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4975B1 - Nc테이블용 클램핑장치 - Google Patents

Nc테이블용 클램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975B1
KR100474975B1 KR10-2002-0058882A KR20020058882A KR100474975B1 KR 100474975 B1 KR100474975 B1 KR 100474975B1 KR 20020058882 A KR20020058882 A KR 20020058882A KR 100474975 B1 KR100474975 B1 KR 100474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piston
contact
pad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8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7126A (ko
Inventor
정경효
Original Assignee
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8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975B1/ko
Publication of KR20040027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9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6/00Equipment for precise positioning of tool or work into particular lo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16/02Indexing equipment
    • B23Q16/08Indexing equipment having means for clamping the relatively movable parts together in the indexed position
    • B23Q16/10Rotary inde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C테이블용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팔레트를 클램핑하는 NC테이블을 구비한 공작기계에 있어서, 팔레트(10)의 하부면과 풀스터드 볼트(22)에 의해 체결된 몸체부와; 몸체부에 형성된 유압라인에 연통되어 승,하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스톤(26)과; 몸체부의 각기 직각된 인접 위치에 형성된 접촉단부(31) (33)와; 피스톤(26)의 행정(stroke)에 대응하여 접촉단부(31)(33)와 밀착 또는 이격되어 팔레트(10)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도록 팔레트(10)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 개의 패드(24)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팔레트의 각 모서리 4곳과 2면을 구속함으로써 종래기술에 의해 발생되는 공작물의 이탈이나 팔레트의 진동에 의해 야기되던 문제점을 극복하여 공작물을 정밀가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NC테이블용 클램핑장치 {CLAMPING APPARATUS FOR NC TABLE}
본 발명은 NC테이블용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팔레트를 0.001°정도의 이송 정밀로 회전시키는 NC테이블에 있어서, 공작물의 가공시 전단력이나 기타 가공력에 의해 야기되던 팔레트의 진동, 공작물의 미끄러짐 내지 이탈을 방지하도록 팔레트를 강력하게 클랭핑할 수 있는 NC테이블용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NC 공작기계는 기계에 동작을 명령하는 계산기 명령기구와 이러한 명령을 검출하는 및 목표값과 검출값을 비교하여 목표값과 다를 경우에는 그것에 따라서 정정동작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기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공작기계는 공작도면으로부터 공작물의 모양·치수, 가공조건으로서의 가공순서·절삭속도 및 절삭공구의 종류나 크기 등을 특수한 숫자로 된 기호로 번역하고, 이 기호를 근본으로 하여 제공된 천공 테이프 또는 자기테이프에 의해 공작물을 가공한다.
이러한 NC공작기계는 모방절삭 등을 할 때 형판(型板)의 제작이 필요없고, 하나의 작업에서 다른 작업으로 바꾸는 경우에도 테이프만 갈아넣으면 되기 때문에 대량생산뿐만 아니라 소량생산에도 적합한 장점이 있다.
현재의 NC공작기계는 기술 발전에 의하여 팔레트를 0.001°정도로 회전시키면서 공작물을 가공할 수 있는 NC테이블이 개발되어 정밀 가공을 구현할 수 있는 반면, 이러한 NC테이블은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구조적 문제점으로 인해 팔레트(2)에 탑재된 공작물이 이탈되거나 가공력에 의해 팔레트(2)가 진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의한 NC테이블은 유압에 의해 피스톤(4)이 하강되면, "ㄷ"자 형상으로 피스톤(4)에 의해 구속된 팔레트(2)의 하단부가 하강되는 피스톤(4)의 외주부에 밀착되어 팔레트(2)를 클램핑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NC테이블은 피스톤(4)에 의한 팔레트(2)의 클램핑력이 중앙 1곳에 집중되기 때문에 공작물의 절삭, 밀링 등의 가공시 공작물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팔레트(2)의 가장자리 부분에 진동이 발생되어 공작물을 정밀가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구성은 팔레트(2)와 공작물이 면접촉되기 때문에 공작물에 가해지는 전단력에 의해 공작물이 팔레트(2)의 접촉 상부면으로부터 미끄러지거나(Slip) 최악의 경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작물의 가공시 전단력이나 기타 가공력에 의해 팔레트의 가장자리부에 진동이 발생되거나 공작물의 미끄러짐 내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강력한 팔레트 클램핑력을 제공하는, NC 테이블용 클램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작물 가공시 팔레트를 강력하게 클램핑함으로써 공작물의 정밀 가공을 구현할 수 있는, NC테이블용 클램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팔레트를 클램핑하는 NC테이블을 구비한 공작기계에 있어서, 팔레트의 하부면과 풀스터드 볼트에 의해 체결된 몸체부와; 몸체부에 형성된 유압라인에 연통되어 승,하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스톤과; 