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1094B1 - 오일 필터용 릴리프 밸브 및 오일 필터 - Google Patents

오일 필터용 릴리프 밸브 및 오일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1094B1
KR100471094B1 KR10-2002-0061678A KR20020061678A KR100471094B1 KR 100471094 B1 KR100471094 B1 KR 100471094B1 KR 20020061678 A KR20020061678 A KR 20020061678A KR 100471094 B1 KR100471094 B1 KR 100471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valve
support
valve body
relief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0941A (ko
Inventor
오오하시요시히로
오가와다다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030030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0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0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10Safety devices, e.g. by-p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10Safety devices, e.g. by-passes
    • B01D27/103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10Safety devices, e.g. by-passes
    • B01D27/106Anti-leakage or anti-retur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afety Valv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릴리프 밸브 (10) 는, 밸브 시트 (16) 와, 이 밸브 시트 (16) 의 개구부 (24) 를 폐쇄할 수 있는 밸브체 (17) 와, 이 밸브체 (17) 를 폐쇄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코일형상 스프링 (18) 과, 이 스프링 (18) 을 상기 밸브 시트 (16) 와의 사이에 장착하는 스프링 지지체 (19) 를 구비한다. 이 스프링 지지체 (19) 는, 상기 밸브체 (17) 의 빔부 (28) 의 끝단부 (29) 와 끼워 맞출 수 있는 1쌍의 오목부 (33) 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 릴리프 밸브 (10) 에 의하면, 장착상태에 있어서, 밸브체 (17) 와 스프링 지지체 (19) 를 스프링 (18) 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근접시킨 후, 서로를 상대회전시키면, 스프링 (18)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밸브체 (17), 스프링 지지체 (19), 스프링 (18) 및 밸브 시트 (16) 가 바로 분리된다.

Description

오일 필터용 릴리프 밸브 및 오일 필터 {RELIEF VALVE FOR OIL FILTER AND OIL FILTER}
본 발명은 오일 중에 혼입되는 이물 (foreign matter) 을 여과하는 오일 필터용 릴리프 밸브 및 오일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장착ㆍ분해하기 쉬운 오일 필터용 릴리프 밸브 및 오일 필터에 관한 것이다.
오일 필터로서,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갖는 케이싱내에 여과체를 구비하고, 오일 펌프 등의 작용에 의해 유입구에서 유입되는 오일 중의 더스트 등을 여과체로 여과하고, 그 여과 완료된 오일을 유출구로부터 토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오일 필터에서는, 오일 중에 함유되는 더스트 등에 의해 여과체가 일정 이상 폐쇄되거나, 고점도의 오일이 유입된 경우, 여과체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압력차가 매우 커지고, 이것이 여과체 파손 등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통상 오일 필터에는, 여과체의 상류측 및 하류측을 격리할 수 있는 한편, 그 상류측 및 하류측의 압력차에 의해 양 측을 바이패스 연결할 수 있는 릴리프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오일 필터용 릴리프 밸브로서, 예컨대 US 특허 제 3807561호에는, 여과체의 상류측 및 하류측을 연결하는 개구부를 갖는 밸브 시트와, 이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는 밸브체와, 이 밸브체를 폐쇄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코일형상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는, 탄성변형가능한 2개의 지주부 각각의 선단측에 걸어맞춤 클릭부를 일체로 갖고, 이 걸어맞춤 클릭부와 밸브 시트 사이에 상기 코일형상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 릴리프 밸브에서는, 평상시에는, 코일형상 스프링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밸브체가 밸브 시트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한편, 상류측이 하류측에 비하여 매우 고압력으로 된 경우에는, 코일형상 스프링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밸브체가 밸브 열림방향으로 변위되고, 밸브 시트의 개구부가 개방 (open) 되어 오일을 흘려보내도록 되어 있다.
또 예컨대 일본 특허공표공보 평5-501827호에는, 전술한 릴리프 밸브와 대략 동일한 구성으로, 2개 1쌍으로 1세트가 되는 밸브체의 지주부를 2세트 구비하고, 이들 각 세트마다 지주부의 높이 치수가 다른 값으로 설정되고, 일방의 세트의 지주부에 설치한 걸어맞춤 클릭부가 파손되어도 타방의 세트의 지주부에 설치한 걸어맞춤 클릭부에서 릴리프 밸브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오일 필터용 릴리프 밸브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US 특허 제 3807561호 및 일본 특허공표공보 평5-501827호에 기재된 릴리프 밸브에서는, 장착작업에 있어서, 밸브체의 걸어맞춤 클릭부 및 지주부를 밸브 시트의 개구부에 삽입 통과시킨 후, 이 밸브체의 지지부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코일형상 스프링을 삽입 통과시키고, 걸어맞춤 클릭부와 코일형상 스프링의 압접에 의해 지주부를 중심방향으로 휘게 하면서 코일형상 스프링이 장착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비교적 간단하게 장착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 US 특허 제 3807561호 및 일본 특허공표공보 평5-501827호에 기재된 릴리프 밸브에서는, 분해작업에 있어서,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조작하여 지주부를 강제적으로 휘게 하면서 코일형상 스프링을 떼어내고, 밸브 시트 및 밸브체의 분별이 실시된다.
그러나, 상기 US 특허 제 3807561호에 기재된 릴리프 밸브에서는, 지주부의 단면적이 비교적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분해작업에 있어서, 작업자가 지주부를 강제적으로 휘게 하는 것 자체가 곤란한 작업이다. 또 지주부를 강제적으로 휘게 한 상태를 유지하여, 걸어맞춤 클릭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코일형상 스프링을 떼어내는 것은 매우 곤란한 작업이다. 즉, 코일형상 스프링을 떼어내는 도중에, 걸어맞춤 클릭부가 코일형상 스프링에 걸리기 쉬워 분해작업에 시간이 걸린다.
또 상기 일본 특허공표공보 평5-501827호에 기재된 릴리프 밸브는, 각 지주부의 단면적이 비교적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US 특허 제 3807561호에 기재된 릴리프 밸브에 비하여, 지주부를 강제적으로 휘게 하기 쉽게 되어 있다. 그러나 지주부 및 걸어맞춤 클릭부의 개수가 많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코일형상 스프링을 떼어내는 도중에 걸어맞춤 클릭부가 코일형상 스프링에 빈번하게 걸린다.
