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998B1 - 문양로울러를 이용한 문양콘크리트벽 타설방법 및 상기방법에 사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문양로울러를 이용한 문양콘크리트벽 타설방법 및 상기방법에 사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998B1
KR100469998B1 KR10-2003-0003812A KR20030003812A KR100469998B1 KR 100469998 B1 KR100469998 B1 KR 100469998B1 KR 20030003812 A KR20030003812 A KR 20030003812A KR 100469998 B1 KR100469998 B1 KR 100469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wall
pattern
formwork
roller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1389A (ko
Inventor
박항선
Original Assignee
박항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항선 filed Critical 박항선
Priority to KR10-2003-0003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998B1/ko
Publication of KR20030011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9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양로울러를 이용한 문양콘크리트벽 타설방법 및 상기 방법에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문양로울러에 의한 방법에는 문양로울러가 오염되거나 손상의 우려가 많고 로울러에 의한 압착과정에서 브라켓의 파손우려가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내구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일정 문양을 가지는 콘크리트벽을 기계를 이용하여 타설하는 문양콘크리트벽 타설방법에 있어서;
이동식 기계에 장착되어 이동에 따라 콘크리트벽을 형성하는 콘크리트벽의 형태를 가진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주입과정과;
상기 주입된 콘크리트를 하나 이상의 바이브레이터에 의하여 다짐작업을 하며 콘크리트벽의 형태를 가지는 거푸집으로 이동시키는 운반과정과;
상기 운반과정을 거친 콘크리트가 거푸집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거푸집의 단면의 형태로 성형되는 성형과정과;
상기 거푸집에서 성형된 콘크리트벽의 일측면을 따라 비닐이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표면을 덮도록 하는 비닐공급과정과;
일정 문양이 새겨진 문양로울러가 상기 비닐의 외측면으로부터 압력을 가하며 이동에 따라 회전하여 문양 요철을 형성하는 문양형성과정의 일련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로울러를 이용한 문양콘크리트벽 타설방법 및;
이동식 기계에 부착되어 콘크리트벽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이동식 기계의 이동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벽을 형성하는 거푸집과; 상기 거푸집에 부착되어 콘크리트벽에 문양을 새기는 문양로울러를 포함하는 문양콘크리트벽 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끝단 상하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상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장착되는 문양로울러로 이루어진 문양로울러장착부와;
상기 문양로울러장착부의 후방 상기 거푸집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 되어 형성된 돌출브라켓과, 상기 돌출브라켓의 사이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축봉으로 이루어지는 비닐공급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콘크리트벽 타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문양로울러를 이용한 문양콘크리트벽 타설방법 및 상기 방법에 사용되는 장치{The meyhod and appartus for making shape concretewall using shape-roller}
본 발명은 문양로울러를 이용한 문양콘크리트벽 타설방법 및 상기 방법에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문양로울러에 의한 방법에는 문양로울러가 오염되거나 손상의 우려가 많고 로울러에 의한 압착과정에서 브라켓의 파손우려가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내구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본 발명은 문양로울러를 이용한 문양콘크리트벽 타설방법 및 상기 방법에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식 기계를 이용하여 문양콘크리트벽을 타설하는 경우, 문양이 없는 거푸집으로 콘크리트벽을 형성하고, 형성된 콘크리트벽에 문양 거푸집을 덧대어 다시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콘크리트벽에 문양을 새겨 넣거나 문양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거푸집에 의한 방법은 작업이 모두 인력으로 이루어지며 양생까지의 시간과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거푸집의 노후에 의한 교체작업도 필요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2002-0021611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도 5는 종래 이동식 기계를 이용한 문양콘크리트벽 타설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의 구성은 이동식 기계(1)에 부착되어 콘크리트벽을 형성하는 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벽의 형태를 갖고 이동식 기계(1)의 이동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벽을 형성하는 거푸집(2)과, 상기 거푸집(2)에 부착되어 콘크리트벽에 문양을 새기는 문양로울러(3)를 포함하는 문양콘크리트벽 타설장치를 나타내었다.
즉 일정 문양이 새겨진 문양로울러(3)가 상기 콘크리트벽의 외측면으로부터 압력을 가하며 이동에 따라 회전하여 문양 요철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장치는 문양로울러(3)가 거푸집(2)과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별도의 브라켓(4)에 장착되어 있어 보다 선명하고 요철의 굴곡이 큰 문양을 형성하기에는 그 강도가 부족하여 이에 따른 손상이나 피로파괴의 우려가 있다.
또한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문양로울러(3)에는 콘크리트가 묻게 되어 시간이 지나면 요철부를 막아 불량이 되는 경우 같은 오염에 노출되어 있다.