몸체부의 각기 직각된 인접 위치에 형성된 접촉단부와; 피스톤의 행정(stroke)에 대응하여 접촉단부와 밀착 또는 이격되어 팔레트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도록 팔레트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 개의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C테이블용 클램핑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피스톤의 하강에 대응하여 패드가 접촉단부와 완충적으로 접촉되도록 풀스터드 볼트의 헤드부와 밀착되게 제공된 다수의 강구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강구체는 피스톤과 동일한 유압라인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성은 패드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접촉단부 상호간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간극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간극 조절수단은 패드를 관통하여 팔레트의 하부면에 일부가 체결된 볼트와, 팔레트의 하부면과 볼트 사이에 개재된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NC테이블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NC테이블용 클램핑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클램핑장치를 구비한 NC테이블은 기대(機臺)의 상부면에 가이드레일을 따라 Z방향(전진 또는 후퇴방향)으로 팔레트(10)를 이송시키는 테이블 전,후퇴 구동부(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테이블 전,후퇴 구동부(14)의 상부에는 팔레트(10)를 0.001°정도의 간격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테이블 회전구동부(12)가 제공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NC테이블용 클램핑장치는 도 2의 "A"부분으로써 팔레트(10) 하부면의 가장자리 4곳에 설치되어 공작물의 가공시 팔레트(10)를 강력하게 클랭핑하여 공작물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야기되던 종래의 팔레트의 진동이나 공작물의 미끄럼 또는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NC테이블용 클램핑장치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NC테이블용 클램핑장치는 팔레트(10)의 하부면과 몸체부가 풀스터드 볼트(22)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본 장치는 팔레트(10)의 하단부에 다수의 패드(2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패드(24)의 직각 모서리 부분에 각기 대응된 접촉단부(31)(33)가 몸체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장치는 전술된 풀스터드 볼트(22)와 연통되도록 몸체부에 형성된 유압라인과 연통된 피스톤(26)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 피스톤(26)은 유압에 대응하여 행정(stroke), 예컨대 승,하강됨으로써 팔레트(10)가 언클램핑 또는 클램핑된다.
따라서, 본 장치는 피스톤(26)의 행정에 대응하여 패드(24)의 직각된 모서리 부분이 각기 대응된 접촉단부(31)(33)와 순차적으로 밀착되어 팔레트(10)를 강력하게 클램핑할 수 있다. 먼저, 패드(24)는 수직 방향 접촉단부(31)와 접촉이 된 후, 천천히 수평 방향 접촉단부(33)와 밀착된다.
여기서, 수직 방향 접촉단부(31)의 형상은 수평 방향 접촉단부(33)에 대하여 둔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스톤(26)이 하강할수록 보다 강력하게 패드(24)와 접촉하게 되고 종국(終局)에는 패드(24)가 수평 방향 접촉단부(33)와 밀착되어 정지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성은 팔레트(10)가 본 장치에 의해 완충적으로 클램핑될 수 있도록 강구체(40)가 풀스터드 볼트(22)의 헤드부와 밀착되게 다수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강구체(40)는 전술된 피스톤(26)과 동일한 유압라인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장치는 유압에 의해 피스톤(26)이 하강하게 되면 다수의 강구체 (40)는 하방으로 천천히 위치이동하게 되어 전술된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언클램핑의 경우는 전술된 과정의 역순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은 패드(24)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접촉단부 상호간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간극 조절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간극 조절수단은 패드(24)를 관통하여 팔레트(10)의 하부면에 일부가 체결된 볼트(28)와, 팔레트(10)의 하부면과 볼트(28) 사이에 개재된 스페이서(29)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간극 조절수단은 목적하는 간극에 대응하여 볼트(28)를 풀면 간단하게 그 목적하는 바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의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팔레트의 각 모서리 4곳과 2면을 구속함으로써 종래기술에 의해 발생되는 팔레트 가장자리부의 진동, 공작물의 미끄럼짐 내지 이탈과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여 공작물을 정밀가공할 수 있는 이점(利點)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NC테이블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NC테이블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NC테이블용 클램핑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팔레트 12 : 테이블 회전구동부
14 : 테이블 전,후퇴구동부 22 : 풀스터드 볼트
24 : 패드 26 : 피스톤
28 : 볼트 29 : 스페이서(spacer)
31, 33 : 접촉단부 40 : 강구체(鋼球體)

