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2633B1 - 디스플레이 장치, 비디오 컨트롤러 유닛 및 화상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비디오 컨트롤러 유닛 및 화상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633B1
KR100472633B1 KR10-2000-0006614A KR20000006614A KR100472633B1 KR 100472633 B1 KR100472633 B1 KR 100472633B1 KR 20000006614 A KR20000006614 A KR 20000006614A KR 100472633 B1 KR100472633 B1 KR 100472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panel
image
video controller
signa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6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6631A (ko
Inventor
모따이세이지
가와노신이찌
찌바가즈오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10006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6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6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각 패널에 대응한 회로들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필요한 부품들을 줄이고, 패널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의 개발하는데 필요한 공정수도 줄일 수 있다. 또한, 업무의 필요에 따라 복수의 패널에 걸쳐 화상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소정의 타이밍에서 표시 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다.
DSTN 패널의 상하 표시 영역은 개별 모듈들의 패널에 할당된다. 이에 의해, 1장의 패널을 제어하는 회로 및 OS(Operating System)용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의해 2개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가 있다. 2개의 패널은, 통상 조작원측과 고객측이라고 하는 별개의 방향을 향하고 있지만,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도 있으므로, 양 패널에 걸쳐 1명의 조작원이 동시에 참조하도록 정보를 출력시킬 수도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비디오 컨트롤러 유닛 및 화상 디스플레이 방법{DISPLAY DEVICE, VIDEO CONTROLLER UNIT,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본 발명은, 2 이상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량된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공통의 컨트롤러로 제어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POS(Point of Sale)용 디스플레이 등 2 이상의 패널을 갖는 전자 기기(POS의 경우에는, 조작원용과 고객용으로 2장의 패널을 사용하고 있다)에서는 각각의 패널을 별도로 제어하기 위하여, 각 패널에 대응한 회로를 설치하고, OS(Operating System)용 디바이스 드라이버도 패널마다 개발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 때문에, 개발이나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대하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POS용 디스플레이에서는, 조작원용과 고객용 2장의 패널 각각에 대하여, 어플리케이션이 각각의 출력 영역을 정의하여 화상 정보를 출력하고 있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판매 업무의 종료 후, 고객용 패널을 조작원(종업원)측으로 향하게 하고, 1장의 패널로 정보를 표시하게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가 어렵고 그 개발이나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도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각 패널에 대응하는 회로들의 수를 줄임으로써, 필요한 부품들의 수를 줄이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각 패널에 대응하는 회로의 수를 줄임으로써, 패널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공정수가 줄어든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업무의 필요에 따라 복수의 패널에 공통 정보를 표시하게 함으로써, 소정 타이밍에서 표시 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DSTN (Dual-Scan super Twisted Nematic) 패널의 상하의 표시 영역을 다른 모듈의 패널에 할당한다. 이에 의해, 2개의 디스플레이를 1장의 패널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회로 및 OS용 디바이스 드라이버로 제어할 수가 있다. 2개의 패널은, 통상 조작원측과 고객측이라고 하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지만, 동일 방향으로도 향하게 할 수 있어, 1명의 조작원이 동시에 2개의 패널에 출력된 정보를 참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a) 제1 디스플레이 패널;
(b) 제2 디스플레이 패널;
(c)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과 비디오 컨트롤러를 접속하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용 화상 신호선;
(d)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를 접속하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용 화상 신호선;
(e)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를 접속하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용 제어 신호선;
(f)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를 접속하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용 제어 신호선; 및
(g)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
을 포함하며,
(h)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화상 정보를 수령하고,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에 별개의 이미지가 제공되도록 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드와,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가 하나의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동작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원 명세서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제1 디스플레이 패널용 제어 신호선」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용 제어 신호선」 은, 비디오 컨트롤러에 직접 접속하는 것이나, 비디오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선을 복수로 분배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조작원 방향으로 향할 수 있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
조작원 방향 또는 고객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향할 수 있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과 비디오 컨트롤러를 접속하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용 화상 신호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를 접속하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용 화상 신호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를 접속하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용 제어 신호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를 접속하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용 제어 신호선; 및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
을 포함하며,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화상 정보를 수령하고,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에 별개의 이미지가 제공되도록 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드와,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가 하나의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동작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제1 디스플레이 패널과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조립되는 비디오 컨트롤러 유닛에 있어서,
(a)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속하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용 화상 신호선 및, 제1 디스플레이 패널용 제어 신호선;
(b)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속하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용 화상 신호선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용 제어 신호선; 및
(c) (c1)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용 화상 신호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용 제어 신호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용 화상 신호선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용 제어 신호선과 접속하고,
(c2)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화상 정보를 수령하고,
(c3)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용 화상 신호선으로 상기 화상 정보의 일부에 대응하는 화상 정보를 출력하며,
(c4)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용 화상 신호선으로 상기 화상 정보의 일부에 대응하는 화상 정보를 출력하는
비디오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비디오 컨트롤러 유닛이 제공된다.