최근, 자동차 등의 차량설계시에 리사이클성 등의 환경대책이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 사용되는 오일 필터에 관해서도, 예외없이 재료선정부터 폐각시의 분별성까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장착하지 쉽고, 또한 분해도 용이한 오일 필터용 릴리프 밸브 및 오일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은, 여과체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격리할 수 있는 한편, 이 상류측과 이 하류측의 압력차에 의해 이 상류측과 이 하류측을 연결할 수 있는 오일 필터용 릴리프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 릴리프 밸브는, 상기 상류측과 상기 하류측을 연결하는 개구부를 갖는 밸브 시트와, 이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는 밸브체와, 이 밸브체를 이 개구부의 폐쇄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이 스프링을 상기 밸브 시트 사이에 장착하는 스프링 지지체를 갖는다. 상기 밸브체는, 걸어맞춤부를 갖고, 상기 스프링 지지체는, 이 걸어맞춤부에 걸거나 벗길 수 있는 피걸어맞춤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의 릴리프 밸브에 의하면, 장착상태에 있어서, 밸브체의 탄성지지용의 스프링을 이용하여 밸브체의 걸어맞춤부와 스프링 지지체의 피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밸브체의 걸어맞춤부와 스프링 지지체의 피걸어맞춤부를 걸거나 벗김으로써, 밸브체, 밸브 시트, 스프링 및 스프링 지지체를 장착ㆍ분해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착하기 쉽고, 또한 분해도 용이한 릴리프 밸브를 제공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또 상기 스프링은, 상기 걸어맞춤부 및 상기 피걸어맞춤부 중 적어도 한쪽이 삽입 통과할 수 있는 내경을 갖는 코일형상 스프링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릴리프 밸브의 장착ㆍ분해작업시에, 걸어맞춤부 또는 피걸어맞춤부에 걸리지 않고 코일형상 스프링을 장착ㆍ떼어낼 수 있어, 더욱 장착ㆍ분해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지지방향에 직교하는 걸어맞춤면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피걸어맞춤부는, 상기 밸브체와 상기 스프링 지지체를 상기 스프링의 탄성지지방향 둘레로 상대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걸어맞춤면과 걸거나 벗길 수 있는 피걸어맞춤면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밸브체 및 스프링 지지체의 상대 회전에 의해 걸어맞춤부와 피걸어맞춤부를 걸거나 벗기도록 하면, 보다 장착ㆍ분해하기 쉬운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릴리프 밸브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걸어맞춤부와 피걸어맞춤부를 확실하고 강고하게 걸어맞춰 유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밸브체는,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밸브부와, 이 밸브부로부터 일방측으로 신장되는 지주부를 갖고, 이 지주부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걸어맞춤부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지지체는,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이 지지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걸어맞춤부가 삽입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피걸어맞춤부는, 상기 개구부의 주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스프링 지지체는, 상기 개구부에 밸브체의 걸어맞춤부를 삽입 통과시킨 상태에서, 밸브체 및 스프링 지지체의 상대회전에 의해 걸어맞춤부와 피걸어맞춤부를 걸거나 벗길 수 있다. 따라서 릴리프 밸브는, 보다 장착ㆍ분해하기 쉬워진다. 또한, 릴리프 밸브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걸어맞춤부와 피걸어맞춤부를 보다 확실하고 강고하게 걸어맞춰 유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밸브체와 상기 스프링 지지체가 동일한 형상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부품의 공통화에 의해 생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체는, 상기 걸어맞춤부를 지지하는 탄성변형가능한 지지부를 가질 수도 있다. 또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지지방향에 직교하는 걸어맞춤면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피걸어맞춤부는, 상기 지지부의 탄성변형을 수반하여, 상기 밸브체와 상기 스프링 지지체를 상기 스프링의 탄성지지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걸어맞춤면과 걸거나 벗길 수 있는 피걸어맞춤면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지지부의 탄성변형을 수반하는 상기 밸브체 및 스프링 지지체의 상대이동에 의해 걸어맞춤부 및 피걸어맞춤부를 걸거나 벗길 수 있다. 따라서 릴리프 밸브는, 보다 장착ㆍ분해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은, 여과체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격리할 수 있는 한편, 이 상류측과 이 하류측의 압력차에 의해 이 상류측과 이 하류측을 연결할 수 있는 오일 필터용 릴리프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 릴리프 밸브는, 상기 상류측과 상기 하류측을 연결하는 개구부를 갖는 밸브 시트와, 이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는 밸브체와, 이 밸브체를 이 개구부의 폐쇄방향을 향하여 탄성지지하는 판형상 스프링을 갖는다. 또 상기 밸브체는 걸어맞춤부를 갖는다. 상기 판형상 스프링은, 이 걸어맞춤부에 걸거나 벗길 수 있는 피걸어맞춤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의 릴리프 밸브에 의하면, 장착상태에 있어서, 밸브체의 걸어맞춤부와 판형상 스프링의 피걸어맞춤부를 판형상 스프링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걸어맞춰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밸브체의 걸어맞춤부와 판형상 스프링의 피걸어맞춤부를 걸거나 벗김으로써, 밸브체, 밸브 시트 및 판형상 스프링을 장착ㆍ분해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착하기 쉽고, 또한 분해도 용이한 릴리프 밸브를 제공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또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판형상 스프링의 탄성지지방향에 직교하는 걸어맞춤면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피걸어맞춤부는, 상기 밸브체와 상기 판형상 스프링을 상기 판형상 스프링의 탄성지지방향 둘레로 상대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걸어맞춤면과 걸거나 벗길 수 있는 피걸어맞춤면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밸브체 및 판형상 스프링의 상대회전에 의해 걸어맞춤부와 피걸어맞춤부를 걸거나 벗길 수 있다. 따라서 릴리프 밸브는, 보다 장착ㆍ분해하기 쉬워진다. 또한 릴리프 밸브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걸어맞춤부와 피걸어맞춤부를 확실하고 강고하게 걸어맞춰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체는,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밸브부와, 이 밸브부로부터 한 방향으로 신장되는 지주부와, 이 지주부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상기 걸어맞춤부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판형상 스프링은, 상기 밸브 시트에 맞닿는 맞닿음부와, 상기 걸어맞춤부가 삽입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와, 이 개구부의 주위에 설치되는 상기 피걸어맞춤부를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판형상 스프링은, 상기 개구부에 밸브체의 걸어맞춤부를 삽입 통과시킨 상태에서, 밸브체 및 판형상 스프링의 상대회전에 의해 걸어맞춤부 및 피걸어맞춤부를 걸거나 벗길 수 있다. 따라서 릴리프 밸브는, 보다 장착ㆍ분해하기 쉬워진다. 또한 릴리프 밸브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걸어맞춤부와 피걸어맞춤부를 보다 확실하고 강고하게 걸어맞춰 유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릴리프 밸브와, 이 릴리프 밸브에 의해 폐쇄할 수 있는 개구부를 갖는 여과체와, 이 릴리프 밸브 및 이 여과체를 수납하는 케이싱을 갖는 오일 필터도 본 발명의 범주이다.
