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3428B1 - 자기 태그 및 이 자기 태그에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자기 태그 및 이 자기 태그에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3428B1
KR100473428B1 KR10-1999-7002659A KR19997002659A KR100473428B1 KR 100473428 B1 KR100473428 B1 KR 100473428B1 KR 19997002659 A KR19997002659 A KR 19997002659A KR 100473428 B1 KR100473428 B1 KR 100473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magnetic material
tag
length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2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8703A (ko
Inventor
마이클 데이비드 크로스필드
마크 잉글랜드
앤드류 니콜라스 데임즘
Original Assignee
플라잉 널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라잉 널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플라잉 널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00048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4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5/00Tags attached to, or associated with, an object, in order to enable detection of the obje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Hard Magnetic Materials (AREA)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Abstract

자기 마커 또는 태그는 (a) 고투자성, 저 보자력 및 비선형 B-H 특성에 의해 특징지워지는 제1 자기 재료, 및 (b) 영구적으로 자화될 수 있는 제 2 자기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자기 재료는 서로 포개지고 유리하게 실질적으로 상접한다. 상기 제2 자기 재료는 바람직하게 중간 보자력으로 이루어진다. 제2 자기 재료의 선택된 영역은 제1 자기 재료를 자기 불연속 구역으로 자기적으로 분할하도록 자화를 수행하며, 상기 자기 불연속 구역의 길이 및/또는 자화된 영역("갭")의 길이는 코드의 엘리먼트를 이룬다.

Description

자기 태그 및 이 자기 태그에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방법{MAGNETIC TAG AND A METHOD OF ENCODING DATA IN THE MAGNETIC TAG}
본 발명은 자기 태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데이터가 인코딩될 수 있는 태그에 관한 것이다(다만,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WO96/31790 및 WO97/04338의 특허 출원에는 교번 자계 및/또는 정적 자계를 사용하여 신호를 보낼 수 있는 원격 식별 태그(remote identification tags)가 개시되어 있다. 질의에 응답하여, 태그는 적절한 수신 장비에서 감지될 수 있는 자기 신호를 발한다. 이 같은 태그는 물품을 식별, 보안 및 억세스 제어(access control)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분야에 많이 사용된다.
WO96/31790에서 기술된 태그들 중에는, 고 투자율(high permeability), 저 보자력(low coercivity), 중간 보자력의 자기층으로 중첩된 스트립, 와이어 또는 박막 형태의 "연성" 자기 합금의 엘리먼트(element)를 포함하고 있다. 질의에 응답하여 고 투자율 엘리먼트에 의하여 생성되는 자기 신호 또는 "서명(signature)"은 중간 보자력의 "코딩(coding)" 층에 저장된 자화 패턴 및 고 투자율 엘리먼트의 특성에 의하여 결정된다.
실제적인 구현에 있어서, 태그 코딩은, 예컨대, 태그를 제조하는 동안, 영구 자석의 어레이를 사용하여 연속 코딩 층에 적절한 자기 패턴을 접촉, 또는 근접, 기록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동일한 코드를 갖는 많은 태그들을 생산하는데 특히 적합한 방법이다.
코드가 결코 변화할 필요가 없는 태그들을 제조하는데 적합한 다른 방법으로는, 고 투자율 재료의 적절한 위치에 코딩 재료의 적절히 자화된 피스(suitably-magnetised pieces of coding material)를 배치하는 방법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예컨대, 열전달 과정을 통하여 적절한 패턴으로 자화되지 아니한 중간 보자력의 재료 피스를 배치하고, 다음으로 전체의 구조물을 전체적으로 자화시키는 방법이 있다.
정보를 자기 테이프에 기록하는 공지된 유형의 자기 기록 헤드를 사용하는 매우 편리한 장비가 있다. 이러한 장비로, 균일한 비자화 코딩층으로 제조된 태그는 필요에 따라 각각 코딩된 패턴들을 갖는다. 이러한 것들은, 각 태그에 포함될 상세한 정보(승객의 이름 등)를 미리 알 수 없는, 항공 화물에 태그를 다는 등의 응용분야에서 특히 유용하게 사용된다.
