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666B1 -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666B1
KR100475666B1 KR1020030065929A KR20030065929A KR100475666B1 KR 100475666 B1 KR100475666 B1 KR 100475666B1 KR 1020030065929 A KR1020030065929 A KR 1020030065929A KR 20030065929 A KR20030065929 A KR 20030065929A KR 100475666 B1 KR100475666 B1 KR 100475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r
call
telephone
contents
called par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5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항제
Original Assignee
(주)티엔씨테크날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엔씨테크날로지 filed Critical (주)티엔씨테크날로지
Priority to KR1020030065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666B1/ko
Priority to EP04774402A priority patent/EP1661300A4/en
Priority to US10/568,938 priority patent/US20070036302A1/en
Priority to PCT/KR2004/002141 priority patent/WO2005020504A1/en
Priority to JP2006524574A priority patent/JP2007503754A/ja
Priority to CA002545434A priority patent/CA2545434A1/en
Priority to AU2004302427A priority patent/AU200430242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6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1Conversation record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81Call monitoring, e.g. for law enforcement purposes; Call tracing; Detection or prevention of malicious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chnology Law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발신자가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의 착신번호와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 전화한 다음 상기 착신자와의 통화 내용을 자동으로 녹음하고, 녹음된 통화 내용에 대해 제 3자의 인증서를 발행함으로써 두 당사자간의 통화 사실을 제 3 자의 인증서를 통하여 증명함과 동시에 통화 내역을 또 다른 제 3 자에게 공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은 발신자가 전화 발신 단말기로 통신망을 통해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의 전화번호로 전화 접속한 다음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도록 신청하는 단계;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여 음성녹음정보로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음성녹음정보에 대해 고유의 식별 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발신자에게 통신망을 통해 녹음된 통화에 이용된 상기 전화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통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통화확인인증서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식별 번호를 알고 있는 상기 발신자가 녹음된 통화에 이용된 발신자 번호를 갖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의 전화번호로 전화 접속한 다음 상기 식별 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식별 번호와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상기 발신자가 전화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녹음된 음성녹음정보를 청취하거나 또는 통화 사실을 확인하는 상기 통화확인인증서를 통신망을 통해 파일로 전송하여 증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OF PROVING SERVICE FOR TELEPHONE CALL RECORDING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신자의 요청에 의해 두 당사자(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고, 녹음된 통화 내용에 대해 제 3자의 인증서를 발행함으로써 두 당사자간의 통화 사실을 제 3자의 인증서를 통하여 증명함과 동시에 통화 내역을 또 다른 제 3자에게 공개할 수 있는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발신자 번호 표시제가 전화 서비스에 도입됨에 따라 대부분의 전화 통화에 대한 발신자 번호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컴퓨터와 전화 시스템의 발전을 통하여 과거의 단순 전화 서비스(발신자가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단말기에서 입력한 후 통화하는 서비스) 이외 여러 가지 형태의 전화 발신 방법이 도입 되어 다양한 방법의 전화 통화 방식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전화 통화에 대한 음성 녹음 서비스가 고객 상담 전화나 전화 판매 서비스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 기술 및 인터넷 상의 보안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각종 전자문서(전자세금 계산서 등)의 교환에 대한 제 3 자의 인증이 보편화 되고 있다.
종래에는 두 당사자 간의 의사 전달 여부를 법적으로 증명하기 위해서 우편을 이용한 내용 증명을 보내는 방법이 있었다. 즉, 당사자간 의사 전달 여부에 대한 법률적인 증거를 남기기를 원하는 당사자 중 한 사람이 다른 한 사람에게 우편을 통한 내용 증명을 전달함으로써, 두 당사자 간의 의사 전달 사실을 증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당사자 간에 감정적인 문제를 불러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신자가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의 착신번호와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 전화한 다음 상기 착신자와의 통화 내용을 자동으로 녹음하고, 녹음된 통화 내용에 대해 제 3 자의 인증서를 발행함으로써 두 당사자간의 통화 사실을 제 3 자의 인증서를 통하여 증명함과 동시에 통화 내역을 또 다른 제 3자에게 공개할 수 있는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당사자(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통화 내용 및 통화 사실을 법적으로 인증하기 위한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 당사자 간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고 통화 녹음자료에 대한 인증서 번호와 발신자가 착신자에게만 녹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착신자만이 녹음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열람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전달함으로써 인터넷을 통하여 제한적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은,발신자가 전화 발신 단말기로 통신망을 통해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의 전화번호로 전화 접속한 다음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도록 신청하는 단계;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여 음성녹음정보로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음성녹음정보에 대해 고유의 식별 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발신자에게 통신망을 통해 녹음된 통화에 이용된 상기 전화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통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통화확인인증서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상기 식별 번호를 알고 있는 상기 발신자가 녹음된 통화에 이용된 발신자 번호를 갖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의 전화번호로 전화 접속한 다음 상기 식별 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식별 번호와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상기 인증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상기 발신자가 전화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녹음된 음성녹음정보를 청취하거나 또는 통화 사실을 확인하는 상기 통화확인인증서를 통신망을 통해 파일로 전송하여 증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통화확인인증서를 발급하는 방법은 상기 발신자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가 상기 식별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상기 식별 번호가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상기 식별 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지불이 완료된 식별 번호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에게 지불을 요청하여 결재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자에게 상기 통신망을 통해 인증서를 발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식별 번호를 생성하는 방법은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확인한 후 상기 발신자에게 전화 통화가 녹음되고 있음을 통보하고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요구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발신자에게 