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3444B1 - 고무재가 피복된 폐로울러의 고무재 탈피장치 - Google Patents

고무재가 피복된 폐로울러의 고무재 탈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3444B1
KR100473444B1 KR10-2002-0003266A KR20020003266A KR100473444B1 KR 100473444 B1 KR100473444 B1 KR 100473444B1 KR 20020003266 A KR20020003266 A KR 20020003266A KR 100473444 B1 KR100473444 B1 KR 100473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utting
rubber
rubber material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3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3371A (ko
Inventor
김경두
Original Assignee
김경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두 filed Critical 김경두
Priority to KR10-2002-0003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3444B1/ko
Publication of KR20020023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4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재가 피복된 폐로울러의 고무재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며 폐로울러의 외면에 피복된 고무재를 탈피하여 고무재는 연료로, 금속재는 자원소재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폐로울러를 고정하고 회전하는 폐로울러 고정부와 폐로울러의 외면에 폐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절단하는 이송커터부와 폐로울러의 원주면 고무재를 절삭하는 원주면 절삭부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폐로울러의 외면에 피복된 고무재를 길이방향으로 절개작업을 수행한 다음 폐로울러를 회전시켜 절삭날로 규격의 칩상태로 절삭하여 탈피하게 되므로 폐로울러에 고무재의 탈피작업을 고능률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하며 탈피된 고무재는 연료자원으로, 금속재는 철강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고무재가 피복된 폐로울러의 고무재 탈피장치 { The rubber casting device of deserted roller covered rubber }
본 발명은 고무재가 피복된 폐로울러의 고무재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며 폐로울러 외면에 피복된 고무재를 탈피하여 고무재는 연료로, 금속재는 철강 자원소재로 각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철소등지에서 금속판재등을 이송시키는 로울러에는 신축부여와 소음을 줄이고 마찰력을 높이기 위하여 금속재로 제조된 로울러의 외면부에는 일정두께의 고무재를 피복하여 구성하고, 또 염색공장등지에서는 직물원단에 텐션을 부여하기 위하여 금속재로 제조된 로울러의 외면에 일정두께의 고무재를 피복하여 구성하고, 기타 각종 부품이나 상품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시설이나 텐션을 부여하는 기능으로 고무재가 피복된 로울러가 각종 산업현장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고무재가 피복된 각종 로울러는 사용수명이 경료될 경우 폐로울러는 폐기하고 교체하게 된다.
이 때 폐기되는 로울러는 자원으로 재활용하기 위하여는 피복된 고무재를 금속재와 분리하게 되는데 분리하는 수단은 폐로울러를 소각로에서 피복된 고무재를 소각하고 잔존 금속재를 회수하거나 또는 선반기계등에서 고무재를 절삭 제거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전자의 소각수단은 소각과정에서 폐고무재에서 유독가스가 발생되어 대기오염의 주요요인이 되고, 금속재는 소각과정에서 탄화가 발생되어 순도가 떨어지고 있고, 후자의 절삭수단은 절삭과정에서 유독가스가 발생되어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게 되고 절삭된 폐고무재는 활용의 수단이 없어 산업폐기물로 잔존하게 되는 등의 요인으로 인해 고무재가 피복된 폐로울러는 산업폐기물로 분류되어 많은 양이 자원으로 재활용되지 못하고 방치되거나 매립으로 처리되고 있어 환경오염의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어 고무재가 피복된 폐로울러의 효과적인 처리방법에 학계와 산업계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용화된 처리방법이 알려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폐고무재의 경우 규격화하고, 이를 용기에 장입시켜 가온하여 건류 분해시킬때 용기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연료로 이용될 수 있는 점에 착안하여 경이 100mm이상인 폐로울러에 피복된 고무재를 건류 분해가 용이한 규격으로 탈피시키고 탈피된 고무재는 시멘트 제조공장 등지에서 연료자원으로, 고철류는 산업자원 소재로 재활용할 수 있는 고무재가 피복된 폐로울러의 고무재 