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4888B1 -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888B1
KR100474888B1 KR10-1998-0021139A KR19980021139A KR100474888B1 KR 100474888 B1 KR100474888 B1 KR 100474888B1 KR 19980021139 A KR19980021139 A KR 19980021139A KR 100474888 B1 KR100474888 B1 KR 100474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chine
arm
contact
piece
safety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1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1093A (ko
Inventor
방종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21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888B1/ko
Publication of KR20000001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8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안전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탁기 뚜껑의 변형에 대하여 그 성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전스위치 본래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세탁기 뚜껑과 연동하면서 회전운동하는 아암과, 상기 아암과 습동하는 캠과, 상기 캠과 연동하는 제 1 접편과, 상기 제 1 접편의 위치 변화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 2 접편이 구비되어 상기 제 1 접편과 제 2 접편의 접촉 여부에 따라 세탁기의 안전 여부를 감지하는 세탁기의 안전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캠 습동면이 일정구간까지는 아암의 위치가 이동할 수록 캠과의 습동에 따라 제 1 접편 및 제 2 접편의 접점압력이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도록 직선형상으로 구성하고, 그 이외의 구간은 상기 아암의 위치가 그 이상이 되더라도 제 1 접편과 제 2 접편의 접점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곡선형상으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본 발명은 세탁기의 안전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탁기 뚜껑이 변형되더라도 성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전스위치 본래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세탁기의 안전스위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의 톱커버(1)에 고정된 구조로, 세탁기의 뚜껑(2)과 연결되어 상기 뚜껑(2)의 동작에 따라 연동하여 동작하게 되며, 스프링(3)은 세탁기 뚜껑(2)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그 일단은 뚜껑(2)과 연결되고 타단은 톱커버(1)에 고정되며 상기 뚜껑(2)의 동작시 항상 연동되어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도 2 는 종래의 세탁기에 사용되는 안전스위치(4)를 나타낸 것으로서, 세탁기 뚜껑(2)에 연결되어 상기 뚜껑(2)과 연동 및 원운동을 하는 아암(41)과, 상기 아암(41)을 지지하는 베이스(42)와, 세탁조(5)의 불균형 운동에 따라 이동하는 레버(43)와, 상기 아암(41) 및 레버(43)와 습동하면서 제 1 접편(45)을 상부방향으로 밀어주어 제 1 접편(45)과 제 2 접편(46)이 접촉되도록 하는 캠(44)과, 상기 제 1 접편(45)과 제 2 접편(46)의 접촉점인 제 1 접점(47) 및 제 2 접점(48)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세탁기의 뚜껑(2)이 서서히 닫히면 상기 뚜껑(2)에 연결된 아암(41)도 뚜껑(2)의 운동에 따라 서서히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아암(41)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캠(44)이 아암(41)과 습동하면서 제 1 접편(45)을 상부 방향으로 밀어 올려 제 1 접편(45)에 형성된 제 1 접점(47)과 제 2 접편(46)에 형성된 제 2 접점(48)을 접촉시키게 된다.
이후, 세탁기 뚜껑(2)이 완전히 닫히면 제 1 접점(47)과 제 2 접점(48)이 완전히 접촉된 상태가 되어 제 1 접편(45)과 제 2 접편(46)이 통전되면서 세탁기 뚜껑(2)이 완전히 닫힌 것으로 인식하게 되며, 상기 세탁기 뚜껑(2)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탈수가 진행된다.
만일, 세탁조(5) 내에서 세탁물의 수평상태가 고르지 못할 경우에는 탈수 중 세탁조(5)에 과도한 진동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세탁조(5)의 변위량이 증가하여 레버(43)를 세탁기의 후면 방향으로 밀게 되며, 상기 레버(43)가 일정수준 이상으로 밀리게 되면 상기 레버(43)의 이동에 따라 캠(44)이 레버(43)와 습동하면서 서서히 아래방향으로 복귀하여 제 1 접점(47)과 제 2 접점(48)을 이탈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접편(45)과 제 2 접편(46)이 이탈되어 세탁기의 이상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세탁기는 뚜껑이 닫힌 상태가 대부분으로 세탁기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뚜껑이 외부환경 및 스프링 등의 영향을 받아 주로 윗방향으로의 변형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안전스위치의 접점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고, 각 접편의 변형도 발생되므로 안전스위치의 동작이 둔감해지게 되었다.
