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2278B1 - 복수의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를 이용한 고액분리 장치 및그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를 이용한 고액분리 장치 및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278B1
KR100472278B1 KR10-2002-0069558A KR20020069558A KR100472278B1 KR 100472278 B1 KR100472278 B1 KR 100472278B1 KR 20020069558 A KR20020069558 A KR 20020069558A KR 100472278 B1 KR100472278 B1 KR 100472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separation
package
immersion
raw water
contro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2306A (ko
Inventor
장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휠테크
장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휠테크, 장성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휠테크
Priority to KR10-2002-0069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2278B1/ko
Publication of KR20020092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2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2Permeable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6Aerobic processes using submerge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Package)를 이용한 고액분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수질환경분야의 고액분리공정에서 고액분리의 대상이 되는 원수를 저류하며 이의 부패 내지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저부에 산기수단 (100)을 갖춘 원수조(101)와;
상기 원수조(101)의 상측부에 스크러빙조(107)를 구성하고, 상기 스크러빙조 (107)에 내장 설치되는 침지식 막(108)과, 상기 스크러빙조(107)의 일측부에 구성되고 상기 스크러빙조(107)의 원수를 침지식 막(108)을 통하여 흡인한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흡인펌프(104)와, 상기 스크러빙조(107)의 교반을 위한 블로워(103)와, 상기 흡인펌프(104)와 블로워(103)를 제어하는 제어반(105), 여과수량 확인을 위한 유량계, 막의 파우링(Fouling) 정도의 확인을 위한 차압계 등 침지식 막분리 공정에 필요한 부품들로 콤팩트(Compact)하게 조립된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와;
상기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며 상기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가 갑작스런 고장발생 또는 지나친 차압 상승으로 가동이 중단될 경우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의 제어반(105)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자동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의 제어반(105)과 전기배선으로 연결된 예비용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3)와;
상기 원수조(101)의 수위 상황과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 및 예비용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3)의 가동가능 여부에 따라 원수의 이송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어반(10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원수조(101)에 설치되는 수위센서(110) 및 이송펌프(11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를 이용한 고액분리 장치이다.
제2 실시예는 원수의 유입이 없는 시기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펌프(111), 흡인펌프(104)는 정지되어 있으며 블로워(103)는 간헐적으로 짧은 시간 가동되는 상태("빈부하 가동"이라고도 함)인 1단계(S1)와; 원수조(101)의 수위가 상한 레벨인 지를 판단하여 상한 레벨인 경우 다음 단계로 이행하고 아닌 경우 1단계로 이행하는 2단계(S2)와; 상기 이송펌프(111), 흡인펌프(104), 블로워(103)가 평상시 필요한 여과수량에 대응한 가동상태("정상 가동"이라고도 함)가 되는 3단계(S3)와; 차압이 설정된 상한 값 이상인가를 판단하여 아닌 경우 다음 단계로 이행하고 상한 값 이상인 경우 6단계(S6)로 진행하는 4단계(S4)와; 복수의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 (112)의 기기들의 고장여부를 판단하여 고장인 경우 다음 단계로 진행하고 아닌 경우 2단계(S2)로 이행하는 5단계(S5)와; 이송펌프(111), 흡인펌프(104), 블로워 (103)의 가동이 중단되고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의 제어반(10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예비용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3)가 상기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의 제어반(105)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자동으로 가동되는 6단계 (S6)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를 이용한 고액분리 방법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오폐수처리, 하천수·지하수의 정수, 해수 담수화 등의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침지식 막분리 장치의 구조를 여러 단위의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 Package)로 이루어지는 분산된 형태로 함으로써 동력 사용량은 줄이면서 더 효율적이고, 막의 인양과 워싱(Washing) 및 재설치의 어려움이 없으며, 막의 케미컬 클리닝(Chemical Cleaning)이나 고장수리로 전체 막분리 시설을 장시간 가동 중단할 필요가 없으며, 증설 공정이 간단하여 시설의 용량 변화에 대응이 용이하고, 갑작스런 기기의 고장으로 인한 전체 막분리 시설의 가동정지 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복수의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를 이용한 고액분리 장치 및 그 방법 {Separating apparatus and method in water treatment by applying two or more submerged- membrane filtering packages}
본 발명은 복수의 침직식 막분리 팩키지를 이용한 고액분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폐수처리, 하천수·지하수의 정수, 해수 담수화 등의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침지식 막분리 장치의 구조를 여러 단위의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 Package)로 이루어지는 분산된 형태로 함으로써 동력 사용량은 줄이면서 더 효율적이고, 막의 인양과 워싱(Washing) 및 재설치의 어려움이 없으며, 막의 케미컬 클리닝(Chemical Cleaning)이나 고장수리로 전체 막분리 시설을 장시간 가동 중단할 필요가 없으며, 증설 공정이 간단하여 시설의 용량 변화에 대응이 용이하고, 갑작스런 기기의 고장으로 인한 전체 막분리 시설의 가동정지 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복수의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Package)를 이용한 고액분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워싱(Washing)"이라 함은 케미컬 클리닝(Chemical Cleaning) 전 막의 표면에 부착된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해 또는 케미컬 클리닝 후 막유니트에 묻은 화학용제를 제거하기 위해 맑은 물로 세척하는 작업을 말한다.
