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4829B1 - 캐소드스트랩가공방법 - Google Patents

캐소드스트랩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829B1
KR100474829B1 KR1019970065777A KR19970065777A KR100474829B1 KR 100474829 B1 KR100474829 B1 KR 100474829B1 KR 1019970065777 A KR1019970065777 A KR 1019970065777A KR 19970065777 A KR19970065777 A KR 19970065777A KR 100474829 B1 KR100474829 B1 KR 100474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ode
strap
cathode strap
bur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5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3957A (ko
Inventor
정영태
김도훈
Original Assignee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65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829B1/ko
Publication of KR19990043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3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8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28Mounting or supporting arrangements for flat panel cathode ray tubes, e.g. spacers particularly relating to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운관의 캐소드를 지지하는 캐소드 스트랩의 신규한 가공방법을 개시한다.
캐소드 스트랩 전단 분리시 버어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전단부위 외측에 인입홈을 먼저 성형한 뒤 전단하도록 하여 과도한 밀림이 없이 전단이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버어를 방지하여 고품질의 전자총을 구현한다.

Description

캐소드 스트랩 가공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 cathode strap}
본 발명은 브라운관 제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소드 스트랩(cathode strap)을 가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서, 캐소드스트랩(P)은 캐소드의 슬리이브(sleeve: S)를 비이드글래스(bead glass;B)에 매립지지하고 있는 바, 도시된 구성은 인라인(in-line)형 칼라브라운관에 대한 것이므로 세 전자총의 슬리이브(S)가 두 W형 및 한 Ω형 캐소드 스트랩(P)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여기서 캐소드스트랩(P)의 성형형태나 마무리 상태는 실제적으로 세 전자총의 정렬상태를 결정하므로 캐소드 스트랩(P)의 가공이 고품질 브라운관의 구현에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캐소드 스트랩(P)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금형상에서 순차적으로 성형되어 최종적으로 전단(shearing)에 의해 스트랩(K)으로부터 분리(parting)됨으로써 완성된다.
도 3에는 그 분리과정을 도시한 바, 캐소드스트랩(P)은 도 3의 전후 방향으로 도립(倒立), 즉 M자 형태로 위치하여 그 중앙이 펀치(punch; 10)로 지지되고 있으며 그 양측에 다이(die; 20)가 위치하고 펀치(10)의 하부는 스트리퍼(stripper; 30)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도 3a의 상태에서 펀치(10)가 하강하면 도 3b와 같이 캐소드 스트랩(P)의 측단은 펀치(10)와 다이(20)사이에서 전단되는 바, 전단가공의 특성상 펀치(10) 진입방향의 반대로 버어(burr; X)가 형성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 버어(X)가 형성되는 방향이 도 1에서 볼 때 슬리이브(S)를 감싸는 위치가 되어 이와 같이 버어(X)가 발생된 캐소드 스트랩(P)으로 슬리이브(S)를 지지구성하면 전자총의 정합상태가 전혀 보장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버어가 발생되지 않아 슬리이브 지지에 적합한 캐소드 스트랩의 가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 방법은 캐소드 스트랩의 분리시 그 전단위치 외측에 먼저 인입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4a에서, 펀치(1)와의 사이에 캐소드 스트랩(P)을 전단 분리할 양측 다이(2)의 끝단부에는(3은 스트리퍼임) 각각 돌기(4)가 형성되어 있다.
도 4b와 같이 펀치(1)가 하강하면 먼저 재료의 하부가 다이(2)의 돌기(4)에 의해 인입홈(5)이 형성된다.
다음 펀치(1)가 더욱 하강하여 다이(2)를 교차되면 도 4c와 같이 캐소드 스트랩(P)은 전단분리된다.
이때 캐소드 스트랩(P)의 분리면은 버어(도 3b의 X)가 거의 없이 깨끗하게 분리된다. 그 이유는 도 3b에서 먼저 인입홈(5)이 형성되며 전단 절단될 부하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즉 버어(X)는 판재 두께가 크고 펀치(1) 및 다이(2)간의 클리어런스(clearance)가 클수록 더 많이 발생되는 바, 본 발명에서는 인입홈(4)이 먼저 형성되어 소성 변형이 진행될 최소 에너지 방향을 사전 결정함으로써 즉 무리없는 전단이 가능하여 버어(X)가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도 4에서 다이(2)의 돌기(4)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었으나, 도 5와 같이 펀치(1)와 다이(2)간의 클리어런스(g)에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4')의 구성도 가능하다.
어떠한 돌기(4,4')이건 결국 전단의 방향을 사전 결정함으로써 버어(X)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방법에 의하면 전단가공시 재료의 밀림이 거의 없이 즉각적인 전단이 이루어지므로 버어가 거의 발생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브라운관 구성시의 전자총 정렬상태도 향상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버어가 없이 캐소드 스트랩의 정확한 분리가 가능하여 본 발명은 브라운관의 전자총 품질향상에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캐소드의 지지상태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있어서 캐소드 스트랩의 분리단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종래 분리방법의 문제점을 보이는 분리금형의 단면도들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는 분리금형의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 구현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분리금형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 캐소드 스트랩(cathode strap)
1 : 펀치(punch)
2 : 다이(die)
3 : 스트리퍼(stripper)
4,4' : 돌기
5 : 인입홈