본원 명세서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비디오 컨트롤러 유닛」은 비디오 컨트롤러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용 화상 신호선을 포함하는 독립한 모듈이나 기반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a) 조작원 방향으로 향할 수 있고, 제1 디스플레이 패널용 화상 신호선과 제1 디스플레이 패널용 제어 신호선을 통해 비디오 컨트롤러와 접속하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화상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b) 조작원 방향으로의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display mode switching)을 지시하는 오퍼레이션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에 송신하고 있는 화상 정보의 일부를 제2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은 조작원 방향 또는 고객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향할 수 있으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용 화상 신호선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용 제어 신호선을 통해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와 접속함- 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a) 제1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로 출력되는 제1 화상 정보와,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로 출력되는 제2 화상 정보를 병렬 상태로 하여 하나의 가상 디스플레이 패널 화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b) 조작원 방향으로의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을 지시하는 오퍼레이션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화상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패널 영역으로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이 제공된다.
A. 하드웨어 구성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OS(10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관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POS(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11), 메인 메모리(13) 및 캐시(17)를 포함하고 있다. CPU(11), 메인 메모리(13) 및 캐시(17)는 브릿지(15)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비디오 (LCD) 컨트롤러(20)와 네트워크 컨트롤러(51)는 PCI 버스(19)를 통해 CPU(11)에 접속되어 있다. IDE 디바이스(53)와 USB 디바이스(55)는, 또한 브릿지(57)를 통해 접속되고 있다. 또한, POS I/O 컨트롤러(65), BIOS(61) 및 기타 주변 기기용 포트(63)가 ISA 버스(59)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IDE 디바이스(53)는 하드디스크 장치 등의 정보 기억 매체를 접속하고 있고, 이 정보 기억 매체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과 협동하여 CPU 등에 명령을 부여하고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코드를 기록할 수가 있어, 메모리(4)에 로드됨으로써 실행된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의 코드는 압축하거나 또는 복수로 분할하여, 복수의 매체에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B. 비디오 컨트롤러와 LCD 패널과의 관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DSTN 패널의 컨트롤 기능을 갖는 비디오 칩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기의 DSTN 제어용 신호를 출력하고, VGA (640×480픽셀)/SVGA(800×600픽셀) 등의 패널 1장을 제어하고 있다.
(A) 제어 신호(35)
(1) 주사선 구동용 동기 신호(Frame Clock, First Line Maker)
(2) 액정 구동용 교류화 신호(AC Modulation Signal)
(3) 라인 펄스(Line Pulse)
(4) 시프트 클럭 (Shift Clock)
(5) 패널 온 신호 (Panel Enable Signal)
(B) 표시 데이터 신호 (색 신호)(31, 33)
(1) 상부 패널용 8비트 병렬 데이터(31: 8bit Upper Screen Data)
(2) 하부 패널용 8비트 병렬 데이터(33: 8bit Lower Screen Data)
[Half VGA(320×240), Half SVGA(400×300) 등의] 하프 사이즈 패널을 구동하여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어 신호(35)와 상부 패널용 색 데이타 신호(31) 또는 하부 패널용 색 데이터 신호(33)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패널용 색 데이터 신호(31)와 하부 패널용 색 데이터 신호(33)의 신호선을 각각 하프 사이즈의 패널에 접속한다. 또한, 원래 하나인 제어 신호(35)를 도중에서 2분배하여 각각의 패널에 접속함으로써, 2장의 패널을 구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 2장을 각각 POS 시스템의 "조작원용 디스플레이"와 "고객용 디스플레이"로서 사용하고 있다.
도 4는, 종래의 POS 시스템의 처리 요소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POS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210)은 조작원용 표시 데이터와 고객용 표시 데이터를 이들 각각의 포맷으로 생성한다. 조작원용의 표시 데이터(211)는 조작원용 패널(140)에 대응한 디바이스 드라이버(221), BIOS(240) 및 비디오 컨트롤러(260)의 지원을 얻어 조작원용 디스플레이 패널(140)로 출력된다. 한편, 고객용의 표시 데이터(213)는, 고객용 패널(130)에 대응한 디바이스 드라이버(223)와 POS I/O 컨트롤러(250)의 지원을 얻어 고객용 디스플레이 패널(130)로 출력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POS 시스템의 처리 요소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POS 시스템에 있어서는, 우선, 어플리케이션(210)에 의해 조작원용 표시 데이터와 고객용 표시 데이터가 1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반분 및 하반분이라고 하는 형식으로 각각 생성된다. 조작원용의 표시 데이터(211)와 고객용의 표시 데이터(213)는, 공통의 디바이스 드라이버(220), BIOS(240) 및 비디오 컨트롤러(260)의 지원을 얻어 고객용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조작원용 디스플레이 패널(120)로 출력된다. 따라서, 고객용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원하는 개별 드라이버의 도입(installing), 서식 설정(formatting) 및 개발 작업 등이 불필요하게 된다.
