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7409B1 - 두신호를비교하기위한수신기,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두신호를비교하기위한수신기,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7409B1
KR100477409B1 KR1019970705733A KR19970705733A KR100477409B1 KR 100477409 B1 KR100477409 B1 KR 100477409B1 KR 1019970705733 A KR1019970705733 A KR 1019970705733A KR 19970705733 A KR19970705733 A KR 19970705733A KR 100477409 B1 KR100477409 B1 KR 100477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ime interval
characteristic
output
seq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702336A (ko
Inventor
볼프디에드리크 게오르그 카스페르코비트즈
시세로 실베리아 바우쳐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19980702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7/00Automatic frequency control; 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18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183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combined with selection between different stations transmitting the same programm, e.g. by analysis o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1/00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 H03J1/000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5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04H60/5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of aud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제 1 신호가 제 1 시간 간격 동안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나타내는지 여부에 대한 테스트, 및 연속적으로 제 2 신호가 제 1 시간 간격 이후의 제 2 시간 간격 동안 적어도 하나의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는지 여부에 대한 테스트를 기초로 하여 2개의 신호를 비교하기 위한 수신기, 장치 및 방법이 제안되며, 상기 제 2 시간 간격은 200μ s 내지 5ms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신호가 제 1 시간 간격 동안 특정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 제 1 시간 간격 이후의 제 2 시간 간격 동안 실질적으로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기 쉽다고 가정하자. 따라서, 제 2 신호가 제 2 시간 간격 동안 그러한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 제 2 신호는 제 1 신호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된다. 두 테스트가 긍정적이면 , 두 신호는 동일한 것으로 결정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두 신호들은 동시에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한 바의 범위에서 제 2 시간 간격을 선택함으로써, 성가신 청각의 비교 없이, 매우 신속한 동조 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Description

두 신호를 비교하기 위한 수신기,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RF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동조 가능 수신 수단으로서, 출력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출력을 구비하는, 동조 가능 수신 수단과;
상기 동조 가능 수신 수단을 동조시키기 위해 상기 동조 가능 수신 수단에 접속된 동조 수단과;
상기 출력 신호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동조 가능 수신 수단의 출력에 접속된 평가 수단을 구비한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제 1 신호의 적어도 한 부분과 제 2 신호의 적어도 한 부분을 순차적으로 평가하는 평가 수단과;
상기 평가를 기초로, 상기 제 1 신호와 제 2 신호가 동일한지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구비하는, 제 1 신호와 제 2 신호를 비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제 1 오디오 신호의 적어도 한 부분과 제 2 오디오 신호의 적어도 한 부분을 순차적으로 평가하는 평가 수단과;
상기 평가를 기초로, 상기 오디오 신호들이 동일한 지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제 1 신호와 제 2 신호를 비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수신기 및 방법은 독일 특허 공개 제 43 16 687 A1호에 공지되어 있다. 여기에 기재된 수신기는 두 신호들을 비교하는데 단일 튜너만을 사용한다. 이 수신기에서, 부분(fragment) 또는 이 경우의 샘플은 제 1 오디오 신호로부터 취할 수 있고, 샘플은 다른 시간에 제 2 오디오 신호로부터 취할 수 있다. 평가에 있어서, 2개의 샘플이 상호 비교되고, 이들 샘플이 서로 소정의 양보다 적은 양만큼 이탈하는 경우, 두 신호들이 동일함을 나타내는 출력 신호가 발생된다. 샘플들이 상이한 시간 순간에 취해질 때, 상기 동작은 단일 튜너를 가진 수신기에서 제 1 오디오 신호를 먼저 수신하고 제 2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하나의 주파수로부터 다른 주파수로 수신기를 고속으로 동조시킴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그러나, 비교를 위해 샘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될 필요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샘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기억 수단으로서의 보다 복합한 수신기가 필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알고리즘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알고리즘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알고리즘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부분(fragment)들의 저장이 필요하지 않은 서두에 기재한 수신기, 대응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는 동조 수단 및 비교 수단에 접속된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동조 가능 수신 수단을 제 1 주파수로 동조시키고,
출력 신호가 제 1 시간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나타내는지를 테스트하며,
상기 동조 가능 수신 수단을 제 2 주파수로 동조시키고,
상기 출력 신호가 제 1 시간 간격 이후의 제 2 시간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의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는지를 테스트하며, 상기 제 2 시간 간격은 실질적으로 200 마이크로초 내지 5 밀리초 범위의 기간을 가지고 있고