WO97/04338에는 자기 마커 또는 태그(a magnetic marker or tag)가 개시되어 있으며, 자기 마커 또는 태그는 (a) 고 투자율, 저 보자력 및 비선형적인 B-H 특성을 갖는 제1 자기 재료, 및 (b) 불균일한 자계 패턴으로 자화된, 영구 자화될 수 있는 제2 자기 재료를 포함한다.US 5,643,686 (D1)은 자기 기록 매체를 식별하기 위한 고정된 영구 자기 패턴의 사용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각종의 위조 행위로부터 고도의 보안성을 얻을 수 있다. 자기 매체는 적어도 두 개의 자기층을 지지하는 비 자기 기판을 포함하며, 이 자기층 중 하나는 4000 에르스텟(oersted) 또는 그 이하의 보자력을 갖는 분산된 자기 입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층들에 기록된 재기록될 수 없는 고정된 신호를 갖는다. 이것은 분산된 입자들이 여전히 습한 상태에서 적층 재료를 제조하는 동안, 분산 입자들에 자기적으로 방향을 설정함으로써 달성된다. 자계의 방향 설정은, 층이 견고해져서 그에 따라 분산 입자들이 원하는 소거 불가한 자기 패턴을 얻게 될 때까지 계속된다.EP 0353040-A (D2)는 연성 자기 EAS (전자 물품 감시) 태그에 소위 "워터마크(watermark)"형 자기 재료를 인가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워터마크" 재료는 인접 영역내에서 위상이 90° 만큼 다른 교번 방향으로 방향 설정되는 자기 입자들을 포함한다. 초기 상태에서, "워터마크" 재료는 비록 제조하는 동안 구성되기는 하지만 자화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이는 EAS 태그의 연성 자기 재료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으며, 태그는 통상적인 a.c. 질문기(interrogation)(예를 들어, 상점의 검출 게이트에 흔히 사용되는)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태그 검출을 피하기 위해, 태그는 판매시에 영구 자석으로 지워진다. 이는 "워터마크" 층의 교번 영역들이 자화되도록 한다. 그러면, 이들 영역들은 연성 자기 재료의 인접 영역들을 자기적으로 클램핑하는 균일한 자기 바이어스를 발생시킴으로써, a.c. 검출 시스템에 의해 문의되었을 때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기에는 너무 작은 영역들로 재료를 자기적으로 분리하게 된다. 자화된 영역들 내에는 어떠한 자기 패턴도 없으며 균일하게 자화된다.
도 1은 4개의 활성 세그먼트로 자기적 분할된 45mm 스트립 태그에 기록된 패턴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활성 재료 세그먼트 단부의 개선된 한정을 갖는 실제 패턴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활성 세그먼트상의 감소된 자계 변화를 갖는 도 2의 패턴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자기 기록에 의해, (연성 자기 재료의 연속층으로 형성된)태그의 영역을 격리시키도록 태그의 부분에 기록 패턴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여 태그의 영역이 마치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처럼 영역들이 자기적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된 자기 태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격리 영역의 크기 및/또는 간격의 변화를 이용하여 이 같은 태그로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더 상세히 언급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a) 고 투자율, 저 보자력 및 비선형 B-H 특성을 가진 제1 자기 재료; 및 (b) 통상적인 자기 기록 기술에 의하여 영구적으로 자화될 수 있는 제2 자기 재료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자기 재료 및 제2 자기 재료가 서로 겹쳐져 있고, 상기 제2 자기 재료의 선택된 영역은 극성을 반복적으로 역전시키는 소거가능한 패턴 형태로 자화가 수행되도록 자화되며, 상기 자화에 의하여 상기 제1 자기 재료의 인접 영역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제1 자기 재료가 일련의 자기 불연속 구역으로 자기적으로 분할되며, 상기 자기 불연속 구역의 길이 및/또는 상기 자화된 영역("갭")의 길이가 코드 엘리먼트를 구성하는 자기 마커(marker) 또는 자기 태그가 제공된다.D1과 달리, 본 발명의 태그는 제2 자기 재료 영역의 자화를 요하는 코딩 방식을 채택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태그의 제조 동안 그러한 자화를 재료에 구현하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데, 이는 제조 비용이 너무 비싸져서 공정을 존속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D1에서와는 반대로, 본 발명의 태그에 사용된 제2 자기 재료는 종래의 자기 기록 기술에 의해 영구적으로 자화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는 종래의 자기 기록 매체가 된다. 그러므로, 상기 재료에 인가된 자기 패턴은 소거 가능하며, 이에 따라 D1의 기본적인 논의가 되는 재기록 불가능한 자기 보안 코드와는 거리가 멀다.유사하게, 본 발명의 태그는 그들 정렬이 90°위상차를 가지는 교번 영역내에 미리 형성된 자기 입자의 분포를 지니지 않는다는 점에서 D2와는 기본적으로 다르다. 이 같이 미리 형성된 방향 설정은 영구 자석을 사용하여 재료를 길이 방향으로 문지를 때 2진 응답(binary response)을 야기하며; 각 구역은 이러한 작용에 의해 자화되거나 또는 자화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이같은 매체를 사용하여 재료의 선택된 길이 전반에 대해 극성을 반복적으로 역전시키는 소거 가능한 패턴을 구현하기는 불가능하다.D1 및 D2가 보안성 향상을 지향하는 특징이 예상되는 반면에, 본 발명은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자기적으로 코딩될 수 있는 태그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 두개의 자기 재료는 실질적으로 상접한다. 이같은 태그는 제2 자기 재료의 선택된 영역을 자화시킴으로써 정보로 인코딩될 수 있으며; 자화된 영역은 자화된 영역과 접촉하는 제1 자기 재료의 특성을 없애며, 이에 의해 물리적인 의미로 상기 재료가 연속되더라도 연성의 (제1) 자기 재료를 자기적으로 분리된 일련의 구역으로 효과적으로 분리하게 된다. 편의상, 제2 자기 재료의 자화된 영역이 자화된 영역과 접촉하는 제1 자기 재료내에서 합성 자기 갭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2 자기 재료의 자화된 영역은 본 명세서에서 "갭"으로 지칭된다.