상기 "케미컬 클리닝(Chemical Cleaning)"이라 함은 막의 표면 및 여과 구멍내에 물리·화학적 작용으로 퇴적되어 워싱(Washing)으로 제거되지 않는 미세한 유기물과 무기물의 때를 제거하기 위해 막을 화학용제에 일정시간 담가두는 작업을 말한다. 이하 "클리닝(Cleaning)"이라 한다.
이 분야인 수질환경분야에서 종래의 침지식-막분리 방식의 주된 특징은 도시된 도3a에서와 같이 교반(攪拌; 수중 부유물의 침전 방지나 저류된 물의 부패 방지를 위해 수조내의 물을 상하로 순환시키는 공정) 또는 용존산소(물속에 용해되어 있는 산소로써 수중생물의 호흡에 필요한 것)농도 유지용 폭기(暴氣)와 스크러빙 (Scrubbing; 수중에 잠긴 막을 통하여 흡인 여과할 때 막의 표면으로 집중되는 오니와 협잡물을 분산시켜 여과구멍의 막힘을 방지하는 공정을 말한다. 이하 "스크러빙"이라 한다)용 폭기를 막유니트{공장제조 단위인 막모듈을, 일정 수량을 한 단위로 견고한 프레임(Frame)에 고정하여 시설이 가능한 상태로 만든 것}의 수직 하방에 설치되는 하나의 산기수단(209)으로 한다는 것, 즉 하나의 산기수단으로 두가지 효과를 얻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기기의 제어가 통합적이다라는 것, 즉 전체 막분리 시설이 하나의 제어반(Control Panel)에 의해 제어된다는 것이다.
오수처리에 적용된 종래의 침지식-막분리 방식의 경우, 막유니트(208)를 고수심(High Water Level)(202)의 활성오니 폭기조(201)에 직접 침지함으로 적정 용존산소농도 유지용 공기량보다 더 많은 스크러빙(Scrubbing)용 공기량(생활오수와 같이 오염농도가 낮은 오폐수의 경우 항상 스크러빙을 위한 공기량이 용존산소농도 유지를 위한 공기량보다 많게 된다)을 기준으로 블로워(Blower)를 사용하게 됨으로 용존산소농도 유지면에서는 적정 공기량 이상이 급기되고 이로 인해 활성오니 폭기조(201)의 용존산소농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게 된다.
이는 동력의 낭비일 뿐 아니라 용존산소농도가 높은 활성오니 폭기조(201)의 물이 혐기조{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어 참조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생물학적 오폐수처리에 있어서 탈질(脫窒)을 목적으로 활성오니 폭기조의 전 단계에 위치하며 저류된 오폐수내 용존산소가 희박한 상태의 생물학적 반응조}로 반송되면 용존산소의 잔존시간이 길어져 오수내의 질소 성분을 제거하는 효율이 떨어진다.
