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901B1 - 리어슬라이드도어의 갭 혹은 단차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리어슬라이드도어의 갭 혹은 단차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901B1
KR100475901B1 KR10-2003-0016109A KR20030016109A KR100475901B1 KR 100475901 B1 KR100475901 B1 KR 100475901B1 KR 20030016109 A KR20030016109 A KR 20030016109A KR 100475901 B1 KR100475901 B1 KR 100475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racket
roller
rear slide
cent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1583A (ko
Inventor
김문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6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901B1/ko
Publication of KR20040081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9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in hot water, e.g. boil p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리어슬라이드도어의 갭 혹은 단차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는 리어슬라이드도어와 연결되는 도어브라켓트, 일측면이 상기 도어브라켓트의 양단부 사이에 도어브라켓트와 정렬되어 위치하며 센터레일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롤러어셈블리에 연결되는 롤러브라켓트, 도어브라켓트 및 상기 롤러브라켓트의 정렬된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두 브라켓트에 동시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가 그 움직임에 의하여 롤러브라켓트를 도어브라켓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로 되어 도어의 탈거 없이 도어의 갭 및 단차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리어슬라이드도어의 갭 혹은 단차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A device for adjusting unnecessary gap or space of rear slide type door}
본 발명은 승합차량용 슬라이드 도어의 센터레일부 구조, 특히 슬라이드 도어 장착시 생기는 갭이나 단차를 효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개량된 센터레일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용 도어는 도어와 차체를 힌지 결합한 회동 개폐식으로 설계되고, 승합차의 경우 운전석과 조수석용의 프론트 도어는 회동 개폐식으로 설계되나, 리어 도어의 경우에는 그 중량과 길이를 고려하여 좌우로 슬라이딩 되어 개폐되는 슬라이드 방식의 도어를 채용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러한 슬라이드 도어는 상부레일부(U), 센터레일부(C) 및 하부레일부(L)의 3개소에 설치된, 롤러를 포함하는 각각의 연결 구조를 통하여 승합차에 구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롤러가 차체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활주함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여 개폐 동작을 수행한다. 본 고안은 이 중 센터레일부(C)를 개량한 것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슬라이드 도어의 센터레일부(C)를 차체의 결합부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C')은 차체에 형성된 센터레일이다. 센터레일(C')내부로는 후술하는 롤러어셈블리(R)가 위치하며, 롤러어셈블리(R)를 지지하는 롤러브라켓트(30')는 리벳(40')을 통하여 도어브라켓트(20')에 연결되고, 다시 도어브라켓트(20')에는 도어(D)가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수동에 의한 도어(D)의 슬라이딩은 두 브라켓트(20',30')를 통하여 롤러어셈블리(R)의 롤러가 센터레일(C')을 따라 활주하게 하는 힘으로 전환되어 원활한 슬라이드식 개폐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센터레일부 구조를 각 평면도와 측면도로 도시한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구성을 A'방향, 즉 도어쪽에서 바라 본 측면도이다.