이 오일 필터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스프링 (판형상 스프링을 포함) 에 의해 폐쇄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밸브체가 밸브 시트의 개구부를 폐쇄하고, 여과체에 의해 오일이 여과된다. 한편, 여과체의 상류측이 하류측에 비하여 매우 고압력이 되면, 이 압력차에 의해 밸브체는 스프링 (판형상 스프링을 포함) 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밸브 열림방향으로 변위되고, 상류측과 하류측이 바이패스 연결되어 오일이 흐른다. 따라서 상류측과 하류측의 이상한 압력차에 의해 여과체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착하기 쉽고 분해도 용이한 오일 필터를 제공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오일 필터 (1) 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 오일 필터 (1) 는, 소위 「스핀온형」의 오일 필터로, 예컨대 자동차 등의 차량 엔진 윤활계 회로의 도중에 적절한 고정수단을 통해 설치되고, 엔진 오일중에 혼입되는 먼지 (더스트), 금속 마모편이나 슬러지 등의 이물을 여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오일 필터 (1) 는,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케이스 부재 (2) 와, 이 케이스 부재 (2) 의 일단 개구부를 폐쇄하는 (close) 보톰 플레이트 (bottom plate; 3) 로 이루어지는 케이싱 (4) 과, 이 케이싱 (4) 내에 수납되는 여과체 (5) 및 후술하는 릴리프 밸브 (10) 를 기본적으로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 (4) 의 보톰 플레이트 (3) 에는, 그 중앙부에 1개의 오일 유출구 (6) 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오일 유출구 (6) 의 주위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오일 유입구 (7)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여과체 (5) 는, 다수의 투과 구멍을 갖는 금속제의 통부재 (8) 의 외주측에 주름형상의 여과지 (9) 를 장착하여 구성된다. 이 여과체 (5) 는, 그 상단 개구부가 릴리프 밸브 (10) 에 의해 폐쇄되고, 그 하단 개구부에 보톰 플레이트 (3) 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여과체 (5) 는, 체크 밸브 (14) 를 통해 보톰 플레이트 (3) 와 시일 부재 (15) 를 통해 릴리프 밸브 (10) 사이에 끼워지고, 케이스 부재 (2) 내에 이것과 동축상에 배치된다. 또 이 여과체 (5) 에 의해, 케이싱 (4) 내의 공간은, 오일 유입구 (7) 에 연결되고 또한 여과체 (5) 의 상류측이 되는 유로 (11) 와, 오일 유출구 (6) 에 연결되고 또한 여과체 (5) 의 하류측이 되는 유로 (12) 로 분할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밸브 시트 (16) 에는,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결부 (35) 가 형성되어 있고, 유로 (11) 는 케이스 부재 (2) 와 밸브 시트 (16) 사이의 공간에 도달해 있다.
(제 1 실시형태)
(1) 릴리프 밸브의 구조
이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릴리프 밸브 (10) 는, 도 3 ∼ 도 5 에 나타낸다. 도 4,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로 (11) 와 유로 (12) 를 직접 연결할 수 있는 개구부 (24) 를 갖는 금속판제의 밸브 시트 (16) 와, 이 개구부 (24) 를 폐쇄할 수 있는 합성수시제의 밸브체 (17) 와, 이 밸브체 (17) 를 개구부 (24) 의 폐쇄방향을 향하여 탄성지지하는 원통형의 코일형상 스프링 (18 ; 본 발명의 스프링으로 간주할 수 있음. 이하 간단히 스프링이라고도 약기함) 과, 이 스프링 (18) 을 상기 밸브 시트 (16) 사이에 장착되는 금속판제의 스프링 지지체 (19) 를 기본적으로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밸브 시트 (16) 는, 전체적으로 모자를 거꾸로 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24) 를 갖는 원추대형의 통형상부 (20) 와, 이 통형상부 (20) 의 기단측의 외주로 이어져 만곡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신장되는 연락부 (21) 와, 이 연락부 (21) 의 바깥 가장자리측으로 상기 케이스 부재 (2) 의 저면에 맞닿는 R형상의 맞닿음부 (22) 를 구비한다. 또 상기 통형상부 (20) 에 있어서, 개구부 (24) 의 둘레 가장자리측이 R형상의 지지부 (23) 에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부 (23) 의 바깥 양 측이 밸브체 (17) 의 후술하는 밸브부 (26) 에 맞닿을 수 있음과 동시에, 이 지지부 (23) 의 내면측에서 상기 스프링 (18) 의 하단측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밸브체 (17) 는, 지지부 (23) 의 외면측에 맞닿아 개구부 (24) 를 폐쇄할 수 있는 원반형상의 밸브부 (26) 와, 이 밸브부 (26) 의 상면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신장되는 원주형상의 지주부 (27) 와, 이 지주부 (27) 의 상단측에 형성되는 직방체형상의 빔부 (28) 를 구비한다. 상기 지주부 (27) 의 둘레면 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도면 중 90도 간격) 으로 복수 (도면 중 4개) 의 보강 리브 (30) 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18) 은, 상기 밸브체 (17) 의 빔부 (28) 의 평면형상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밸브체 (17) 의 빔부 (28) 에 대해 스프링 (18) 을 접촉하지 않고 통과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코일형상 스프링 (18) 으로서, 원통형 코일 스프링을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원추형 코일 스프링이나 통형 코일 스프링 등이어도 된다.
상기 스프링 지지체 (19) 는, 전체적으로 접시를 거꾸로 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스프링 (18) 의 상단측을 지지하는 링형상의 지지부 (31) 와, 이 지지부 (31) 의 내측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체 (17) 의 빔부 (28) 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삽입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 (32) 와, 이 개구부 (32) 의 긴 변측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밸브체 (17) 의 빔부 (28) 의 끝단부 (29 ; 본 발명의 걸어맞춤부로 간주할 수 있음) 를 끼워 걸어맞출 수 있는 1쌍의 오목부 (33 ; 본 발명의 피걸어맞춤부로 간주할 수 있음) 를 구비한다. 각 오목부 (33) 는, 스프링 지지체 (19) 의 상단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1쌍의 오목부 (33) 가 대향하는 측이 개방되어 있다. 또한 밸브체 (17) 의 빔부 (28) 를 스프링 지지체 (19) 의 개구부 (32) 에 삽입하고, 밸브체 (17) 를 90도 회전시킴으로써, 빔부 (28) 의 끝단부 (29) 를 오목부 (33) 에 끼워 넣는다.
릴리프 밸브 (10) 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각 오목부 (33) 의 저면 (33a ; 본 발명의 피걸어맞춤면으로 간주할 수 있음) 에는, 밸브체 (17) 의 빔부 (28) 의 길이방향의 끝단부 (29) 의 저면 (33a ; 본 발명의 걸어맞춤면으로 간주할 수 있음) 이 걸어맞춰져 지지된다. 또 각 오목부 (33) 의 측면 (33b ; 규제면) 은, 밸브체 (17) 의 빔부 (28) 의 측면 (29b ; 피규제면) 을 간격 (clearance) 을 두고 위치결정함으로써, 스프링 지지체 (19) 및 밸브체 (17) 는 서로의 상대적인 회전 및 수평이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밸브체 (17) 가 스프링 (18) 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밸브 열림방향을 향하여 변위되면, 그 밸브부 (26) 와 밸브 시트 (16) 의 지지부 (23) 가 떨어지고, 밸브부 (26) 에서 폐쇄되었던 밸브 시트 (16) 의 개구부 (24) 가 개방되도록 (open) 되어 있다 (도 2 참조).
(2) 릴리프 밸브의 장착ㆍ분해방법
먼저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시트 (16) 의 개구부 (24) 에 밸브체 (17) 의 빔부 (28) 및 지주부 (27) 를 삽입 통과하여, 밸브 시트 (16) 의 지지부 (23) 와 밸브체 (17) 의 밸브부 (26) 의 상면측을 맞닿게 한다. 그 상태에서, 밸브체 (17) 의 빔부 (28) 및 지주부 (27) 에 대해 스프링 (18) 을 삽입 통과하여, 스프링 (18) 을 밸브 시트 (16) 의 지지부 (23) 로 지지시킨다. 이와 같이, 스프링 (18) 을 밸브체 (17) 의 빔부 (28) 및 지주부 (27) 를 둘러싸듯이 배치시킨다. 그 후, 밸브체 (17) 의 빔부 (28) 에 대응하여 스프링 지지체 (19) 의 개구부 (32) 를 대향시켜 (도 3 중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빔부 (28) 참조), 스프링 지지체 (19) 의 지지부 (31) 를 스프링 (18) 의 상단측에 덮어씌운다.