즉, 용존산소가 희박한 상태에서는 질산화물의 NO2 -, NO3 -에서 O2를 취하므로써 N2, N2O가스를 발생시켜 오폐수내의 질소를 제거하는 탈질균(脫窒菌)이 혐기조내 용존산소가 존재하게 되면 질산화물의 결합산소(結合酸素)보다는 취하기 쉬운 용존산소를 이용하게 되므로 오폐수내 질소제거율이 떨어지게 된다.
종래의 침지식-막분리 방식에서는 전체 막분리 공정이 통합적으로 제어되어 시설의 부분가동이 곤란함으로, 막 클리닝(Cleaning) 또는 기기 수리의 경우 전체 막분리 시설의 가동을 중단해야 한다.
종래의 침지식-막분리 시설에서는 막 클리닝(Cleaning) 시 막유니트를 세정조(Cleaning Tank)(205)에 담아 클리닝(Cleaning)하므로 모든 막 유니트들을 설치한 활성오니 폭기조(201)로부터 인양하여야 한다.
따라서, 막 유니트가 수 십 개 이상 설치된 큰 규모의 침지식-막분리 시설의 경우 인양-워싱(Washing)-클리닝(Cleaning)-워싱(Washing)-재설치와 같은 일련의 클리닝(Cleaning)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이 적지 않으며, 건물 지하의 침지식-막분리 시설의 경우에는 천정으로 인한 높이 제한으로 인양대(206)의 높이가 낮아지고, 따라서 인양수단(207)의 인양거리가 너무 짧아져 막유니트의 인양과 재설치가 더욱 어려워 클리닝(Cleaning)이 매우 곤란한 경우가 많다.
종래의 침지식-막분리 공법에서는 배관의 구성과 전기적인 제어가 통합적이어서, 즉 용량이 큰 한 세트(Set)의 블로워(Blower)(203)와 펌프(Pump)(204)를 중심으로 구성 배관들(210)(211)(도3b 참조)이 하나로 이어져 있고, 하나의 제어반을 통하여 전체 막분리 시설이 제어되므로 증설할 경우에 펌프(Pump)(204)와 블로워(Blower)(203)의 교체와 이에 따른 배관(210)(211) 및 전기 부문의 변경 또는 교체, 추가적인 막유니트로 인한 구조물(201) 및 시설물(205~211)의 변경 또는 추가 등이 필요하게 된다.
종래의 침지식-막분리 공법에서는 전체 막분리 공정이 통합적으로 제어됨으로 하나의 기기 고장만으로도 전체 막분리 시설의 가동이 중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질환경분야에서 적용되는 침지식 막분리에서 막분리 장치의 구조를 공장생산 및 운송이 가능한 여러 단위의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로 이루어지는 분산된 형태로 함으로써, 공정이 분리되어 더 효율적이게 하며 시설의 부분 가동이 가능토록 하여 동력을 절감할 수 있게 하고, 고가인 침지식 막의 효율적인 클리닝(Cleaning)을 가능케 하여 막의 사용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게 하고,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Package)들간에 그리고 이들과 다른 장치들간에 구조상 독립적이어서 시설용량의 증감에 대한 대응이나 기존 시설에의 적용을 용이하게 하며, 하나의 기기 고장으로 전체 막분리 공정이 중단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복수의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를 이용한 고액분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수단으로서 수질환경분야의 고액분리공정에서 고액분리의 대상이 되는 원수를 저류하며 이의 부패 내지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저부에 산기수단을 갖춘 원수조와;
상기 원수조의 상측부에 스크러빙조를 구성하고, 상기 스크러빙조에 내장 설치되는 침지식 막과, 상기 스크러빙조의 일측부에 구성되고 상기 스크러빙조의 원수를 침지식 막을 통하여 흡인한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흡인펌프와, 상기 스크러빙조의 교반을 위한 블로워와, 상기 흡인펌프와 블로워를 제어하는 제어반, 여과수량 확인을 위한 유량계, 막의 파우링(Fouling) 정도의 확인을 위한 차압계 등 침지식 막분리 공정에 필요한 부품들로 콤팩트(Compact)하게 조립된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와;
상기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며 상기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가 갑작스런 고장발생 또는 지나친 차압 상승으로 가동이 중단될 경우 상기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의 제어반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자동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의 제어반과 전기배선으로 연결된 예비용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와;