서비스 제공 불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가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상기 착신자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상기 발신자와 착신자의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의 통화 종료에 의해 녹음을 중지하는 단계; 상기 녹음된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의 통화 내용을 음성녹음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녹음정보에 대해 고유의 인증번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통신망은 상기 유무선 통신망, 공중전화망(PSTN), 인터넷 통신망, 위성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인증서는 인증서 번호, 발신자 전화번호, 착신자 전화번호, 통화한 일자 및 시각, 인증서 발행 사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식별 번호는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정한 일련번호,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 상기 착신자의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은,발신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통화 내용을 녹음한 뒤 녹음된 음성녹음정보에 대한 식별 번호와 인증서를 상기 발신자에게 발급하는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를 이용한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상기 발신자가 전화 발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 전화한 다음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와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는 단계;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녹음된 음성녹음정보에 대해 고유의 식별 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발신자에게 통신망을 통해 녹음된 통화에 이용된 전화 발신 단말기로 발급하는 단계;상기 발신자가 상기 음성녹음정보를 상기 착신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 접속한 다음 식별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상기 식별 번호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발신자로부터 상기 착신자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받은 단계;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상기 착신자의 전화번호로 상기 음성녹음정보를 청취할 수 있는 음성메일 열람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상기 착신자의 이메일 주소로 상기 음성녹음정보를 청취할 수 있는 음성녹음정보의 검색 경로를 전송하는 단계;상기 착신자가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음성녹음정보의 검색 경로에 접속한 다음 상기 음성메일 열람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상기 인증 과정의 수행 후 상기 착신자가 상기 음성녹음정보를 청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식별 번호는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로부터 수신된 일련번호,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 상기 착신자의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은,발신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통화 내용을 상기 발신자에게 할당된 가상 메모리 영역에 일기 형식으로 녹음하여 보전하는 전화통화내용 일기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가상 메모리 영역에 녹음된 음성녹음정보에 대한 식별 번호와 통화확인인증서를 상기 발신자에게 발급하는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를 이용한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상기 발신자가 전화 발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의 착신번호와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 전화한 다음 상기 착신자와의 통화 내용을 자동으로 녹음하는 단계;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녹음된 음성녹음정보에 대해 식별 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발신자에게 통신망을 통해 녹음된 통화에 이용된 전화 발신 단말기로 발급하는 단계;상기 발신자가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 인터넷으로 접속하는 단계;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상기 발신자가 상기 전화통화내용 일기 서비스의 가입자인지를 판단하여 가입자이면 상기 발신자의 가상 메모리 영역으로 이동하고, 비가입자이면 가입 절차에 의해 가입을 한 후 할당된 가상 메모리 영역으로 이동하는 단계;상기 발신자가 상기 식별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및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상기 발신자에게 음성녹음정보 청취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은 상기 발신자가 식별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번호에 해당하는 음성녹음정보를 상기 발신자에게 할당된 가상 메모리 영역에서 검색한 다음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발신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발신자가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식별 번호의 인증에 의해 녹음된 통화 내용을 청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식별 번호는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로부터 수신된 일련번호, 상기 접속자의 전화번호, 상기 착신자의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시스템은,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를 포함하는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는:발신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고,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통화 내용이 녹음된 음성녹음정보에 대해 고유의 식별 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발신자에게 통신망을 통해 녹음된 통화에 이용된 전화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통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통화확인인증서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발신자 또는 제 3 자가 통신망을 통해 입력한 상기 식별 번호에 대해 인증 과정을 거친 후 녹음된 상기 음성녹음정보를 상기 발신자 또는 제 3 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통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통화확인인증서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는 상기 발신자 또는 착신자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전화 접속 모듈; 상기 전화 접속 모듈과 연결된 후 해당 음성 통화를 녹음하고 그 결과를 자기 디스크에 저장하는 음성 녹음 모듈; 상기 발신자와 착신자가 인터넷 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서비스 웹 사이트; 및 상기 음성녹음정보를 저장하는 자기 디스크와 상기 음성녹음정보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 명령어를 수행하는 명령어 모듈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DB)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통화확인인증서는 발신자 전화번호, 착신자 전화번호, 통화한 일자 및 시각, 당사간 간의 통화 사실, 통화 내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는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통화 내용을 상기 발신자에게 할당된 가상 메모리 영역에 일기 형식으로 녹음하여 상기 음성녹음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는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통화 내용을 상기 발신자에게 할당된 가상 메모리 영역에 일기 형식으로 녹음하여 상기 음성녹음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식별 번호를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발신자의 통화로가 해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음성으로 식별 번호를 통보하고, 상기 발신자가 통화를 종료한 경우에는 상기 발신자에게 통화를 재 연결하여 음성 또는 단문메시지로 인증번호를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통화확인인증서는 발신자 전화번호, 착신자 전화번호, 통화한 일자 및 시각, 당사간 간의 통화 사실, 통화 내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로서, 이동단말기(100), 유선전화기(200), 유선 전화망(300), 이동 통신망(400),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 인터넷 망(600)을 구비한다.
상기 이동 통신망(400)은 이동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사업을 영위하는 이동 통신 사업자, 즉 셀루러폰 사업자, 개인 휴대 통신(PCS) 사업자, 주파수 공용 사업자(TRS) 등을 총칭한다.
상기 이동 통신망 사업자에 접속한 이동 단말기(100)는 이러한 이동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로, 해당 단말기별로 통신망에서 접속이 가능한 고유한 번호를 가진 단말기이다.