두 테스트가 긍정적이면, 상기 출력 신호들이 동일한 것으로 결정하는 시퀀스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의 특성이 비교적 긴 시간에 걸쳐 지속될 수 있다는 인식에 기초한다. 따라서, 신호가 제 1 시간 간격에 걸쳐 특정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그 신호는 제 1 시간 간격 이후의 제 2 시간 간격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특성을 여전히 나타낼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 1 시간 간격 동안 (제 1 주파수에 대해 제 1 RF 신호로 동조될 때) 출력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나타내는지를 체크하고, 수신기가 제 2 RF 신호의 수신을 위해 제 2 주파수로 동조될 때 출력 신호가 제 2 시간 간격 동안 적어도 하나의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를 체크함으로써, 두 출력 신호들(따라서, 두 RF 신호들의 프로그램들)이 동일한지 결정할 수 있다. 개개의 출력 신호들 각각을 하나의 특성에 대해 체크함으로써, 신호들을 서로 직접 비교할 필요가 없다. 이는 신호들 중 한 부분 또는 샘플을 저장할 필요성을 제거한다. 200 마이크로초 내지 5 밀리초 범위의 제 2 시간 간격을 선택함으로써, 이와 같은 간격은 적어도 하나의 (유사한) 특성을 충분히 정확하게 결정하기에 충분히 긴 시간인 반면에, 제 2 시간 간격의 제한된 길이로 인해, 제 1 RF 신호의 출력 신호의 인터럽트는 심각한 청각적 아티팩트(artifacts)를 발생하기에는 충분히 길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제어 수단이,
동조 가능 수신기 수단을 제 1 주파수로 동조시키고,
출력 신호가 제 2 시간 간격 이후의 제3 시간 간격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는지를 테스트하고,
상기 3 개의 테스트의 평가를 기초로 상기 출력 신호들이 동일한 지를 결정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시간 간격 동안 제 1 주파수에서 수신된 출력 신호는 변화 가능성이 있고, 제 2 주파수에서 수신된 출력 신호가 제 1 주파수의 출력 신호와 동일한 경우, 제 2 주파수에서 출력 신호의 특성은 마찬가지로 자동적으로 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계들의 시퀀스가 단지 2개의 시간 간격을 포함하는 경우, 이와 같은 상황에서 두 출력 신호는 실제로 동일하지만, 상이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제 2 간격 이후의 제3 간격 동안 제 1 주파수에서 출력 신호에 대한 체크를 포함함으로써, 제 1 주파수에서 출력 신호의 특성들이 제 2 시간 간격 동안 변화된 경우가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제 1 시간 간격과는 상이한 제 3 시간 간격 동안의 테스트 결과에 의해 지시된다. 이제, 예컨대, 제 1 테스트와 제 3 테스트의 결과가 상이한 경우, 테스트 결과를 폐기함으로써 알고리즘의 신뢰도가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신호의 특성이 상기 신호가 제 1 임계값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출력 신호에 대해 충분히 특징적인 유용한 특성은 신호에서 비교적 조용한 부분이 발생하는 것이며, 이는 오디오 신호가 특정 기간 동안 임계값보다 작게 유지될 때 검출된다. 비교적 조용한 이와 같은 부분은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의 조합된 길이를 초과하는 현저한 양의 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제 2 시간 간격 동안 제 2 주파수에 동조될 때 상이한 출력 신호에서 비교적 조용한 부분과 충족되게 제 1 시간 간격 동안 제 1 주파수에서 동조될 때 출력 신호에서 비교적 조용한 부분이 발생하는 경우는 실제로 사용하기에 충분히 신뢰할 수 있는 신호들 중에서 비교적 조용한 부분의 방향에 기초하여 신호 균등값에 대한 결정을 내리기에 충분히 적다. 이는 단일 튜너 수신기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유리하다. 제 2 시간 간격 동안에서와 같이, 제 2 신호의 수신을 위해 수신기가 동조되고, 오디오 처리 단계로의 출력은 억제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억제는 신호의 비교적 조용한 부분 동안에 발생하면, 상기 부분은 실질적으로 들리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상기 신호의 특성이 상기 신호가 제 2 임계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유용한 특성은 신호에서 비교적 시끄러운 부분이 발생하는 것이며, 이는 신호가 특정 시간 간격 동안 임계값보다 크면 검출된다. 이와 같은 발생은 비교적 조용한 부분과 유사한 방식으로 신호에 대한 특성이며, 신호 균등값에 대한 검출 및 결정은 마찬가지로 충분히 신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관련 임계값이 제 1 주파수로 동조될 때 출력 신호로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시간 간격 동안 비교적 높은 임계값과 매우 약한 출력 신호의 조합(또는 그 반대)에 의해 제 1 테스트는 상당한 시간 간격 동안 긍정적인 결과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제 1 시간 간격에서의 테스트에 관하여, 제 1 테스트는 제 2 테스트(및 가능한 경우 제3 테스트)에 대해 필요한 조건이기 때문에 이는 추가의 테스트가 실행되지 않는 경우의 상황을 초래할는지도 모른다. 임계값을 제 1 시간 간격에서 출력 신호에 적응시킴으로써, 특히 제 1 시간 간격에서의 테스트에 대해, 결과들을 얻는데 소요되는 긴 대기 시간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제어 수단이 동조 및 테스트의 시퀀스를 n회 반복하도록 배열되고, n 회 중 적어도 m회에 관련 조건들이 만족되면, 출력 신호들이 동일한 것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의 신뢰도는 단일 평가에 의존하지 않고 최소의 시퀀스가 긍정적인 결과를 제공해야 하는 다수의 시퀀스를 취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상기 제어 수단이 각각의 시퀀스 사이의 소정의 기간 동안 대기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두 수신된 주파수 중 하나에서의 출력 신호는 매우 장기간에 걸쳐 하나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출력 신호가 제 2 시간 간격 동안에만 유사한 특성을 가질 때, 상기 두 신호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도 동일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대기 시간을 삽입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 하나의 특성을 가진 신호가 단기간에 걸쳐 그러한 특성(또는 유사한 특성) 만을 가진 신호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기회가 크게 감소된다. 다른 장점은 제 2 시간 간격 동안 전기 음향 변환기로 흐르는 신호가 뮤팅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그러한 뮤팅 동작이 자주 반복되지 않는 한, 잘 들리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제어 수단이 상기 시퀀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다른 시퀀스를 실행하도록 배열되지만, 상기 시퀀스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 및 유사한 특성들이 상기 다른 시퀀스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 및 유사한 다른 특성들과 상이한 점에서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단계들의 추가의 시퀀스가 평가에 부가된다. 단계들의 이와 같은 추가의 시퀀스는 단계들의 제 1 시퀀스에서 테스트한 특성과 상이한 특성에 대한 테스트를 포함한다. 하나의 특성에만 의존하지 않고, 다른 특성에도 의존함으로써 방법의 신뢰도가 개선된다. 예를 들면, 제 1 시퀀스의 특성은 특허 청구의 범위 제 3 항 중 하나일 수 있고, 다른 시퀀스에서 그 특성은 제 4 항 중 하나일 수 있고, 또는 그 반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결정 수단이,
제 1 신호가 제 1 시간 간격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나타내는지를 테스트하고,
제 2 신호가 제 1 시간 간격 이후의 제 2 시간 간격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는지를 테스트하며, 상기 제 2 시간 간격은 실질적으로 200 마이크로초 내지 5 밀리초 범위의 기간을 가지고 있고,
