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7172B1 - 음용수용 배관연결구의 납용출 방지방법 - Google Patents

음용수용 배관연결구의 납용출 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7172B1
KR100477172B1 KR10-2000-0043647A KR20000043647A KR100477172B1 KR 100477172 B1 KR100477172 B1 KR 100477172B1 KR 20000043647 A KR20000043647 A KR 20000043647A KR 100477172 B1 KR100477172 B1 KR 100477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pipe connector
drinking water
pipe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0238A (ko
Inventor
박광진
Original Assignee
박광진
김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진, 김종국 filed Critical 박광진
Priority to KR10-2000-0043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7172B1/ko
Publication of KR20020010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1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05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 C23C22/06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 C23C22/48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not containing phosphates, hexavalent chromium compounds, fluorides or complex fluorides, molybdates, tungstates, vanadates or oxalates
    • C23C22/52Treatment of copper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78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82After-treatment
    • C23C22/83Chemical after-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eventing Corrosion Or Incrustation Of Metals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용수용 배관연결구의 납용출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1) 황동 재질의 배관연결구를 아세톤으로 세척한 후, 0.01N-0.2N 질산 수용액에 60초간 함침시킨 다음 꺼내어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와; (2) 상기 건조된 배관연결구를 0.005wt%의 비스무스 질산염 5수화물(Bismuth nitrate pentahydrate)과 0.5M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50-70℃에서 20-40분간 함침시키는 단계와; (3) 함침된 상기 배관연결구를 꺼내어 초순수에 2-5회 정도 세척한 다음,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배관연결구로 부터 NSF61에서 규정하고 있는 납용출 기준치 이하로 납이 검출되기 때문에 음용수 배관에 적극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음용수용 배관연결구의 납용출 방지방법 {METHOD FOR INHIBITING PIPING FITTINGS USED DRINKING WATER FROM LEACHING OF LEAD}
본 발명은 음용수용 배관연결구의 납용출 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황동과 같이 납성분을 일정부분 함유하고 있는 배관연결구에 있어서, 음용시 인체에 유해한 납성분이 배관연결구의 표면으로 부터 납이 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관연결 전후에 배관연결구를 세정하는 음용수용 배관연결구의 납용출 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용수 이송에는 관 및 이음쇠 예를 들면 수도꼭지, 밸브 커플링, 펌프를 포함한 여러 성분의 이송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성분은 전형적으로 납을 1-9wt% 함유한 황동 합금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납 함유 합금에 의한 음용수로의 납 용출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미국특허 제4,879,094호는 납을 사용하지 않고 1.5-7wt% 비스무스(bismuth), 5-15% 아연, 1-12% 주석과 구리로 된 합금이 게시되어 있으나 롯트(wrought) 형태로 제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5,137,685호는 30-58wt% 아연, 0-5% 비스무스, 나머지는 구리로 된 합금이 게시되어 있으나 이 방법도 가격상 비경제적이고 비스무트의 균일한 분산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납을 함유한 황동이 배관 연결구로서 범용되고 있다.
오랫동안 납을 함유한 여러 물질이 인간이 소비하는 음식과 음용수에 함유되어 인체에 축적되어져 왔다. 이러한 납을 함유한 물질은 배관연결구로 사용되는 구리, 납 및 아연으로 구성된 황동 합금(brass alloys), 청동합금(bronze alloys) 관내 납 용접주석 깡통에 사용되는 납 함유 화합물 등이다. 관 이음쇠 및 수도꼭지, 밸브 등(이하 "배관연결구"라 한다)에 사용되는 황동 합금은 구리 아연 및 작은 양의 주석을 포함하여 가공성이 우수하다.
청동 합금도 구리와 주석이 주 원료이나 같은 이유로 소량의 납이 첨가된다. 납 원자는 구리나 아연에 비해 크기 때문에 이는 황동 합금에 낮은 용해도를 가지며 따라서 납 성분은 황동에 분산된 응집물로 존재하게 된다. 또한 황동재의 배관연결구 표면에 분산된 납 응집물이 높은 농도로 분포되기 때문에 저장 또는 유동되는 음용수와 접촉하게 되면 더 많은 납이 음용수에 용출된다.