상기 유선 전화망(300)은 시내 전화망, 시외 전화망 , 국제 전화망 사업자를 통칭한다. 상기 유선 전화기(200)는 상기 유선 전화망(300) 중 하나인 시내 전화망에 가입한 자에게 제공되는 하나의 고유 번호를 갖는 단말기이다.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는 상기 이동 통신망(400) 또는 상기 유선 전화망(300)을 통해 발신자의 상기 이동단말기(100) 또는 유선전화기(200)와 접속하며, 상기 인터넷 망(600)을 통해 상기 발신자의 컴퓨터 단말기(도시되지 않음) 또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접속한다.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는 상기 발신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고, 통화녹음자료에 대한 인증서 번호(또는 녹음 번호)를 상기 발신자에게 발급한다. 또한, 상기 인증서 번호의 인증에 의해 상기 발신자에게 상기 착신자와의 전화 통화 내용을 증명하는 인증서를 발급한다. 또한, 상기 인증서 번호의 인증에 의해 상기 발급자 또는 제 3 자에게 녹음된 통화내용을 상기 이동 통신망(400), 상기 유선 통신망(300), 상기 인터넷 망(60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청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의 상세 구성도로서, 전화 접속 모듈(510), 음성 녹음 모듈(520), 서비스 웹 사이트(530), 데이터베이스(DB) 서버(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화 접속 모듈(510)은 전화망을 통한 통화 접속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전화망과 여러가지 방식으로 연동(신호망 연동, VOIP망 연동 등)하여 발신자와 착신자 및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와의 음성통화 연결을 위한 제반 사항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음성 녹음 모듈(520)은 상기 전화 접속 모듈(510)과 통화로를 연결한 후 해당 음성 통화를 녹음한 다음 그 결과를 자기 디스크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웹 사이트(530)는 상기 인터넷 망(600)에 연결된 인터넷 웹 사이트를 말하며, 인증서의 발행을 위하여 인터넷을 통한 사용자 정합 기능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DB 서버(540)는 통화 내용을 저장하는 자기 디스크(541)와 저장된 녹음 정보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 명령어를 수행하는 명령어 모듈(542)로 구성된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시스템은 논리적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실제적인 하드웨어의 구성에 따라 보다 세부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반대로 하나의 하드웨어 시스템으로 통합 구성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에서 전화 통화를 녹음하는 과정을 나타낸 시스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발신자는 착신자와의 전화 통화 내용을 저장하기 위하여, 이동단말기(100) 또는 유선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의 특정 전화번호에 전화를 걸어 접속한다(단계 S1). 이 때,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의 전화 접속 모듈(510)은 상기 이동 통신망(400) 또는 유선 전화망(300)을 통해 상기 발신자의 이동단말기(100) 또는 유선전화기(200)와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전화 접속 모듈(510)은 상기 발신자의 발신자 전화번호(발신번호)를 확인한다(단계 S2). 이때, 상기 발신자는 발신번호 서비스가 제공되는 발신자 전화번호를 소유하고 있어야 한다.
만약, 상기 발신자의 발신자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없으면 상기 발신자의 이동단말기(100) 또는 유선전화기(200)로 문자 및/또는 음성으로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함을 통보하고, 발신자 전화번호가 확인되면 통화 내용이 녹음되고 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문자 및/또는 음성으로 송신(단계 S3)한 후 상기 발신자로부터 착신자 전화번호(착신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청한다.
그 다음, 상기 착신번호의 입력을 요청 받은 발신자는 상기 이동단말기(100) 또는 유선전화기(200)를 통해 착신번호를 입력한다(단계 S4).
그 다음,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의 전화 접속 모듈(510)은 상기 유선 전화망(300) 또는 상기 이동 통신망(400)과 접속하여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착신번호로 전화 접속을 시도한다(단계 S5).
그 다음, 상기 전화 접속 모듈(510)은 상기 유선 전화망(300) 또는 상기 이동 통신망(400)으로부터 통화호 연결 성공 여부를 통지 받으면 상기 음성 녹음 모듈(520)에 통화 연결을 요청한다(단계 S6).
그 다음, 상기 전화 접속 모듈(510)과 상기 음성 녹음 모듈(520)이 통화 연결되면 상기 전화 접속 모듈(510)에서 상기 음성 녹음 모듈(520)과 통화호를 설정하여 통화 내용이 녹음될 수 있도록 하고(단계 S7), 상기 유선 전화망(300) 또는 상기 이동 통신망(400)을 통해 통화하는 상기 발신자와 착신자의 통화 내용을 녹음한다(단계 S8).
그 다음, 착신자 또는 발신자의 이동단말기(100) 또는 유선전화기(20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호 연결이 해제되면(단계 S9) 상기 전화 접속 모듈(510)에서 이를 감지하여 상기 음성 녹음 모듈(520)로 호 연결의 해제와 녹음 중지를 요청한다(단계 S10).
그 다음, 상기 음성 녹음 모듈(520)은 녹음 결과(녹음 데이터 정보)를 상기 DB 서버(540)의 자기 디스크(541)에 저장한 후 현재 기록된 녹음 데이터 정보에 대해 중복되지 않은 하나의 일련번호(인증번호)를 상기 전화 접속 모듈(510)로 전송한다(단계 S11).
그 다음, 상기 전화 접속 모듈(510)은 상기 발신자의 이동단말기(100) 또는 유선전화기(200)로 인증번호를 통보한다(단계 S12). 이때, 상기 발신자의 통화로가 해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음성으로 인증번호를 통보하고, 상기 발신자가 통화를 종료한 경우에는 상기 발신자에게 통화를 재 연결하여 음성으로 인증번호를 통보한다. 이때, 상기 발신자가 이동단말기(100)를 이용한 경우에는 해당 발신자 번호로 보편적인 이동통신서비스 중의 하나인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인증번호를 전송한다.