두 테스트가 긍정적이면 상기 제 1 신호와 제 2 신호를 동일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장치는 두 신호를 비교하기 위해, 수신기와는 별도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평가가,
제 1 시간 간격에서 제 1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나타내는지를 지시하는 제 1 조건이 참인지를 테스트하고,
제 1 시간 간격 이후의 제 2 시간 간격에서 제 2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는지를 지시하는 제 2 조건이 참인지를 테스트하며, 상기 제 2 시간 간격은 실질적으로 200 마이크로초 내지 5 밀리초 범위의 기간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두 조건이 참이면 상기 오디오 신호들이 동일한 것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테스트들의 순차적인 수행으로 인해 단일 동조 시스템만을 필요로 할 때 수신기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특징들은 도면을 참조하는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수신기에서, RF 단(1)은 RF 신호를 수신하고, 혼합기 단(2)은 국부 발진기(6)로부터 신호와 RF 신호를 혼합하기 위해 RF 단(1)의 출력에 접속된다. 따라서, RF 신호는 IF 신호로 다운변환된다. IF 단(3)은 IF 신호를 선택하기 위해 혼합기 단(2)의 출력에 접속된다. 복조기(4)는 선택된 IF 신호를 복조하기 위해 IF 단(3)의 출력에 접속되고, 뮤팅 단(5)은 복조기(4)의 출력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소자(1 내지 4)는 동조 가능 수신 수단(10)을 구성한다. 따라서, 복조기(4)의 출력은 동조 가능 수신 수단(10)의 출력이다. 수신기는 동조 가능 수신 수단(10)의 동조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해 동조 수단(6), 이 경우에 국부 발진기 또는 프로그램 가능 음성 합성 장치에 접속된 제어 수단(7)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수단(7)은 이 제어 수단(7)의 명령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뮤팅하기 위해 뮤팅 단(5)에 뮤팅 신호를 공급하도록 뮤팅 단(5)에 역시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는 오디오 신호를 기준 신호와 비교하기 위해 복조기(4)의 출력 및 제어 수단(7)에 접속된 평가 수단(8)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 신호는 제어 수단(7)에 의해 공급된다. 평가 수단(8)은 오디오 신호가 기준 신호보다 크거나 작음을 나타내는 출력 신호를 전달하고, 이와 같은 출력 신호는 그 출력 신호를 평가하기 위해 제어 수단(7)에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는 상이한 주파수에 대해 2개의 프로그램을 비교할 수 있고, 이들 프로그램이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수신기는 제 1 프로그램(P1)을 수신하기 위해 제 1 주파수(F1)로 동조된다. 이는 제어 수단(7)을 사용하여 행하고, 이는 적절한 주파수 정보를 가진 국부 발진기(6)를 공급한다. 제어 수단(7)은 시간 간격(T1) 동안 복조기(4)로부터 오디오 신호가 제 1 임계값(Thr1)보다 작게 유지됨을 나타내는 평가 수단(8)을 검출하면, 제어 수단(7)은 프로그램(P2)을 수신하기 위해 제 2 주파수(F2)로 수신기를 동조시키기 위해 주파수 정보를 가진 국부 발진기(6)를 공급한다. 동시에, 제어 수단(7)은 수신기에서 추가의 처리 단(도시하지 않음)으로 진행하는 오디오 신호를 뮤팅하기 위해 뮤팅 조절 신호를 발생한다. 제 2 시간 간격(T2) 동안, (이제, 프로그램(P1) 대신에 프로그램(P2)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가 제 2 임계값(Thr2)보다 작음을 나타내는 평가 수단(8)의 출력 신호를 검출할 때, 제어 수단(7)은 이와 같은 체크에 따라, 프로그램(P1, P2)들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됨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설정한다. "플래그 설정"이라는 용어는 2개의 신호가 동일함을 나타내는 신호를 공급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오디오 신호가 제 2 임계값보다 큰 값으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제어 수단(7)은 플래그를 설정하지 않는다. 시간 간격(T2)의 경과 후, 제어 수단(7)은 제 1 주파수(F1)로 다시 수신기를 동조시키고, 다음에 뮤팅 조절 신호를 출력한다. 요컨대, 제어 수단(7)은 충분한 기간을 가진 비교적 조용한 부분이 제 1 프로그램 내에 존재할 때까지 대기하며, 존재하는 경우, 상기 비교적 조용한 부분이 특정 기간 동안 제 2 프로그램에 존재하는지를 체크한다. 제 2 프로그램 내에 존재하면, 프로그램들은 동일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와 같은 결정은 제 1 기간(T1)을 가진 프로그램에서 비교적 조용한 부분이 제 2 시간 간격(T2)에 대해 마찬가지로 지속되기 쉽다는 가정에 기초한다. 물론, 제어 수단(7)이 플래그를 설정할 필요는 없지만, 설정된 플래그는, 프로그램(P1, P2)에서 비교적 조용한 부분이 연속적으로 발생한다는 특정 조건이 충족된다는 표시로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두 프로그램은 단일 동조 시스템만을 사용하여 비교할 수 있다. 다른 장점은, 본 발명이, 동일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상이한 주파수(대체 주파수)로부터의 복조 신호가 원래의 주파수로부터 복조된 신호와 동일한 시간 패턴(엔벨로프) 또는 특성을 나타내어야 한다는 가정을 기초로 할 때, 프로그램의 조용한 부분의 완전한 지속 기간의 측정이 필요없다는 점이다. 이는 본 발명에 따라, 특정 특성의 검출시, 이 경우, 오디오 신호의 비교적 조용한 부분의 발생시, 진정한 대체 주파수 상의 상기 프로그램의 비교적 조용한 부분이 마찬가지로 동일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대체 주파수 상에 존재할 것으로 기대됨을 의미한다. 존재하지 않으면, 대체 주파수 상의 프로그램은 아마도 원래의 (제 1) 주파수 상의 프로그램과 동일하지 않은 프로그램이며, 대신에 다른 지역국이 수신된다. 위에서 사용된 의미의 프로그램의 비교적 조용한 부분은 음악 또는 음성의 국소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중단을 나타낸다.
위에서 설명한 알고리즘에서, 제어 수단(7)은 오디오 신호가 특정 임계값보다 작은 지를 검출한다. 이는 유일한 한가지의 가능한 특성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이와 같은 조건을 반대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시간 간격 동안 각각의 오디오 신호가 상기 각각의 임계값보다 큼을 의미하는 큰 신호 진폭을 검출할 수 있다. 이는 수신기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신뢰할만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신호를 비교하기 위해 신호들의 다른 특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주파수(F1)로부터 주파수(F2)로의 수신기 동조 동안 및 그 반대, 및 상기 주파수들 사이의 시간 간격(T2) 동안, 다른 처리 단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뮤팅된다. 이와 같은 뮤팅이 너무 오래 동안 발생하는 경우에는, 오디오 신호에서 오디오 갭이 초래될 수 있다. 그러나, 듣기 테스트는 5 밀리초보다 짧은 갭은 너무 자주 반복되지 않을 때 성가신 것으로 간주되지 않음을 보여 주었다. 예를 들면, 1 밀리 초의 동조 속도와 더불어 4 밀리초의 뮤팅 시간(= 한 주파수로부터 다른 주파수로 수신기를 동조시키는 데 필요한 시간)은 시간 간격(T2) 동안 2 밀리초의 길이를 초래하며, 이는 실제 목적을 위해 충분하다. 동조가 1 밀리초 미만 동안 발생하는 경우, 시간 간격(T2)은 그에 따라 신축될 수 있다. 프로그램 내의 비교적 조용한 부분에 대한 체크의 장점은 프로그램의 비교적 조용한 부분에서 뮤팅 동작이 거의 거의 들리지 않는다는 점이다. 약 200 마이크로초의 최소 길이에 의해, 신호가 필요한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 충분한 정확도로 결정될 수 있다.