상기 원수조의 수위 상황과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 및 예비용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의 가동가능 여부에 따라 원수의 이송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어반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원수조에 설치되는 수위센서 및 이송펌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를 이용한 고액분리 장치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2 수단으로서 원수의 유입이 없는 시기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펌프, 흡인펌프는 정지되어 있으며 블로워는 간헐적으로 짧은 시간 가동되는 상태("빈부하 가동"이라고도 함)인 1단계와; 원수조의 수위가 상한 레벨인 지를 판단하여 상한 레벨인 경우 다음 단계로 이행하고 아닌 경우 1단계로 이행하는 2단계와; 상기 이송펌프, 흡인펌프, 블로워가 평상시 필요한 여과수량에 대응한 가동상태("정상 가동"이라고도 함)가 되는 3단계와; 차압이 설정된 상한 값 이상인가를 판단하여 아닌 경우 다음 단계로 이행하고 상한 값 이상인 경우 6단계로 진행하는 4단계와;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의 기기들의 고장여부를 판단하여 고장인 경우 다음 단계로 진행하고 아닌 경우 2단계로 이행하는 5단계와; 이송펌프, 흡인펌프, 블로워의 가동이 중단되고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의 제어반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예비용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가 상기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의 제어반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자동으로 가동되는 6단계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를 이용한 고액분리 방법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실시예로서 도시된 도1a 및 도1b에서와 같이 수질환경분야의 고액분리공정에서 고액분리의 대상이 되는 원수를 저류하며 이의 부패 내지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저부에 산기수단(100)을 갖춘 원수조(原水槽)(101)와;
상기 원수조(101)의 상측부에 스크러빙조(107)를 구성하고, 상기 스크러빙조 (107)에 내장 설치되는 침지식 막(108)과, 상기 스크러빙조(107)의 일측부에 구성되고 상기 스크러빙조(107)의 원수를 침지식 막(108)을 통하여 흡인한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흡인펌프(104)와, 상기 스크러빙조(107)의 교반을 위한 블로워(103)와, 상기 흡인펌프(104)와 블로워(103)를 제어하는 제어반(105), 여과수량 확인을 위한 유량계(미도시 처리하였음), 막의 파우링(Fouling) 정도의 확인을 위한 차압계(미도시 처리하였음) 등 침지식 막분리 공정에 필요한 부품들로 콤팩트(Compact)하게 조립된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 (112)와;
상기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며 상기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가 갑작스런 고장발생 또는 지나친 차압 상승으로 가동이 중단될 경우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의 제어반(105)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자동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의 제어반(105)과 전기배선으로 연결된 예비용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3)와;
상기 원수조(101)의 수위 상황과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 및 예비용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3)의 가동가능 여부에 따라 원수의 이송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어반(10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원수조(101)에 설치되는 수위센서(110) 및 이송펌프(111)로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스크러빙조(107)에서의 스크러빙(Scrubbing)용 폭기와 교반 또는 적정 용존산소농도 유지용 폭기를 종래와 같이 하나의 산기수단으로 대응하지 않고 각각의 용도에 적합한 전용 산기수단으로 대응하는 것, 즉 동력 대비(對比) 풍량(風量)이 큰 블로워(103)가 요구되는 스크러빙용의 산기수단(109)은, 고수심(高水深)에선 수압이 높아 블로워(Blower)의 풍량이 적어지므로 저수심(106)의 스크러빙조(107)에 설치하고, 수심이 깊을수록 교반 효과와 산소용해 효과가 좋으므로 동력 대비 풍압(風壓)이 높은 블로워(114)가 요구되는 교반 또는 용존산소농도 유지용 산기수단(100)은 고수심(102)의 원수조(101)에 설치되게 함으로써 대풍량(大風量)을 고수심에서 폭기하는 기존의 방식에 비해 동력이 절감되는 것이다.
상기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가 두 단위 이상 설치될 경우 원수의 유입이 적은 시기나 필요한 여과수량이 적은 시기에는 일부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들만의 가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동력을 절감하게 한다.