Claims (1)

  1. 음극선관의 전자총을 구성하는 캐소드 스트랩을 전단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스트램을 전단 분리하는 양측 다이의 끝단부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에 의해 캐소드 상기 스트랩의 전단위치 외측에 인입홈이 먼저 형성된 후 전단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소드 스트랩 가공방법.
KR1019970065777A 1997-11-30 1997-11-30 캐소드스트랩가공방법 KR100474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777A KR100474829B1 (ko) 1997-11-30 1997-11-30 캐소드스트랩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777A KR100474829B1 (ko) 1997-11-30 1997-11-30 캐소드스트랩가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3957A KR19990043957A (ko) 1999-06-25
KR100474829B1 true KR100474829B1 (ko) 2005-06-07

Family

ID=37302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5777A KR100474829B1 (ko) 1997-11-30 1997-11-30 캐소드스트랩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48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94489A3 (en) * 1999-10-22 2006-02-08 Hitachi, Ltd. Cathode ray tub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93052B1 (ko) * 2005-01-14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Mpls 멀티캐스트의 고속 재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8236A (en) * 1978-10-27 1980-07-03 Int Standard Electric Corp Method of mounting cathode support
JPH0660808A (ja) * 1992-08-03 1994-03-04 Toshiba Corp 電子銃構体の製造方法
KR960012271U (ko) * 1994-09-16 1996-04-17 오리온전기주식회사 캐소드 스트랩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8236A (en) * 1978-10-27 1980-07-03 Int Standard Electric Corp Method of mounting cathode support
JPH0660808A (ja) * 1992-08-03 1994-03-04 Toshiba Corp 電子銃構体の製造方法
KR960012271U (ko) * 1994-09-16 1996-04-17 오리온전기주식회사 캐소드 스트랩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3957A (ko) 199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9907A (en) Method of making a circuit board pin
KR100474829B1 (ko) 캐소드스트랩가공방법
US20020047528A1 (en) Cathode-ray tube and flat electrode of electronic gun and production method
AU5929798A (en) Resistance welding electrode and process for making
JPS6149778B2 (ko)
JPH05228568A (ja) アクスルケースのプレス成形法
US684297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metallic wire segment
KR910004753B1 (ko) 음극선관 전자총용 전극의 제조방법
JPH03155107A (ja) ラジアル異方性NdFeB系磁石の製造方法
CN1020829C (zh) 阴极射线管的电子枪组合件
JPH0635021B2 (ja) バ−リング加工方法
KR0166920B1 (ko) 전자총용 전극의 버링 제조방법
JPS6310856B2 (ko)
JP2000107832A (ja) 溶接用ノズルの製造方法
JPH08195266A (ja) 圧着又は圧縮端子の製造方法ならびに圧着又は圧縮端子
JPH0121583B2 (ko)
KR100201129B1 (ko) 전자총 전극부품의 제조방법
JP2004351436A (ja) 成形方法および成形型
EP1113480A2 (en) Electron gun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0224983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자빔 통과공 형성방법
KR960011926B1 (ko) 음극선관용 소켓제조방법
CN1020218C (zh) 阴极射线管电子枪电极的制造方法
KR100240482B1 (ko) 전자총의 통형전극 성형방법
KR100344585B1 (ko) 콘덴서 케이스 성형방법
KR100273849B1 (ko) 전자총의 통형전극 성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