C.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예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POS로서 실시한 경우의 개관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POS(100)는, 상측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하측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상측과 하측의 디스플레이 패널(110, 120)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2장의 패널이지만,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는 1장의 패널로 인식되고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에 있어서는, 단순히 통상 화면의 상반분에 "고객용 화면" 그리고 하반분에 "조작원용 화면"을 출력하도록 설계한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이 (RS-232C/Parallel 인터페이스 등) 다른 인터페이스로 접속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특별한 드라이버를 사용할 필요도 없으며, 또한, 표시 영역도 넓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점검 또는 정산할 때와 같이, 고객 화면으로의 출력을 필요로 할 때에는, 도 6과 같이 화면 위치를 회전시켜 동시에 조작원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면, 통상의 VSA/SVGA의 화면 표시와 동일한 화소수를 표시하는 패널로 되어, 조작원용 패널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조작원 방향으로 많은 정보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작원용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고객용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표시되는 화상 데이타의 개관도이다. 도 8의 상측에는, POS(100)의 모드 전환 키(101)가 매니저용으로 전환되고, 조작원용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매상 관련의 통계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가 그려져 있다.
그리고, 조작원이, 양 패널 표시를 지시하는 오퍼레이션 [모드 전환 키(101)나 키보드(103) 등에 의해 입력할 수가 있음]을 행하면, 도 8의 하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객용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조작원용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걸쳐서 매상 관련의 통계 정보가 표시된다. 이것은, 어플리케이션(210)이, 가상적 디스플레이 패널(고객용 패널과 조작원용 패널을 합한 영역의 가상적 패널)의 절반으로 표시하고 있는 화상 정보를 확대하여 가상 표시 화면의 전면에 표시함으로써, 고객용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조작원용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걸쳐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조작원이, 통상 표시를 지시하는 오퍼레이션 [모드 전환 키(101)나 키보드(103) 등에 의해 입력할 수가 있음]을 행함으로써, 도 8의 상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원용 디스플레이 패널(120)에만 화상 정보를 표시하도록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 패널에 대응한 회로들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필요한 부품들을 줄이고, 패널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 개발 공정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업무의 필요에 따라 복수의 패널에 걸쳐 화상 정보를 표시시킴으로써, 소정의 타이밍에서 표시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비디오 컨트롤러와 LCD 패널 간의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비디오 컨트롤러와 LCD 패널 간의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처리 요소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처리 요소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을 POS로서 실시한 경우의 개관도.
도 7은 본 발명을 POS로서 실시한 경우의 개관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작원용 디스플레이 패널 및 고객용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화상 데이타의 개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CPU
13 : 메인 메모리
15 : 브릿지
17 : 캐시
19 : PCI 버스
20 : 비디오 (LCD) 컨트롤러
30 : 데이터 제어 신호선
31 : 상부 화면용 데이터선
33 : 하부 화면용 데이터선
35 : 제어선
37 : 상부 화면용 제어선
39 : 하부 화면용 제어선
40∼43 : LCD 패널
51 : 네트워크 컨트롤러
53 : IDE 디바이스
55 : USB 디바이스
57 : 브릿지
59 : ISA 버스
61 : BIOS
63 : 기타 주변 기기용 포트
65 : POS I/O 컨트롤러
67 : POS I/O
100 : POS
110 : 상부 디스플레이 패널
120 : 하부 디스플레이 패널

Claims (5)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결합되는 메모리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와,
    최소한 두 개의 디스플레이 서브 패널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하나의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의해 구동되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로세서와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는 비디오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는 최소한 하나의 이미지 신호 버스와 최소한 하나의 컨트롤 신호 버스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서브 패널 각각에 결합되고,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는 상기 소프트웨어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서브 패널에 제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서브 패널 각각에 별개의 이미지가 제공되도록 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드와,
    상기 디스플레이 서브 패널 전체가 하나의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동작하게 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2.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조작원 방향으로 향할 수 있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
    조작원 방향 또는 고객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향할 수 있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과 비디오 컨트롤러를 접속하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용 화상 신호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를 접속하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용 화상 신호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를 접속하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용 제어 신호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를 접속하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용 제어 신호선; 및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
    을 포함하며,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에 별개의 이미지가 제공되도록 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드와,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가 하나의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동작하게 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 디스플레이 패널과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조립되는 비디오 컨트롤러 유닛에 있어서,
    (a)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속하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용 화상 신호선 및, 제1 디스플레이 패널용 제어 신호선;
    (b)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속하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용 화상 신호선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용 제어 신호선; 및
    (c) (c1)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용 화상 신호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용 제어 신호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용 화상 신호선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용 제어 신호선과 접속하고,
    (c2)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화상 정보를 수령하고,
    (c3)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에 별개의 이미지가 제공되도록 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드와,
    (c4)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가 하나의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동작하게 하는 비디오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비디오 컨트롤러 유닛.
