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187B1 - 적외선 조사기 - Google Patents

적외선 조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187B1
KR100470187B1 KR10-2002-0023905A KR20020023905A KR100470187B1 KR 100470187 B1 KR100470187 B1 KR 100470187B1 KR 20020023905 A KR20020023905 A KR 20020023905A KR 100470187 B1 KR100470187 B1 KR 100470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output
random
human body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3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7345A (ko
Inventor
덕 수 김
Original Assignee
덕 수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 수 김 filed Critical 덕 수 김
Priority to KR10-2002-0023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0187B1/ko
Publication of KR20020087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7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1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4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학진료용 기기(온열치료기)의 하나로서, 인체에 적외선 파장을 조사하여 환부를 치료하는 적외선 조사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랜덤파인 불규칙한 전압을 출력변환수단을 통하여 출력토록 하여 적외선 램프에 인가되는 전압을 변화시켜 주고,
초당 4 회 이상 전압레벨을 가변시키고, 이를 적어도 30 초 이상의 주기로 반복하여 적외선 램프의 출력이 변화되도록 한다.
따라서, 적외선 램프에서 매우 불규칙적인 랜덤파형이 출력되어 제일 강력한 피크치 출력을 약 30cm의 거리 내에서 조사하여도, 출력이 랜덤 형태로 간헐적 조사를 이루어 인체의 열흡수 시간을 주므로써 화상의 위험이 없이 적외선 파장을 인체 깊숙히 침투시킬 수 있어 치료효과가 매우 높다.
또한, 우리 인체는 외부자극으로부터 방어기능을 가지고 있어 적외선 조사시 중추 신경계는 방어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매우 불규칙한 랜덤파형을 조사하여 다음 출력변화를 인지하지 못하게 하여 무기력 상태에서 치료를 행하며, 실제 적외선 조사와 인체의 지각 반응속도와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방어기능을 역으로 행하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어떠한 광선 치료기에서 볼 수 없는 이상적인 치료효과를 수행한다.

Description

적외선 조사기{Infrared Radiators Radiating Random Rays}
본 발명은 이학진료용 기기(온열치료기)의 하나로서 인체에 적외선 파장(빛이나 열)을 조사하여 환부를 치료하는 적외선 조사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적외선 파장(빛이나 열)을 매우 불규칙적으로 조사하여 인체의 방어기능이 상실된 무기력 상태에서 환부에 조사하므로써 적외선의 침투 및 치료효과가 뛰어나도록 한 적외선 조사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적외선은 영국의 허셀에 의해 처음으로 그 존재가 밝혀진 이래 그 성질을 이용하여 각종 산업용, 생활용, 치료용 등으로 발전해 왔고, 예로서, 적외선 등, 적외선 사진, 악성종양의 진단, 화학공업에서의 물질분석, 미사일 유도 등에 널리 사용하며, 물리치료에서 복사열을 이용하는 것도 바로 적외선 치료에 해당한다.
이 적외선은 프리즘에 의한 분석결과, 태양광선의 일곱 가지 가시광선(보라색에서 빨간색 까지) 중 빨간빛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불가시광선으로, 그 파장이 가시광선 보다는 길고 마이크로파 보다는 짧은 태양 광선의 특정 부분이다.
태양광선에서 방출되는 가시광선의 파장이 대체로 3,900∼7,700옹스트롬인 반면, 적외선은 7,700∼150,000옹스트롬의 파장을 갖는다.
따라서, 적외선은 빛에 가까운 성질을 가지며, 반사, 굴절, 간섭, 직진 등 빛과 비슷한 성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적외선은 파장의 대소에 따라 다시 근적외선, 중간 적외선, 원적외선으로 나뉘어 지는데, 근적외선은 모든 빛이 나는 물체에서 방출되는 것으로서 태양광선 외에 전기방전, 백열등, 그리고 특별히 고안된 고온 적외선 등에서도 방출된다.