바람직하게, 제2 자기 재료는 중간 보자력의 재료이다.
아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자화의 바람직한 기본 성질은 갭의 물리적인 크기에 의존한다.
코드 엘리먼트를 구성하는 상기 제1 자기 재료의 자기 불연속 구역("활성 영역") 및 상기 제2 자기 재료의 자화된 영역("갭")의 길이는, 본 발명에서 태그내에 코딩된 정보를 발생시키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자기 코돈(magnetic codon)"으로 생각될 수 있다. 적합한 암호화 키가 정보를 기록 및/또는 판독하기 위하여 요구되며; 이것은 가능한 한 간단하며 임의의 경우에 종래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간단한 암호화 시스템이 본 명세서에서 예로서 설명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자기 재료내의 자기 불연속 구역("활성 영역")의 길이는 일정한 반면에, 제2 자기 재료의 자화된 영역("갭")의 길이는 데이터 인코딩을 제공하기 위하여 변화된다. 원한다면, 예컨대 활성 영역에 대하여 다른 길이를 사용하고, 뿐만 아니라/또는 그 대신 갭에 대해 상이한 길이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다른 정렬 방식이 채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간 보자력의 자기 재료로 이루어진 층으로 중첩된 연성의 자기 재료 층으로 이루어진 태그 상에 자기적으로 기록된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대체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다수의 재료들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연성 자기 재료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재료는 상표명 "아틀란테(Atalante)"로 벨기에의 IST에 의해 공급되는 박막 재료이다. 이는 PET 이판(backing) 상에 지지되는 대략 1㎛의 두께를 가진 스퍼터링된 아모르퍼스 합금(amorphous alloy)이다. 박막은 전형적으로 105의 고유 투자율과 수 A/m의 낮은 주파수 보자력을 가진다.
적합한 코딩 재료- 즉, 제2 자기 재료로 사용하기 위한 재료 -는 미세하게 분할된 강자성 산화물이다. 그리고, 강자성 산화물은 100 내지 6000에르스텟 범위의 보자력을 가진다. 적합한 재료는 많은 공급자들, 예를 들면 바스프(독일), 쿠르츠(독일) 및 TDK(일본)로부터 구입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자기 기록 매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WO96/31790에 개시된 플라잉 널 판독기(Flying Null reader)에 의한 판독이 가능한 다중-비트 태그(라벨)의 가장 간단한 포맷은 자기 재료로 구성되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부품의 어레이로 구성되고, 정보는 금속 엘리먼트의 크기 및/또는 이들 사이의 갭에 의해 인코딩된다.
이러한 설계에서, 신뢰성있게 검출할 수 있는 엘리먼트의 최소 길이는 판독기의 세부사항, 자기 재료의 고유 특성 및 엘리먼트의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면, 아틀란테 박막으로부터 제조되는 간단한 라벨에 대해, GB9506909.2에 개시된 형태의 제2 고조파 검출기에서 검출하기 위한 임계 길이 3㎜ 폭을 가진 재료는 일반적으로 5㎜ 내외이다. 이러한 크기의 1/2 길이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출력을 발생시킨다. 이는 엘리먼트의 형상 요인으로부터 발생되고, 재료의 비고유 투자율을 무한 길이의 엘리먼트에 대해 대략 105으로부터 5㎜ 길이에 대해 5000 내외로, 및 2.5㎜에 대해 2500 이하로 감소시킨다.