상기 침지식 막(108)의 클리닝(Cleaning)이 필요한 경우 예비용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3)를 가동시키고, 세정할 메인 막분리 팩키지(112)의 스크러빙조(107) 내의 원수를 흡인펌프(104)에 의해 침지식 막(108)을 통해 흡인하여 여과수를 외부로 드레인(Drain)하여 비우고 침지식 막(108)을 스크러빙조(107)에 내장한 상태로 맑은 물을 채워 스크러빙(Scrubbing)용 폭기로 워싱(Washing)한 후 흡인펌프(104)로 드레인(Drain)하고 세정액(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을 투입하여 소정의 클리닝 (Cleaing)시간 경과 후 세정액을 클리닝할 다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로 옮겨 계속 클리닝을 진행하면서 클리닝한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는 원수조(101)로부터 이송펌프(111)를 통해 원수를 유입시켜 재가동케 하므로써 클리닝 시에도 처리유량의 변화없이 막분리 시설의 지속적인 가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본 발명인 "복수의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를 이용한 고액분리 장치"에서는 갑작스런 고장의 발생시에 고장이 발생한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만이 가동 중단되고 동시에 예비용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3)가 가동됨으로 고장난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의 고장수리가 완료되어 재가동될 때까지 처리유량의 변화없이 막분리 시설의 지속적인 가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인 "복수의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를 이용한 고액분리 장치"에서는 침지식막(108)의 클리닝 시 예비용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3)를 대체 가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충분한 클리닝 시간이 확보되어 유기물성 파우링(Fouling; 막의 사용으로 인해 유기물 및 무기물의 미세한 입자들이 물리·화학적 작용으로 막의 표면 및 내부에 퇴적됨으로써 발생하는 막의 막힘 현상)제거를 위한 1차 클리닝은 물론 무기물성 파우링 제거를 위한 2차 클리닝도 가능하게 하여 충분한 여과수량의 유지와 막의 사용수명 연장에 상당히 기여한다.
상기 본 발명의 장치는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113)들간에 그리고 이들과 다른 장치들간에 구조상 독립적이어서 이동이 자유로우므로 시설용량의 증대 또는 감소의 필요시 장치 단위의 추가나 제거를 통하여 간단히 대응할 수 있게 하며 기존 시설에의 적용시 중장비를 이용한 구조물의 개조나 추가시설을 필요 없게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장치는 기존의 막분리 방식과 달리 인양시설과 세정조는 물론 많은 인력과 비용이 드는 막의 인양과 외부 워싱(Washing) 및 재장착 작업이 필요없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장치는 공장생산 및 운송이 가능한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를 이용하게 함으로써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의 대량생산 방식에 의한 제작비 절감을 통하여 전체 막분리 시설공사비를 낮출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도 2에서와 같은 원수의 유입이 없는 시기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펌프(111), 흡인펌프(104)는 정지되어 있으며 블로워(103)는 간헐적으로 짧은 시간 가동되는 상태("빈부하 가동"이라고도 함)인 1단계(S1)와; 원수조(101)의 수위가 상한 레벨인 지를 판단하여 상한 레벨인 경우 다음 단계로 이행하고 아닌 경우 1단계로 이행하는 2단계(S2)와; 상기 이송펌프(111), 흡인펌프(104), 블로워(103)가 평상시 필요한 여과수량에 대응한 가동상태("정상 가동"이라고도 함)가 되는 3단계(S3)와; 차압이 설정된 상한 값 이상인가를 판단하여 아닌 경우 다음 단계로 이행하고 상한 값 이상인 경우 6단계(S6)로 진행하는 4단계(S4)와;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의 기기들의 고장여부를 판단하여 고장인 경우 다음 단계로 진행하고 아닌 경우 2단계(S2)로 이행하는 5단계(S5)와; 이송펌프(111), 흡인펌프(104), 블로워 (103)의 가동이 중단되고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의 제어반(10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예비용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3)가 상기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의 제어반(105)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자동으로 가동되는 6단계(S6)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를 이용한 고액분리 방법이 제공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인 상기 "복수의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를 이용한 고액분리 방법"에는 하나의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가 갑작스런 차압의 상승이나 기기의 고장으로 인해 가동이 중단될 때 상기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의 제어반(10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예비용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3)가 상기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의 제어반(105)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자동으로 가동됨으로 기기의 고장으로 인한 전체 막분리 공정이 중단되는 상황은 물론 처리량의 영향도 없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인 "복수의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를 이용한 고액분리 방법"에서 원수의 유입이 없는 시기나 필요한 여과수량이 없는 시기에 블로워(103)의 가동을 최소화 할 수 있게 하여 동력을 절감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복수의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를 