인체는 뼈를 강하게 하는 칼슘과 납의 차이를 인식하지 못한다. 칼슘과 납은 혈액중에 몇주간 남아 있고 그 다음 뼈로 흡수되고 이는 평생 축적되게 된다. 납은 특히 6세 이하의 어린이에게는 치명적인 해가 될 수 있다. 6세 이하의 어린이는 급속히 성장하고 무엇이건 입에 넣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낮은 준위의 납에 노출되는 경우라도 하기와 같은 치명적인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 신경계 및 신장 이상
- 학업능력 저하, 집중력 결핍, 지능저하
- 언어, 행동 장애
- 비정상 근육
- 청력 감퇴
이와는 달리, 높은 준위에 접하게 되면 발작 및 무의식 상태에 빠질수도 있으며, 이러한 치명적인 문제는 성인에게도 하기와 같은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다.
- 임신중 병 감염율이 높아짐
- 태아의 뇌 손상
- 생식능력 저하
- 고혈압
- 소화장애
- 정신질환
- 기억, 집중력 감퇴
- 근육, 관절염
상기와 같은 이유로 1991년 EPA에서는 음용수에 납 함유율을 50ppb에서 15ppb로 낮추는 엄격한 시행령을 발표했다. 1994년 12월 NSF에서는 NSF61에 의해 음용수에 첨가물에 대한 인증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인증사업중 음용수중 황동 이음쇠로부터 용출된 납 함량을 11ppb로 제한하여 이러한 제한을 달성할 수 있는 관 및 이음쇠에 대한 인증을 하고 있다.
따라서 황동관이나 이음쇠에 납 용출을 방지할 수 있는 피막을 형성하는 처리(passivation)를 한 제품에 한하여 인증을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50ppb의 높은 농도의 납 용출 규제를 하고 있으나 이 조차도 현재 지켜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배관연결구로 부터 납 용출을 줄이기 위해 낮은 pH의 구리 염화물(copper chloride) 수조에서 처리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방법에서 제안된 구리염화물의 농도는 1 mM-100 mM이고 pH는 2로 하였으나 이는 작업자에게 위험하기도 하고 처리동안 pH가 상승하여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방법은 아연까지도 용출하고 용출된 납의 농도가 낮음은 물론, 낮은 pH로 인하여 처리장치가 부식되는 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배관연결구의 표면으로 부터 납의 용출을 방지할 수 있는 음용수용 배관연결구의 납용출 방지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관연결구의 표면으로 부터 미국 NSF61의 기준에 따라 11㎍/L 이하의 납이 검출되도록 하는 음용수용 배관연결구의 납용출 방지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1) 황동 재질의 배관연결구를 아세톤으로 세척한 후, 0.01N-0.2N 질산 수용액에 60초간 함침시킨 다음 꺼내어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와; (2) 상기 건조된 배관연결구를 0.005wt%의 비스무스 질산염 5수화물(Bismuth nitrate pentahydrate)과 0.5M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50-70℃에서 20-40분간 함침시키는 단계와; (3) 함침된 상기 배관연결구를 꺼내어 초순수에 2-5회 정도 세척한 다음,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용수용 배관연결구의 납용출 방지방법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1) 황동재질의 배관연결구를 구리 초산염 또는 구리 염화물 중의 임의로 선택된 하나의 염 1mM - 100mM 용액에 3분 - 10분 정도 함침시키는 단계와; (2) 함침된 상기 (1)단계의 배관연결구를 꺼내어 초순수를 이용하여 배관연결구에 묻은 구리 초산염을 세척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용수용 배관연결구의 납용출 방지방법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1) 황동 재질의 배관연결구를 0.25 M의 sodium chloride와 0.2 M의 나트륨 파이로포스페이트 10수화물(sodium pyrophosphate decahydrate) 60℃ 수용액을 pH 10으로 조정하여 3 - 30분 정도 함침시키는 단계와; (2) 상기 (1)단계의 배관연결구가 함침된 수용액에 잔류하는 용존산소를 높이기 위해 계속해서 폭기를 수행하여 염화물 이온은 납의 이온화를 통한 용출을 가속화 시키고 파이로포스페이트(pyrophosphate) 이온은 납이온과 착화합물을 형성하여 납이온 함유 용액의 포화를 방지하는 단계와; (3) 상기 (2)단계의 배관연결구를 꺼내어 초순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용수용 배관연결구의 납용출 방지방법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납 용출 방지제로서 비스무스 질산염(Bismuth nitrate)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공정은 하기와 같다.