이 근적외선의 파장은 7,700∼15,000옹스트롬 대로서, 산만한 파장을 제한하기 위해 특수한 빨강색 여과유리를 사용하기도 하고, 피부조직의 5∼30mm 까지 깊이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용으로 많이 응용되고 있으며, 그 밖의 열관, 림프관, 신경말단, 그리고 다른 피하조직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원적외선은 거의 모든 가열된 물체에서 방출되며, 물체의 표면에서 열작용을 하기 때문에 주로 공업용으로 많이 응용된다.
이 원적외선의 파장은 대개 15,000∼150,000옹스트롬으로 피부조직의 2mm 이상 깊이 침투하지 못하고 대개 0.5mm 쯤에 해당하는 피부의 상층에서 강하게 흡수된다.
한편, 적외선의 임상적인 치료효과를 살펴보면, 동통완화, 근이완, 혈액순환 촉진, 노폐물 제거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동통완화의 경우에는, 경미한 열로 치료할 경우 그 진정효과에 의해 동통을 완화시킬 수 있고, 강한 열로 치료할 경우에는 반자극에 의해 동통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동통은 대사물의 노폐물이 조직에 축적되어 일어날 수 있는데, 적외선 복사를 통해 혈액순환을 증진시키므로써 축적된 노폐물을 제거하여 동통을 완화시키기 도 한다.
급성염증이나 손상 직후에 오는 동통은 경미한 열을 줄 때 효과적이며, 너무 강한 열을 주게 되면 오히려 산출물이 증가하여 동통을 가중시키기도 한다.
그러나, 만성병으로 인한 동통은 강한 열이 요구되며, 이 경우는 적어도 30분 정도 치료를 해야 한다.
근이완의 경우는, 조직이 따뜻할 때 근육은 이완되며 동통완화는 근이완을 촉진시키고, 적외선 복사는 근경축을 완화시키므로써 동통을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적외선 복사는 동통을 완화시키고, 근육을 이완시키므로써 운동의 효율을 높여주어 운동치료를 하기 전에도 많이 이용한다.
혈액순환 촉진의 경우는, 적외선 복사는 표피조직에 현저한 효과가 있어 표피상처나 감염치료에 자주 사용되고, 혈액순환의 증진은 감염부위의 백혈구를 증가시키고 노폐물을 제거하여 살균에 도움을 준다.
또한, 관절염이나 다른 염증이 있는 경우에도 동통 및 근경축 완화와 혈액순환의 증진을 가져오므로 많이 사용하며, 심부조직의 울혈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도 사용한다.
노폐물 제거의 경우는, 넓은 부위의 치료를 통해 땀샘의 활동을 증가시키므로 노폐물 제거에 아주 효과적이다.
이상과 같은 적외선 복사의 장점은, 빛을 내는 등이나 빛을 내지 않는 등에 의한 복사는 노출부위의 현저한 충혈, 조직이완, 통증제거가 나타난다.
복사열을 이용하여 치료할 경우, 다른 열치료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 다.
첫째, 전도열에 비해서 열 침투가 깊으며 비교적 넓은 부위도 치료할 수 있다.
둘째, 치료부위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셋째, 치료부위를 치료하면서 계속 관찰할 수 있으므로 즉시, 과다한 열을 발견할 수 있다.
넷째, 기계조작이 쉬워 가정에서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복사의 단점이라면 치료부위가 마르고, 드물지만 전구의 파열에 의해 유리조각이 환자에게 떨어져 손상을 주거나 발생하는 열이 전환열에 비해 표면이며 비교적 제한된 영역에서만 효과가 나타난다는 점이다.
이상을 종합하여 볼 때, 근적외선은 피부속 깊이 약 30mm 까지 침투하여 화학작용과 열작용을 동시에 일으키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경우에 많이 응용할 수 있다.