또 상기 문양로울러(3)가 문양을 형성하게 되는 과정에서 축의 외측방향으로의 반발력을 가지게 되며 이 반발력을 적당히 완충시켜 장치에 걸리는 부하를 해소하는 마땅한 대비책이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보다 효과적으로 문양콘크리트벽을 타설하는 장치의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콘크리트벽에 문양을 로울러를 이용하여 찍어내는 과정에서 작용하는 힘에도 장치의 손상이나 부하가 적은 타설방법 및 장치를 개발하는데 있다.
또한 작업의 진행에 따라 문양로울러가 오염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있다.
또 문양로울러가 문양을 형성하게 되는 과정에서 축의 외측방향으로의 반발력을 가지게 되며 이 반발력을 적당히 완충시켜 장치에 걸리는 부하를 해소하는데 있다.
일정 문양을 가지는 콘크리트벽을 기계를 이용하여 타설하는 문양콘크리트벽 타설방법에 있어서;
이동식 기계에 장착되어 이동에 따라 콘크리트벽을 형성하는 콘크리트벽의 형태를 가진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주입과정과;
상기 주입된 콘크리트를 하나 이상의 바이브레이터에 의하여 다짐작업을 하며 콘크리트벽의 형태를 가지는 거푸집으로 이동시키는 운반과정과;
상기 운반과정을 거친 콘크리트가 거푸집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거푸집의 단면의 형태로 성형되는 성형과정과;
상기 거푸집에서 성형된 콘크리트벽의 일측면을 따라 비닐이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표면을 덮도록 하는 비닐공급과정과;
일정 문양이 새겨진 문양로울러가 상기 비닐의 외측면으로부터 압력을 가하며 이동에 따라 회전하여 문양 요철을 형성하는 문양형성과정의 일련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로울러를 이용한 문양콘크리트벽 타설방법 및;
이동식 기계에 부착되어 콘크리트벽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이동식 기계의 이동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벽을 형성하는 거푸집과; 상기 거푸집에 부착되어 콘크리트벽에 문양을 새기는 문양로울러를 포함하는 문양콘크리트벽 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끝단 상하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상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장착되는 문양로울러로 이루어진 문양로울러장착부와;
상기 문양로울러장착부의 후방 상기 거푸집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 되어 형성된 돌출브라켓과, 상기 돌출브라켓의 사이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축봉으로 이루어지는 비닐공급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콘크리트벽 타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 분해사시도
도 5는 종래 이동식 기계를 이용한 문양콘크리트벽 타설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동식 기계
2 : 거푸집
3 : 문양로울러
4 : 브라켓
5 : 문양로울러장착부
51 : 브라켓 52 : 삽입홈
53 : 베어링 54 : 탄성부재
6 : 비닐공급부
61 : 돌출브라켓 62 : 축봉
63 : 비닐롤 64 : 비닐
100 : 콘크리트벽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 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일정 문양을 가지는 콘크리트벽을 기계를 이용하여 타설하는 문양콘크리트벽 타설방법에 있어서;
이동식 기계에 장착되어 이동에 따라 콘크리트벽을 형성하는 콘크리트벽의 형태를 가진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주입과정과;
상기 주입된 콘크리트를 하나 이상의 바이브레이터에 의하여 다짐작업을 하며 콘크리트벽의 형태를 가지는 거푸집으로 이동시키는 운반과정과;
상기 운반과정을 거친 콘크리트가 거푸집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거푸집의 단면의 형태로 성형되는 성형과정과;
상기 거푸집에서 성형된 콘크리트벽의 일측면을 따라 비닐이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표면을 덮도록 하는 비닐공급과정과;
일정 문양이 새겨진 문양로울러가 상기 비닐의 외측면으로부터 압력을 가하며 이동에 따라 회전하여 문양 요철을 형성하는 문양형성과정의 일련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로울러를 이용한 문양콘크리트벽 타설방법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기 문양로울러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문양을 형성하도록 하여 종래 거푸집에 의한 방법보다 인력의 절감과 빠른 시공을 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콘크리트벽과 문양로울러 사이에 비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하여 문양로울러에 콘크리트가 묻게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비닐은 시공 후 별도로 제거할 수도 있으나 콘크리트벽의 양생과정중에 자연적으로 산화되어 떨어지게 되어 별도의 제거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상기 비닐은 양생 중에 비가 오는 경우 외표면이 변색되거나 수분함량의 증가로 점도가 떨어져 문양부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이중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로서, 거푸집(2)의 일측면에비닐공급부(6)와 문양로울러장착부(5)를 두어 상기 거푸집(2)의 진행방향에 따라 연속적으로 문양이 있는 콘크리트벽(100)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또한 중앙분리대와 같이 양측면이 개방된 경우에는 상기 비닐공급단계는 상기 콘크리트벽의 양측면에 각각 비닐을 공급하여 덮도록 하고;
상기 문양형성과정에서는 한 쌍의 문양로울러이 마주보며 각각 콘크리트벽의 측면에 상응하여 회전하도록 함으로서 양측에 동시에 문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 예일 것이다.