다음에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지지체 (19) 를 밀어내림과 동시에 스프링 (18) 을 압축하여 스프링 지지체 (19) 의 개구부 (32) 에 밸브체 (17) 의 빔부 (28) 를 관통시킨다. 스프링 지지체 (19) 의 상면이 밸브체 (17) 의 빔부 (28) 하면보다 약간 하방에 위치할 때까지 스프링 지지체 (19) 를 밀어내린다. 그 후,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지지체 (19) 에 대해 밸브체 (17) 를 스프링 (18) 의 탄성지지방향 둘레로 약 90도 회전시켜, 밸브체 (17) 의 빔부 (28) 의 끝단부 (29) 를 스프링 지지체 (19) 의 오목부 (33) 에 대향시킨다 (도 3 중의 실선으로 나타낸 빔부 (28) 참조). 그리고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18) 의 탄성지지력 (복원력) 에 의해 스프링 지지체 (19) 가 밀어올려지고, 밸브체 (17) 의 빔부 (28) 의 길이방향의 끝단부 (29) 가 스프링 지지체 (19) 의 1쌍의 오목부 (33) 에 끼워 넣어진다. 그러면, 그 스프링 (18)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밸브체 (17), 밸브 시트 (16), 코일형상 스프링 (18) 및 스프링 지지체 (19) 의 4 부재가 걸어맞춰져 유지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릴리프 밸브 (10) 의 장착작업이 완료된다. 그 후, 이상과 같이 장착 완성된 릴리프 밸브 (10) 를 여과체 (5) 등과 함께 케이싱 (4) 내에 수납하여 오일 필터 (1) 가 장착되게 된다.
또 오일 필터 (1) 를 분별 폐각할 때에, 장착상태의 릴리프 밸브 (10) 를 분해하게 되는데, 이 분해작업은, 전술한 장착작업과 반대의 순서로 실시된다. 즉, 먼저 스프링 지지체 (19) 의 오목부 (33) 로부터 밸브체 (17) 의 빔부 (28) 의 끝단부 (29) 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때까지의 스프링 (18) 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스프링 지지체 (19) 를 하방으로 밀어내린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 지지체 (19) 에 대해 밸브체 (17) 를 스프링 (18) 의 탄성지지방향 둘레로 약 90도 회전시켜, 밸브체 (17) 의 빔부 (28) 와 스프링 지지체 (19) 의 개구부 (32) 를 대향시킨다. 스프링 (18)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스프링 지지체 (19) 가 밀어올려지고, 밸브체 (17), 밸브 시트 (16), 코일형상 스프링 (18) 및 스프링 지지체 (19) 의 4 부재의 걸어맞춤 상태가 해제되어, 릴리프 밸브 (10) 의 분해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3) 릴리프 밸브의 작용
오일 필터 (1) 에서는,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펌프 (도시생략) 등의 작용에 의해 보톰 플레이트 (3) 의 오일 유입구 (7) 를 통해 유로 (11) 내로 유입되는 오일이 여과체 (5) 를 통과하여 오일 중에 혼합된 더스트 등의 이물이 제거된다. 그리고, 그 제거후의 오일은 유로 (12) 내로부터 보톰 플레이트 (3) 의 오일 유출구 (6) 를 통해 오일 필터 (1) 외부의 엔진 윤활계 회로로 공급된다.
또 릴리프 밸브 (10) 에 있어서, 평상시에는, 스프링 (18)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밸브체 (17) 의 밸브부 (26) 의 상면측과 밸브 시트 (16) 의 지지부 (23) 가 맞닿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유로 (11) 와 유로 (12) 가 완전히 격리된 상태로 된다. 그러나 오일 중에 함유되는 더스트 등에 의해 여과체 (5) 가 일정 이상 폐쇄되거나, 또는 고정밀도의 오일이 유입되어, 유로 (11) 와 유로 (12) 사이에 일정값 이상의 압력차가 발생하면,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압력차에 의해 밸브체 (17) 가 스프링 (18) 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밀려내려가게 된다. 밸브체 (17) 가 밀려내려가면, 밸브체 (17) 의 밸브부 (26) 와 밸브 시트 (16) 의 지지부 (23) 가 떨어지고, 유로 (11) 및 유로 (12) 를 연결하는 개구부 (24) 가 개방된다. 따라서, 도면중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유로 (11) 내의 오일이 여과체 (5) 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 유로 (12) 내로 유입되게 된다.
(3) 실시형태의 효과
이 제 1 실시형태의 릴리프 밸브 (10) 에서는, 밸브 시트 (16) 와 스프링 지지체 (19) 사이에 코일형상 스프링 (18) 을 장착하고, 이 스프링 지지체 (19) 의 오목부 (33) 와 밸브체 (17) 의 빔부 (28) 를 걸거나 벗길 수 있도록 하였다. 릴리프 밸브를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장착상태에 있어서, 밸브체 (17) 의 탄성지지용의 코일형상 스프링 (18) 을 이용하여 밸브체 (17) 의 빔부 (28) 와 스프링 지지체 (19) 의 오목부 (33) 의 걸어맞춤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밸브체 (17) 및 스프링 지지체 (19) 의 걸어맞춤 유지를 위해 전용 유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비해, 부품점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이 제 1 실시형태의 릴리프 밸브 (10) 에서는, 장착상태에 있어서, 밸브체 (17) 의 빔부 (28) 를 스프링 지지체 (19) 의 오목부 (33) 에 끼워 걸어맞춘 것으로, 밸브체 (17) 및 스프링 지지체 (19) 의 상대적인 회전이나 수평이동이 규제되고, 양 부재 (17, 19) 의 걸어맞춤 상태를 확실하고 강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 이 제 1 실시형태의 릴리프 밸브 (10) 에서는, 분해 작업에 있어서, 스프링 (18) 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밸브체 (17) 와 스프링 지지체 (19) 의 거리를 좁힌 후, 밸브체 (17) 및 스프링 지지체 (19) 를 상대회전시켜, 밸브체 (17) 의 빔부 (28) 와 스프링 지지체 (19) 의 오목부 (33) 의 걸어맞춤을 해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스프링 (18)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밸브체 (17), 밸브 시트 (16), 코일형상 스프링 (18) 및 스프링 지지체 (19) 의 4 부재를 바로 분해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손가락의 조작으로 밸브체의 지주부를 강제적으로 휘게 하고, 그 상태를 유지하여 밸브체의 걸어맞춤 클릭부가 걸리지 않도록 코일형상 스프링을 떼어내는 것에 비해,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릴리프 밸브를 분해할 수 있다. 특히, 코일형상 스프링 (18) 의 내경을, 지주부 (27) 의 축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빔부 (28) 의 크기보다 크게 설정하고, 장착상태에 있어서 밸브체 (17) 의 지주부 (27) 를 코일형상 스프링 (18) 으로 둘러싸듯이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릴리프 밸브 (10) 의 장착ㆍ분해작업에 있어서, 밸브체 (17) 의 빔부 (28) 를 코일형상 스프링 (18) 내에 압접시키지 않고, 밸브체 (17) 에 대해 코일형상 스프링 (18) 을 용이하게 장착ㆍ떼어낼 수 있다.