체크가 수행되는 동안에 시간 간격(T1)의 길이는 오디오 신호가 그 체크 동안 뮤팅될 필요가 없을 때 마음대로 선택될 수 있다. 실제로, 다른 값들도 가능하지만, T1에 대해서는 20 밀리초라는 값이 허용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임계값(Thr1)에 대해, 최대 허용 신호 레벨의 4%의 값이 비교적 조용한 부분을 체크하는 경우에 허용되는 것으로 밝혀졌고, 비교적 시끄러운 부분을 체크하는 경우에 12%의 값(또는 3*Thr1)이 허용된다. 임계값(Thr2)은 Thr1과 동일하게 선택될 수 있지만, 비교적 조용한 부분의 경우에, 1.25*Thr1의 값이 만족스러운 것으로 밝혀졌다(비교적 시끄러운 부분에 대해 체크하는 경우에 Thr5 = Thr4/3임). T2 동안에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는 T1 동안 가진 값으로부터 이탈하기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그렇더라도 상기 두 프로그램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지 않는다는 결론이 얻어진다. 비교적 조용한 (또는 시끄러운) 부분들의 체크를 위해 다소 크거나 (작은) Thr2를 선택함으로써, 그와 같은 잘못된 결론을 얻을 기회가 감소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알고리즘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 알고리즘은 도 1의 수신기와 관련하여 기재한 것보다 정교하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이 알고리즘은 프로그램에서 비교적 조용한 부분에 대한 체크의 시퀀스 및 프로그램에서 비교적 시끄러운 부분에 대한 체크의 시퀀스 모두를 포함한다. 먼저, 비교적 조용한 부분에 대해 일련의 제 1 체크가 실행된다. 이들 체크가 부정 결과를 제공하는 경우, 프로그램은 상이한 것으로 간주되며, 추가의 체크는 필요하지 않다. 상기 체크가 긍정 결과를 제공하는 경우(즉, 이들 체크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들이 동일한 경우), 비교적 시끄러운 부분에 대한 일련의 제 2 체크가 여분의 확인으로서 수행된다. 최종적인 체크가 긍정 결과를 제공하는 경우, 2개의 프로그램은 동일한 것으로 간주되지만, 최종적인 체크가 부정 결과를 제공하는 경우, 일련의 제 1 체크의 결과는 폐기된다. 확인을 위해 여분의 일련의 체크를 포함함으로써, 알고리즘의 신뢰도가 개선된다. 프로그램에서 비교적 조용한 부분에 대해 유일한 체크를 포함하는 알고리즘은 음성 프로그램들과 같이 각각 비교적 조용한 부분을 상당히 포함하는 2개의 상이한 프로그램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는 위험을 가지고 있다. 이는 프로그램 중에 큰 신호 진폭 또는 비교적 시끄러운 부분에 대한 체크를 포함함으로써 회피되게 된다. 모든 일련의 체크가 잘못된 결론을 초래하기 쉽다는 가능성은 비교적 조용한 부분에 대한 유일한 체크에 기초하여 잘못된 결론을 이끌어내기 쉽다는 가능성보다 훨씬 작다. 물론, 체크 순서를 반대로 할 수 있지만, 그러한 단점은 현재 비교적 시끄러운 부분에 대해 잘 들을 수 없는 체크가 항상 실행되고, 실질적으로, 비교적 조용한 부분에 대해 실질적으로 들리지 않는 체크는 비교적 시끄러운 부분에 대한 체크가 부정 결과를 제공할 때 생략된다.
이제, 도2의 알고리즘을 보다 상세히 설명다. 알고리즘의 시작에서, 수신기는 제 1 프로그램(P1)을 수신하기 위해 제 1 주파수(F1)로 동조된다. 블록(I)에서, 여러 가지 계수기, 즉, 이미 수행된 체크 수를 계수하기 위한 계수기(1) 및 긍정 체크의 수를 계수하기 위한 체크 계수기(r)는 0으로 리셋된다. 블록(Ⅱ)에서, 수신된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는 제 1 시간 간격(T1) 동안 임계값(Thr1)과 비교된다. 오디오 신호가 T1 동안 Thr1보다 작은 경우, 블록(Ⅲ)에서 뮤팅이 활성화되고, 수신기는 프로그램(P2)을 수신하기 위해 제 2 주파수(F2)로 동조된다. 주파수(F2)로 동조된 후, 수신된 프로그램, 즉 현재 프로그램(P2)의 오디오 신호는 블록(Ⅳ)에서 시간 간격(T2) 동안 제 2 임계값(Thr2)에 비교된다. 블록(Ⅳ)에서 체크의 결과와는 무관하게, 수신기는 다시 프로그램(P1)을 수신하기 위해 주파수(F1)로 동조되고, 뮤팅은 블록(VA, VB)에서 해제된다. 오디오 신호가 T2동안 임계값(Thr2)보다 작은 경우(블록 Ⅳ), 블록(Ⅵ)에서, 시간 간격 T3 동안 오디오 신호, 즉 현재 프로그램(P1)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와 제3 임계값(Thr3)의 추가의 비교가 이루어진다. 오디오 신호가 Thr3보다 작은 경우, 비교적 조용한 부분에 대한 체크의 시퀀스의 결과는 긍정고, 체크 계수기(r)는 블록(Ⅶ)에서 1씩 증가한다. 블록(Ⅷ)에서, 계수기(i)는 마찬가지로 1씩 증가된다. 블록(Ⅸ)에서, 계수기(i)의 값은 비교적 조용한 부분에 대한 체크의 최대 수인 n과 비교된다. i 값이 n과 동일한 경우, 충분한 체크가 수행되고, 블록(X)에 따라 알고리즘이 계속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알고리즘은 다른 체크를 수행하도록 블록(Ⅱ)으로 복귀한다. 블록(Ⅵ)에서, 오디오 신호가 시간 간격(T3) 동안 임계값(Thr3)보다 작지 않은 경우, 체크는 부정이고(기간 T2의 비교적 조용한 부분이 프로그램 P2에 존재하지 않음), 알고리즘은 체크 계수기(r)를 증가시키지 않고, 블록(Ⅷ)으로 진행된다. 블록(Ⅳ)에서 오디오 신호가 시간 간격(T2) 동안 임계값(Thr2)보다 작지 않은 경우, 체크는 역시 부정이며, 알고리즘은 (블록 VA에서 주파수 F1로 수신기의 동조 및 뮤팅 해제 후) 다시 블록(Ⅷ)으로 진행하고, 따라서 블록(Ⅵ)에서 프로그램(P1)에 대한 추가적인 체크는 생략된다. 블록(X)에서, 긍정 체크(r)의 수가 긍정 체크의 요구되는 최소 수를 나타내는 m보다 적은 경우, 알고리즘은 주파수(F1, F2)에서 오디오 신호는 동일하지 않고, 결과적으로 프로그램들(P1, P2)은 서로 상이한 것으로 판단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블록(XXI)으로 직접 진행한다.