그 다음, 상기 전화 접속 모듈(510)은 상기 발신자와 연결된 호를 해제(단계 S13)함으로써, 서비스를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에서 전화 통화 내용을 증명하는 인증서를 발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시스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도 3에서 식별 번호를 발급받은 발신자가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의 서비스 웹 사이트(530)에 인터넷 망(600)을 통하여 접속하여 자신이 전달 받은 식별 번호를 입력한다(단계 S21).
그 다음, 식별 번호를 입력 받은 상기 서비스 웹 사이트(530)는 상기 DB 서버(540)에 해당 식별 번호가 존재하는지 여부와 존재한다면 지불이 완료된 식별 번호인지 확인을 요청한다(단계 S22).
그 다음, 상기 DB 서버(540)는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식별 번호가 존재하는지 검색한 결과와 존재한다면 지불이 완료된 식별 번호인지를 검색한 결과를 상기 서비스 웹 사이트(530)에 통보한다(단계 S23). 이때, 상기 DB 서버(540)는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식별 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식별 번호가 존재하지 않음을 통보하고, 지불이 완료되지 않은 식별 번호인 경우에도 그 결과를 상기 서비스 웹 사이트(530)로 통보한다.
그 다음, 상기 서비스 웹 사이트(530)는 상기 DB 서버(540)로부터 수신한 상기 식별 번호의 존재여부 결과와 지불여부 결과를 수신하여 지불여부를 판단(단계 S24)한 다음, 지불이 완료되지 않은 식별 번호인 경우 상기 서비스 웹 사이트(530)의 접속자인 상기 발신자에게 인증서 발급에 대한 지불을 요청한다(단계 S25).
그 다음, 상기 발신자가 상기 서비스 웹 사이트(530)에 결재 정보를 입력하면(단계 S26) 상기 서비스 웹 사이트(530)는 상기 DB 서버(540)에 상기 발신자의 식별 번호에 대한 결재 정보를 저장하여 지불 완료 처리를 한다(단계 S27). 이때, 상기 발신자는 상기 서비스 웹 사이트(530)로부터 지불 요청을 받은 후 각종 결제 방법, 즉 인터넷 지불 결제 서비스, 각종 오프라인(Off line) 결제 서비스 등을 통하여 지불을 완료한다.
그 다음, 상기 서비스 웹 사이트(530)는 상기 발신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인터넷 망(600)을 통하여 인증서를 전자적인 방법으로 발급한다(단계 S28). 이때, 상기 인증서의 내용은 인증서 번호, 발신자 번호, 착신자 번호, 통화한 시각 등의 정보를 반드시 포함한다.
상기 인증서를 발급 받은 발신자는 해당 인증서를 각종 법률적 행위에 대한 증거로써 보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에서 녹음된 전화 통화 내용을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시스템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에 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전화 통화 내용을 녹음한 후 이 녹음된 통화 내용에 대한 인증번호를 알고 있는 발신자 또는 제 3 자가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에 녹음된 통화 내용을 확인하고자 할 경우, 또는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에서 발행된 인증서의 인증서 번호(또는 인증번호)를 알고 있는 발신자 또는 제 3 자가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에 녹음된 통화 내용을 청취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에 전화를 걸어 접속한다(단계 S31). 이때, 상기 발신자 또는 제 3 자는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의 전화번호(특정번호)로 전화를 걸어 접속한다.
그 다음,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의 전화 접속 모듈(510)은 안내 메시지(음성 및/또는 문자)를 통하여 접속을 시도한 자(발신자 또는 제 3 자)에게 식별 번호(또는 인증서 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청한다(단계 S32).
그 다음, 상기 발신자 또는 제 3 자가 식별 번호를 상기 이동단말기(100) 또는 유선전화기(200)를 이용하여 입력하게 되면(단계 S33), 상기 전화 접속 모듈(510)은 해당 식별 번호를 상기 DB 서버(540)에 문의하게 된다(단계 S34).
그 다음, 상기 DB 서버(540)는 상기 전화 접속 모듈(510)로부터 수신된 식별 번호가 제 3 자가 청취할 수 있는 유효 식별 번호인지 확인(단계 S37)한 다음 그 인증 결과를 상기 전화 접속 모듈(510)에 통보한다(단계 S36).
그 다음, 상기 전화 접속 모듈(510)은 상기 DB 서버(540)로부터 수신된 인증 결과가 청취 가능한 식별 번호인 경우 상기 음성 녹음 모듈(520)과 통화로를 연결한 다음(단계 S37), 접속한 상기 발신자 또는 제 3자에게 녹음된 통화 내용과 해당 인증서에 포함된 발신자 번호, 착신자 번호, 통화 시각 등의 정보를 통보하여 준다(단계 S38).
그 다음, 상기 음성 녹음 모듈(520)은 상기 전화 접속 모듈(510)로 녹음 내용 통보가 완료되었음을 알린다(단계 S39).
그 다음, 상기 전화 접속 모듈(510)은 상기 발신자 또는 제 3자에게 녹음 내용 통보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음성 또는 문자로 전송하고 통화를 종결한다(단계 S40).
상기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신자가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의 전화접속모듈(510)로 전화하여 착신자와의 통화 내용을 녹음한 후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로부터 인증번호를 전달받는다(녹음 및 인증번호 발급 단계).