또 이 제 1 실시형태의 릴리프 밸브 (10) 를 사용하는 오일 필터 (1) 에서는, 유로 (11, 12) 사이의 압력차가 소정값 이상이 되면, 밸브체 (17) 를 밀어올림으로써 밸브 시트 (16) 의 개구부 (24) 를 개방하고, 유로 (11) 내의 오일이 여과체 (5) 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 유로 (12) 내로 유입된다. 이로 인해, 유로 (11, 12) 사이의 압력차가 소정값 이상의 이상한 압력차가 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여과체 (5) 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제 1 실시형태의 릴리프 밸브 (10) 에서는, 2군데의 걸어맞춤부 (빔부 (28) 의 끝단부 (29)) 및 피걸어맞춤부 (1쌍의 오목부 (33)) 를 걸거나 벗김으로써 밸브체 (17) 및 스프링 지지체 (19) 를 걸어맞춤ㆍ해제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1군데나 3군데 이상의 걸어맞춤부 및 피걸어맞춤부를 걸거나 벗기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체 (17) 의 지주부 (27) 의 상부에, 지주부 (27) 를 축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120도 간격으로, 원심방향으로 신장되는 3개의 걸어맞춤 클릭부 (36 ; 본 발명의 걸어맞춤부로 간주할 수 있음) 를 설치한다. 또한 스프링 지지체 (19) 에는, 각 걸어맞춤 클릭부 (36) 를 삽입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 (37) 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개구부 (37) 의 둘레 가장자리 측에, 각 걸어맞춤 클릭부 (36) 에 대응하여 3개의 오목부 (38 ; 본 발명의 피걸어맞춤부로 간주할 수 있음) 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1개의 걸어맞춤 클릭부 (36) 가 파손되어도, 다른 2개의 걸어맞춤 클릭부 (36) 로 밸브체 (17) 와 스프링 지지체 (19) 의 걸어맞춤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이 제 1 실시형태의 릴리프 밸브 (10) 에서는, 스프링으로서 코일형상 스프링 (18) 을 예시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판스프링 (접시 스프링도 포함) 이나 공기 스프링 등이어도 된다. 또 이 제 1 실시형태의 릴리프 밸브 (10) 에서는, 장착상태에 있어서, 코일형상 스프링 (18) 의 내측에 밸브체 (17) 의 지주부 (27) 가 둘러싸이도록 배치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코일형상 스프링 (18) 의 외측에 밸브체 (17) 의 지주부 (27) 를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 이 제 1 실시형태의 릴리프 밸브 (10) 에서는, 스프링 지지체 (19) 의 개구부 (32) 에 밸브체 (17) 의 빔부 (28) 를 삽입 통과시켜, 스프링 지지체 (19) 의 상면측에서 밸브체 (13) 의 빔부 (28) 와 스프링 지지체 (19) 의 오목부 (33) 를 걸거나 벗기도록 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스프링 지지체의 하면측에 피걸어맞춤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개구부를 형성하지 않고, 스프링 지지체의 하면측에서 밸브체의 걸어맞춤부와 스프링 지지체의 피걸어맞춤부를 걸거나 벗기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릴리프 밸브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는데,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의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제 2 실시형태)
(1) 릴리프 밸브의 구조
이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릴리프 밸브 (40) 는, 도 12,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체 (41a) 와 스프링 지지체 (41b) 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 밸브체 (41a ; 스프링 지지체 (41b)) 는, 도 14 ∼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부 (42) 와, 이 밸브부 (42) 의 중앙부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부 (43) 를 구비한다. 이 지주부 (43) 의 상단측에는, 지주부 (43) 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신장되는 1쌍의 제 1 절결부 (44) 가 형성됨과 동시에, 각 제 1 절결부 (44) 의 하부로부터 연속하여 원주방향으로 향하여 신장되는 1쌍의 제 2 절결부 (45 ; 본 발명의 피걸어맞춤부로 간주할 수 있음)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제 2 절결부 (45) 의 상방에는 1쌍의 후크부 (46 ; 본 발명의 걸어맞춤부로 간주할 수 있음) 가 형성되어 있다.
(2) 릴리프 밸브의 장착ㆍ분해방법
밸브 시트 (16) 의 개구부 (24) 에,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밸브체 (41a) 의 지주부 (43) 를 삽입 통과하고, 코일형상 스프링 (18) 의 하단측을 밸브 시트 (16) 의 지지부 (23) 로 지지시킨다. 이와 같이, 스프링 (18) 을 밸브체 (41a) 의 지주부 (43) 를 둘러싸듯이 배치한다. 그리고, 이 밸브체 (41a) 의 지주부 (43) 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스프링 지지체 (41b) 의 지주부 (43) 를 대향시키고, 스프링 지지체 (41b) 의 밸브부 (42) 를 스프링 (18) 의 상단측에 얹는다. 이어서 스프링 (18) 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스프링 지지체 (41b) 를 밀어내리고, 이 스프링 지지체 (41b) 와 밸브체 (41a) 사이에서 후크부 (46) 의 선단측을 제 1 절결부 (44) 의 저면에 맞닿게 한다. 이 상태를 유지하여, 양자 (41a, 41b) 를 상대적으로 원주방향으로 약 45도 회전시켜, 각 후크부 (46) 를 대응하는 각 제 2 절결부 (45) 내에 맞물리게 하여, 릴리프 밸브 (10) 가 장착 완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 분해작업에 있어서, 밸브체 (41a) 와 스프링 지지체 (41b) 를 장착시와 반대방향으로 약 45도 상대회전시켜 후크부 (46) 와, 제 2 절결부 (45) 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면, 밸브체 (41a), 스프링 지지체 (41b), 밸브 시트 (16) 및 코일형상 스프링 (18) 의 4 부재가 분해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릴리프 밸브 (10) 를 구성하는 밸브체 (41a) 와 스프링 지지체 (41b) 를 공통화할 수 있어, 생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1) 릴리프 밸브의 구조