r이 m과 동일하거나 초과하는 경우, 비교적 조용한 부분에 대한 일련의 제 1 체크와 마찬가지로, 비교적 시끄러운 부분에 대한 일련의 제 2 체크가 수행된다. 블록(XI)에서, 계수기(i, r)는 0으로 리셋된다. 블록(XII)에서, 다시 프로그램(P1)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는 시간 간격(T4) 동안 제 4 임계값(Thr4)과 비교된다. 오디오 신호가 Thr4보다 큰 경우, 블록(XIII)에서 뮤팅은 활성화되고, 수신기는 프로그램(P2)을 수신하기 위해 주파수(F2)로 동조된다. 이하, 블록(XIV)에서, 현재 프로그램(P2)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는 시간 간격(T5) 동안 제 5 임계값(Thr5)과 비교된다. 이와 같은 체크의 결과와는 무관하게, 수신기는 프로그램(P1)을 수신하기 위해 주파수(F1)로 동조되고, 뮤팅은 블록(XVA, XVB)에서 해제된다. 블록(XIV)에서 오디오 신호가 T5 동안 Thr5보다 큰 경우, 다시 프로그램(P1)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는 블록(XVI)에서 시간 간격(T6) 동안 제6 임계값(Thr6)과 비교된다. 오디오 신호가 Thr6보다 큰 경우, 블록(XVII)에서, 계수기(r)는 체크가 긍정일 때 하나 증가한다. 블록(XIV, XVI)에서, 각각의 오디오 신호가 각각의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체크는 부정이고, 알고리즘은 계수기(r)를 증가시키지 않고, 블록(XVIII)으로 진행한다. 블록(XVIII)에서, 이미 수행된 체크의 수를 계수하는 계수기(i)는 마찬가지로 1씩 증가한다. 블록(XIX)에서 비교적 시끄러운 부분에 대한 충분한 체크가 수행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해 결정된다. i가 체크의 최대수인 p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충분한 체크가 수행되지 않은 것이고, 알고리즘은 다른 체크를 수행하기 위해 블록(XII)으로 복귀한다. i가 p와 동일한 경우, 블록(XX)에서, 긍정 체크(r)의 수는 비교적 시끄러운 부분에 대한 긍정 체크의 최소수인 q에 비교된다. r이 q 이상이면, 일련의 체크의 결과는 긍정이고, 알고리즘은 블록(XXII)으로 진행되며, 이는 두 프로그램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됨을 나타낸다. 그렇지 않은 경우, 결과는 부정이고, 알고리즘은 블록(XXI)으로 진행한다.
도 1의 수신기에 사용된 알고리즘에 비해, 도 2의 알고리즘에서, 체크는 시간 간격(T3) 동안 프로그램(P1)의 추가의 체크를 포함한다(일련의 제 1 체크에서 블록(Ⅵ), 일련의 제 2 체크에서 블록(XVI)). 2개의 체크(블록 Ⅱ, Ⅳ)만을 사용하는 단점은 비교적 조용한 (또는 시끄러운) 부분이 시간 간격(T5) 동안 종료될 수 있다는 점이다. 2개의 프로그램은 동일할 수 있지만, 알고리즘은 체크를 부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거짓 결과는 프로그램(P1)에서 시간 간격 T3(T6) 동안 제 3 체크를 포함함으로써 회피할 수 있으며, 이는 프로그램(P2)에서 체크 후에 프로그램(P1)에서 오디오 신호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현재 비교적 조용한(시끄러운) 부분의 최소 길이가 T1+T2 대신에 적어도 T1+T2+T3이어야 한다라는 것이다.
도1과 관련하여 기재한 알고리즘에 비해 개선된 도2의 알고리즘은 프로그램 균등값에 대한 결정이 단지 하나의 측정만을 기초로 하는 것이 아니라 일련의 측정을 기초로 한다는 것이다. 도 2의 알고리즘에서, 통계학적 평가는 비교적 조용한 부분에 대해 n회의 체크를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지고, n회 중 적어도 m회의 체크가 긍정이어야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신뢰도가 추가로 증가된다. 수 n은 마음대로 선택될 수 있다. 5 내지 20 범위의 값은 긍정 결과로 시도되었지만, 너무 많은 수가 느린 알고리즘을 초래하더라도 보다 많은 체크도 가능하다. 유사한 통계학적 평가가 비교적 시끄러운 부분에 대해 p 시퀀스의 체크를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지고, 그 중에서 적어도 q 시퀀스는 긍정이어야 한다. 이는 알고리즘의 신뢰도를 개선하기 위해 다시 수행된다.
블록(Ⅲ...Ⅴ) 및 블록(XIII...XV) 동안에, 복조기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는 수신기의 뮤팅 단(5)에서 억제된다. 비교적 조용한 부분에 대한 체크 동안에 억제는 본래 거의 들을 수 없다. 비교적 시끄러운 부분에 대한 체크 동안에, 억제는 들을 수 있다. 후자의 억제가 성가시게 들리는 것을 피하기 위해, 체크의 각각의 시퀀스 사이에 대시 시간이 삽입될 수 있다. 0.5초보다 긴 대기 시간이 적절하다. 이와 같은 대기 시간은 가청도(audibility) 때문이 아니라 신뢰도 때문에 일련의 제 1 체크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이는 프로그램(P1)에서 매우 긴 비교적 조용한 부분과 프로그램(P2)에서 많은 단기간의 비교적 조용한 부분의 비교(잘못된 긍정 체크를 초래함)를 피할 수 있다.