그리고,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신자는 상기 착신자와의 통화 사실에 대한 내용 증명을 받기 위해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의 서비스웹사이트(530)에 접속하여 상기 인증번호를 입력한 다음 인증서를 발급받는다(인증서 발급 단계).
그리고,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증번호 또는 상기 인증서의 인증서 번호를 알고 있는 상기 발신자 또는 제 3 자가 상기 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통화 내용 사실을 확인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의 전화접속모듈(510)에 전화하여 상기 인증번호 또는 인증서 번호를 입력한 다음 상기 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녹음된 통화 내용을 청취하게 된다(통화내용 확인 단계).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녹음 및 인증번호 발급단계(도 3) -> 인증서 발급 단계(도 4) -> 통화내용 확인 단계(도 5)'의 3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 '녹음 및 인증번호 발급단계(도 3) -> 인증서 발급 단계(도 4)'의 2단계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 '녹음 및 인증번호 발급단계(도 3) -> 통화내용 확인 단계(도 5)'의 2단계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 '녹음 및 인증번호 발급단계(도 3) -> 통화내용 확인 단계(도 5) -> 인증서 발급 단계(도 4)'의 3단계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에서 상기 발신자 또는 제 3 자의 인증을 위해 사용한 인증번호 대신에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 및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인증 과정을 수행한 다음, 상기 인증서를 발급하거나 또는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에 녹음된 해당 통화 내용을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에 접속한 상기 발신자 또는 제 3 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는 통화 내역 정보, 통화 내용 정보, 인증서 발행 사항 등의 정보를 전자적인 인증방법을 통하여 공인 인증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는 상기 발신자에게 발급하는 인증서에 대해 전자문서 또는 문서로 출력하고 그 출력된 결과물에 대해 법률적으로 공증하여 인증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타인에 대한 공증력을 높이기 위하여 제 3 자를 통한 전자적인 공인 인증 서비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인 인증 서비스를 통할 경우 인증하는 단계에 따라 보다 다양한 절차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제 3 자를 통한 전화 통화 내용 증명을 위한 주체는 이동 통신망 사업자 혹은 유선 전화망 사업자가 직접 수행 가능할 수도 있으며, 아니면 전자 문서에 대한 보관 및 유통에 대한 법적인 인증 권한을 갖는 정보 인증 기업이 직접 수행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는 여러 형태로 존재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에서 인터넷 망을 통해 음성 녹음 정보를 청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시스템 흐름도이다. 상기 발신자가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에 상기 착신자와의 전화 통화 내용을 녹음한 후 녹음된 전화 통화 내용(음성 녹음 정보)을 착신자 또는 제 3 자에게 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치게 된다.먼저, 상기 발신자가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의 서비스 웹 사이트(530)에 접속한 다음, 인증번호(또는 인증서 번호)를 입력한다(단계 S51). 이때,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는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상기 인증번호를 하나의 녹음번호로 인지한다.
삭제
그 다음, 상기 서비스 웹 사이트(530)에서는 상기 DB 서버(540)에 입력된 인증번호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단계 S52).
그 다음, 상기 DB 서버(540)에서 상기 발신자 또는 제 3 자가 입력한 인증번호의 존재여부를 검색한 결과를 상기 서비스 웹 사이트(530)에 통보한다(단계 S53).
그 다음, 상기 서비스 웹 사이트(530)에서는 상기 DB 서버(540)로부터 수신된 결과에 의해 녹음된 통화 내용(음성 녹음 정보)을 상기 발신자 또는 제 3 자에게 제공할 것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54). 이때, 상기 발신자 또는 제 3 자가 입력한 식별 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식별 번호가 존재하지 않음을 상기 발신자 또는 제 3 자에게 통보하고, 식별 번호가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DB 서버(540)로부터 음성 녹음 정보의 검색 경로를 수신(단계 S55)한 후 상기 인터넷 망(600)을 통해 상기 착신자 또는 제 3 자에게 전송한다(단계 S56).상기 인터넷 망(600)의 전자 메일을 이용하여 '음성 녹음 정보의 검색 경로'를 전송하는 방식은 상기 착신자가 통화 내용을 녹음한 사실을 알지 못한 경우에는 사생활 침해에 대한 논란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논란을 해결하기 위하여 메일 발송 절차에 부가적인 절차를 첨가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여기서, 부가적인 절차의 한 실시예로서, '음성 녹음 정보의 검색 경로'를 인터넷 망(600)의 전자 메일로 발송하고자 하는 경우 발송된 메일을 당사자(발신자와 착신자)만이 확인(청취)할 수 있도록 도 7과 같은 안전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에서 인터넷 망을 통해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음성 녹음 정보를 청취할 수 있도록 이메일로 녹음 정보의 청취경로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시스템 흐름도이다.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에 녹음된 음성 녹음 정보에 대한 인증번호 또는 인증서 번호를 알고 있는 발신자가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에 녹음된 음성 녹음 정보의 검색 경로를 제 3 자(착신자)에게 전자 메일로 전송하고자 할 경우, 상기 발신자는 인터넷 망(600)을 통하여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의 서비스 웹 사이트(530)에 접속한 다음(단계 S61) 인증번호를 입력한다(단계 S62). 이때,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는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상기 인증번호를 하나의 녹음번호로 인지한다.
삭제
그 다음, 상기 인증번호(녹음번호)를 입력 받은 상기 서비스 웹 사이트(530)는 상기 DB 서버(540)에 해당 인증번호가 존재하는지 확인을 요청한다(단계 S63).
