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2236B1 - 차량용 선바이저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선바이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236B1
KR100472236B1 KR10-2002-0038389A KR20020038389A KR100472236B1 KR 100472236 B1 KR100472236 B1 KR 100472236B1 KR 20020038389 A KR20020038389 A KR 20020038389A KR 100472236 B1 KR100472236 B1 KR 100472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y
relative movement
sun visor
movement means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8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3638A (ko
Inventor
문태오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8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2236B1/ko
Publication of KR20040003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3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2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선바이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루프 패널 일측에 고정되며, 중공형의 스테이 장착부(12)를 구비하여 상기 스테이 장착부(12)의 내주면에 제1상대운동수단(16)이 형성된 홀더(10); 상기 스테이 장착부(12)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부(22)와 일체로 절곡 형성된 지지부(24)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22)의 외주면에는 제2상대운동수단(26)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10)에 장착된 상태로 회동 조작시에 상기 제1 및 제2상대운동수단(16,26)의 상대 운동에 의해 상하 방향의 움직임을 갖는 스테이(20); 상기 스테이(20)의 지지부(24)가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는 선바이저(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선바이저가 도어 윈도우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도 차광성 저하부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태양광에 의한 운전자의 시야 장애를 방지해주며, 이를 통해 차량의 주행 안전성을 향상시켜 준다.