시간 간격(T1, T4) 동안의 체크들과 마찬가지로 시간 간격(T3, T6) 동안의 체크는 수신기가 제 1 주파수(F1)로 동조될 때 발생하므로, 이들 간격은 억제가 발생하지 않는 임의의 길이일 수 있고, 이들 체크는 들리지 않을 수 있다. 약 5 밀리초의 값은, 다르게 마음대로 선택될 수 있지만 T3 및 T6에 대해 허용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프로그램(P1)의 오디오 신호는 임계값(Thr1)보다 작은 값으로 되기에 충분히 오래 동안 유지되지 않는다. 이는 체크가 전혀 수행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피할 수 있다. 한가지 방식은 임계값(Thr1)을 프로그램(P1)의 오디오 신호의 피크 레벨 또는 평균 전력(도시되지 않음)에 비례시키는 것이다. 다른 임계값은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마찬가지로 비례할 수 있다. 다른 방식은 특정 시간 후 시간 간격(T1)의 비교적 조용한 부분이 검출되지 않을 때 임계값(Thr1)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는 최종적으로 그러한 조용한 부분이 검출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유사한 시도가 블록(XII)에서 체크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임계값은 특정 시간 후 오디오 신호가 Thr4보다 충분히 오래 동안 유지하지 않는 경우에 작아질 수 있다. 도 2의 흐름도에서, 알고리즘은 블록(Ⅱ)(또는 XII)의 시점으로 복귀하고, 제 1 체크가 긍정일 때까지 (즉, 블록(Ⅱ) 또는 블록(XII)의 조건이 충족됨) 대기한다. 블록 Ⅱ(또는 XII)에서 부정-조건으로부터 블록의 시작점까지 피드백 경로에서, 필요할 경우, 설명된 방식으로 각각의 임계값(Thr1)(또는 Thr4)을 조절하도록 단계들이 포함될 수 있다.
블록(Ⅱ, Ⅳ, Ⅵ)에서의 체크들은 다음 예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 완전한 시간 간격 동안 오디오 신호는 각각의 임계값보다 작아야 한다.
- 시간 간격의 일부 동안 오디오 신호는 임계값보다 작아야 한다.
- 그 시간 간격에서 오디오 신호의 평균값은 임계값보다 작아야 한다. 등.
블록(XII, XIV, XVI)에서 체크는 상기한 체크와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블록(XII)에서 (및 마찬가지로 블록(XVI)에서) 체크는 오디오 신호가 임계값을 초과할 때 알고리즘이 다음 블록으로 진행한다는 조건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는 조건이 충족되자마자 알고리즘은 소정의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대기하지 않고 다음 블록으로 진행하며, 시간 간격은 조건이 충족되는 바로 그 순간에 종료됨을 의미한다.
각각의 시간 간격의 길이 및 각각의 임계값에 대해, 매우 다양한 값들이 가능하다. 만족스러운 결과들은 다음 값으로 얻어졌다:
T1=20 밀리초, T2=2 밀리초, T3=5 밀리초, T4=T1, T5=T2, T6=T3, Thr1=허용된 최대 오디오 신호 레벨의 4%, Thr2=1.25*Thr1, Thr3=Thr1, Thr4=3*Thr1, Thr5=Thr6=Thr1. 물론, Thr1=Thr2=Thr3 및 Thr4=Thr5=Thr6=3*Thr1을 선택할 수도 있다. Thr4와 Thr1 사이의 비율은 3을 초과하지 않지만, 이는 허용되는 값인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값은 단지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것으로, 다른 값이 가능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에 대한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며, 여기서 프로그램 균등값에 대한 결정은 블록(Ⅱ, Ⅳ, Ⅵ)(XII, XIV, XVI에 대응함)에서 체크의 다른 조합에 기초하여 달성된다. 예를 들면, 계수기(r, i)의 갱신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방식으로 행할 수도 있다. 표 2에서, 3개의 실시예가 블록(Ⅱ, Ⅳ, Ⅵ)에서 조건의 결과에 따라 계수기(r, I)의 갱신 값으로 제공되며, 여기서 실시예 1은 도 2의 알고리즘에 대응한다.
Figure pct00003
예 1에서, 계수기(r)는 블록(Ⅱ, Ⅳ, Ⅵ)에서 3가지 조건 모두가 충족될 때만 증가된다. 카운터(i)는 매시간 증가되고, 비교적 조용한 부분에 대한 체크의 시퀀스는 전체 단계가 된다. 예 1은 블록(Ⅱ, Ⅵ)의 결과가 상이한 경우에 거짓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제, 비교적 조용한 부분의 끝이 검출되나, 정확하게 종료한 때는 분명하지 않다. 즉, 시간 간격(T2) 전(상이한 프로그램(P1, P2)으로 인해 블록(Ⅳ)이 부정 결과)인가, 또는 시간 간격(T2) 후(프로그램(P1)과는 다른 프로그램(P2)에서 일시적으로 비교적 조용한 부분으로 인해 블록(Ⅳ)이 긍정 결과인가), 또는 프로그램(P1, P2)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한가가 분명하지 않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알고리즘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은 표 2의 실시예 2에 대응한다. 도 3은 체크의 결과를 다루는 다른 방식을 나타내며, 블록(Ⅵ, Ⅶ, Ⅷ)( 및 블록 XIV, XVII, XVIII)들이 다르게 연결된다는 점에서 도 2와 상이하다. 이하, 블록(Ⅵ)은 각각의 블록(VA, VB) 뒤에 위치한다. 블록(VA) 이후에 블록(Ⅵ)의 "아니오" 출력은 블록(Ⅸ)을 호출하며, 이에 따라 계수기(r, i) 모두가 증가되지 않는다. 상기 블록(Ⅵ)의 "예" 출력은 블록(Ⅷ)을 호출하며, 이에 따라 단지 계수기(r)가 아닌 계수기(i)가 증가된다. 블록(VB) 이후에 블록(Ⅵ)의 "아니오" 출력은 블록(Ⅸ)의 시작을 호출하며, 이에 따라 블록(Ⅶ, Ⅷ)은 건너띈다. 이들 변화는 블록(Ⅱ)의 결과가 블록(Ⅵ)의 결과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체크가 폐기됨을 의미하며, 이는 T1과 T3 사이에 비교적 조용한 부분이 종료될 수 있어, 블록(Ⅳ)의 결과가 신뢰할 수 없게 된다고 가정되기 때문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알고리즘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는 표 2의 실시예 3에 대응한다. 도 4는 블록(VB) 이후의 블록(Ⅵ)이 삭제되고, 블록(VB)이 블록(Ⅶ)과 직접 연결되는 점에서 도 3과 다르다. 따라서, 도 4는 알고리즘의 보다 빠른 버전을 나타내고, 블록(Ⅳ)에서 조건이 충족될 때와 같이, 블록(Ⅵ)에서 추가 체크가 요구되고, 이와 같은 블록은 건너 뛸 수 있다. 블록(Ⅵ)의 결과가 부정일 때 블록(Ⅳ)의 결과는 부정이고, 블록(Ⅳ)의 이와 같은 부정인 결과는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가정되며, 이는 시간 간격(T2) 동안 비교적 조용한 부분의 끝 또는 상이한 프로그램인 프로그램(P2)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잘못된 결정을 피하기 위해, 계수기가 증가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가능한 잘못된 체크의 결과가 폐기된다. 따라서, 실시예 3에서, 블록(Ⅳ)의 결과가 강조되며, 이는 추가의 체크가 요구되는지의 여부 및/또는 그 결과가 폐기되어야 하는지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실시예 2에서, 블록(Ⅳ)의 결과가 강조되며, 이는 전체적인 체크가 신뢰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유사한 표가 블록(XII, XIV, XVI)에서 조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임계값과 비교하기 전에 오디오 신호에 대해 일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처리는 FM 복조된 입체 오디오 신호의 경우에 파일럿 톤(pilot tone)의 제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는,
- 잡음 또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저역 필터링,