Claims (3)

  1. 삭제
  2. (정정) 팔레트를 클램핑하는 NC테이블을 구비한 공작기계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10)의 하부면과 풀스터드 볼트(22)에 의해 체결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유압라인에 연통되어 승,하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스톤(26)과;
    상기 몸체부의 각기 직각된 인접 위치에 형성된 접촉단부(31)(33)와;
    상기 피스톤(26)의 행정(stroke)에 대응하여 상기 접촉단부(31)(33)와 밀착 또는 이격되어 상기 팔레트(10)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도록 상기 팔레트(10)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 개의 패드(24)와;
    상기 피스톤(25)의 하강에 대응하여 상기 패드(24)가 상기 접촉단부(31)(33)에 완충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풀스터드 볼트(22)의 헤드부와 밀착되게 제공된 다수의 강구체(3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C테이블용 클램핑장치.
  3. (정정)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24)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접촉단부(33) 상호간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패드(24)를 관통하여 상기 팔레트(10)의 하부면에 일부가 체결된 볼트(28)와, 상기 팔레트(10)의 하부면과 상기 볼트(28) 사이에 개재된 스페이서(29)를 갖는 간극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C테이블용 클램핑장치.
KR10-2002-0058882A 2002-09-27 2002-09-27 Nc테이블용 클램핑장치 KR100474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882A KR100474975B1 (ko) 2002-09-27 2002-09-27 Nc테이블용 클램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882A KR100474975B1 (ko) 2002-09-27 2002-09-27 Nc테이블용 클램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126A KR20040027126A (ko) 2004-04-01
KR100474975B1 true KR100474975B1 (ko) 2005-03-10

Family

ID=37329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882A KR100474975B1 (ko) 2002-09-27 2002-09-27 Nc테이블용 클램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497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241U (ja) * 1990-12-29 1993-04-06 株式会社牧野フライス製作所 パレツトクランプ装置
JPH07314270A (ja) * 1994-05-27 1995-12-05 Hitachi Seiki Co Ltd パレットのクランプ装置
JPH08155770A (ja) * 1994-11-30 1996-06-18 Enshu Ltd パレット等の着座装置
KR980008436A (ko) * 1996-07-25 1998-04-30 김재복 공작기계용 플레이트 클램프의 위치결정 테이블 구조
JPH11333649A (ja) * 1998-05-21 1999-12-07 Hitachi Seiki Co Ltd 工作機械のパレットのクランプ・アンクランプ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241U (ja) * 1990-12-29 1993-04-06 株式会社牧野フライス製作所 パレツトクランプ装置
JPH07314270A (ja) * 1994-05-27 1995-12-05 Hitachi Seiki Co Ltd パレットのクランプ装置
JPH08155770A (ja) * 1994-11-30 1996-06-18 Enshu Ltd パレット等の着座装置
KR980008436A (ko) * 1996-07-25 1998-04-30 김재복 공작기계용 플레이트 클램프의 위치결정 테이블 구조
JPH11333649A (ja) * 1998-05-21 1999-12-07 Hitachi Seiki Co Ltd 工作機械のパレットのクランプ・アンクラン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126A (ko) 200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4975B1 (ko) Nc테이블용 클램핑장치
KR101804746B1 (ko) 클린룸 바닥용 다공패널 면취 가공장치
JPH07237064A (ja) フレキシブル機械加工治具
JP3215572B2 (ja) プリント基板加工装置における加工位置移動時のスピンドルの上昇端設定装置
KR100464558B1 (ko) 절삭장치
CN106271735B (zh) 用于加工条形钣金件的手动式多面夹具及使用其的机床
KR20190018882A (ko) 라우팅 머신
US4343073A (en) Base support for transfer machines
JP2008126323A (ja) バイト加工方法及びバイト加工装置
CN108907788A (zh) 一种伸缩式水平夹具
KR102222777B1 (ko) 버티컬 터닝센터의 y축 이송장치
CN209903614U (zh) 一种氧化锆陶瓷圆形工件的数控加工夹具
KR102176716B1 (ko) 승하강식 하부클램프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
CN212947406U (zh) 一种夹具高度调整装置
CN217493546U (zh) 一种数控锪端面机床
KR20180001399U (ko) 조각기의 가공물 고정 장치
CN218255667U (zh) 一种生产三角尺的固定装置
CN219787576U (zh) 一种可以补偿刀具磨耗的数控机床上下料装置
CN108838426A (zh) 一种手机配件加工设备
CN203209985U (zh) 一种加工小型工件的数控机床
CN212010338U (zh) 吉他琴颈刨面弧度加工设备
KR100928287B1 (ko) 브이컷의 다방향 동시 작업이 가능한 조각기
CN215199704U (zh) 一种加工混凝土浇筑机械臂用支撑效果好的专用落地镗床
CN214135006U (zh) 一种用于固定数控雕铣机加工零件的夹具
CN213224368U (zh) 一种可升降双面钻孔机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