(1) 배관연결구를 아세톤으로 세척한다. 그런 다음, 0.01N-0.2N 질산 수용액에 60초간 함침시킨후 꺼내어 세척하고 건조한다.
여기서, 바람직한 공정조건은 농도 0.1N 질산 수용액, 함침시간 30초이다.
(2) 전술된 (1)공정의 건조된 배관연결구를 0.005wt%의 비스무스 질산염 5수화물(Bismuth nitrate pentahydrate)과 0.5M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50-70℃에서 20-40분간 함침시킨다.
여기서, 바람직한 공정조건은 온도 60℃, 함침시간 30분이다.
(3) 전술된 (2)공정의 함침된 배관연결구를 꺼내어 초순수에 2-5회 정도 세척한 다음, 건조시킨다.
여기서, 바람직한 공정조건은 세척횟수 3회이다.
전술된 공정에 의해 처리된 배관연결구는 NSF61 침출실험 방법에 따라 용출 실험을 행한 후 유도결합 플라즈마 분광광도계(이하 "ICP"라 한다)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11μg/L 이하의 납이 검출되었다.
<<실시예 2>>
배관연결구로 부터 납용출을 방지하는 두번째 방법은 구리 초산염(copper acetate) 또는 구리 염화물(copper chloride)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공정은 하기와 같이 두단계를 이루어진다.
(1) 배관연결구를 구리 초산염 1mM - 100mM 용액에 3분 - 10분 정도 함침시킨다.
여기서, 바람직한 공정조건은 농도 10mM, 함침시간 5분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다른 금속염으로는 구리 염화물로 채택될 수 있으나 구리 초산염의 납용출 방지효율이 보다 더 좋다.
(2) 전술된 (1)공정의 함침된 배관연결구를 꺼내어 초순수를 이용하여 배관연결구에 묻은 구리 초산염을 세척한 후, 건조한다.
그리고, 전술된 (1)공정에서 초산 염화물을 사용한 경우에도 동일한 공정이 수행된다.
전술된 공정에 의해 처리된 배관연결구는 구리 초산염을 이용한 경우 배관연결구로 부터 납 용출이 NSF61 규정을 만족하였다.
상기 실시예 1,2는 음용수로 납 용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음용수와 접촉하는 부분에 납의 분산상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비연속적으로 코팅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선택적 코팅을 위해서는 금(gold), 팔라듐(palladium), 은(silver), 플레티늄(platinum), 주석(tin), 구리(copper), 비스무스(bismuth)가 사용될 수 있고 99% 이상 납 분산상 부분을 선택적으로 코팅을 할 수 있다. 보통 코팅이라 함은 납 분산층에 새로운 합금의 형성 또는 치환 및 밀봉의 개념을 의미하는데 본 발명의 코팅에서는 납의 분산층위에 주석, 비스무스, 구리가 납과 치환함으로서 납 용출을 방지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의 선택적 표면 코팅은 1.2 -4 nm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액내의 금속 농도는 금속염의 선택에 의존하지만 대략 그 농도는 1.0 g/L에서 1.5g/L 정도이고 음이온은 질산염(nitrate), 황산염(sulfate), 초산염 (acetate) 및 다른 용해 염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음이온의 납의 용출거동에 대한 영향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되어 있지 않다. 음이온중 질산염 및 아질산염(nitrite)은 많은 금속과 합금의 부식을 방지한다고 알려져 있을지라도 그 효과에 대한 메카니즘이 상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현재까지 알려진 내용은 아질산염 이온의 환원에 의해 금속 표면에 산화물(oxide)이나 수산화물(hydroxide) 층과 같은 불활성층을 형성한다고 보고된 것이다.