탈피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도1은 전체 사시도 도2는 이송커터부와 폐로울러 승강부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3은 이송커터부의 커터날 뭉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본 발명은 도1과 같이 폐로울러의 축을 고정하는 폐로울러 고정부(1)와, 폐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절단하는 이송커터부(2), 폐로울러의 원주면을 절삭하는 원주면 절삭부(3)로 이루어지고, 폐로울러 고정부(1)는 본체(10)에 길이방향으로 한쌍의 베드(11)를 구비하고 베드(11) 위에는 고정척(12) 이 구비된 헤드(13)(13a)를 좌우에 배치하고 일측 헤드(13a)에는 이송실린더(14)(15)로 연결하여 구성하고, 이송커터부(2)는 베드(11) 사이에 도2와 같이 한쌍의 승강대(20)(20a)를 승강실린더(21)로 본체(10)에 설치하고 승강대(20)(20a) 내측의 레일(22)에 커팅날 뭉치(23)를 설치한 후부에는 도3과 같이 이송실린더(24)의 선단축(24a)과 연결하며 커팅날 뭉치(23)의 저부에는 승강실린더(25)로 연결 구성하고, 원주면 절삭(3)부는 본체(10) 후부의 베드(30)에서 좌우 이송되는 원주면 절삭대(31)를 설치하고 전후진되는 절삭날(32)을 절삭대(31)에 설치하여서 된 구성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40은 커터날을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철소, 염색공장등 각종산업현장에서 사용되어오다 노후되어 폐기되는 고무재가 피복된 폐로울러를 수거하여 본 발명의 고무재 탈피장치에서 피복된 고무재를 탈피하게 된다.
즉, 폐로울러의 길이에 따라 이송실린더(14)(15)를 이용하여 헤드(13a)를 베드(11)에서 이송시켜 폐로울러의 길이에 맞추고 폐로울러는 베드(11) 사이에 위치하는 한쌍의 승강대(20)(20a) 위에 얹어 승강실린더(21)를 이용하여 폐로울러의 중심축을 헤드(13)(13a)의 고정척(12)에 위치되도록 승강시킨다음 고정척(12)을 이용하여 폐로울러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폐로울러의 양측을 고정척(12)에 고정시킨 다음 승강대(20)(20a)를 내리고 승강실린더(25)로 커터날 뭉치(23)를 상승시켜 고무재 피복부위의 두께에 따라 커팅두께를 조정하고 커터날 뭉치 이송실린더(24)를 작동시키게 되면 커팅날 뭉치(23)는 승강대(20)(20a) 내측의 레일(22)를 타고 이송실린더(24)의 동작에 따라 왕복되면서 커터날(40)이 폐로울러의 피복된 고무재를 커팅하게 되고 커팅이 완료되면 헤드(13)(13a)의 고정척(12)을 일정각 회전시켜 커팅을 반복하게 되므로서 폐로울러의 원주면으로는 일정한 간격으로 커팅부를 형성하게 되고 이와 같은 커팅작업이 완료되면 승강실린더(25)를 하강시켜 커터날 뭉치(23)를 하강시키고, 이와 함께 헤드(13)(13a)의 고정척(12)을 회전시켜 본체(10) 후부의 베드(30)에 설치된 원주면 절삭대(31)의 절삭날(32)을 폐로울러의 고무재 피복부로 진입시키게 되면 폐로울러에 피복된 고무재는 일정한 규격으로 탈피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폐로울러의 원둘레 방향으로는 일정한 간격을 설정하고 폐로울러의 길이에 따라 커팅날 뭉치(23)의 이송거리를 설정하고, 폐로울러를 회전시키고 원주면을 절삭하는 절삭대(31)의 이송을 설정하는 통상의 전기회로장치를 본 발명에 설치하여 연속작업이 이루어지게 하면 본 발명의 고무재 탈피장치에 폐로울러를 장착하는 수단과 탈피가 완료된 폐로울러를 떼어내고 교체하는 작업만을 작업자가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폐로울러의 고무재 탈피작업은 자동화 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이고 탈피작업을 고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또 본 발명은 ㅍ폐로울러의 외경이 100mm에서 2000mm에 이르는 폐로울러의 경우에 피복물의 탈피가 용이하게 된다.
또 이와 같이 폐로울러에서 고무재를 탈피하게 되면 폐로울러의 금속류는 원료 자원소재로 탈피된 고무재는 규격의 칩 상태가 되므로 용기에서 가온하고 건류 분해시켜 발생되는 가스를 연료로 이용하는 시멘트 제조공장 등지의 연료로 사용하게 되므로 고무재가 피복된 폐로울러에서 고무재와 금속재를 효과적으로 분리시켜 각 소재를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산업폐기물인 고무재가 피복된 폐로울러에서 고무재와 금속재를 분리시키고 고무재는 연료로 이용 할 수 있는 규격의 칩상태로 탈피하는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금속재는 산업자원 소재로 재활용할 수 있게 하므로서 폐로울러의 고무재 소각 또는 매립으로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해소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서 이송커터부와 폐로울러 승강부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서 이송커터부의 커터날 뭉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폐로울러 고정부 2 : 이송커터부
3 : 원주면 절삭부 10 : 본체
11,30 : 베드 12 : 고정척
13,13a : 헤드 14,15 : 이송실린더
20,20a : 승강대 21 : 승강실린더
22 : 레일 23 : 커팅날 뭉치
24,25 : 이송실린더 24a : 축
31 : 절삭대 32 : 절삭날