이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릴리프 밸브 (50) 는, 도 17, 도 1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변형을 수반하여 밸브체 (51) 와 스프링 지지체 (52) 를 스프링 (18) 의 탄성지지방향을 따라 상대이동시킴으로써, 밸브체 (51) 의 걸어맞춤부와 스프링 지지체 (52) 의 피걸어맞춤부를 걸거나 벗기는 압입 로크식으로 구성된다. 이 밸브체 (51) 는, 밸브부 (54) 와, 이 밸브부 (54) 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 (도면 중 4개) 의 탄성변형가능한 지지부 (55) 와, 이들 각 지지부 (55) 의 선단측에 설치되는 외방으로 돌출되는 걸어맞춤 클릭부 (56 ; 본 발명의 걸어맞춤부로 간주할 수 있음) 를 구비한다. 또 스프링 지지체 (52) 는, 각 걸어맞춤 클릭부 (56) 를 삽입 통과할 수 있는 복수 (4개) 의 개구부 (57) 를 갖는다. 이들 각 개구부 (57) 의 둘레 가장자리부 (58 ; 본 발명의 피걸어맞춤부로 간주할 수 있음) 의 상면 (58a ; 본 발명의 피걸어맞춤면으로 간주할 수 있음) 에 상기 각 걸어맞춤 클릭부 (56) 의 후크면 (56a ; 본 발명의 걸어맞춤면으로 간주할 수 있음) 이 걸리거나 벗기도록 되어 있다. 또한 코일형상 스프링 (18) 의 내경은, 전부 걸어맞춤 클릭부 (56) 를 삽입 통과할 수 있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2) 릴리프 밸브의 장착ㆍ분해방법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밸브체 (51) 의 걸어맞춤 클릭부 (56) 및 지주부 (55) 를 밸브 시트 (16) 의 개구부 (24) 에 삽입 통과하고, 코일형상 스프링 (18) 의 하단측을 지지부 (23) 로 지지시킨다. 이와 같이 스프링 (18) 을 밸브체 (51) 의 지주부 (55) 를 둘러싸듯이 배치한다. 그리고 그 개구부 (57) 가 각 걸어맞춤 클릭부 (56) 와 대향하도록 스프링 (18) 의 상단측에 스프링 지지체 (52) 를 덮어씌운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 (18) 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스프링 지지체 (52) 를 하방으로 밀어내리면, 걸어맞춤 클릭부 (56) 는, 지지부 (55) 가 휘면서 개구부 (57) 내로 압입된다. 그 후, 걸어맞춤 클릭부 (56) 가 개구부 (57) 의 둘레 가장자리부 (58) 에 걸려 릴리프 밸브 (10) 가 장착 완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 분해작업에 있어서, 전술한 장착과 반대의 작용으로, 작업자의 손가락의 조작으로 각 클릭부 (56) 를 쥐어 각 지지부 (55) 를 강제적으로 휘게 하면서 각 걸어맞춤 클릭부 (56) 를 개구부 (57) 로부터 빼낸다. 그러면, 밸브체 (51), 밸브 시트 (16), 코일형상 스프링 (18) 및 스프링 지지체 (52) 의 4 부재가 분해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릴리프 밸브 (10) 의 분해작업에 있어서, 작업자의 손가락의 조작에 의해 밸브체의 지지부를 강제적으로 휘게 하여, 그 상태를 유지하여 밸브체의 클릭부가 걸리지 않도록 코일형상 스프링을 떼어내는 것에 비해, 용이하고 신속하게 릴리프 밸브를 분해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1) 릴리프 밸브의 구성
이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릴리프 밸브 (60) 는, 도 19 ∼ 도 2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 (65) 를 갖는 금속판제의 밸브 시트 (61) 와, 이 개구부 (65) 를 폐쇄할 수 있는 합성수지제의 밸브체 (62) 와, 이 밸브체 (62) 를 개구부 (65) 의 폐쇄방향을 향해 탄성지지되는 단면형상이 대략 W자 형상인 판형상 스프링 (65) 을 기본적으로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밸브체 (62) 는, 밸브부 (66) 와, 이 밸브부 (66) 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부 (67) 와, 이 지주부 (67) 의 상단측에 설치되는 직방체형상의 빔부 (68) 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이 빔부 (68) 의 끝단부 (69) 는, 본 발명의 걸어맞춤부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판형상 스프링 (63) 은, 밸브 시트 (61) 의 상면측에 맞닿는 좌우 1쌍의 맞닿음부 (71) 와, 이 1쌍의 맞닿음부 (7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체 (62) 의 빔부 (68) 가 소정의 간극을 두고 삽입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 (72) 와, 이 개구부 (72) 의 긴변측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되고, 상기 밸브체 (62) 의 빔부 (68) 의 끝단부 (69) 를 끼워 걸어맞출 수 있는 1쌍의 오목부 (73 ; 본 발명의 피걸어맞춤부로 간주할 수 있음) 를 구비한다. 릴리프 밸브 (60) 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판형상 스프링 (63) 의 각 오목부 (73) 의 저면 (73a ; 본 발명의 피걸어맞춤면으로 간주할 수 있음) 에는, 밸브체 (62) 의 빔부 (68) 의 길이방향의 끝단부 (69) 의 저면 (69a ; 본 발명의 걸어맞춤면으로 간주할 수 있음) 이 걸어맞춰져 지지된다. 또 판형상 스프링 (63) 의 각 오목부 (73) 의 측면 (73b ; 규제면) 은, 밸브체 (62) 의 빔부 (68) 의 측면 (69b ; 피규제면) 을 위치결정하여, 판형상 스프링 (63) 및 밸브체 (62) 는 서로의 상대적인 회전 및 수평이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판형상 스프링 (63) 으로서, 단일 판으로 이루어지는 얇은 판 스프링을 예시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판을 겹쳐 이루어지는 중첩 판 스프링이나 접시 스프링 등이어도 된다.
(2) 릴리프 밸브의 장착ㆍ분해방법
먼저, 밸브 시트 (61) 의 개구부 (65) 에, 밸브체 (62) 의 빔부 (68) 및 지주부 (67) 를 삽입 통과시킨다. 다음에 이 밸브체 (62) 의 빔부 (68) 에 대해 판형상 스프링 (63) 의 개구부 (72) 를 삽입 통과시키고, 판형상 스프링 (63) 의 정상면이 빔부 (68) 의 저면보다 하방에 위치할 때까지 판형상 스프링 (63) 을 밀어내린다. 그리고 이 상태를 유지한 채로, 밸브체 (62) 및 판형상 스프링 (63) 을 약 90도 상대회전시키면, 스프링 (63)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밸브체 (62) 의 빔부 (68) 가 판형상 스프링 (63) 의 1쌍의 오목부 (73) 에 끼워 걸어맞춰져 릴리프 밸브 (60) 가 장착 완료되게 되어 있다.
또 분해작업에 있어서, 전술한 장착작업과 반대 작업으로, 판형상 스프링 (63) 을 밀어내려 판형상 스프링 (63) 의 오목부 (73) 로부터 밸브체 (62) 의 빔부 (68) 를 떼어낸 상태에서, 밸브체 (62) 와 판형상 스프링 (63) 을 서로 약 90도 상대회전시키면, 판형상 스프링 (63) 과 밸브체 (62) 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밸브체 (62), 밸브 시트 (61) 및 판형상 스프링 (63) 의 3 부재가 분해되게 된다. 판형상 스프링 (63) 에 밸브체 (62) 의 빔부 (68) 와 걸거나 벗길 수 있는 오목부 (73) 를 형성했으므로, 제 1 실시형태부터 제 3 실시형태에 비하여, 스프링 지지체를 생략할 수 있어 부품점수를 저감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태양의 릴리프 밸브에 의하면, 장착상태에 있어서, 밸브체의 탄성지지용의 스프링을 이용하여 밸브체의 걸어맞춤부와 스프링 지지체의 피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을 유지시킬 수 있고, 또한 밸브체의 걸어맞춤부와 스프링 지지체의 피걸어맞춤부를 걸거나 벗김으로써, 밸브체, 밸브 시트, 스프링 및 스프링 지지체를 장착ㆍ분해할 수 있으므로 장착하기 쉽고, 또한 분해도 용이한 릴리프 밸브를 제공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릴리프 밸브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걸어맞춤부와 피걸어맞춤부를 확실하고 강고하게 걸어맞춰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의 릴리프 밸브에 의하면, 장착상태에 있어서, 밸브체의 걸어맞춤부와 판형상 스프링의 피걸어맞춤부를 판형상 스프링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걸어맞춰 유지시킬 수 있고, 또한 밸브체의 걸어맞춤부와 판형상 스프링의 피걸어맞춤부를 걸거나 벗김으로써, 밸브체, 밸브 시트 및 판형상 스프링을 장착ㆍ분해할 수 있으므로 장착하기 쉽고, 또한 분해도 용이한 릴리프 밸브를 제공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상기 밸브체 및 판형상 스프링의 상대회전에 의해 걸어맞춤부와 피걸어맞춤부를 걸거나 벗길 수 있으므로 릴리프 밸브는, 보다 장착ㆍ분해하기 쉬워지고, 또한 릴리프 밸브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걸어맞춤부와 피걸어맞춤부를 보다 확실하고 강고하게 걸어맞춰 유지시킬 수 있다.