즉, 열작용에 의한 말초혈관이나 세동맥의 확장이 요구되는 증상, 신경말단에 작용하여 통증이 감소되어야 할 상황, 근육의 이완이나 수축을 도와주어야 할 증상, 말초혈관의 저항을 감소시키고 혈액의 점도를 감소시켜서 혈압강하를 유도해야 할 상황, 땀샘이나 신장을 자극하여 노폐물을 제거하거나 배설을 원활하게 하여야 할 상황 등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정리하면, 외과적 질환으로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신경통, 요통의 보조치료에 효과적이고, 각종 부상으로는 근육과 건 및 인대의 손상, 타박 상, 엘보우 등에 효과적이며, 산부인과로는 냉, 대하증과 산후조리에 좋고, 미용효과로는 미안과 피부미용에 좋으며, 그 밖에 중풍, 안면마비, 동통, 침술의 보조치료 등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적외선은 770∼1,500nm(나노메타) 대의 것을 사용하며, 태양광선 보다는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적외선 조사기를 사용하여 치료하게 된다.
도 1은 이제까지 사용하고 있는 적외선 조사기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적외선 조사기는 위치이동이 가능한 받침대(10)의 가이드 포스트(20)에 콘트롤 패널(40)이 부착된 보디(30)를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보디의 상단에는 플렉시블한 가요철관(50)을 통하여 전등용 갓(60)을 입체적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갓의 내부에 적외선 램프(70)를 설치하였던 것이다.
또한, 콘트롤 패널(40)에는 도 2와 같이 온도조절을 위한 보턴(41)과, 사용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보턴(42)을 설치한 후, 사용자가 상기 보턴을 조작하여 필요한 기능을 선택하였던 것이다.
즉, 사용자가 온/오프 스위치(45)를 누른 상태에서 보턴(41,42)을 조작하여 사용온도와 시간을 선택하면, 적외선 램프(70)에 전원이 인가되어 필라멘트가 가열되면서 적외선이 출력되고, 이 적외선을 환부에 조사하여 치료목적으로 사용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적외선 조사기는 적외선을 규칙적으로 출력하므로써 인체의 약리적인 적응에 의해 치료효과가 현저히 감소되는 단점이 있었다.
즉, 우리 인체의 중추 신경계는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적응과 조화(Adaptation & Accomodation)현상이 나타나는데, 수용기 적응이 그 예라고 할 수 있으며, 적응이라 함은 지속적인 자극에 대해 몸의 반응이 저하되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중추 신경계는 수용기로 받아들인 정보를 처리해서 자극이 계속 들어오면 이에 대한 자극치를 감소시키고, 이렇게 하므로써 중추 신경계는 다른 곳에서도 들어오는 정보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적외선 조사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규칙파인 적외선을 출력하여 인체에 조사하므로써 인체의 신경조직이 외부의 자극을 인지하고, 다음의 자극을 미리 예측하여 방어기능을 갖게 되므로써 적외선에 의한 치료효과가 현저히 줄어드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통상적인 적외선 조사의 가장 이상적인 거리는 적외선 램프(70)의 표면으로부터 환부 사이의 거리가 약 30cm 정도이고, 적외선 파장은 770∼1,500nm(나노메타)인데도 불구하고, 250W의 적외선 램프(70)를 사용하여 약 30cm의 거리에서 환부(피부)를 조사하므로써 화상의 위험이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광도 조절기를 사용하여 정현파로 출력되는 적외선을 임의적으로 줄여 주거나, 받침대(10)를 이동시켜 적외선 램프(70)와 전구 사이의 거리를 멀게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광도 