- 하나의 극성만이 존재할 때 체크의 복잡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정류,
- 특히 알고리즘이 디지탈 영역에서 수행되면 복잡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정류된 신호의 저역 필터링(및 서브샘플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수신기가 제 2 주파수(f2)로 동조되는 시간 동안, 수신 품질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비교는 품질 체크와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수신기에는 어떤 주파수로 동일한 프로그램이 전송되는가 및 이들 주파수 상의 수신 품질은 어떤가에 관한 정보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특징은 현재 수신된 주파수 상에서 수진 품질이 저하되기 시작할 때 대체 주파수로 전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은 RDS 시스템에 제공된 대체 주파수 목록과 함께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RDS 신호에서 현재 수신된 프로그램의 대체 주파수가 전송되지만, 때때로 이들 대체 주파수 중의 하나가 지역국에 의해 점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은 대체 주파수에 대한 프로그램을 체크하는 단순한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대체 주파수로의 전환을 피하게 되며, 이는 상이한 프로그램에 의해 점유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2 주파수(F2)는 RDS 신호로 전송된 대체 주파수 목록에 의해 제공된 주파수들 중의 하나이다.
설명된 알고리즘은 수신기에서의 사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두 오디오 신호를 단일의 신호 비교 수단으로 비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알고리즘은 제 1 오디오 신호를 평가 수단(8)에 공급함에 따라 시작되고, 블록(Ⅲ, XIII)은 제 2 오디오 신호를 평가 수단(8)에 공급함을 나타내고, 블록(VB 및 XVB)은 제 1 오디오 신호를 평가 수단(8)에 공급함을 나타낼 수 있으며, 블록(VA, XVA)은 제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장치는 제 1 및 제 2 신호 입력(21, 22), 신호 출력(23), 및 선택 입력(24)에 인가된 선택 신호의 명령에 따라 신호 출력(23)에 접속되는 제 1 및 제 2 입력(21, 22)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입력(24)을 포함하는 선택 수단(9)을 포함한다. 출력(23)은 도 1의 평가 수단과 유사한 평가 수단(8)의 입력에 접속된다. 평가 수단(8)의 출력은 결정수단(7')에 접속되고, 이는 도 1의 제어 수단(7)과 유사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제 1 및 제 2 오디오 신호들을 선택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동조 주파수를 제공하지 않는 점에서 다르며, 여기서 제 1 입력(21) 또는 제 2 입력(22) 각각을 선택하도록 선택 신호를 제공한다. 결정 수단(7')은 도 1에서와 같이 각각의 기준을 공급하기 위해 평가 수단(8)에 접속된다. 장치의 동작은 도 1 및 흐름도와 관련하여 광범위하게 설명되었기 때문에 더 설명할 필요가 없다. 도 5는 그러한 장치의 유일한 실시예이다. 예컨대, 그러한 장치를 디지탈적으로 또는 디지탈 신호 처리기에서 구현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그러한 장치를 실현하는 다른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0)

  1. RF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동조 가능 수신 수단으로서, 출력 신호를 공급하는 출력을 구비한 상기 동조 가능 수신 수단과;
    상기 동조 가능 수신 수단을 동조시키기 위해, 상기 동조 가능 수신 수단에 접속된 동조 수단과;
    상기 출력 신호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동조 가능 수신 수단의 출력에 접속된 평가 수단을 구비한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동조 수단과 비교 수단에 접속된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동조 가능 수신 수단을 제 1 주파수로 동조시키고,
    상기 출력 신호가 제 1 시간 간격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나타내는지를 테스트하며,
    상기 동조 가능 수신 수단을 제 2 주파수로 동조시키고,
    상기 출력 신호가, 실질적으로 200 마이크로초 내지 5 밀리초의 범위의 지속기간을 가진, 상기 제 1 시간 간격 후의 제 2 시간 간격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는지를 테스트하며,
    상기 두 테스트들이 긍정적이면 상기 출력 신호들을 동일한 것으로 결정하는 시퀀스를 실시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또한,
    상기 동조 가능 수신 수단을 상기 제 1 주파수로 동조시키고,
    상기 출력 신호가 상기 제 2 시간 간격 이후의 제 3 시간 간격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는지를 테스트하며,
    상기 3 개의 테스트의 평가를 기초로 상기 출력 신호들을 동일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의 특성은 상기 출력 신호가 제 1 임계값보다 작다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의 특성은 상기 출력 신호가 제 2 임계값보다 크다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관련 임계값이 상기 제 1 주파수로 동조될 때 상기 출력 신호에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동조 및 테스트의 시퀀스를 n회 반복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출력 신호들은 n회 중 적어도 m회에서 관련 조건들이 충족되면 동일한 것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각각의 시퀀스 사이의 소정 기간 동안 대기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다른 시퀀스(further sequence)를 실행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다른 시퀀스는 상기 시퀀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상기 시퀀스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 및 유사한 특성들이 상기 다른 시퀀스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 및 유사한 특성들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9. 제 1 신호의 적어도 한 부분(fragment)과 제 2 신호의 적어도 한 부분을 순차적으로 평가하는 평가 수단과;
    상기 평가를 기초로,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가 동일한 지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구비한, 제 1 신호와 제 2 신호를 비교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제 1 신호가 제 1 시간 간격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나타내는지를 테스트하고,
    상기 제 2 신호가 상기 제 1 시간 간격 이후의 제 2 시간 간격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는 지를 테스트하며, 상기 제 2 시간 간격은 실질적으로 200 마이크로초 내지 5 밀리초의 범위의 지속 기간을 가지며,
    상기 두 테스트가 긍정적이면 상기 제 1 신호와 제 2 신호를 동일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신호와 제 2 신호를 비교하는 장치.