  4.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조작원 방향으로 향할 수 있고, 제1 디스플레이 패널용 화상 신호선과 제1 디스플레이 패널용 제어 신호선을 통해 비디오 컨트롤러와 접속하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화상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조작원측에서 수행된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display mode switching)을 지시하는 오퍼레이션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에 송신하고 있는 화상 정보의 일부를 제2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은 조작원 방향 또는 고객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향할 수 있으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용 화상 신호선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용 제어 신호선을 통해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와 접속함- 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5.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결합되는 메모리,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는 비디오 컨트롤러 및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하나의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의해 구동되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최소한 두 개의 디스플레이 서브 패널을 구비하고, 최소한 하나의 이미지 신호 버스와 최소한 하나의 컨트롤 신호 버스에 의해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에 결합됨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하나의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의해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에서 상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포맷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서브 패널 각각에 별개의 이미지가 제공되도록 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드와 상기 디스플레이 서브 패널 전체가 하나의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00-0006614A 1999-02-18 2000-02-12 디스플레이 장치, 비디오 컨트롤러 유닛 및 화상디스플레이 방법 KR100472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40041A JP2000242246A (ja) 1999-02-18 1999-02-18 表示装置、ビデオ・コントローラ・ユニット、画像表示方法
JP1999-040041 1999-0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6631A KR20010006631A (ko) 2001-01-26
KR100472633B1 true KR100472633B1 (ko) 2005-03-07

Family

ID=12569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6614A KR100472633B1 (ko) 1999-02-18 2000-02-12 디스플레이 장치, 비디오 컨트롤러 유닛 및 화상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0242246A (ko)
KR (1) KR100472633B1 (ko)
CN (1) CN1241050C (ko)
TW (1) TW4943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524B1 (ko) * 2003-06-27 2010-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0654775B1 (ko) 2004-12-08 2006-12-0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단말기
KR101296862B1 (ko) * 2006-02-14 2013-08-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양방향 표시장치
KR101080114B1 (ko) 2009-12-31 2011-11-04 엠텍비젼 주식회사 알지비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듀얼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9083926B2 (en) 2010-10-25 2015-07-14 Sony Corporation Multi-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fore
US9395575B2 (en) * 2012-12-11 2016-07-19 Intel Corporation Display for electronic device
CN103971651A (zh) * 2014-04-18 2014-08-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299577B1 (ko) 2014-08-25 2021-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호스트와 이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4054A (zh) 2000-08-23
CN1241050C (zh) 2006-02-08
TW494367B (en) 2002-07-11
JP2000242246A (ja) 2000-09-08
KR20010006631A (ko) 200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7785B1 (en) Operation of a plurality of visual display units from one screen controller
US7027058B2 (en) Host device,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method, panel attribute reading-out method and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US7714850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896178B1 (ko) 테스트 패턴 발생 회로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회로
DE69032016T2 (de) Anzeigesystem
US7532190B2 (en) Multi-resolution driver device
US20010022587A1 (en)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ing method on display device
KR100653061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호스트 디바이스
KR10047263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비디오 컨트롤러 유닛 및 화상디스플레이 방법
US20020021296A1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US20050275667A1 (en) Multi-display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010020945A (ko) 복수의 연쇄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구동 장치,연쇄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연쇄 디스플레이 시스템
US6556216B1 (en) Fiscal printer video with application program
US20030156116A1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JP3277110B2 (ja) 液晶表示装置
US6897902B1 (en) Digital video-processing unit
KR100760607B1 (ko) 백업기능을 가지는 상황실 관제 시스템 및 그 관제 방법
JP2999321B2 (ja) チッカーボード及びその制御方法
JPH0962230A (ja) 液晶表示装置
JP5476281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H08227069A (ja) 表示制御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JPH11327511A (ja) 液晶表示制御回路
CN112614466A (zh) 显示数据的传输方法及装置、显示设备
JP3338287B2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装置
JPH1195732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表示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21126

Effective date: 2004111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