박막의 연속층으로부터 형성된 라벨에 대해, 검출을 요하는 재료가 있는 영역 사이의 공간이 자기적으로 불활성인 것으로 판독기에 나타날 필요가 있다. 이는 이러한 영역 위에 놓이는 기록층을 적절하게 자화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만일 영역이 짧다면, 즉 활성 영역을 위한 최소 길이의 1/2보다 작다면, 활성 영역이 실질적으로 불활성화되도록 영역 전체에 간단하고 균일한 자화를 제공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러한 자화는 영역의 선단부가 바로 인접한 활성 영역의 말단부와 같은 공간점에서 판독 시스템의 널(null)에 의한 질문에 응답하는 것을 방지한다. 게다가, 널이 미리-자화된 영역 상부의 순 자계(net fields)가 0인 지점으로 이동할 때, 영역의 길이는 발생된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활성 영역에 대해 최소 길이와 거의 비슷하거나 또는 더 큰 영역에 대해, 간단한 균일 자화는 일반적으로 만족스러운 것이 아니다. 이는 자화된 영역이 판독기의 널이 상기 영역 상의 네트 자계가 0인 지점에 위치할 때 활성이 될 것이고, 이 지점에서 상기 영역이 활성 영역으로부터의 신호와 겹치며, 의도된 신호를 변조시킬 수 있는 신호를 발생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보편적으로 적합하게 기록된 패턴은 간단한 반복 시퀀스인데, 이 시퀀스는 일반적으로 패턴의 N극과 S극이 기껏해야 연성 자기 재료를 위한 최소 활성 길이의 절반만큼 분리되도록 공간 주파수를 가지며 극성이 역전된다. 이것은 패턴에 의해 중첩된 재료의 영역이 재료의 영역의 낮은 유효 투자율에 의해 중요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없는 길이로 자기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보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되고 중간 보자력 기록층으로 중첩된 아틀란테 필름의 3mm 폭의 스트립을 이용하는 라벨에 대해, 활성 세그먼트의 최소 길이는 전형적으로 5mm이다. 임의 길이의 불활성 영역을 표현하기 위해 기록된 패턴의 공간 파장은 5mm 보다 작은, 바람직하게는 2.5mm보다 작을 것을 필요로 한다.
바큠슈메르츠형(Vacuumschmeltze type) 6025 아모르퍼스 스트립(amorphous strip) 1mm 폭 및 15㎛ 두께로 제조된 라벨에 대해 PCT/GB96/00823에 설명된 바와 같은 판독기의 최소 유효 활성 엘리먼트 길이는 약 10mm이고, 하부에 놓이는 영역으로부터 신호의 양호한 감쇠를 위해, 기록된 패턴의 공간 파장은 10mm 보다 작은, 바람직하게는 5mm보다 작을 것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자화 패턴은 폭이 좁은 영구 자석의 근접하게 이격된 어레이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기술은 상기한 바와 같은 임계 치수 보다 더욱 근접하게 이격되고 폭이 좁은 세그먼트에 기록층을 증착하고 나서 불활성이 되는데 필요한 태그의 영역에서 세그먼트를 균일하게 자화시키는 것이다. 또 다른 대안 기술은 정보를 자기 테이프에 기록하는데 널리 이용되는 종래의 접촉식 자기 기록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수 ㎛의 공간 분해능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고, 따라서 이러한 헤드를 이용하여 기록된 신호의 위상을 조절함으로써 불활성 세그먼트 상에서 단부 상태를 뚜렷이 한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것은 블록의 정밀한 공간 끝점을 한정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예로서 사인파형 바이어스 패턴은 사인 곡선의 제로 위상보다는 90° 위상 포인트에서 시작 및 종료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불활성될 것으로 의도되는 세그먼트의 시작 및 종료에서 자계의 매우 급격한 상승을 나타낸다. 또한, 자화된 영역의 단부로부터 자계에 의해 야기된 활성 영역 상의 나머지 바이어스가 한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까지 균등한 극성 또는 반대 극성 중 하나로 되는 패턴을 프로그래밍하는 것도 간단하다.
멀티-비트 데이터 태그(multi-bit data tag)의 불활성 영역에 대한 적절한 패턴의 예는 아래의 도면에 나타나 있다. 모든 경우에 패턴은 각각의 단부에 "가드 밴드(guard bands)"를 포함한다. 이들 불활성 영역은 태그 구조에서의 활성 영역이 모두 마찬가지의 국부 자기 환경에 있으며, 판독기 시스템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은 세그먼트 길이의 일관성을 개선시킨다.