Claims (1)

  1. 폐로울러의 축을 고정하는 고정부(1)와, 폐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절단하는 이송커터부(2), 폐로울러의 원주면을 절삭하는 원주면 절삭부(3)로 이루어지고, 폐로울러 고정부(1)는 본체(10)에 길이방향으로 한쌍의 베드(11)를 구비하고, 베드(11) 위에는 고정척(12)이 구비된 헤드(13)(13a)를 좌우에 배치하고 일측 헤드(13a)에는 이송실린더(14)(15)로 연결 구성하고, 이송커터부(2)는 베드(11) 사이에 한쌍의 승강대(20)(20a)를 승강실린더(21)로 본체(10)에 설치하고 승강대(20)(20a) 내측의 레일(22)에 커팅날 뭉치(23)를 설치한 후부에는 이송실린더(24)의 선단축(24a)과 연결하며 커팅날 뭉치(23)의 저부에는 승강실린더(25)로 연결 구성하고, 원주면 절삭부(3)는 본체(10) 후부의 베드(30)에서 좌우 이송되는 원주면 절삭대(31)를 설치하고 전후진되는 절삭날(32)을 절삭대(31)에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고무재가 피복된 폐로울러의 고무재 탈피장치
KR10-2002-0003266A 2002-01-21 2002-01-21 고무재가 피복된 폐로울러의 고무재 탈피장치 KR100473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266A KR100473444B1 (ko) 2002-01-21 2002-01-21 고무재가 피복된 폐로울러의 고무재 탈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266A KR100473444B1 (ko) 2002-01-21 2002-01-21 고무재가 피복된 폐로울러의 고무재 탈피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817U Division KR200273687Y1 (ko) 2002-01-21 2002-01-21 고무재가 피복된 폐로울러의 고무재 탈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371A KR20020023371A (ko) 2002-03-28
KR100473444B1 true KR100473444B1 (ko) 2005-03-08

Family

ID=19718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266A KR100473444B1 (ko) 2002-01-21 2002-01-21 고무재가 피복된 폐로울러의 고무재 탈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34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11918A (en) * 1981-06-23 1982-12-25 Tokyo Shibaura Electric Co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terminal of wire cable
JPS63287312A (ja) * 1987-05-20 1988-11-24 Asami Miyashita 電線の被覆剥取り方法
JPH0560122U (ja) * 1992-01-17 1993-08-06 日立電線株式会社 Cvケーブル接続部の切断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11918A (en) * 1981-06-23 1982-12-25 Tokyo Shibaura Electric Co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terminal of wire cable
JPS63287312A (ja) * 1987-05-20 1988-11-24 Asami Miyashita 電線の被覆剥取り方法
JPH0560122U (ja) * 1992-01-17 1993-08-06 日立電線株式会社 Cvケーブル接続部の切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371A (ko) 200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33465B2 (ja) 樹脂被覆鋼管の鋼管と被覆樹脂の分離回収方法
KR100473444B1 (ko) 고무재가 피복된 폐로울러의 고무재 탈피장치
US11478946B2 (en) Tire disruptor device
KR200273687Y1 (ko) 고무재가 피복된 폐로울러의 고무재 탈피장치
KR100555019B1 (ko) 폐전선 피복분리장치
KR20190078010A (ko) 정수기 필터 절단기
KR100362845B1 (ko) 건축용 폐금속타일의 알루미늄 박리 재생 장치
CN216099478U (zh) 一种具有自我防护功能的环式刨片机
JP4952999B2 (ja) ゴムクローラの切断装置
CN217942829U (zh) 一种连续多工位去毛刺设备
JP3301659B2 (ja) ゴムクローラ廃棄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945616B1 (ko) 폐피복관 탈피장치
CN217370957U (zh) 一种激光切管机三卡盘装置
KR20200134480A (ko) 정수필터 해체장치
KR200186296Y1 (ko) 건축용 폐금속타일의 알루미늄 박리장치
KR0127108B1 (ko) 수지피복강관에 있어 강관과 피복수지의 분리회수방법
CN213161658U (zh) 一种防静电pc板表面硬化处理装置
CN212095875U (zh) 绝缘板的研磨工装
KR200172782Y1 (ko) 폐사 가축 처리장치
JPH09300030A (ja) 板材処理システム
CN211543086U (zh) 一种全自动数控雕刻机
CN214184176U (zh) 一种去除钨合金表面附着氧化铝粉的装置
CN219946546U (zh) 一种立式滚轴裁板锯
CN210162764U (zh) 一种全自动机械手搬送装置
KR200329584Y1 (ko) 건축용 폐금속타일의 알루미늄 박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