그 다음, 상기 DB 서버(540)에서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인증번호의 존재여부를 검색한 결과를 상기 서비스 웹 사이트(530)에 통보한다(단계 S64).
그 다음, 상기 서비스 웹 사이트(530)는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식별 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발신자에게 식별 번호가 존재하지 않음을 통보한다(도시되지 않음).
그 다음, 상기 단계(S64)에서 식별 번호가 존재할 경우 상기 발신자는 상기 서비스 웹 사이트(530)에 착신자의 이메일(E-mail) 주소와 인증번호를 입력하여 이메일 전송을 요청한다(단계 S65).
그 다음, 상기 발신자로부터 이메일 전송 요청을 받은 상기 서비스 웹 사이트(530)는 상기 DB 서버(540)에 음성 메일 열람 비밀번호를 생성해 줄 것을 요청한다(단계 S66).
그 다음, 상기 DB 서버(540)는 상기 서비스 웹 사이트(530)로부터 비밀번호 생성 요청을 받은 후 자동으로 음성 메일 열람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웹 사이트(530)로 통보해 준다(단계 S67).
그 다음, 상기 서비스 웹 사이트(530)는 상기 음성 녹음 정보의 통화 기록상의 착신 단말기의 착신자 번호로 음성 메일을 청취할 수 있는 음성메일 열람비밀번호를 단문 메시지로 전송한다(단계 S68). 한편, 상기 음성메일 열람비밀번호는 전화 음성 메시지, 단문 메시지, 착신자 번호와 일치하는 전화번호 인터넷 메일 주소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음성메일 열람비밀번호를 수신한 자만이 전자 메일로 전달된 음성 통화 내용을 청취 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서비스 웹 사이트(530)는 상기 DB 서버(540)로부터 해당 음성 녹음 정보(단계 S69)의 검색경로를 상기 착신자에게 이메일로 발송한다(단계 S70). 상기 착신자는 전송된 음성 녹음 경로 정보에 자신이 별도로 수신한 열람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열람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음성녹음정보를 청취한다(도시되지 않음).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에서 발신자가 통화 내용을 할당받은 가상 메모리 영역(일기장)에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시스템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의 서비스 웹 사이트(530)에서는 발신자에게 가상 메모리 영역(일기장)을 할당하여 통화 내용을 보전할 수 있는 전화 통화 일기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전화 통화 일기 서비스는 해당 통화 내용을 하나의 통화 기록으로써 보관하며, 상기 발신자의 요구에 의해 해당 통화 내용을 상기 발신자에게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발신자가 인터넷 망(600)을 통하여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의 서비스 웹 사이트(530)에 접속한다(단계 S71).
그 다음, 상기 서비스 웹 사이트(530)에 접속한 상기 발신자가 신규가입자인지를 판단하여, 신규가입자가 아니면 발신자의 가상 메모리 영역으로 이동하고(단계 S73), 신규가입자이면 단계(S74) 내지 단계(S77)를 통해 전화 통화 내용 일기 서비스에 가입을 신청받는다. 이때, 상기 단계(S73)에서 발신자의 가상 메모리 영역으로 이동한 후 인증번호(녹음번호)를 입력한다(단계 S78).
한편, 상기 단계(S72)에서 신규가입자이면 전화 통화 내용 일기 서비스에 가입 신청을 할 것인지를 상기 발신자로부터 물은 다음(단계 S74), 가입 신청을 원하면 소정의 절차에 의해 전화 통화 내용 일기 서비스에 가입 신청을 하고(단계 S75), 가입 신청을 원하지 않으면 접속을 종료한다.
상기 단계(S75)에서 상기 발신자의 가입 신청에 의해 상기 서비스 웹 사이트(530)는 상기 DB 서버(540)에 상기 발신자에 대한 가상 메모리 영역 할당을 요구하여 상기 DB 서버(540)로부터 상기 발신자에 대한 가상 메모리 영역을 할당받는다. 그리고, 상기 발신자의 가상 메모리 영역으로 이동한다(단계 S76).
그 다음, 상기 발신자가 접속을 종료할 것인지를 묻고 종료를 원할 경우 접속을 종료하고, 종료를 원하지 않을 경우 상기 단계(S78)로 넘어간다.
상기 단계(S78)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발신자의 가상 메모리 영역으로 이동한 후 인증번호(녹음번호)를 입력한다(단계 S78). 이때,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500)는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상기 인증번호를 하나의 녹음번호로 인지한다.
그 다음, 상기 서비스 웹 사이트(530)에서 상기 발신자에게 음성 녹음 정보를 청취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단계 S79).
그 다음, 상기 발신자에게 가상 메모리 영역에 음성 녹음 정보를 계속 등록 할 것인지를 물은 다음, 계속 등록할 경우 상기 단계(S78)로 돌아가고, 그만 할 경우 접속을 종료한다(단계 S80).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발신자의 요청에 의해 두 당사자(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고, 녹음된 통화 내용에 대해 제 3자의 인증서를 발행함으로써 두 당사자간의 통화 사실을 제 3자의 인증서를 통하여 증명함과 동시에 통화 내역을 또 다른 제 3자에게 공개할 수 있다.
그리고, 두 당사자(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통화 내용 및 통화 사실을 제 3 자의 공증을 통해 법적으로 인증 할 수 있다.