조절기를 사용할 경우, 적외선 램프(70)에 내장된 필라멘트의 자체온도에 변화가 생겨 원하는 파장대(770∼1,500nm)의 적외선을 얻을 수 없으므로 적외선이 현저히 줄어들어 신경조직에 까지 도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거리를 멀게 할 경우에는 적외선 램프에서 조사되는 출력이 단위 면적당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줄어들게 되므로 적외선 치료의 본래 목적에 반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기술적인 과제는 적외선 램프에서 출력되는 적외선 파장을 불규칙적인 랜덤파로 출력하여 인체의 중추 신경계가 다음 동작을 전혀 예측하지 못한 상태(무기력 상태)에서 상기 적외선 파장을 인체에 조사 하므로써 적외선 파장의 침투효과 및 치료효과가 뛰어나도록 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위치이동이 가능하며 콘트롤 패널의 조작에 의해 작동하면서 적외선을 출력하는 적외선 램프와, 상기 콘트롤 패널에 온도조절용 보턴과 사용 시간 조절용 보턴을 구비하며, 적외선 램프로부터 출력되는 적외선 파장을 환부에 조사하여 치료하는 적외선 조사기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패널에 적외선의 랜덤파 출력을 선택하기 위한 랜덤파 선택용 보턴과 공기 청정을 위한 음이온 선택용 보턴을 구비하고, 랜덤파 선택용 보턴 작동시 작동되며 불규칙한 파형의 전압 크기로 설정 시간 동안 반복 변화되어 적외선 램프를 구동시키는 출력변환수단을 구비한 적외선 조사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출력변환수단은 초당 적어도 4 회 이상 전압레벨을 가변시켜 적외선 램프의 필라멘트로 인가하고,
전압레벨의 가변시간은 적어도 30 초 이상의 주기로 반복 실행되도록 구성한 것이 좋다.
따라서, 적외선 램프에서 매우 불규칙적인 랜덤파형이 출력되어 제일 강력한 피크치 출력을 약 30cm의 거리 내에서 간헐적으로 조사하여도 랜덤파형이 인체의 열흡수 시간을 제공 하므로써 화상의 위험이 없이 적외선 파장을 인체 깊숙히 침투시킬 수 있어 치료효과가 매우 높다.
또한, 우리 인체는 외부자극으로부터 방어기능을 가지고 있어 적외선 조사시 중추 신경계는 방어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매우 불규칙한 랜덤파형을 조사하여 다음 출력변화를 인지하지 못하게 하여 무기력 상태에서 치료를 행하며, 실제 적외선 조사와 인체의 지각 반응속도와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방어기능을 역으로 행하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어떠한 광선 치료기에서 볼 수 없는 이상적인 치료효과를 수행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의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조사기에서 콘트롤 패널의 정면도이고, 도 4는 파형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의 예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위치이동이 가능하며 콘트롤 패널(40)의 조작에 의해 작동하면서 적외선을 출력하는 적외선 램프(70)와, 상기 콘트롤 패널(40)에 온도조절용 보턴(41)과 사용 시간 조절용 보턴(42)을 구비하며, 적외선 램프(70)로부터 출력되는 적외선 파장을 환부에 조사하여 치료하는 적외선 조사기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패널(40)에 적외선의 랜덤파 출력을 선택하기 위한 랜덤파 선택용 보턴(43)과 공기 청정을 위한 음이온 선택용 보턴(44)을 부가하고, 랜덤파 선택용 보턴(43) 작동 시 작동되며 불규칙한 파형의 전압 크기로 설정 시간 동안 반복 변화되어 적외선 램프(70)를 구동시키는 출력변환수단(103)을 구비한다.
상기 출력변환수단(103)은 초당 적어도 수 회(바람직하기는 4회) 이상 전압레벨을 가변시켜 적외선 램프(70)의 필라멘트로 인가하고,
전압레벨의 가변시간은 적어도 수 초(바람직하기는 30초) 이상의 주기로 반복 실행되도록 구성한다.