아우구스틴스키(Augustinsky) 등이 X-ray 광전자 분광기술 (photoelectron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아질산염 수용액에서 금속 표면에 형성된 산화물 층을 관측했다. 최근에는 납 용출에 대한 아질산염 이온의 환원 연구결과 NaNO3 용액에서의 PbO층의 형성 속도보다 NH4NO3 용액에서의 PbO층의 형성속도가 빠르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는 두 용액에서 아질산염 이온의 환원에 의해 불활성층인 PbO가 형성되나 두 용액에서 납의 용출 거동이 전혀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고 두 용액에서의 납 표면에 형성된 불활성층의 조성을 연구함으로서 납 용출 속도의 차이를 설명한 연구도 진행 되었다. 본 실험의 적정온도는 50-70℃, 바람직하게는 60℃이고 처리중 온도변화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상과 같이 납 용출 방지 처리를 한 제품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주사형 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으로 납 분산층을 코팅한 정도를 관측하거나 NSF61 납 용출 실험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의 효율성의 보기로서 처리하지 않은 롯트된 배관연결구는 NSF61 방법에 의해 용출실험을 한 결과 하루동안 추출수에 접했을 때 10㎍/L가 용출 되었고 시일이 지나면서 3 - 6㎍/L로 점진적으로 감소되었다. 반면 본 발명의 코팅처리한 배관연결구는 첫날 1 - 2.5㎍/L가 용출 되었고 그 다음날 부터는 1㎍/L 이하로 떨어져 95% 이상의 납용출 방지 효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주조된(casting) 배관연결구는 첫째날 50 -55㎍/L가 용출되고 둘째날은 38㎍/L로 감소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13 -25㎍/L이 용출 되었다. 반면 본 발명의 코팅처리한 배관연결구 첫째날 6㎍/L 용출 되었고 날이 지남에 따라 2㎍/L로 감소되어 95% 이상의 납용출 방지 효율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배관연결구로 부터 납용출을 방지하는 세번째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배관연결구를 0.25 M의 나트륨 염화물(sodium chloride)와 0.2 M의 나트륨 파이로포스페이트 10수화물(sodium pyrophosphate decahydrate) 60℃ 수용액을 pH 10으로 조정하여 3 - 30분 정도 함침시킨다.
(2) 전술된 (1)공정의 배관연결구가 함침된 수용액에 잔류하는 용존산소를 높이기 위해 계속해서 폭기를 수행한다. 이때 염화물 이온은 납의 이온화를 통한 용출을 가속화 시키고 파이로포스페이트(pyrophosphate) 이온은 납이온과 착화합물을 형성함으로서, 납이온 함유 용액의 포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3) 그런 다음, (2)공정의 배관연결구를 꺼내어 초순수로 세척한 후 건조한다.
이러한 실시예 3에 의해 처리된 배관연결구는 NSF61의 납용출에 대한 허용기준치 이하로 납이 용출된다.
여기서, NSF61 기준에 따른 납 용출 방지 실험한 배관연결구로 부터 납 용출 실험 단계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1. 15분 동안 수돗물로 세척하고 초순수로로 다시 한번 세척한다.
2. pH 8.0±0.5, 알칼리도 500ppm, 용해 무기 카르보네이트 122ppm, 자유 크로린 2ppm으로 구성된 추출수에 함침하여 본 용출 실험 전에 시료의 전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전처리는 온도 23℃±2℃에서 72시간내로 수행된다.
3. 본 용출실험은 23℃±2℃ 추출수에 시료를 2시간 함침한 후 추출수를 버리고 다시 추출수를 채워 2 시간씩 네 번 반복한다.(총 8시간) 다음 16시간 계수 시료를 추출수에 함침시킨다. 이상과 같은 실험을 19일 지속하며 납 용출 농도 분석을 위한 샘플은 3, 4, 5, 10, 11, 12, 17, 18, 19 일 날 채취하여 ICP 분석기기를 이용하여 납 용출 농도를 분석한다.
4. 다음 분석 납 농도의 보정을 통해 실제 용출농도를 구한다. 이때 보정은 일반화 인자(nomalized factor)를 사용하여 분석 납 농도에 곱하게 된다.
일반화 인자(NF) = N1 × N2
N1 = (SAF/SAL) × (VL/VF(static))
N2 = VF(static)/VF(flow)
SAF : 실제 현장에서의 표면적
SAL : 실험실에서의 표면적
VL : 실험실에서 사용된 추출수의 부피
VF(static) : 황동 이음쇠가 정적인 조건에서 접한 물의 부피
VF(flow) : 실험실 테스트에 상응하는 시간동안 흐름조건하에서 황동 이음쇠가 접한 물의 부피
또한 배관연결구의 납 용출 방지를 위한 실험 후 발생한 폐액은 이온교환 수지를 이용하여 용출된 납을 회수하여 폐수는 방류한다.