또한, 두 당사자(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고 통화 녹음자료에 대한 인증서 번호(또는 녹음번호)를 이용하여 두 당사자 간의 통화 내용을 당사자만이 안전하게 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두 당사자 간의 통화 내용 및 통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두 당사자(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고 통화 녹음자료에 대한 인증서 번호(또는 녹음번호)를 이용하여 두 당사자 간의 통화 내용을 인터넷 망을 통하여 기록 보전할 수 있으며, 보전된 통화 내용을 필요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우편을 통한 내용 증명의 불편성을 극복하고, 단순 녹취를 통한 법적인 증거력의 한계(녹음 조작, 통화 내용의 시각 증명 불가능 등)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널리 사용되게 되는 경우 간단한 서비스 방법을 통하여 두 사람간의 전화 통화 내용에 대한 공증을 받고자 하는 자가 손쉽게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법적인 내용 증명이외에 두 당사자간의 전화 통화 내용을 녹음하고 상호 확인하기 위한 전자 메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두 당사자간의 통화 내용을 보전하고자 하는 목적에 널리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전화 통화 일기 서비스의 경우에는 두 사람(가족, 연인 등)간의 통화 내용을 오랜 기간 보전하여 상호 열람 가능하도록 하여 마치 사진첩이나 일기첩과 같은 새로운 기록 방법을 창출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에서 전화 통화를 녹음하는 과정을 나타낸 시스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에서 전화 통화 내용을 증명하는 인증서를 발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시스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에서 녹음된 전화 통화 내용을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시스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에서 인터넷 망을 통해 음성 녹음 정보를 청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시스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에서 인터넷 망을 통해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음성 녹음 정보를 청취할 수 있도록 이메일로 녹음 정보의 청취경로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시스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에서 발신자가 통화 내용을 할당받은 가상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시스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단말기 200 : 유선전화기
300 : 유선 전화망 400 : 이동 통신망
500 :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장치 510 : 전화 접속 모듈
520 : 음성 녹음 모듈 530 : 서비스 웹 사이트
540 : 데이터베이스(DB) 서버 600 : 인터넷 망

Claims (25)

  1. 발신자가 전화 발신 단말기로 통신망을 통해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의 전화번호로 전화 접속한 다음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도록 신청하는 단계;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여 음성녹음정보로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음성녹음정보에 대해 고유의 식별 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발신자에게 통신망을 통해 녹음된 통화에 이용된 상기 전화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통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통화확인인증서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식별 번호를 알고 있는 상기 발신자가 녹음된 통화에 이용된 발신자 번호를 갖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의 전화번호로 전화 접속한 다음 상기 식별 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식별 번호와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상기 발신자가 전화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녹음된 음성녹음정보를 청취하거나 또는 통화 사실을 확인하는 상기 통화확인인증서를 통신망을 통해 파일로 전송하여 증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확인인증서를 발급하는 방법은:
    상기 발신자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가 상기 식별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상기 식별 번호가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상기 식별 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지불이 완료된 식별 번호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에게 지불을 요청하여 결재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자에게 상기 통신망을 통해 인증서를 발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번호를 생성하는 방법은: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확인한 후 상기 발신자에게 전화 통화가 녹음되고 있음을 통보하고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요구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발신자에게 서비스 제공 불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가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상기 착신자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상기 발신자와 착신자의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의 통화 종료에 의해 녹음을 중지하는 단계;
    상기 녹음된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의 통화 내용을 음성녹음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녹음정보에 대해 고유의 인증번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상기 유무선 통신망, 공중전화망(PSTN), 인터넷 통신망, 위성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서는 인증서 번호, 발신자 전화번호, 착신자 전화번호, 통화한 일자 및 시각, 인증서 발행 사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번호는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정한 일련번호,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 상기 착신자의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10. 발신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통화 내용을 녹음한 뒤 녹음된 음성녹음정보에 대한 식별 번호와 인증서를 상기 발신자에게 발급하는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를 이용한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가 전화 발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 전화한 다음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와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는 단계;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녹음된 음성녹음정보에 대해 고유의 식별 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발신자에게 통신망을 통해 녹음된 통화에 이용된 전화 발신 단말기로 발급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가 상기 음성녹음정보를 상기 착신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 접속한 다음 식별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상기 식별 번호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발신자로부터 상기 착신자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받은 단계;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상기 착신자의 전화번호로 상기 음성녹음정보를 청취할 수 있는 음성메일 열람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상기 착신자의 이메일 주소로 상기 음성녹음정보를 청취할 수 있는 음성녹음정보의 검색 경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착신자가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음성녹음정보의 검색 경로에 접속한 다음 상기 음성메일 열람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과정의 수행 후 상기 착신자가 상기 음성녹음정보를 청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번호는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로부터 수신된 일련번호,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 상기 착신자의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13. 삭제
  14. 발신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통화 내용을 상기 발신자에게 할당된 가상 메모리 영역에 일기 형식으로 녹음하여 보전하는 전화통화내용 일기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가상 메모리 영역에 녹음된 음성녹음정보에 대한 식별 번호와 통화확인인증서를 상기 발신자에게 발급하는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를 이용한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가 전화 발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의 착신번호와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 전화한 다음 상기 착신자와의 통화 내용을 자동으로 녹음하는 단계;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녹음된 음성녹음정보에 대해 식별 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발신자에게 통신망을 통해 녹음된 통화에 이용된 전화 발신 단말기로 발급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가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 인터넷으로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상기 발신자가 상기 전화통화내용 일기 서비스의 가입자인지를 판단하여 가입자이면 상기 발신자의 가상 메모리 영역으로 이동하고, 비가입자이면 가입 절차에 의해 가입을 한 후 할당된 가상 메모리 영역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가 상기 식별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서 상기 발신자에게 음성녹음정보 청취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은:
