면을 이용한 감시카메라용 광학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957A (ko) 200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0590B2 (ja) 撮像レンズ
KR101580382B1 (ko) 렌즈 모듈
CN110596857B (zh) 广角镜头及成像设备
US6747810B2 (en) Single focus lens having short overall length
CN111856708A (zh) 取像镜头及其制造方法
US6600610B2 (en) Standard photographic lens
US6717748B2 (en) Low-cost, single focus lens
KR102491440B1 (ko) 촬상 광학계
KR20090055115A (ko) 초소형 고해상도 촬상 렌즈 조립체
US6741399B2 (en) Four-group zoom lens
KR100672876B1 (ko)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
US20030112530A1 (en) Single focus lens
JPH09304695A (ja) 結像レンズ
KR101973455B1 (ko) 촬상 광학계
KR100809252B1 (ko)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100477978B1 (ko)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
JP4940870B2 (ja) 撮影レンズ
KR20190137484A (ko) 촬상 광학계
KR20190006283A (ko) 촬상 광학계
JP2006146016A (ja) 広角レンズ
KR100809250B1 (ko)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20100000757A (ko) 삼중 대물렌즈
KR20050118139A (ko) 비구면을 이용한 감시카메라용 광학계
KR100896602B1 (ko) 초소형 촬상 광학계
JPH08220429A (ja) 広角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