멀티-비트 플라잉 널 태그(multi-bit flying null tags)를 위한 대표적 코딩 체계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태그는 여러 방법을 이용하여 정보로 인코딩될 수 있다. 가장 단순한 방법 중 하나는 본 발명의 초기 응용 중의 하나에 설명되어 있다. 이것은 디지털 "1"을 나타내도록 활성 영역의 존재를 이용하고 디지털 "0"을 나타내도록 불활성 영역의 존재를 이용하며, 상기 영역 사이의 간격도 태그를 따라 일정하다. 불활성 영역은 정의에 의해 태그 판독기에 의해 검출되지 않으므로 데이터가 시작 및 종료되었을 때 판독기에 지시하기 위해, 태그의 양 단부에 활성 영역을 추가하는 것이 또한 필요하다. 이것은 2진법 표현을 이용한 문자 저장을 가능하게 한다. 예로서, 십진수 "6"은 11101에 의해 표현될 수 있는데, 110은 6의 2진법 표현이며, 첫번째와 마지막 "1"은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표시한다. 이런 방법은 적용하기에 매우 간단하고, 특히 작은 비트 데이터 용량만을 가지는 태그에 특히 적당하다. 그러나 보다 큰 데이터 용량 태그에서는 상기 방법이 바람직하지 않다. 왜냐하면, 데이터 워드가 보다 길어짐에 따라, 코드가 긴 길이의 연속적인 "0"을 포함할 수 있다는 특별한 단점이 있고, 이것은 디코딩시 문제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이들 문제점은 태그의 끝이 도달되는 때의 결정과, 판독기에 대하여 움직임을 가지는 태그 속도에 있어서의 변화로 유발된 신호 폭 변화의 수용에 있어서의 결정을 포함한다.
큰 용량의 태그를 위한 로버스트 코딩(Robust coding) 방법은 긴 길이의 연속적인 "0"을 생성하지 않고 본래 내장된 태그 속도 정보를 가진다는 것이다. 또한, 이것은 만약 주어진 데이터 용량의 태그가 모두 동일한 물리적 길이라면 실행시 매우 편리하다.
이들 기준 모두에 부합될 수 있는 코딩 방법이 가능한 일반적인 방법은, 고정된 길이 활성 영역들 사이의 불활성 영역(갭)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정보를 코딩하는 것을 바탕으로 한다.
상기 코딩 방법의 실제적인 일실시예가 하기에 기술될 것이다. 이런 방법에서 문자 블록은 4개의 활성 영역 및 3개의 불활성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활성 영역은 모두 일정한 길이이고, 제1 및 최종 영역이 위치 고정된다. 중간의 두 개의 활성 영역의 위치는 가변적이고, 블록의 총 물리적 길이를 일정하게 하는 제한을 가지고 4개의 가능한 길이 중 하나를 블록의 3개의 불활성 영역 각각에 할당하는 방법에 의해 한정된다. 갭 크기의 통상적인 세팅은 문자를 정의하는 3개의 갭의 합이 12.5 ㎜가 되도록 하는 제한을 가지고 5 ㎜의 활성 영역을 이용하여 1.5, 3.5, 5.5 및 7.5 ㎜이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문자에 연관될 수 있는 12개의 가능한 변화를 제공한다.
역방향으로 판독할 때 문자 0-4는 문자 5-9에 대응하는 한편, * 및 # 기호는 회문(palindromes)이다. 이런 코딩 방법을 사용하여, 태그의 판독 방향은 시작 또는 정지 문자로서 * 또는 #을 사용함으로써 편의상 결정될 수 있다. 코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모듈로-5 포맷(modulo-5 format)에서 합계(checksum) 문자는 짝수 문자를 포함하는 수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방향(역전값이 5-9로서 판독됨) 및 데이터의 보전 양쪽의 정보를 제공한다.
태그의 속도 정보는 모든 제 3 활성 영역의 발생을 타이밍함으로써 태그 판독 장치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이들 영역은 문자 블록 간격에서 발생하고, 바람직하게 태그를 따라 매 27.5 ㎜로 균일하게 일정간격 배치된다.
물론, 갭 크기 및 활성 엘리먼트 길이의 다른 값이 사용될 수 있고, 동일한 원리가 다른 수의 갭 및 갭 크기 스텝을 가지는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술된 방법에 대한 간단한 확장은 9.5 ㎜의 제 5 스텝 크기 옵션을 형성하는 것이다. 3개의 불활성 영역을 포함하지만, 27.5 ㎜ 내지 29.5 ㎜ 사이의 총 길이로 연장된 블록을 사용하면, 18개의 단일 문자(2개의 회문을 포함)가 코딩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나타낸다. 이런 확장된 방법은 데이터를 십진 형태보다 16 진수 형태로 전환될 데이터를 얻는 비용면에서 보다 간단한 방법과 비교하여 주어진 전체 태그 길이에 대해 증가된 데이터 용량을 제공한다.