도어브라켓트(20')의 두 플랜지부 사이 중앙부에는 도어장착용 슬롯(22',22')이 형성되는데, 상기 슬롯(22',22')을 통해서는 가령 보울트-너트 결합에 의하여 브라켓트(20')와 도시되지 않은 도어(D)의 강화이너패널이 결합된다. 또, 도어브라켓트(20')의 일단부와 롤러브라켓트(30')의 일단부가 평행하게 맞대어 포개어진 호올을 통해서는 리벳(40')이 체결된다. 미설명부호 (50')은 롤러이다. 롤러어셈블리(R) 및 두 브라켓트(20',30')는 도어(D)와 작동상 일체가 되어 롤러(50')가 센터라인(C')을 따라 슬라이드 함에 따라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좌우로 슬라이딩 운동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두 브라켓트(20',30')가 상대적으로 이동 불능인 상태로 견고히 결합되어 있으므로, 도어(D)의 장착 과정중 갭이나 단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슬롯(22',22')의 여유분을 이용하여 도어를 재장착하기 위해 도어를 탈거하고 관련 부품을 해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특히, 롤러어셈블리(R)와 센터레일(C')간의 상하갭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관련된 두 부재의 위치 조정을 행하면 족함에도 불구하고 슬롯(22',22')을 통하여 도어(D)의 상하 장착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작업상의 문제는 조립 공정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관련 부재의 탈 장착으로 인한 부품 훼손의 단점을 가져오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슬라이드 도어 장착시 생기는 갭이나 단차를 효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개량되어 조립 공정이 간편하고 용이하며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센터레일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어슬라이드도어의 갭 혹은 단차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는 리어슬라이드도어와 연결되는 도어브라켓트, 일측면이 도어브라켓트의 양단부 사이에 도어브라켓트와 정렬되어 위치하며 센터레일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롤러어셈블리에 연결되는 롤러브라켓트, 도어브라켓트 및 롤러브라켓트의 정렬된 공간을 통과하여 두 브라켓트에 동시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연결부재는 그 움직임에 의하여 롤러브라켓트를 도어브라켓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부재는 적어도 일부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강제 회전에 의한 직선 이동을 통하여 롤러브라켓트를 이동시키는 볼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센터레일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롤러어셈블리(R)의 구조는 종래 기술과 동일하며, 임의의 어셈블리 구조를 취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도어브라켓트(20)는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양 플랜지부에 나사홈(24,24)을 설치한 것을 제외하고는 종래 구조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롤러브라켓트(30)는 도 8에 잘 도시한 것과 같이 상하벽을 이루는 플랜지부(34,34)의 이격 거리가 짧게 형성되어 도어브라켓트(20)의 플랜지부 양단이 이루는 공간 사이로 중첩 배열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두 브라켓트(20,30)의 양단부가 맞닿아 체결되지 않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또, 롤러브라켓트(30)에는 후술하는 연결부재로서의 연결볼트(10)가 삽입되는 관통홈(32,32)이 플랜지부(34,34)의 양측에 대향하여 천공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두 브라켓트(20,30)를 구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볼트(10)는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헤드(12), 헤드(12)에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제1나사부(16), 제1나사부(16)에서 연장되며 양측에 스냅링(160)이 끼워지는 체결홈(160',160')을 구비하며 전반적으로 평탄하게 형성된 몸체부(14) 및 몸체부(14)에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제2나사부(18)로 이루어져 있다.
브라켓트(20,30)와 연결볼트(10)의 체결은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브라켓트(20,30)를 정렬 위치시킨 후, 연결볼트(10)가 차례로 하부나사홈(24),관통홈(32,32) 및 상부나사홈(24)을 통하게 하고 스냅링(160)이 롤러브라켓트(30)의 양플랜지(34,34) 상면을 가압하게 조임으로써 완성된다. 이때, 연결볼트(10)의 각 나사부(16,18)는 나사홈(24)과 나사식으로 요철 결합한다.
다음 본 발명에 있어, 도어 갭 및 단차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5에서 외부 공구로 연결볼트(10)의 헤드(12)를 가령 우회전시키면 나사부(16,18)가 회전하면서 연결볼트(10)가 전진 이동하게 되고 그에 연동하여 몸체부(14)상에 장착된 롤러브라켓트(30) 및 롤러어셈블리(R)가 연결볼트(10)의 이동 거리 만큼 위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어브라켓트(20)는 도어(D)의 강화이너패널에 고정 연결되어 있어 이동하지 않으며, 따라서 롤러브라켓트(30)의 이동은 도어(D)에 대한 상대적인 운동이 되어 도어를 이동시켜야 하는 작용을 원리적으로 충분히 대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대로 연결볼트(10)의 헤드를 좌회전시키면 그에 연동하여 롤러브라켓트(30) 및 롤러어셈블리(R)가 연결볼트(10)의 이동 거리 만큼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연결볼트(10)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피치수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미세하고 정확한 이동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이 롤러브라켓트(30) 및 롤러어셈블리(R)의 상하 위치를 미세하고 정밀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도어의 탈거 없이 롤러어셈블리(R)와 센터레일간의 긴밀하고 원활한 연결 및 장착을 달성할 수 있다는 유용성을 가진다.