또 본발명의 오일 필터에 의하면, 여과체의 상류측이 하류측에 비하여 매우 고압력이 되면, 이 압력차에 의해 밸브체는 스프링 (판형상 스프링을 포함) 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밸브 열림방향으로 변위되고, 상류측과 하류측이 바이패스 연결되어 오일이 흐르므로 상류측과 하류측의 이상한 압력차에 의해 여과체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장착하기 쉽고 분해도 용이한 오일 필터를 제공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 은 오일 필터의 편측 단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는 오일 필터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의 릴리프 밸브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의 릴리프 밸브의 편측 단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 는 제 1 실시형태의 릴리프 밸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 은 제 1 실시형태의 릴리프 밸브 장착작업의 설명도이다.
도 7 은 제 1 실시형태의 릴리프 밸브 장착작업의 설명도이다.
도 8 은 제 1 실시형태의 릴리프 밸브 장착작업의 설명도이다.
도 9 는 제 1 실시형태의 릴리프 밸브의 장착작업의 설명도이다.
도 10 은 제 1 실시형태의 릴리프 밸브의 변경예로서의 릴리프 밸브의 평면도이다.
도 11 은 제 1 실시형태의 릴리프 밸브의 변경예의 편측 단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 는 제 2 실시형태의 릴리프 밸브의 평면도이다.
도 13 은 제 2 실시형태의 릴리프 밸브의 측단면도이다.
도 14 는 제 2 실시형태의 릴리프 밸브의 밸브체의 평면도이다.
도 15 는 제 2 실시형태의 릴리프 밸브의 밸브체의 측면도이다.
도 16 은 제 2 실시형태의 릴리프 밸브의 밸브체의 사시도이다.
도 17 은 제 3 실시형태의 릴리프 밸브의 평면도이다.
도 18 은 제 3 실시형태의 릴리프 밸브의 편측 단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9 는 제 4 실시형태의 릴리프 밸브의 평면도이다.
도 20 은 제 4 실시형태의 릴리프 밸브의 편측 단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1 은 제 4 실시형태의 릴리프 밸브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오일 필터 4 : 케이싱
5 : 여과체 10, 40, 50 : 릴리프 밸브
11, 12 : 유로 16 : 밸브 시트
17, 41, 51 : 밸브체 18 : 코일형상 스프링
19, 52 : 스프링 지지체 24 : 개구부
26, 42, 54 : 밸브부 27 : 지주부
29 : 빔부의 끝단부 29a : 저면
31 : 지지부 32 : 개구부
33 : 오목부 33a : 저면
36 : 걸어맞춤 클릭부 37 : 개구부
38 : 오목부 45 : 제 2 절결부
46 : 후크부 55 : 지지부
56 : 걸어맞춤 클릭부 58 : 개구부의 둘레 가장자리부
60 : 릴리프 밸브 61 : 밸브 시트
62 : 밸브체 63 : 판형상 스프링
65 : 개구부 66 : 밸브부
67 : 지주부 69 : 빔부의 끝단부
69a : 저부 71 : 맞닿음부
72 : 개구부 73 : 오목부
73a : 저면

Claims (10)

  1. 여과체 (5) 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격리할 수 있는 한편, 이 상류측과 이 하류측의 압력차에 의해 이 상류측과 이 하류측을 연결할 수 있는 오일 필터용 릴리프 밸브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과 상기 하류측을 연결하는 개구부 (24) 를 갖는 밸브 시트 (16) 와, 이 개구부 (24) 를 폐쇄할 수 있는 밸브체 (17; 43a; 51) 와, 이 밸브체 (17; 43a; 51) 와 이 개구부 (24) 의 폐쇄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18) 과, 이 스프링 (18) 을 상기 밸브 시트 (16) 사이에 장착하는 스프링 지지체 (19; 43b; 52) 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 (17; 43a; 51) 는 걸어맞춤부 (29; 46; 56; 36) 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지지체 (19; 43b; 52) 는, 이 걸어맞춤부 (29; 46; 56; 36) 에 걸거나 벗길 수 있는 피걸어맞춤부 (33; 45; 58; 38)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18) 은, 상기 걸어맞춤부 (29; 46; 56; 36) 및 상기 피걸어맞춤부 (45) 중 적어도 한쪽이 삽입 통과할 수 있는 내경을 갖는 코일형상 스프링 (1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밸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 (29; 46; 36) 는, 상기 스프링 (18) 의 탄성지지방향에 직교하는 걸어맞춤면을 갖고,
    상기 피걸어맞춤부 (33; 45; 58; 38) 는, 상기 밸브체 (17; 43a; 51) 와 상기 스프링 지지체 (19; 43b; 52) 를 상기 스프링 (18) 의 탄성지지방향 둘레로 상대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걸어맞춤면과 걸거나 벗길 수 있는 피걸어맞춤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밸브.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 (17; 43a) 는, 상기 개구부 (24) 를 폐쇄하는 밸브부 (26; 42; 54; 66) 와, 이 밸브부 (26; 42; 54; 66) 로부터 일방측으로 신장되는 지주부 (27; 43) 를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부 (29; 36) 는, 상기 지주부 (27; 43) 의 끝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 지지체 (19; 43b) 는, 상기 스프링 (18) 을 지지하는 지지부 (31) 와, 이 지지부 (31) 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걸어맞춤부 (29; 46; 36) 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 (32) 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피걸어맞춤부 (33; 45; 38) 는, 상기 개구부 (32) 의 주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밸브.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 (43a) 와 상기 스프링 지지체 (43b) 가 동일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밸브.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 (51) 는, 상기 걸어맞춤부 (56) 를 지지하는 탄성변형가능한 지지부 (55) 를 갖고,
    상기 걸어맞춤부 (56) 는, 상기 스프링 (18) 의 탄성지지방향에 직교하는 걸어맞춤면 (56a) 을 갖고,
    상기 피걸어맞춤부 (58) 는, 상기 지지부 (55) 의 탄성변형을 수반하여, 상기 밸브체 (51) 와 상기 스프링 지지체 (52) 를 상기 스프링 (18) 의 탄성지지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걸어맞춤면 (56a) 과 걸거나 벗길 수 있는 피걸어맞춤면 (58a)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밸브.