본 발명은 NSF61의 납 용출 허용농도인 11㎍/L 이하를 달성하기 위한 배관연결구의 처리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납보다 전기 양성적인 즉 이온화 경향이 작은 금속염을 선택하고 납 성분의 용출을 촉진시키는 기능의 음이온 선택하고 납 용출 용액의 적정 pH, 온도, 산기방법, 함침시간의 결정한 후 NSF 61 시험방법에 준한 Pb 용출 실험 및 ICP를 이용한 분석을 수행하였다.한편, 배관 연결구로부터 납용출 테스트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문헌상에 공표된 NSF61 방법과 국내엥서 수출하는 배관 연결구에 대한 실제 NSF61의 방법이 있다.상기 실제 NSF61 테스트 방법은 다음과 같다.1. 시편 제작1. 1 PIPE 절단1) 수량 : 40개2) 규격 : A×90㎝비고) A는 PIPE의 내경치수로써 제품 외경치수로 한다.1.2 시편의 조립방법은 그림 1과 같이 조립하며 시편은 20개 제작한다.2. 시편 세척2.1 수돗물에 넣어 세척하여 이물질은 제거한다.2.2 Deionized Water을 시편 속으로 넣어 세척한다.3. 1차 시험3.1 1차 시험은 14일간(336시간)실시한다.3.2 50ppm NaHyhpochlorite pH8 Buffer Water을 시편속으로 넣고 23℃ 물에서 24시간 동안 1일차 시험을 실시한다. 3.3 1일차 시험 종료후 2일차에서부터 14일차(312시간)에 걸쳐 다음과 같은 시험을 실시한다.1) 1일차 시험 종료후 시편속의 용액을 제거한후2ppm NaHyhpochlorite pH8 Buffer Water을 다시 시편속에 채운다.2) 시험은 1일차 시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실시하며 2일차부터 5일차(96시간)까지는 매일(24시간마다) 시편속의 용액을 교체하고 6일차, 7일차에는 시편속의 용액을 교체치 아니한다. 또한 8일차에서 12일차까지는 매일 시편속의 용액을 교체하고 13일차, 14일차까지는 시편속의 용액을 교체치 아니하므로 1일차 시험 종료후 시편속의 용액 교체횟수를 포함하여 총10회에 걸쳐 시편속의 용액을 교체한다.4. 2차 시험(용출 시험)4.1 1차시험 종료후 용기속을 물과 시편속의 시험용액을 제거한후 시편을 수돗물에 시편을 세척한다.4.2 수돗물 세척수 Deionized 용액으로 시편속을 세척하며 용기속또한 82℃물을 채운다.4.3 시편세척후 동일한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용출시험을 실시한다. 단 용기속의 물은 온도를 82℃로 하며 시험 동안은 용기속의 물온도는 82℃를 유지하여야 한다.1) 2ppm NaHyhpochlorite Appropriate Water pH10을 시편속에 채운다.2) 용액을 채운 시편을 용기속에 90분 동안 담근다.3) 90분 경과후 시편의 시험용액을 제거후2ppm NaHyhpochlorite Appropriate Water pH10의 용액을 시편속에 다시 채우고 용기속에 90분 동안 담근다.4) 90분 경과후 시편의 시험용액을 다시 제거후2ppm NaHyhpochlorite Appropriate Water pH10의 용액을 시편속에 채우고 용기속에 90분 동안 담근다.5) 90분 경과후 30℃ Incubator에 960분 동아 넣어둔다. 이때 시편속에 용액은 그대로 둔 상태이어야 한다.6) 시편의 용액을 비이커에 담아 물의 양을 측정한후 다시 Pb의 양을 측정한다. 이때 Pb 의 측정치는 19ppb이하이어야 한다.따라서, 처음에는 일반적인 문헌상에 공표된 NSF61 방법을 이용하여 처리한 배관 연결구의 용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일반 수돗물의 경우는 1.42 - 4.11 ppb를 나타내었고 정수기 물의 경우 0.31 ppb를 나타내었다. 한편 처리를 하지 않은 배관 연결구의 9번 시료 평균은 12.37ppb를 나타내었다. 한편 미국 특허에서 보고된 처리를 하지 않은 배관 연결구의 9번 시료 평균은 13.4 - 40.7ppb를 나타내었다.[표 1] 첫 번째 방법(실시예1)으로 배관 연결구 처리후 용출실험결과(검출한계10ppt이하) [표 2] 두 번째 방법(실시예2)으로 배관 연결구 처리후 용출실험결과(검출한계10ppt이하) [표 3] 세 번째 방법(실시예3)으로 배관 연결구 처리후 용출실험결과(검출한계10ppt이하) 따라서, 처리한 세가지 방법 모두 일반적인 문헌상에 공표된 NSF61 규정을 달성하는 것으로 평가 되었다. 