즉, 이런 상태가 되면 세탁기 탈수중 큰 진동에 의해서만 안전스위치가 동작되어 세탁기의 탈수 소음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아암의 캠 습동면이 안전스위치가 그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정도의 최소한의 접점압력을 갖는 위치까지는 아암의 위치가 이동할수록 캠과의 습동에 따라 제 1 접편 및 제 2 접편의 접점압력이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도록 직선형상으로 구성하고, 그 이외의 구간은 상기 아암의 위치가 그 이상이 되더라도 제 1 접편과 제 2 접편의 접점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곡선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안전스위치가 세탁기 뚜껑이 변형되더라도 그 성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전스위치 본래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안전스위치(4) 구성도로서, 종래와 마찬가지로 세탁기 뚜껑(2)에 연결되어 상기 뚜껑(2)과 연동 및 원운동을 하는 아암(41)과, 상기 아암(41)을 지지하는 베이스(42)와, 세탁조(5)의 불균형 운동에 따라 이동하는 레버(43)와, 상기 아암(41) 및 레버(43)와 습동하면서 제 1 접편(45)을 상부방향으로 밀어주어 제 1 접편(45)과 제 2 접편(46)이 접촉되도록 하는 캠(44)과, 상기 제 1 접편(45)과 제 2 접편(46)의 접촉점인 제 1 접점(47) 및 제 2 접점(48)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도 4 와 같이 상기 아암(41)의 캠 습동면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상기 아암의 캠 습동면이 안전스위치(4)가 그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정도의 최소한의 접점압력을 갖는 위치까지는 아암(41)의 위치가 이동할수록 캠(44)과의 습동에 따라 제 1 접편(45) 및 제 2 접편(46)의 접점압력이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도록 직선구간(41a)으로 구성하고, 그 이외의 구간은 상기 아암(41)의 위치가 그 이상이 되더라도 제 1 접편(45)과 제 2 접편(46)의 접점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곡선구간(41b)으로 구성한 점에서 종래 기술과 구별된다.
이때, 상기 아암(41)은 회전운동하므로 캠 습동면의 곡선구간(41b)은 볼록형상으로 구성하여 캠(44)의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세탁기 뚜껑(2)이 닫히게 되면 뚜껑(2)에 연결된 아암(41)이 상부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캠(44)이 아암(41)의 캠 습동면을 따라 이동하여 제 1 접편(45)과 제 2 접편(46)을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접편(45)과 제 2 접편(46)이 통전되면서 세탁기 뚜껑(2)이 닫힌 것으로 인식하게 되고, 탈수시 불균형 질량에 의해 세탁조(5)가 진동을 하게 되면 이와 접해있는 레버(43)가 바깥방향으로 밀리면서 캠(44)을 하부방향으로 복귀시키게 되므로 제 1 접편(45)과 제 2 접편(46)이 이탈되어 세탁기의 이상상태를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은 종래 구조의 세탁기 안전스위치의 동작과 동일하나, 세탁기 뚜껑(2)의 변형에 대하여는 본 발명에 의해 그 성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전스위치(4) 본래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도 5 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세탁기의 경우 뚜껑이 닫힌 상태가 대부분으로 세탁기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세탁기 뚜껑(2)이 외부환경 또는 스프링(3) 등의 영향으로 상부방향으로 변형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나, 이에 대하여 아암(41)의 캠 습동면 형상을 안전스위치의 특성상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수준의 접점압력이 필요한 시점까지는 직선구간(41a)으로 구성하게 되어 아암(41)이 이동할수록 제 1 접편(45)과 제 2 접편(46)의 접점압력이 안전스위치(4)의 특성상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수준까지 증가된다.
따라서, 세탁기의 안전여부를 원활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그 이상의 구간은 볼록형상의 곡선구간(41b)으로 구성하게 되어 세탁기 뚜껑(2)이 상부방향으로 변형이 되어 안전스위치(4)의 아암(41)을 상부방향으로 밀게 되더라도 제 1 접편(45)과 제 2 접편(46)의 접점압력이 일정수준(안전스위치의 특성상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수준)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뚜껑(2)의 변형이 안전스위치의 성능변화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환경 또는 스프링 등의 영향으로 세탁기 뚜껑이 변형되더라도 현재의 구조에서 약간의 변형만으로도 안전스위치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세탁기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세탁기의 구조도로서,
(가)는 평면도.
(나)는 측단면도.