이상 기술한 본 발명은 승합차의 슬라이드 도어 장착시 생기는 갭이나 단차를 효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개량되어 조립 공정이 간편하고 용이하며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우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승합차의 리어슬라이드 도어의 각 레일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슬라이드 도어의 센터레일부를 차체의 결합부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센터레일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센터레일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센터레일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센터레일부의 연결볼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센터레일부의 도어브라켓트를 도시한 측면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센터레일부의 롤러브라켓트 및 롤러어셈블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Claims (2)

  1. 리어슬라이드도어의 갭 혹은 단차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리어슬라이드도어와 연결되는 도어브라켓트;
    일측면이 상기 도어브라켓트의 양단부 사이에 상기 도어브라켓트와 정렬되어 위치하며 센터레일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롤러어셈블리에 연결되는 롤러브라켓트;
    상기 도어브라켓트 및 상기 롤러브라켓트의 정렬된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두 브라켓트에 동시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그 움직임에 의하여 상기 롤러브라켓트를 상기 도어브라켓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적어도 일부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강제 회전에 의한 직선 이동을 통하여 상기 롤러브라켓트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3-0016109A 2003-03-14 2003-03-14 리어슬라이드도어의 갭 혹은 단차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 KR100475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109A KR100475901B1 (ko) 2003-03-14 2003-03-14 리어슬라이드도어의 갭 혹은 단차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109A KR100475901B1 (ko) 2003-03-14 2003-03-14 리어슬라이드도어의 갭 혹은 단차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583A KR20040081583A (ko) 2004-09-22
KR100475901B1 true KR100475901B1 (ko) 2005-03-10

Family

ID=37365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109A KR100475901B1 (ko) 2003-03-14 2003-03-14 리어슬라이드도어의 갭 혹은 단차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59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817B1 (ko) * 2004-11-10 2010-02-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의 가변식 어퍼 롤러
FR3060469B1 (fr) * 2016-12-16 2019-05-24 Renault S.A.S. Porte coulissante de vehicule
KR102471627B1 (ko) * 2018-07-11 2022-11-2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사출성형기용 도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583A (ko) 200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9610B2 (en) Adjustable window lifter guide rail
US20230332448A1 (en) Fastening arrangement for vehicle sliding door
JPH11262706A (ja) 塗装用ドア治具を選定する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治具
US20080078124A1 (en) Support structure for vehicular slide door
US11319742B2 (en) Door module with frameless glass configuration having adjustable glass run channels
US5325585A (en) Method for the assembly of a sun roof of an automotive vehicle
KR100475901B1 (ko) 리어슬라이드도어의 갭 혹은 단차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
JP5373090B2 (ja) 戸吊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ドア装置
US7159927B2 (en) Powered tailgate system
US20090140551A1 (en) Pillar for suspension of a hinged vehicle door
EP3124299B1 (en) Sunroof apparatus
KR101051394B1 (ko) 플랫폼 도어 장치
US7152713B2 (en) Door track for an elevator door system
US7552561B2 (en) Drive for a sliding door or a swinging-sliding door
JP3629750B2 (ja) 自動車のドア構造及びその組立調整方法
JP4668713B2 (ja) ドアガラスをアッパガイドレールに取付ける取付方法及び装置
KR20030040622A (ko) 차량의 슬라이드 도어의 롤러 힌지 결합구조.
JP4781789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ユニット
KR100844736B1 (ko)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세팅 지그
JP3268566B2 (ja) 車両用窓装置
CN115781258A (zh) 一种汽车前罩铰链拧紧装置
CN220242950U (zh) 一种外水切密封条组件、车窗系统及汽车
KR100535625B1 (ko) 자동차용 도어 힌지 구조
KR100494427B1 (ko) 자동차 도어록 스트라이커의 취부구조
WO2022249646A1 (ja) サンルーフ装置のディフレクタ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