상기된 활성 엘리먼트에 대해 최소 길이로 제한하는 것이 고려될지라도, 일반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인코드하기 위하여 갭 크기 대신 활성 엘리먼트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가변 갭 크기 및 가변 활성 영역 길이의 결합을 사용하는 코딩 장치는 주어진 데이터 용량에 대해 전체적인 태그 길이를 최소화하는 측면에서 잠재적으로 효과적이다.

Claims (21)

  1. (a) 고 투자율, 저 보자력 및 비선형 B-H 특성을 가진 제1 자기 재료; 및 (b) 통상적인 자기 기록 기술에 의하여 영구적으로 자화될 수 있는 제2 자기 재료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자기 재료 및 상기 제2 자기 재료가 서로 겹쳐져 있는, 자기 태그에 있어서,
    상기 제2 자기 재료의 선택된 영역은 극성을 반복적으로 역전시키는 소거가능한 패턴 형태로 자화가 수행되도록 자화되며, 상기 자화에 의하여 상기 제1 자기 재료의 인접 영역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 자기 재료가 일련의 자기 불연속 구역으로 분리되며, 상기 자기 불연속 구역의 길이 또는 상기 자화된 영역("갭")의 길이가 코드 엘리먼트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태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자기 재료가 실질적으로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태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기 재료가 미세하게 분리된 강자성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태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 산화물은 100 내지 6000 에르스텟 범위의 보자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태그.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기 재료에 가해지는 자화 패턴에 의하여 (ⅰ) 상기 제1 자기 재료내의 자기 불연속 구역("활성 영역")의 길이가 일정하고, (ⅱ) 상기 제2 자기 재료의 상기 자화된 영역("갭")의 길이가 가변하여 데이터의 인코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태그.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기 재료에 가해지는 자화 패턴에 의하여 (ⅰ) 제1 자기 재료내의 자기 불연속 구역("활성 영역")의 길이가 일정하고, (ⅱ) 상기 제2 자기 재료의 상기 자화된 영역("갭")의 길이가 가변하여 데이터의 인코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태그.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기 재료에 가해지는 자화 패턴에 의하여 (ⅰ) 제1 자기 재료내의 자기 불연속 구역("활성 영역")의 길이가 일정하고, (ⅱ) 상기 제2 자기 재료의 상기 자화된 영역("갭")의 길이가 가변하여 데이터의 인코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태그.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가 판독될 때, 주어진 "갭"의 길이가 검출될 수 있는 "활성 영역"의 최소 길이에 비해 작을 경우, 상기 제2 자기 재료의 자화(상기"갭" 내의)가 균일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태그.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가 판독될 때, 주어진 "갭"의 길이가 검출될 수 있는 "활성 영역"의 최소 길이에 비해 작을 경우, 상기 제2 자기 재료의 자화(상기"갭" 내의)가 균일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태그.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가 판독될 때, 상기 주어진 "갭"의 길이는 검출될 수 있는 "활성 영역"의 최소 길이 보다 크거나 같으며, 상기 제2 자기 재료의 자화(상기 "갭"내의)는 반복적으로 역전되는 극성으로 된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패턴의 공간 주파수는 N극과 S극이 "활성 영역"의 최소길이 보다 작은 거리 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태그.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가 판독될 때, 상기 주어진 "갭"의 길이는 검출될 수 있는 "활성 영역"의 최소 길이 보다 크거나 같으며, 상기 제2 자기 재료의 자화(상기 "갭"내의)는 반복적으로 역전되는 극성으로 된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패턴의 공간 주파수는 N극과 S극이 "활성 영역"의 최소길이 보다 작은 거리 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태그.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는 상기 "활성 영역"의 최소 길이의 절반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태그.
  13.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기 재료의 자화(상기 "갭"내의)는 사인파 형태의 반복적으로 역전되는 극성으로 된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패턴이 상기 사인파내의 90°위상 포인트에서 시작하고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태그.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기 재료의 자화(상기 "갭"내의)는 사인파 형태의 반복적으로 역전되는 극성으로 된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패턴이 상기 사인파내의 90°위상 포인트에서 시작하고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태그.
  1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기 재료는 자기 기록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태그.
  1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기 재료는 자기 기록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태그.