(101)은 콘트롤패널(40)의 선택 여부를 알 수 있도록 제어부(100)의 출력단(P1)을 통한 지령에 연동하는 디스플레이부이고, (104)는 제어부(100)의 출력단(P2)을 통한 지령을 인식하여 해당하는 타이머 기능을 수행하여 적외선 램프(70)를 구동토록 수행하는 타이머이고, (103)은 출력단(P3)을 통한 지령을 인식하여 출력을 랜덤하게 변환시켜 적외선 램프에 제공하는 출력변환수단, (105)는 제어부(100)의 출력단(P4)을 통한 지령 인가시 적외선램프(70)의 교류전원을 인가받아 가변 저항 등으로 해당하는 출력을 제공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이고, (106)은 제어부(100)의 출력단(P5)을 통한 지령시 구동하여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 발생기이다. (107)은 교류전원을 정류하여 직류 구동 전원을 제어부(100) 등에 인가하는 정류부이다. (45)는 온/오프 보턴이다.
상기 출력변환수단(103)은 출력의 주파수나 전위가 상이한 수개의 발진기를 구비하고 제어부(100)의 출력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진 출력을 각각 출력토록 하여 전체적으로는 랜덤파를 출력토록 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위상 제어 같은 제어 방식으로 출력의 전위와 파형을 순차 가변되도록 하여 랜덤파를 출력 가능토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만 구성의 예시 자체는 알려진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기에 생략한다.
상기 랜덤파는 예를 들어 수초 이상(예를 들어 30초 동안)의 주기로 불규칙한 파형의 그래프를 인위적으로 설정하여 보조메모리(102)(제어부(100)에 내장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에 메모리시킴과 동시 초당 적어도 수회 이상(예를 들어 4번(도 4 의 경우는 0.25초 마다 75, 80, 90, 100볼트로 변한다))에 걸쳐 적외선 램프(70)의 필라멘트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설정시간(예를 들어 30초) 동안 120번(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에 걸쳐 출력되는 적외선 파장의 크기에 변화를 주며, 이를 사용시간 조절용 보턴(42)에 의해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5분)동안 주기(예를 들어 30초)로 랜덤 파형을 반복 실행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우리 인체의 중추 신경계에 새로운 혹은 전혀 색다른 자극이 들어온다면(예를 들어, 자극의 강도를 변화시킨 상태로) 중추 신경계는 다시 그 자극에 대해 반응을 하게 될 것이며, 따라서 새로운 혹은 색다른 자극은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근거에 기초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콘트롤 패널(40)에 설치된 온/오프 보턴(45)은 처음 터치할 경우 전원이 온(on) 되면서 가장 적합한 기능과 시간이 자동적으로 설정되며, 이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시간대와 기능을 미리 셋팅 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온도조절용 보턴(41)을 누르면 제어부(100)에서 인식하여 온도조절기(105)를 구동토록 하고, 이에 따라 적외선 램프(70)가 예를 들어 40∼100% 까지 적외선 출력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시간 설정용 보턴(42)을 누르면 제어부(100)가 이를 인식하여 타이머(104)를 구동토록 하여 해당하는 시간(예를 들어 10∼30분) 까지 조절하여 사용 가능하다.
또한, 랜덤파 선택 보턴(43)을 누르면 제어부(100)의 출력단(P3)을 통하여 출력변환수단(103)에 인가되므로, 출력 변환수단(103) 에서는 불규칙적인 랜덤파와 규칙파인 정현파 중에서 택일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1번 누르면 정현파, 2번 누르면 랜덤파 등), 음이온 선택용 보턴(44)을 누르면 출력단(P5)을 통하여 음이온 발생기(105)를 구동시켜 음이온을 발생시킨다.
이중, 상기 랜덤파 선택 보턴(43)을 통하여 정현파를 선택하면, 종래와 같이 적외선 램프(70)를 통하여 정현파 적외선이 출력된다.