그러나 국내에서 수출하는 배관 연결구에 대한 실제 NSF61 규정에 따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4] 국내에서 수출하는 배관 연결구에 대한 실제 NSF61 규정에 따른 실험결과 상기 [표 4] 에서 보듯 한가지 방법으로 처리한 경우 모두 국내에서 수출하는 배관 연결구에 대한 실제 NSF61 규정에 도달하나 조금 미진한 부분이 있어 두단계 처리후 결과를 살펴보았다. 이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표 5] 두 단계 처리후 실험결과(두단계 모두 함침시간 30분) 따라서, 두 단계처리중의 첫 번째 방법이 동관 이음쇠의 수출을 위한 실제 NSF61 규정에 적합한 처리용액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방법은 납성분을 함유하는 배관연결구의 납용출 양을 NSF61 규정의 납용출 기준치 이하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배관연결구로 부터 NSF61에서 규정하고 있는 납용출 기준치 이하로 납이 검출되기 때문에 음용수 배관에 적극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1) 황동 재질의 배관연결구를 아세톤으로 세척한 후, 0.01N-0.2N 질산 수용액에 60초간 함침시킨 다음 꺼내어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와;
    (2) 상기 건조된 배관연결구를 0.005wt%의 비스무스 질산염 5수화물(Bismuth nitrate pentahydrate)과 0.5M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50-70℃에서 20-40분간 함침시키는 단계와;
    (3) 함침된 상기 배관연결구를 꺼내어 초순수에 2-5회 정도 세척한 다음,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용수용 배관연결구의 납용출 방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의 전단계 또는 상기 (3)단계가 완료된 배관연결구의 적어도 음용수와 접하는 표면에 금, 팔라듐, 은, 플레티늄, 주석, 구리, 또는 비스무스 중의 임의로 선택된 하나의 금속 재질의 코팅막을 1.2 -4 nm 정도의 두께로 선택적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용 배관연결구의 납용출 방지방법.
  3. (1) 황동재질의 배관연결구를 구리 초산염 또는 구리 염화물 중의 임의로 선택된 하나의 염 1mM - 100mM 용액에 3분 - 10분 정도 함침시키는 단계와;
    (2) 함침된 상기 (1)단계의 배관연결구를 꺼내어 초순수를 이용하여 배관연결구에 묻은 구리 초산염을 세척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용수용 배관연결구의 납용출 방지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1)단계의 전단계 또는 상기 (2)단계가 완료된 배관연결구의 적어도 음용수와 접하는 표면에 금, 팔라듐, 은, 플레티늄, 주석, 구리, 또는 비스무스 중의 임의로 선택된 하나의 금속 재질의 코팅막을 1.2 -4 nm 정도의 두께로 선택적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용 배관연결구의 납용출 방지방법.
  5. (1) 황동 재질의 배관연결구를 0.25 M의 sodium chloride와 0.2 M의 나트륨 파이로포스페이트 10수화물(sodium pyrophosphate decahydrate) 60℃ 수용액을 pH 10으로 조정하여 3 - 30분 정도 함침시키는 단계와;
    (2) 상기 (1)단계의 배관연결구가 함침된 수용액에 잔류하는 용존산소를 높이기 위해 계속해서 폭기를 수행하여 염화물 이온은 납의 이온화를 통한 용출을 가속화 시키고 파이로포스페이트(pyrophosphate) 이온은 납이온과 착화합물을 형성하여 납이온 함유 용액의 포화를 방지하는 단계와;
    (3) 상기 (2)단계의 배관연결구를 꺼내어 초순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용수용 배관연결구의 납용출 방지방법.