  17. 청구항 1에 따른 유형의 자기 태그에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자기 재료의 선택된 영역에 자기 패턴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 패턴은 반복적으로 역전하는 극성으로 된 소거가능한 패턴 형태이며, 상기 자화에 의하여 상기 제1 자기 재료의 인접 영역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 자기 재료가 일련의 자기 불연속 구역으로 자기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자기 불연속 구역의 길이 또는 상기 자화된 영역("갭")의 길이가 코드 엘리먼트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태그에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패턴은 자기 기록 헤드를 이용하여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태그에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패턴은 근접하게 이격되는 평행한 영구 자석 어레이를 사용하여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태그에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방법.
  20. (a) 고 투자율, 저 보자력 및 비선형 B-H 특성을 가진 제1 자기 재료; 및 (b) 통상적인 자기 기록 기술에 의하여 영구적으로 자화될 수 있는 제2 자기 재료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자기 재료 및 상기 제2 자기 재료가 서로 겹쳐져 있는, 자기 태그에 있어서,
    상기 제2 자기 재료의 선택된 영역은 극성을 반복적으로 역전시키는 소거가능한 패턴 형태로 자화가 수행되도록 자화되며, 상기 자화에 의하여 상기 제1 자기 재료의 인접 영역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 자기 재료가 일련의 자기 불연속 구역으로 분리되며, 상기 자기 불연속 구역의 길이 및 상기 자화된 영역("갭")의 길이가 코드 엘리먼트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태그.
  21. 청구항 1에 따른 유형의 자기 태그에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자기 재료의 선택된 영역에 자기 패턴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 패턴은 반복적으로 역전하는 극성으로 된 소거가능한 패턴 형태이며, 상기 자화에 의하여 상기 제1 자기 재료의 인접 영역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 자기 재료가 일련의 자기 불연속 구역으로 자기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자기 불연속 구역의 길이 및 상기 자화된 영역("갭")의 길이가 코드 엘리먼트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태그에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방법.
KR10-1999-7002659A 1996-09-27 1997-09-29 자기 태그 및 이 자기 태그에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방법 KR1004734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620190.0A GB9620190D0 (en) 1996-09-27 1996-09-27 Improved methods for coding magnetic tags
GB9620190.0 1996-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703A KR20000048703A (ko) 2000-07-25
KR100473428B1 true KR100473428B1 (ko) 2005-03-07

Family

ID=10800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2659A KR100473428B1 (ko) 1996-09-27 1997-09-29 자기 태그 및 이 자기 태그에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204766B1 (ko)
EP (1) EP0928430B1 (ko)
JP (1) JP3646142B2 (ko)
KR (1) KR100473428B1 (ko)
CN (1) CN1149406C (ko)
AT (1) ATE230495T1 (ko)
AU (1) AU717142B2 (ko)
BR (1) BR9712147A (ko)
CA (1) CA2267457C (ko)
DE (1) DE69718181T2 (ko)
ES (1) ES2187823T3 (ko)
GB (1) GB9620190D0 (ko)
RU (1) RU2183846C2 (ko)
WO (1) WO19980137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58064A1 (de) * 1998-12-16 2000-06-21 Meto International Gmbh Sicherungselement für die elektronische Artikelsicherung
US20050128051A1 (en) * 2001-12-27 2005-06-16 Robert Dickinson Verification key for replacement parts
US7352771B2 (en) * 2002-10-08 2008-04-01 Colder Products Company Data collision detection device and method
GB0323349D0 (en) * 2003-10-06 2003-11-05 Linksure Ltd Verification means
US7230537B2 (en) * 2004-04-15 2007-06-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duct identification system using IC tag units, and a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US7023345B2 (en) * 2004-05-03 2006-04-04 Sensormatic Electronics Corporation Enhancing magneto-impedance modulation using magnetomechanical resonance
KR20080028468A (ko) * 2005-06-30 2008-03-31 노바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팃드 자성 복합재료 및 이를 함유하는 물품
AT511332B1 (de) * 2011-08-11 2012-11-15 Suess Dieter Dr Methode und vorrichtung zur diskriminierenden detektion von behältern für die zubereitung von nahrungsmitteln in extraktionsmaschinen mittels magnetisierbarer materialien
US10325439B2 (en) 2015-07-03 2019-06-18 Custom Security Industries, Inc. Article identification reader, marker element for article identification and method of article identification
RU2615329C1 (ru) * 2015-12-09 2017-04-04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Транснефть" (ПАО "Транснефть") Способ маркировки трубных изделий, трубное изделие с маркировкой и система идентификации трубных изделий
WO2018013738A1 (en) 2016-07-12 2018-01-18 Goodwill Patrick W Magnetic particle imaging using rotatable magnet