그리고, 랜덤파를 선택하면, 보조 메모리(103)에 메모리 된 데이터에 의하여 적외선 램프(70)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예를 들어 초당 4번씩(도 4 의 경우 0.25초마다 75, 80, 90, 100볼트로 변한다), 적어도 수초(예를 들어 30초를 한 주 기로 한다)의 주기 동안 총 120번의 변화가 생기며, 이러한 동작은 주기로 설정된 시간(30초)을 주기로 사용시간 조절용 보턴(42)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5분) 동안 반복되도록 출력변환수단(103)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출력변환수단(103)을 통한 랜덤 출력 전압의 크기가 예를 들어 30초를 기준으로 하여 초당 4번을 기준으로 하면 120번 바뀌므로, 상기 적외선 램프(70)로부터 출력되는 적외선의 파장도 30초 동안 120번이나 불규칙적으로 변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동작에 의해 적외선 램프(70)는 설정된 시간동안 매우 불규칙적인 랜덤파의 적외선을 출력하게 되고, 때문에 인체는 다음의 적외선 파장을 전혀 예측하지 못한 무기력 상태에서 피크치의 적외선 파장을 간헐적으로 조사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인체의 피부조직은 적외선 램프로부터 약 30cm의 거리 내에서 피크치의 출력을 조사받아 그 파장을 받아들이게 되므로써 화상의 위험이 없고, 적외선의 파장이 인체의 피부 깊숙히 침투되어 치료효과가 매우 뛰어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랜덤파인 불규칙한 그래프를 인위적으로 설정하고, 여기에 1초를 4등분하여 120개의 데이터를 메모리부(102)에 메모리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인가되는 전압을 변화시켜 줌에 따라 30초 동안 120번에 걸쳐 전압의 크기가 변화되며, 이때마다 적외선 램프의 출력이 변화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적외선 램프에서 매우 불규칙적인 랜 덤 파형이 출력되어 제일 강력한 피크치 출력을 약 30cm의 거리 내에서 간헐적으로 조사하여 인체의 열 흡수 시간을 주므로써 화상의 위험이 없이 적외선 파장을 인체 깊숙이 침투시킬 수 있어 치료효과가 매우 높다.
또한, 우리 인체는 외부자극으로부터 방어기능을 가지고 있어 적외선 조사시 중추 신경계는 방어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매우 불규칙한 랜덤파형을 조사하여 다음 출력변화를 인지하지 못하게 하여 무기력 상태에서 치료를 행하며, 실제 적외선 조사와 인체의 지각 반응속도와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방어기능을 역으로 행하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어떠한 광선 치료기에서 볼 수 없는 이상적인 치료효과를 수행한다.
아울러, 적외선 램프의 광도 조절이나 거리를 조절하지 않고도 피크치의 출력을 간헐적으로 조사받게 되어 치료효과 뿐 아니라 제품의 품질 및 신뢰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적외선 조사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적외선 조사기에서 콘트롤 패널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 패널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파형도,
도 5 는 본 고안의 회로 구성의 일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받침대 20 : 가이드 포스트
30 : 보디 40 : 콘트롤 패널
41 : 온도조절용 보턴 42 : 시간조절용 보턴
43 : 랜덤파 선택용 보턴 44 : 음이온 선택용 보턴
45 : 온/오프 보턴 70 : 적외선 램프
100 : 제어부 101 : 디스플레이부
102 : 보조메모리 103 : 출력변환수단
104 : 타이머 105 : 온도조절기
106 : 음이온 발생기

Claims (2)

  1. 위치이동이 가능하며 콘트롤 패널(40)의 조작에 의해 작동하면서 적외선을 출력하는 적외선 램프(70)와, 상기 콘트롤 패널에 온도조절용 보턴(41)과 사용 시간 조절용 보턴(42)을 구비하며, 적외선 램프(70)로부터 출력되는 적외선 파장을 환부에 조사하여 치료하는 적외선 조사기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패널(40)에 적외선의 랜덤파 출력을 선택하기 위한 랜덤파 선택용 보턴(43)을 구비하고, 랜덤파 선택용 보턴(43) 작동시 작동되며 불규칙한 랜덤파형의 전압 크기로 설정 시간 동안 반복 변화되어 적외선 램프(70)를 구동시키는 출력변환수단(10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조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출력변환수단(103)은 초당 적어도 4 회 이상 전압레벨을 가변시켜 적외선 램프(70)의 필라멘트로 인가하고,
    전압레벨의 가변시간은 적어도 30 초 이상의 주기로 반복 실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조사기.