이용한 고액분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고액분리 시설의 운전을 위한 동력비 및 침지식막의 세정비를 포함한 유지 관리비를 절감되게 할 뿐 아니라 하나의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에 대한 구조와 가동방법을 숙지하므로써 모든 고액분리 시설의 관리도 가능하게 하며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의 구조가 단순하고 기기들이 작은 공간에 밀집되어 있어 비전문가도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의 구조와 가동상황을 쉽게 숙지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본 발명을 적용하면 빌딩내의 고액분리 시설을 할 경우 전체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의 원수 저류용량에 비례하여 시설 연면적을 넓힌 효과가 있어 시설면적을 절감하게 되며, 활성오니법의 기존 상업시설에 대해 처리수질 강화공사나 처리용량 확장공사를 할 경우 영업의 장애나 중단 없이 실행할 수 있게 하며, 중장비의 진입이 어려운 기존 시설의 보강공사를 할 경우에도 어려움 없이 공사의 실행이 가능하다.
세째, 본 발명을 적용한 시설의 경우 설치비가 높은 원격제어장치 없이 원격감시 만으로도 안전한 무인운전이 가능하다.
네째, 본 발명은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에 대해 대량생산을 목표로 하게 함으로써 매뉴얼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품질보증을 가능하게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複數)의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를 이용한 고액분리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複數)의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를 이용한 고액분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있어서 종래 장치 및 방법의 한 예의 구성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따른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산기수단 101: 원수조
102: 고수심 103: 블로워
104: 흡인펌프 105: 제어반
106: 저수심 107: 스크러빙조
108: 침지식막 109: 스크러빙용 산기수단
110: 수위센서 111: 이송펌프
112: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 113: 예비용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
114: 블로워

Claims (2)

  1. 수질환경분야의 고액분리공정에서 고액분리의 대상이 되는 원수를 저류하며 이의 부패 내지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저부에 산기수단(100)을 갖춘 원수조(101)와;
    상기 원수조(101)의 상측부에 스크러빙조(107)를 구성하고, 상기 스크러빙조 (107)에 내장 설치되는 침지식 막(108)과, 상기 스크러빙조(107)의 일측부에 구성되고 상기 스크러빙조(107)의 원수를 침지식 막(108)을 통하여 흡인한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흡인펌프(104)와, 상기 스크러빙조(107)의 교반을 위한 블로워(103)와, 상기 흡인펌프(104)와 블로워(103)를 제어하는 제어반(105), 여과수량 확인을 위한 유량계, 막의 파우링(Fouling) 정도의 확인을 위한 차압계, 상기 침지식 막분리 공정에 필요한 부품들로 콤팩트(Compact)하게 조립된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와;
    상기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며 상기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가 갑작스런 고장발생 또는 지나친 차압 상승으로 가동이 중단될 경우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의 제어반(105)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자동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의 제어반(105)과 전기배선으로 연결된 예비용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3)와;
    상기 원수조(101)의 수위 상황과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 및 예비용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3)의 가동가능 여부에 따라 원수의 이송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어반(10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원수조(101)에 설치되는 수위센서(110) 및 이송펌프(11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를 이용한 고액분리 장치.
  2. 원수의 유입이 없는 시기에 대응하여 이송펌프(111), 흡인펌프(104)는 정지되어 있으며 블로워(103)는 간헐적으로 짧은 시간 가동되는 상태인 1단계(S1)와;
    원수조(101)의 수위가 상한 레벨인 지를 판단하여 상한 레벨인 경우 다음 단계로 이행하고 아닌 경우 1단계로 이행하는 2단계(S2)와;
    상기 이송펌프(111), 흡인펌프(104), 블로워(103)가 평상시 필요한 여과수량에 대응한 가동상태가 되는 3단계(S3)와;
    차압이 설정된 상한 값 이상인가를 판단하여 아닌 경우 다음 단계로 이행하고 상한 값 이상인 경우 6단계(S6)로 진행하는 4단계(S4)와;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의 기기들의 고장여부를 판단하여 고장인 경우 다음 단계로 진행하고 아닌 경우 2단계(S2)로 이행하는 5단계(S5)와;
    이송펌프(111), 흡인펌프(104), 블로워 (103)의 가동이 중단되고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의 제어반(10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예비용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3)가 상기 메인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112)의 제어반(105)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자동으로 가동되는 6단계(S6)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를 이용한 고액분리 방법.