도 2 는 종래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구성도.
도 4 는 안전스위치의 아암부 상세도로서,
(가)는 종래.
(나)는 본 발명.
도 5 는 안전스위치의 아암 변위에 따른 접점압력 변화도로서,
(가)는 종래.
(나)는 본 발명.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 : 안전스위치 41 : 아암
41a : 직선구간 41b : 곡선구간
42 : 베이스 43 : 레버
44 : 캠 45 : 제 1 접편
46 : 제 2 접편 47 : 제 1 접점
48 : 제 2 접점

Claims (3)

  1. 세탁기 뚜껑과 연동하면서 회전운동하는 아암과, 상기 아암과 습동하는 캠과, 상기 캠과 연동하는 제 1 접편과, 상기 제 1 접편의 위치 변화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 2 접편이 구비되어 상기 제 1 접편과 제 2 접편의 접촉 여부에 따라 세탁기의 안전 여부를 감지하는 세탁기의 안전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캠 습동면이 일정구간까지는 아암의 위치가 이동할수록 캠과의 습동에 따라 제 1 접편 및 제 2 접편의 접점압력이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도록 직선형상으로 구성하고, 그 이외의 구간은 상기 아암의 위치가 그 이상이 되더라도 제 1 접편과 제 2 접편의 접점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곡선형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캠 습동면 중 곡선구간은 아암의 회전운동에 따라 캠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볼록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구간과 곡선구간의 변환점은 안전스위치 동작 영역내에서 최소 접점압력을 갖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KR10-1998-0021139A 1998-06-08 1998-06-08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KR100474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1139A KR100474888B1 (ko) 1998-06-08 1998-06-08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1139A KR100474888B1 (ko) 1998-06-08 1998-06-08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093A KR20000001093A (ko) 2000-01-15
KR100474888B1 true KR100474888B1 (ko) 2005-05-27

Family

ID=19538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1139A KR100474888B1 (ko) 1998-06-08 1998-06-08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48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6492A (ko) 2022-02-23 2023-08-30 백진기 저소음 양압 발생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4191A (ja) * 1992-10-06 1994-04-26 Hitachi Ltd 洗濯機の蓋スイッチ
KR950003827U (ko) * 1993-07-12 1995-02-17 성진전기 주식회사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JPH07124369A (ja) * 1993-11-08 1995-05-16 Hitachi Ltd 全自動洗濯機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4191A (ja) * 1992-10-06 1994-04-26 Hitachi Ltd 洗濯機の蓋スイッチ
KR950003827U (ko) * 1993-07-12 1995-02-17 성진전기 주식회사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JPH07124369A (ja) * 1993-11-08 1995-05-16 Hitachi Ltd 全自動洗濯機の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6492A (ko) 2022-02-23 2023-08-30 백진기 저소음 양압 발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093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42557B2 (ja) シフトレバ―の不安定位置検出装置
KR100474888B1 (ko)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EP0033869B1 (en) An electric quick-break switch with forced opening of the contacts
KR20120073570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H0755278B2 (ja) 洗濯機の蓋スイツチ
KR910006230Y1 (ko) 스위치의 접점단속 방지구조
JPH09313777A (ja) 全自動洗濯機のアンバランス検出スイッチ
KR950003546A (ko) 세탁기덮개의 개폐 감지장치
US5440086A (en) Unbalance switch mechanism
KR200211008Y1 (ko) 전방향에서의 한계감지가 용이한 리미트 스위치
WO1999031308A3 (de) Fadenliefergerät
KR960006907B1 (ko) 세탁기의 도어 안전스위치 취부구조
KR200150983Y1 (ko) 세탁기용 안전스위치의 온/오프 장치
JPS6070324A (ja) 圧力センサ
KR19990005313U (ko) 세탁기의 탈수동작스위치
JPS6345278Y2 (ko)
KR970004887Y1 (ko) 스위치장치
KR101015867B1 (ko) 세탁기용 탈수도어의 개방각도 조절구조
KR920002330Y1 (ko) 전자제품의 스위치 장치
KR101010685B1 (ko) 조작 버튼
JPH10263274A (ja) 全自動洗濯機のアンバランス検出装置
KR19990012992U (ko)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KR100584946B1 (ko) 레버 스위치 장치
KR0129631Y1 (ko) 세탁기의 이상진동감지장치
KR0112852Y1 (ko) 전자동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