  10. 제 1 오디오 신호의 적어도 한 부분과 제 2 오디오 신호의 적어도 한 부분을 순차적으로 평가하는 단계와;
    상기 평가를 기초로 상기 오디오 신호들이 동일한 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신호와 제 2 신호를 비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평가는,
    제 1 시간 간격 내에서 상기 제 1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나타내는지를 지시하는 제 1 조건이 참인지를 테스트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시간 간격 이후의 제 2 시간 간격 내에서 상기 제 2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는지를 지시하는 제 2 조건이 참인지를 테스트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시간 간격은 실질적으로 200 마이크로초 내지 5 밀리초의 범위의 지속 기간을 가진, 상기 제 2 조건이 참인지를 테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신호들은 상기 두 조건들이 참이면 동일한 것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신호와 제 2 신호를 비교하는 방법.
KR1019970705733A 1995-12-21 1996-12-03 두신호를비교하기위한수신기,장치및방법 KR100477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5203594.7 1995-12-21
EP95203594 1995-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336A KR19980702336A (ko) 1998-07-15
KR100477409B1 true KR100477409B1 (ko) 2005-08-29

Family

ID=8220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733A KR100477409B1 (ko) 1995-12-21 1996-12-03 두신호를비교하기위한수신기,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09407A (ko)
EP (1) EP0811273B1 (ko)
JP (1) JPH11501189A (ko)
KR (1) KR100477409B1 (ko)
DE (1) DE69612188T2 (ko)
WO (1) WO199702395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9347B2 (ja) * 1998-03-05 2003-04-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録画再生装置
DE19831928A1 (de) * 1998-07-16 2000-02-03 Grundig Ag Einrichtung zum Empfang mehrerer Rundfunksignale
US6246884B1 (en) * 1998-08-19 2001-06-12 Sigmaone Communication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locating a mobile station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068329B1 (en) * 1999-08-31 2006-06-27 Ati International Srl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video signal
US6784945B2 (en) * 1999-10-01 2004-08-31 Microtune (Texas), L.P.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ast acquire time tuning of multiple signals to present multiple simultaneous images
SG92689A1 (en) * 2000-03-27 2002-11-1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utomatic gain control
JP4171869B2 (ja) * 2001-09-05 2008-10-29 ソニー株式会社 ヘテロダイン受信機
JP2004312081A (ja) * 2003-04-02 2004-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放送波受信装置
EP1635562B1 (en) * 2003-05-28 2019-03-13 Panasonic Corporation Digital interface receiver apparatus
EP1884046A1 (en) * 2005-05-26 2008-02-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7584484B2 (en) * 2005-06-02 2009-09-01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media consumption data based on usage information
US8634766B2 (en) * 2010-02-16 2014-01-21 Andrew Llc Gain measurement and monitor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7226A (en) * 1979-07-02 1982-02-23 Indesit Industria Elettrodomestici Italiana S.P.A. Circuit arrangement for tuning into one of a number of radioelectric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9455A (en) * 1976-11-11 1978-01-17 General Electric Company Arrangement for maintaining reception of a radio receiver on the stronger of two signals
NL8006353A (nl) * 1980-11-21 1982-06-16 Philips Nv Signaalvergelijkingsschakeling.
JP2676766B2 (ja) * 1988-03-04 1997-11-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機
DE4316687A1 (de) * 1993-05-16 1994-11-17 H U C Elektronik Gmbh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m Rundfunkempfa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7226A (en) * 1979-07-02 1982-02-23 Indesit Industria Elettrodomestici Italiana S.P.A. Circuit arrangement for tuning into one of a number of radioelectric sig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7023958A3 (en) 1997-08-21
US5809407A (en) 1998-09-15
DE69612188T2 (de) 2001-10-18
WO1997023958A2 (en) 1997-07-03
DE69612188D1 (de) 2001-04-26
EP0811273A2 (en) 1997-12-10
EP0811273B1 (en) 2001-03-21
KR19980702336A (ko) 1998-07-15
JPH11501189A (ja) 1999-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7409B1 (ko) 두신호를비교하기위한수신기,장치및방법
EP0459383A2 (en) Radio receiver
US7558547B2 (en) Radio receiver that changes function according to the output of an internal voice-only detector
US5745845A (en) Receiver with automatic receiving-station switching function
US6961548B2 (en) Method for masking interruptions on playback of received radio signals
JPH11127496A (ja) ハウリング除去装置
US5073975A (en) Stop on station circuit including center channel detector
EP0696852B1 (en) FM receiver
KR100303582B1 (ko) 음성신호에서맥동적간섭신호를검출하는방법및장치
EP0326566B1 (en) Adaptive correction of dc error transients
US4498194A (en) Multifrequency scanning receiver with priority frequency monitoring
WO2004057781A1 (en) Method for monitoring broadcast signals at alternative frequencies and gain control unit
EP0783810A1 (en) Radio scanner and display system
US5487177A (en) FM receiver comprising a circuit arrangement for determining the field strength of FM transmitters
US5729602A (en) Programmable multi-tone voice message starting system
EP0660536B1 (en) Microcomputer-based carrier detection system for a cordless telephone
US60919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automatic adjustment of a switch means for automatic switching between a reception operating mode and a transmission operating mode in a hands-free means of a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US5732340A (en) FM receiver
JP2990187B1 (ja) Rds自動追従装置およびrds自動追従方法
CA1211873A (en) Multifrequency scanning receiver with priority frequency monitoring
USRE33157E (en) Null initiated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 priority channel
KR20000051458A (ko) 자동 선국 장치 및 그 방법
KR200182966Y1 (ko) 오디오 신호의 자동 뮤트 장치
JPS6193712A (ja) オ−デイオ装置における音質調整装置
KR960039617A (ko) 지역감지튜닝시스템의 자동튜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