KR10-2002-0069558A 2002-11-11 2002-11-11 복수의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를 이용한 고액분리 장치 및그 방법 KR100472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558A KR100472278B1 (ko) 2002-11-11 2002-11-11 복수의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를 이용한 고액분리 장치 및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558A KR100472278B1 (ko) 2002-11-11 2002-11-11 복수의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를 이용한 고액분리 장치 및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306A KR20020092306A (ko) 2002-12-11
KR100472278B1 true KR100472278B1 (ko) 2005-03-11

Family

ID=2772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558A KR100472278B1 (ko) 2002-11-11 2002-11-11 복수의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를 이용한 고액분리 장치 및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22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302B1 (ko) 2003-07-14 2007-07-18 주식회사 코오롱 염분을 함유하는 원수의 담수화 전처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3506A (en) * 1979-11-16 1981-06-18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Washing method for module pressure-tight pipe for membrane separation
JPH06328089A (ja) * 1993-05-24 1994-11-29 Ebara Infilco Co Ltd 水処理装置
KR19980022981A (ko) * 1996-09-25 1998-07-06 김종진 집진기의 필터 자동 교환장치
JPH1147519A (ja) * 1997-07-30 1999-02-23 Kozo Kojima 風呂用循環式浄化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3506A (en) * 1979-11-16 1981-06-18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Washing method for module pressure-tight pipe for membrane separation
JPH06328089A (ja) * 1993-05-24 1994-11-29 Ebara Infilco Co Ltd 水処理装置
KR19980022981A (ko) * 1996-09-25 1998-07-06 김종진 집진기의 필터 자동 교환장치
JPH1147519A (ja) * 1997-07-30 1999-02-23 Kozo Kojima 風呂用循環式浄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302B1 (ko) 2003-07-14 2007-07-18 주식회사 코오롱 염분을 함유하는 원수의 담수화 전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306A (ko) 200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890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vertical lift decanter system in a water treatment system
US7556730B2 (en) Reclaimed water reuse device
KR20080074222A (ko) 역세정 체적 감소 프로세스
JP2009154156A (ja) 嫌気性水処理装置
KR100472278B1 (ko) 복수의 침지식 막분리 팩키지를 이용한 고액분리 장치 및그 방법
JP4358174B2 (ja) 嫌気性水処理装置
CN218924072U (zh) 快速沉淀膜系统
JP2000167555A (ja) 浸漬膜の洗浄方法
JP5025672B2 (ja) 膜分離装置
JP2000061491A (ja) 嫌気性水処理装置
JP2006043705A (ja) 嫌気性水処理装置
CN209468274U (zh) 基于mbr膜工艺的自动控制双膜互反洗污水处理设备
KR100563987B1 (ko) 호소수용 취수 및 정수 장치의 자동화시스템
KR100414688B1 (ko) 침전 및 생물막여과조를 이용한 오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416535B1 (ko) 분리막모듈을 이용한 부력형 고도 수처리장치
KR100566057B1 (ko) 오존을 이용한 폐수 여과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1011173A (ja) 濾過膜モジュール洗浄方法および洗浄装置
JP2001334130A (ja) 流量調整機能付き膜分離ユニット
CN216639079U (zh) 异构污水过滤装置
KR102464092B1 (ko) 소켓형 분리막 여과기를 이용한 하수 처리 시스템
KR102614473B1 (ko) Mbr이 구비된 혼합형 하수처리 시스템
US11833451B2 (en) Compact extractable self-contained decanter assembly
KR20120129755A (ko) 개별 제어가 가능한 수처리 장치
CN216703970U (zh) 一种膜系统的离线膜清洗装置
JP7284545B1 (ja) 膜ろ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浄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