  7. 여과체 (5) 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격리할 수 있는 한편, 이 상류측과 이 하류측의 압력차에 의해 이 상류측과 이 하류측을 연결할 수 있는 오일 필터용 릴리프 밸브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과 상기 하류측을 연결하는 개구부 (65) 를 갖는 밸브 시트 (61) 와, 이 개구부 (65) 를 폐쇄할 수 있는 밸브체 (62) 와, 이 밸브체 (62) 를 이 개구부 (65) 의 폐쇄방향을 향하여 탄성지지하는 판형상 스프링 (63) 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 (62) 걸어맞춤부 (69) 를 구비하고,
    상기 판형상 스프링 (63) 은, 이 걸어맞춤부 (69) 에 걸거나 벗길 수 있는 피걸어맞춤부 (73)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밸브.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 (69) 는, 상기 판형상 스프링 (63) 의 탄성지지방향에 직교하는 걸어맞춤면을 갖고,
    상기 피걸어맞춤부 (73) 는, 상기 밸브체 (62) 와 상기 판형상 스프링 (63) 을 상기 판형상 스프링 (63) 의 탄성지지방향 둘레로 상대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걸어맞춤면과 걸거나 벗길 수 있는 피걸어맞춤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밸브.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 (62) 는, 상기 개구부 (65) 를 폐쇄하는 밸브부 (66) 와, 이 밸브부 (66) 로부터 한 방향으로 신장되는 지주부 (67) 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부 (69) 는, 상기 지주부 (67) 의 끝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판형상 스프링 (63) 은, 상기 밸브 시트 (61) 에 맞닿는 맞닿음부 (71) 와, 상기 걸어맞춤부 (69) 가 삽입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 (72) 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피걸어맞춤부 (73) 는 상기 개구부 (72) 의 주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밸브.
  10. 제 1 항, 제 2 항, 제 7 항, 제 8 항 및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일 필터용 릴리프 밸브 (10; 40; 50; 60) 와, 이 릴리프 밸브 (10; 40; 50; 60) 에 의해 폐쇄할 수 있는 개구부를 갖는 여과체 (5) 와, 이 릴리브 밸브 (10; 40; 50; 60) 및 이 여과체 (5) 를 수납하는 케이싱 (4) 으로 이루어진 오일 필터.
KR10-2002-0061678A 2001-10-11 2002-10-10 오일 필터용 릴리프 밸브 및 오일 필터 KR1004710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14280A JP2003117316A (ja) 2001-10-11 2001-10-11 オイルフィルタ用リリーフバルブ及びオイルフィルタ
JPJP-P-2001-00314280 2001-10-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941A KR20030030941A (ko) 2003-04-18
KR100471094B1 true KR100471094B1 (ko) 2005-03-10

Family

ID=19132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678A KR100471094B1 (ko) 2001-10-11 2002-10-10 오일 필터용 릴리프 밸브 및 오일 필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30106848A1 (ko)
JP (1) JP2003117316A (ko)
KR (1) KR100471094B1 (ko)
CN (1) CN1225301C (ko)
HK (1) HK10552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3089B1 (en) * 2003-12-04 2008-08-19 Pure Power! Incorporated Reusable cartridge oil filter
EP1562009A1 (en) * 2004-02-06 2005-08-10 Thermagen S.A. Actuating device for self cooling packaging
JP2005288391A (ja) * 2004-04-02 2005-10-20 Hitachi Ltd オイルフィルタ装置
DE202005007870U1 (de) * 2005-05-13 2006-09-21 Mann + Hummel Gmbh Filtereinrichtung, insbesondere zur Flüssigkeitsfilterung in Brennkraftmaschinen
FR2897784B1 (fr) * 2006-02-28 2008-04-25 Valeo Systemes Thermiques Filtre pour reservoir tubulaire, en particulier pour un echangeur de chaleur
US20080087590A1 (en) * 2006-10-12 2008-04-17 West Troy Tool & Machine, Inc. Integrated fluid valve assembly
DE102007023121B4 (de) * 2007-05-10 2010-01-07 Joma-Polytec Kunststofftechnik Gmbh Ventil zum Einsetzen in ein Gehäuse, insbesondere eines Verbrennungsmotors
DE102011005106A1 (de) * 2011-02-18 2012-08-23 Hengst Gmbh & Co. Kg Umgehungsventil, Einrichtung mit Umgehungsventil und Filtereinsatz der Einrichtung
TWM424191U (en) * 2011-04-12 2012-03-11 Insonic Company Oil filtering device
DE102015223340A1 (de) * 2015-08-20 2017-02-23 Mahle International Gmbh Flüssigkeitsfilter
WO2019235530A1 (ja) * 2018-06-07 2019-12-12 ヤマシンフィルタ株式会社 フィルタ装置
CN108843648A (zh) * 2018-09-19 2018-11-20 浙江兄弟之星汽配有限公司 一种溢流阀及其溢流阀盖
US11724219B2 (en) * 2022-01-13 2023-08-15 Deere & Company Bypass valve with variable filt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67060A (en) * 1946-09-04 1949-04-12 Fremont G Twitchell Reflex cooled exhaust valve
US3529721A (en) * 1968-08-05 1970-09-22 Purolator Inc Filter unit with by-pass valve means
US3807561A (en) * 1971-09-13 1974-04-30 Engineering Components Ltd Automatic valves,particularly for use with filters
DE19546440A1 (de) * 1995-12-13 1997-06-19 Hydac Filtertechnik Gmbh Filtervorrichtung mit Bypaßvent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5301C (zh) 2005-11-02
HK1055271A1 (en) 2004-01-02
KR20030030941A (ko) 2003-04-18
US20030106848A1 (en) 2003-06-12
CN1411889A (zh) 2003-04-23
JP2003117316A (ja) 200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1094B1 (ko) 오일 필터용 릴리프 밸브 및 오일 필터
KR100710537B1 (ko) 필터 카트리지와 이를 교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7857974B2 (en) Filter cartridge with snap fit connection
JP2872403B2 (ja) 液体フィルター用逃がし弁
JP5709300B2 (ja) 流体濾過用フィルタシステム
US5250176A (en) Modular valve assembly for oil filter
USRE46593E1 (en) Filter element especially for filtering liquids or gases
EP2155355B1 (en) Filter element and assembly with bypass reverse flow filter end cap
US4853118A (en) Liquid filter
JPH022806A (ja) 潤滑オイルの浄化のためのオイルフィルタ
JP2002210309A (ja) 流体フィルター
US20090065427A1 (en) Filter cartridge
US20090065425A1 (en) Filter cartridge with crush ribs
US7384547B2 (en) Replaceable filter element with integral annular trap
EP1938882B1 (en) Filtration device
EP1524021A1 (en) Valve and spring for fluid filter
US11383186B2 (en) Filter
US20060175246A1 (en) Filter apparatus
US7771596B2 (en) Filter Container,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00629B1 (ko) 필터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압력조절 밸브장치
US20220134262A1 (en) Treatment device for treating fluids, in particular liquid fluids, and treatment unit and connection head for a treatment device
US6726030B1 (en) Standpipe element support for liquid filter
US20070169445A1 (en) Filter flow turbine
EP0439901A1 (en) Oil filter
US20070261377A1 (en) Spin-on filter arrangement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