Description

차량용 선바이저 구조{SUNVISOR STRUCTUR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선바이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루프 패널 전방측에 설치되어 스테이로 지지되며 도어측 태양광을 차단하기 위하여 도어 윈도우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선바이저의 구조로서, 특히 도어 윈도우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도 차광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형성된 차량용 선바이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선바이저(Sunvisor)는 차실내의 운전석 또는 조수석 전방의 탑실링(Top Ceiling)에 설치되는 내장품으로서, 태양의 직사광이나 반사광 등이 차량의 전방 또는 측방으로 직접 조사되어 운전자나 탑승자의 시야 장애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선바이저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선바이저의 일사용예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일반적인 차량용 선바이저는 차실내의 탑실링(1)에 설치된 홀더(10)와, 상기 홀더(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테이(20)와, 상기 스테이(20)가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홈(31)이 상단부에 형성된 선바이저(30)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차량용 선바이저는 차 실내의 루프 패널 전방쪽 탑실링(1)에 설치된 홀더(10)에 스테이(20)가 취부된 후, 상기 스테이(20)가 선바이저(30)의 삽입홈(31)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선바이저(30)가 스테이(20)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차량의 전방 상부로 태양광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스테이(20)에 결합된 선바이저(30)가 적절한 각도로 상하 회동되어 운전자의 시야로 직접 비춰지는 광선이 차단되게 된다.
또한, 측면의 도어 윈도우측으로 태양광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홀더(10)를 중심으로 스테이(20)가 도어 윈도우측으로 적절하게 회동되어 운전자의 시야 측면부로 비춰지는 광선이 차단되게 된다.
한편, 종래의 선바이저는 측면부로 유입되는 태양광을 차단하기 위하여 스테이를 도어 윈도우측으로 회동시키는 때에, 루프 패널측에 설치된 다른 내장품과의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테이의 설치 각도가 적절하게 조절된다.
특히, 루프 패널측에 수납 공간 확보를 위해 루프 콘솔 등이 설치되는 상용차의 경우에 상기의 구조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조의 선바이저는 스테이를 도어 윈도우측으로 회동시키는 경우에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선바이저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일측이 경사진 상태로 처지게 되므로, 태양광이 틈새로 유입되는 차광성 저하부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차광성 저하부로 태양광이 유입되면 운전자의 시야 측면부로 태양광이 직접 비춰지게 되고, 선바이저 소정의 태양광 차단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루프 패널 전방측에 설치되어 스테이로 지지되며 도어측 태양광을 차단하기 위하여 도어 윈도우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선바이저의 구조로서, 도어 윈도우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도 차광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형성된 차량용 선바이저 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 패널 일측에 고정되며, 중공형의 스테이 장착부(12)를 구비하여 상기 스테이 장착부(12)의 내주면에 제1상대운동수단(16)이 형성된 홀더(10); 상기 스테이 장착부(12)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부(22)와 일체로 절곡 형성된 지지부(24)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22)의 외주면에는 제2상대운동수단(26)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10)에 장착된 상태로 회동 조작시에 상기 제1 및 제2상대운동수단(16,26)의 상대 운동에 의해 상하 방향의 움직임을 갖는 스테이(20); 상기 스테이(20)의 지지부(24)가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는 선바이저(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상대운동수단(16)은 스테이 장착부(12)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 핀이며, 상기 제2상대운동수단(26)은 상기 고정부(22)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상대운동수단(16)은 스테이 장착부(12)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이며, 상기 제2상대운동수단(26)은 상기 고정부(22)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대략 포물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본 발명은, 홀더(10)의 스테이 장착부(12)를 관통하여 스테이(20)의 고정부(22)가 돌출되며, 상기 고정부(22)의 단부와 스테이 장착부(12) 사이에 스프링(40)이 구비되어, 스테이(20)의 상하 방향의 움직임시에 상호 밀착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바이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바이저의 스테이의 상세 구성도이다.차량의 루프 패널 일측에 홀더(10)가 스크류로 고정되는데, 홀더(10)에는 루프 패널측과 결합되는 고정판에 중공형의 스테이 장착부(1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 장착부(12)의 내주면에는 제1상대운동수단(16)이 형성된다. 스테이(20)는 상기 스테이 장착부(12)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부(22) 및 이와 일체로 절곡 형성된 지지부(24)로 구성되는데, 상기 고정부(22)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상대운동수단(16)이 맞물린 후 슬라이딩 가능도록 제2상대운동수단(26)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상대운동수단(16)으로서 스테이 장착부(12)의 내주면에 가이드 핀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상대운동수단(26)으로서는 상기 고정부(22)의 외주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린다.상기 가이드 홈은 상측으로 만곡부가 형성된 대략 포물선 형상으로 이뤄지므로, 상기 스테이(20)가 홀더(10)에 장착된 상태로 회동 조작될 때 핀 형상의 제1상대운동수단(16)이 제2상대운동수단(26)에 맞물린 후, 포물선 형상의 가이드 홈으로 이루어진 제2상대운동수단(26)으로 이동하게 된다.즉, 스테이(20)가 전방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측면의 도어 윈도우 측으로 회동되면, 제1상대운동수단(16)의 가이드 핀이 제2상대운동수단(26)의 포물선 형상의 가이드 홈에 의해 상하 방향의 상대운동을 하게 되어, 스테이(20)가 포물선 형상에 따라 약간 하방으로 내려왔다가 다시 올라가는 형태로 움직이게 된다.이러한 상하 방향의 운동에 의해 스테이(20)와 루프 패널측에 설치된 다른 내장품과의 간섭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며, 스테이(20)가 도어 윈도우 측에 최종 위치된 상태에서는 다시 상방 위치로 복귀하므로, 태양광이 틈새로 유입되는 차광성 저하부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한편, 스테이(20)의 고정부(22)는 홀더(10)의 스테이 장착부(12)를 관통하여 돌출되며, 상기 고정부(22)의 단부와 스테이 장착부(12) 사이에는 스프링(30)이 구비되어, 스테이(20)의 상하 방향의 움직임시에 적절하게 상호 밀착력을 부여하게 된다.상기 스테이(20)의 지지부(24)는 길이 방향으로 선바이저(30)에 삽입되며, 선바이저(30)는 지지부(24)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의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한편,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상대운동수단(16)으로서 스테이 장착부(12)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 핀이 사용되고, 상기 제2상대운동수단(26)으로서는 상기 고정부(22)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이 사용되지만, 이와 반대로도 물론 구성될 수 있다.즉, 상기 제1상대운동수단(16)으로서 스테이 장착부(12)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이 사용되며, 상기 제2상대운동수단(26)으로서는 상기 고정부(22)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 핀이 사용될 수도 있다.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선바이저의 작동 상태도로서, 본 실시예에 의한 선바이저가 차량 전방측에서 도어 윈도우측으로 회동되는 작동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의 각각은 상기한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에서 권리로서 청구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 물론 포함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은 본 발명 차량용 선바이저 구조는, 선바이저가 도어 윈도우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도 차광성 저하부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태양광에 의한 운전자의 시야 장애를 방지해주며, 이를 통해 차량의 주행 안전성을 향상시켜 준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선바이저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선바이저의 일사용예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바이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바이저의 스테이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선바이저의 작동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홀더 12: 스테이 장착부
16: 제1상대운동수단 20: 스테이
22: 고정부 24: 지지부
26: 제2상대운동수단 30: 선바이저
40: 스프링