    상기 발신자가 식별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번호에 해당하는 음성녹음정보를 상기 발신자에게 할당된 가상 메모리 영역에서 검색한 다음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발신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16. 삭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가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식별 번호의 인증에 의해 녹음된 통화 내용을 청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번호는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로부터 수신된 일련번호, 상기 접속자의 전화번호, 상기 착신자의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19.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를 포함하는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는:
    발신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고,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통화 내용이 녹음된 음성녹음정보에 대해 고유의 식별 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발신자에게 통신망을 통해 녹음된 통화에 이용된 전화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통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통화확인인증서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발신자 또는 제 3 자가 통신망을 통해 입력한 상기 식별 번호에 대해 인증 과정을 거친 후 녹음된 상기 음성녹음정보를 상기 발신자 또는 제 3 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통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통화확인인증서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는:
    상기 발신자 또는 착신자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전화 접속 모듈;
    상기 전화 접속 모듈과 연결된 후 해당 음성 통화를 녹음하고 그 결과를 자기 디스크에 저장하는 음성 녹음 모듈;
    상기 발신자와 착신자가 인터넷 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서비스 웹 사이트; 및
    상기 음성녹음정보를 저장하는 자기 디스크와 상기 음성녹음정보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 명령어를 수행하는 명령어 모듈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DB)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시스템.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확인인증서는 발신자 전화번호, 착신자 전화번호, 통화한 일자 및 시각, 당사간 간의 통화 사실, 통화 내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시스템.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는: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통화 내용을 상기 발신자에게 할당된 가상 메모리 영역에 일기 형식으로 녹음하여 상기 음성녹음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시스템.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통화내용증명장치는: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통화 내용을 상기 발신자에게 할당된 가상 메모리 영역에 일기 형식으로 녹음하여 상기 음성녹음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번호를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발신자의 통화로가 해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음성으로 식별 번호를 통보하고,
    상기 발신자가 통화를 종료한 경우에는 상기 발신자에게 통화를 재 연결하여 음성 또는 단문메시지로 인증번호를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확인인증서는 발신자 전화번호, 착신자 전화번호, 통화한 일자 및 시각, 당사간 간의 통화 사실, 통화 내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KR1020030065929A 2003-08-26 2003-09-23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75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929A KR100475666B1 (ko) 2003-08-26 2003-09-23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EP04774402A EP1661300A4 (en) 2003-08-26 2004-08-26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FOR TELEPHONE TELEPHONE RECORDING AND SYSTEM THEREFOR
US10/568,938 US20070036302A1 (en) 2003-08-26 2004-08-26 Method of proving service for telephone call recording and system thereof
PCT/KR2004/002141 WO2005020504A1 (en) 2003-08-26 2004-08-26 Method of proving service for telephone call recording and system thereof
JP2006524574A JP2007503754A (ja) 2003-08-26 2004-08-26 電話通話内容証明サービス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CA002545434A CA2545434A1 (en) 2003-08-26 2004-08-26 Method of proving service for telephone call recording and system thereof
AU2004302427A AU2004302427A1 (en) 2003-08-26 2004-08-26 Method of proving service for telephone call recording and syste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037 2003-08-26
KR1020030065929A KR100475666B1 (ko) 2003-08-26 2003-09-23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5666B1 true KR100475666B1 (ko) 2005-03-14

Family

ID=37387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929A KR100475666B1 (ko) 2003-08-26 2003-09-23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56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896B1 (ko) 2005-10-27 2007-04-09 엘지엔시스(주) 통신 네트워크에서 실시간 정보 저장 장치 및 그 방법
CN111402896A (zh) * 2019-01-02 2020-07-10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语音验证的方法及网络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896B1 (ko) 2005-10-27 2007-04-09 엘지엔시스(주) 통신 네트워크에서 실시간 정보 저장 장치 및 그 방법
CN111402896A (zh) * 2019-01-02 2020-07-10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语音验证的方法及网络设备
CN111402896B (zh) * 2019-01-02 2023-09-19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语音验证的方法及网络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96611B1 (en) Method and system for notifying a changed telephone number
TW508929B (en) User authentication, user authenticat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US20090022301A1 (en) Mobile services
EP1956541A1 (en) Combined payment and communication service method and system
US20110007887A1 (en) Contextual phone number validation
CN101309143A (zh) 一种移动终端间互访共享数据的方法及系统
US1108241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s channel authentication
RU2439702C2 (ru) Способ осуществления транзакции между двумя серверами с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й проверкой достоверности посредством двух мобильных телефонов
JP4552797B2 (ja) 電話番号の登録・認証システム,方法,認証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960114B1 (ko) 통합 인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946410B1 (ko) 타인의 동의에 의한 휴대폰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81184A (ko) 전화통화내용녹음시스템
KR100475666B1 (ko)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69095B1 (ko) 통화내용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EP1661300A1 (en) Method of proving service for telephone call recording and system thereof
KR20000049679A (ko) 인터넷을 이용한 메시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56045A (ko) 은행 계좌 내용 변경 통보 방법
KR20090061432A (ko) 인증서를 이용한 발신정보 표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21848B1 (ko)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KR101924834B1 (ko) 통화기반의 점유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00025859A (ko)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서 친구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장치
JP2004318442A (ja) 認証支援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20010095858A (ko) 모바일 인터넷 대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09196A (ko) 문자 메시지 전용번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JP2007188278A (ja) 電子ファイル受渡プログラム、電子ファイル受渡システム及び計算機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