KR10-2002-0023905A 2002-05-01 2002-05-01 적외선 조사기 KR100470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905A KR100470187B1 (ko) 2002-05-01 2002-05-01 적외선 조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905A KR100470187B1 (ko) 2002-05-01 2002-05-01 적외선 조사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439U Division KR200244832Y1 (ko) 2001-05-15 2001-05-25 적외선 조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345A KR20020087345A (ko) 2002-11-22
KR100470187B1 true KR100470187B1 (ko) 2005-02-21

Family

ID=27726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905A KR100470187B1 (ko) 2002-05-01 2002-05-01 적외선 조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01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57740B (zh) * 2008-12-23 2012-03-07 中国医科大学附属第一医院 可控波红外线皮肤病治疗仪
KR102624810B1 (ko) * 2021-07-23 2024-01-15 현광철 광 조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3569A (ja) * 1990-06-20 1992-02-21 Tanabe:Kk 光線治療装置
JPH0615009A (ja) * 1992-07-02 1994-01-25 Kaname Fukazawa 赤外線治療装置
JPH0928821A (ja) * 1995-07-19 1997-02-04 Sanyo Electric Co Ltd 赤外線治療器
KR970004314U (ko) * 1995-07-26 1997-02-19 음이온 발생부를 가지는 적외선 발생기
JPH105357A (ja) * 1996-06-19 1998-01-13 Minolta Co Ltd 光線治療器
JP2000254241A (ja) * 1999-03-04 2000-09-19 Mamoru Arikata 赤外線治療器の赤外線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3569A (ja) * 1990-06-20 1992-02-21 Tanabe:Kk 光線治療装置
JPH0615009A (ja) * 1992-07-02 1994-01-25 Kaname Fukazawa 赤外線治療装置
JPH0928821A (ja) * 1995-07-19 1997-02-04 Sanyo Electric Co Ltd 赤外線治療器
KR970004314U (ko) * 1995-07-26 1997-02-19 음이온 발생부를 가지는 적외선 발생기
JPH105357A (ja) * 1996-06-19 1998-01-13 Minolta Co Ltd 光線治療器
JP2000254241A (ja) * 1999-03-04 2000-09-19 Mamoru Arikata 赤外線治療器の赤外線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345A (ko) 200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3718B2 (en) High power time varying magnetic field therapy
US11607556B2 (en) Aesthetic method of biological structure treatment by magnetic field
US8435273B2 (en) High powered light emitting diode photobiology device
US89159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thermal treatment of tissue at depth
US73512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thermal treatment of tissue at depth
US20070282400A1 (en) Combination medical therapy device that integrates: electrical stimulation, light therapy, heat, pressure, and vibration
AU2020254105B2 (en) Device for biostimulating phototherapy
KR100470187B1 (ko) 적외선 조사기
KR200244832Y1 (ko) 적외선 조사기
CN211935181U (zh) 中频手术装置
EP2145649B1 (en) Device for application of phototherapy
CA2775529C (en) High powered light emitting diode photobiology device
WO2001032262A1 (en) Miniature cluster laser therapy device
KR200420915Y1 (ko) 적외선 발생기
KR20190140555A (ko) 국부 마사지용 마그네트 세라믹 주열기가 장착된 돔형 적외선 온열치료기
KR100679249B1 (ko) 저주파 물리치료 장치
KR20050024353A (ko) 피부 및 피하 상태 치료 방법 및 장치
KR20020070008A (ko) 온열치료용 매트의 구동 방법
JPWO2020202063A5 (ko)
KR100478967B1 (ko) 원적외선 치료기의 구동방법
DYSON Pain Relief by Phototherapy: What It Does and How It Does It
KR20020070007A (ko) 온열치료용 매트의 구동 방법
CN107714459A (zh) 电子艾灸笔
Knapp Practical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Lecture 6. Effects of Heat and Cold, Part 3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