Claims (5)

  1. 차량의 루프 패널 일측에 고정되며, 중공형의 스테이 장착부(12)를 구비하여 상기 스테이 장착부(12)의 내주면에 제1상대운동수단(16)이 형성된 홀더(10);
    상기 스테이 장착부(12)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부(22)와 일체로 절곡 형성된 지지부(24)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22)의 외주면에는 제2상대운동수단(26)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10)에 장착된 상태로 회동 조작시에 상기 제1 및 제2상대운동수단(16,26)의 상대 운동에 의해 상하 방향의 움직임을 갖는 스테이(20);
    상기 스테이(20)의 지지부(24)가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는 선바이저(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대운동수단(16)은 스테이 장착부(12)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 핀이며, 상기 제2상대운동수단(26)은 상기 고정부(22)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대운동수단(16)은 스테이 장착부(12)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이며, 상기 제2상대운동수단(26)은 상기 고정부(22)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구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대략 포물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홀더(10)의 스테이 장착부(12)를 관통하여 스테이(20)의 고정부(22)가 돌출되며, 상기 고정부(22)의 단부와 스테이 장착부(12) 사이에 스프링(40)이 구비되어, 스테이(20)의 상하 방향의 움직임시에 상호 밀착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구조.
KR10-2002-0038389A 2002-07-03 2002-07-03 차량용 선바이저 구조 KR100472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389A KR100472236B1 (ko) 2002-07-03 2002-07-03 차량용 선바이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389A KR100472236B1 (ko) 2002-07-03 2002-07-03 차량용 선바이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638A KR20040003638A (ko) 2004-01-13
KR100472236B1 true KR100472236B1 (ko) 2005-03-08

Family

ID=37314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389A KR100472236B1 (ko) 2002-07-03 2002-07-03 차량용 선바이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22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9511A (ja) * 1982-08-09 1984-02-16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遮光装置
KR970029389U (ko) * 1995-12-13 1997-07-24 높이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선바이저
KR19980052070A (ko) * 1996-12-24 1998-09-25 김영귀 자동차용 선바이저구조
KR19980061669U (ko) * 1997-03-27 1998-11-16 김영귀 차량용 선바이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9511A (ja) * 1982-08-09 1984-02-16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遮光装置
KR970029389U (ko) * 1995-12-13 1997-07-24 높이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선바이저
KR19980052070A (ko) * 1996-12-24 1998-09-25 김영귀 자동차용 선바이저구조
KR19980061669U (ko) * 1997-03-27 1998-11-16 김영귀 차량용 선바이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638A (ko) 200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8131A (en) Car sun visor with adjustable panel
US4836599A (en) Vehicle visor installation
KR100472236B1 (ko) 차량용 선바이저 구조
US5613724A (en) Glare reducing visor for vehicles
JPH0318282Y2 (ko)
US4971381A (en) Hinge mounted sun visors for automobiles
CN220511174U (zh) 地下停车场用防眩光监控摄像头
JP3232035U (ja) 自動車用補助サンバイザー
KR200305643Y1 (ko) 차내 접안식 선바이져
KR0137877Y1 (ko) 자동차의 이동식 선바이져
KR0135967Y1 (ko) 루프패널에 설치된 자동차 뒷좌석 확인용 안전미러
KR19980056639A (ko) 자동차의 선바이저
KR200258954Y1 (ko) 자동차용 보조 선 바이저
KR200337401Y1 (ko) 자동차의 도어 개폐 장치
KR100419116B1 (ko) 차량의 선바이저 조립구조
KR19980061669U (ko) 차량용 선바이저
KR20040053618A (ko) 자동차용 썬바이저
KR100736967B1 (ko) 선바이저 어셈블리
KR200146066Y1 (ko)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고정구조
KR19980044335U (ko) 자동차의 선바이저장치
KR100521687B1 (ko) 자동차용 선 바이저
KR970005210Y1 (ko) 자동차용 룸램프차광판의 취부구조
KR0140686Y1 (ko) 자동차용 도어 미러
KR19980056640A (ko) 자동차의 선바이저
KR20010016992A (ko) 자동차의 선 바이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