EP3490672B1 (en) 2016-07-28 2021-03-03 Sun Nuclear Corporation Beam angle direction determination
JP2020531076A (ja) 2017-08-16 2020-11-05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パルス磁気粒子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及び方法
CN113747938A (zh) 2019-03-13 2021-12-03 马格内蒂克因赛特公司 磁性粒子致动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9076A (en) * 1987-05-20 1988-10-18 Controlled Information Corp. Deactivatable coded marker and magnetic article surveillance system
IT1211227B (it) 1987-07-21 1989-10-12 Urmet Spa Distributore valvolare bilanciatore di pressione a bloccaggio selettivo per pneumatici di ruote gemellate di autoveicoli dotati di sistema di segnalazione a bordo di minima pressione
GB8817855D0 (en) * 1988-07-27 1988-09-01 Emi Plc Thorn Electromagnetic identification system
US5582924A (en) * 1989-01-09 1996-12-10 Esselte Meto International Gmbh Magnetic materials for security applications
US5580664A (en) * 1992-12-23 1996-12-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ual status thin-film eas marker having multiple magnetic layers
JPH06273144A (ja) 1993-03-23 1994-09-30 Nisshin Steel Co Ltd 表面欠陥程度による製品の選別方法
US5643686A (en) * 1994-01-06 1997-07-01 Tokyo Magnetic Printing Co., Ltd. Magnetic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3051644B2 (ja) * 1994-10-13 2000-06-12 東京磁気印刷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の製造方法
KR960000557A (ko) 1994-06-23 1996-01-25 배순훈 에어커튼(Air-Curtain)을 이용한 차량 자동온도 조절 시스템
US5799454A (en) 1994-06-28 1998-09-01 Skanska Teknik Ab Heat insulating outer wall for a building
US5554974A (en) * 1994-11-23 1996-09-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codable tag with radio frequency readout
GB9506909D0 (en) * 1995-04-04 1995-05-24 Scient Generics Ltd Spatial magnetic interrogation system
CN1114835C (zh) * 1995-07-17 2003-07-16 飞零有限公司 改进的磁标签或标志
GB9608329D0 (en) 1996-04-23 1996-06-26 Scient Genarics Ltd Improved methods for coding magnetic tags
US5821859A (en) * 1996-06-07 1998-10-13 Ibm Corporation Concealed magnetic ID code and antitheft tag
DE19642225A1 (de) * 1996-10-12 1998-04-16 Esselte Meto Int Gmbh Sicherungselement für die elektronische Artikelsicher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icherungselemen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28430B1 (en) 2003-01-02
US6204766B1 (en) 2001-03-20
ES2187823T3 (es) 2003-06-16
AU4562997A (en) 1998-04-17
CN1235677A (zh) 1999-11-17
DE69718181T2 (de) 2003-05-15
AU717142B2 (en) 2000-03-16
ATE230495T1 (de) 2003-01-15
RU2183846C2 (ru) 2002-06-20
CA2267457A1 (en) 1998-04-02
WO1998013708A1 (en) 1998-04-02
EP0928430A1 (en) 1999-07-14
CA2267457C (en) 2004-05-25
CN1149406C (zh) 2004-05-12
GB9620190D0 (en) 1996-11-13
JP3646142B2 (ja) 2005-05-11
JP2001501005A (ja) 2001-01-23
KR20000048703A (ko) 2000-07-25
DE69718181D1 (de) 2003-02-06
BR9712147A (pt) 2001-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3428B1 (ko) 자기 태그 및 이 자기 태그에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방법
US3995313A (en) Data accumulation system
EP0428779B2 (en) Unit for sensing magnetic codes
US5831532A (en) Identification tags using amorphous wire
US3986205A (en) Dual particle population magnetic recording medium
ATE221209T1 (de) Verbesserungen mit bezug auf magnetischen etikettes oder marker
US5643686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RU99108676A (ru) Магнитные ярлыки
RU229258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дентификации и способ его опроса
US3986206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with highly anisotropic particles
US4982076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US3874586A (en) Information-carrying article and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EP1470527A1 (en) Magnetic tag and method for reading information stored therein
US4034410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US3465307A (en) Anisotropic magnetic thin film memory apparatus
EP0815541A1 (en) Security system for documents with a magnetic track for recording information
JP3774501B2 (ja) 磁気マーカおよびその読取方法
JPS63133321A (ja) 磁気記録媒体
JP3304222B2 (ja) 磁気記録媒体の使用方法
JPH09231302A (ja) 磁気マーカおよびその読取方法
JPH06243302A (ja) 符号化部材を有する被検出物とその書込み装置および読取装置
GB2408177A (en) Magnetic tagging
JPH0476817A (ja) 磁気記録式券片の信号判読方法
JPH0863562A (ja) 磁気記録媒体
GB1559119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with highly anisotropic p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