KR10-2000-0043647A 2000-07-28 2000-07-28 음용수용 배관연결구의 납용출 방지방법 KR100477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647A KR100477172B1 (ko) 2000-07-28 2000-07-28 음용수용 배관연결구의 납용출 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647A KR100477172B1 (ko) 2000-07-28 2000-07-28 음용수용 배관연결구의 납용출 방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238A KR20020010238A (ko) 2002-02-04
KR100477172B1 true KR100477172B1 (ko) 2005-03-18

Family

ID=19680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647A KR100477172B1 (ko) 2000-07-28 2000-07-28 음용수용 배관연결구의 납용출 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71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404B1 (ko) 2020-11-24 2021-03-15 박종규 납 용출 방지를 위한 도금액 조성물
KR102492512B1 (ko) 2022-11-15 2023-01-30 주식회사 이에스테크 수전금구류 납 용출 제어를 위한 도금액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4876A (en) * 1994-08-02 1995-10-03 21St Century Companies, Inc. Process for reducing lead leachate in brass plumbing components
WO1995033946A2 (en) * 1994-06-03 1995-12-14 Technology Management Advisor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inhibiting the leaching of lead in water
KR19990036141A (ko) * 1995-08-03 1999-05-25 알베르토 자니니, 리어코 라보티 납 함유 구리계 합금제 저함량의 납 방출용 배관 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33946A2 (en) * 1994-06-03 1995-12-14 Technology Management Advisor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inhibiting the leaching of lead in water
US5454876A (en) * 1994-08-02 1995-10-03 21St Century Companies, Inc. Process for reducing lead leachate in brass plumbing components
KR19990036141A (ko) * 1995-08-03 1999-05-25 알베르토 자니니, 리어코 라보티 납 함유 구리계 합금제 저함량의 납 방출용 배관 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238A (ko) 200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485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hibiting the leaching of lead in water
MacLeod Conservation of corroded copper alloys: a comparison of new and traditional methods for removing chloride ions
US5601658A (en) Method of treating lead-containing surfaces to passivate the surface lead
EP0683245B1 (en) Method for treating a potable water supply component made of a copper-based alloy
US5958257A (en) Process for treating brass components to reduce leachable lead
US6197210B1 (en) Process for treating brass components to substantially eliminate leachabale lead
CN1054655C (zh) 减少黄铜自来水管道零件中的铅浸出物的方法
KR100477172B1 (ko) 음용수용 배관연결구의 납용출 방지방법
US20020170632A1 (en) Method of reducing elution of lead in lead-containing copper alloy, and drinking water service fittings made of lead-containing copper alloy
AU2003262018B2 (en) Method for preventing elution of lead and/or nickel from copper alloy piping material such as valve or pipe joint and copper alloy piping material, and fluid for use in cleaning piping material
WO2012026490A1 (ja) 銅合金のBi溶出防止方法
US5904783A (en) Method for reducing lead leaching in fixtures
EP1134306B1 (en) Selective deleading process and bath for plumbing components made of a copper alloy
US10683576B2 (en) Corrosion inhibitors for passivation of galvanized coatings and carbon steel
JP5180644B2 (ja) 銅合金製接液器材のニッケル溶出防止方法
US3900348A (en) Method for protecting copper surfaces against corrosion
JP2001152369A (ja) 鉛含有給排水用銅合金金具に含まれる鉛溶出防止処理法
JP6542425B2 (ja) 水栓金具又はバルブにおける銅合金製給水器材の製造方法
Edwards et al. 8-crystalline alloys: copper
MacLeod Conservation, applied science and why treatments must be monitored
JP4190260B2 (ja) 鉛含有銅合金の表面処理方法及びその銅合金製接水部材
Wagner et al. An investigation of microbiologically mediated corrosion of copper-nickel piping systems selectively treated with ferrous sulfate
DE10304928A1 (de) Methoden zur Vorbehandlung metallener Bauteile und Komponenten in Systemen zum Transport von Wasser
CN106007059A (zh) 一种反渗透生产除盐水工艺及装置
JP3830841B2 (ja) バルブ・管継手等の配管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