또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콘크리트와 문양로울러 사이에 위치하여 문양로울러의 오염을 막는 비닐을 여러 가지 다른 재료로서 대체 할 수 있을 것이며 이때 수분의 흡수 정도를 조절 가능하게 재료를 선택하면 문양부의 색에 변화를 줄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 예를 안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이동식 기계(1)에 부착되어 콘크리트벽(100)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이동식 기계(1)의 이동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벽(100)을 형성하는 거푸집(2)과; 상기 거푸집(2)에 부착되어 콘크리트벽(100)에 문양을 새기는 문양로울러(3)를 포함하는 문양콘크리트벽 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2)의 끝단 상하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브라켓(51)과, 상기 브라켓(51)의 상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장착되는 문양로울러(3)로 이루어진 문양로울러장착부(5)와;
상기 문양로울러장착부(5)의 후방 상기 거푸집(2)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외측으로 돌출 되어 형성된 돌출브라켓(61)과, 상기 돌출브라켓(61)의 사이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축봉(62)으로 이루어지는 비닐공급부(6)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콘크리트벽 타설장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기 축봉(62)에는 비닐롤(63)이 장착되어 비닐(64)이 상기 문양로울러(3)와 콘크리트벽사이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였으며, 비닐(64)의 특성상 건조되지 않은 콘크리트에 비닐(64)은 밀착되어 쉽게 덜어지지 않게 되므로 별도의 비닐롤(63)의 강제 회전 수단을 필요로 하지는 않을 것이나 그 회전을 보다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상기 축봉(62)을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비닐(64)은 문양로울러(3)에 의하여 압착되고 요철의 형상으로 상기 콘크리트벽(100)에 부착되는 과정에서 신장하게되므로 얇고 잘 늘어나는 소재를 선택해야 함이 바람직한 실시 예 일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 분해사시도로서, 상기 브라켓(51)의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삽입홈(5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52)에 베어링(53)이 각각 장착되며, 상기 마주보는 베어링(53)에 문양로울러(3)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콘크리트벽 타설장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기 문양로울러(3)가 원활하게 회전하며 문양을 찍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문양로울러(3)가 보다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하고 누적된 힘에 의하여 문양로울러(3) 혹은 상기 문양로울러(3)의 연결부가 파손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홈(52)은 베어링(53)이 장착되어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장착된 베어링(53)의 일측면에 상응하고 삽입홈(52)의 상기 베어링(53)을 제외한 공간에 상응하여 장착되는 탄성부재(54)를 장착하도록 하여 큰 힘이 작용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문양로울러(3)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그 힘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실시 예를 용이하게 안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54)를 응용하여 문양로울러(3)가 콘크리트벽(100)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여 콘크리트의 유동성에 따라 최적의 문양이 찍히도록 하는 것 또한 바람직한 실시 예일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벽에 문양을 로울러를 이용하여 찍어내는 과정에서 작용하는 힘에도 정치의 손상이나 부하가 적은 타설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닐을 콘크리트벽과 문양로울러의 중간에 공급함으로서 문양로울러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문양로울러가 문양을 형성하게 되는 과정에서 축의 외측방향으로의 반발력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장치에 걸리는 부하를 해소하여 장치의 고장이나 오작동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일정 문양을 가지는 콘크리트벽을 기계를 이용하여 타설하는 문양콘크리트벽 타설방법에 있어서;
    이동식 기계에 장착되어 이동에 따라 콘크리트벽을 형성하는 콘크리트벽의 형태를 가진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주입과정과;
    상기 주입된 콘크리트를 하나 이상의 바이브레이터에 의하여 다짐작업을 하며 콘크리트벽의 형태를 가지는 거푸집으로 이동시키는 운반과정과;
    상기 운반과정을 거친 콘크리트가 거푸집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거푸집의 단면의 형태로 성형되는 성형과정과;
    상기 거푸집에서 성형된 콘크리트벽의 일측면을 따라 비닐이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표면을 덮도록 하는 비닐공급과정과;
    일정 문양이 새겨진 문양로울러가 상기 비닐의 외측면으로부터 압력을 가하며 이동에 따라 회전하여 문양 요철을 형성하는 문양형성과정의 일련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로울러를 이용한 문양콘크리트벽 타설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공급단계는 상기 콘크리트벽의 양측면에 각각 비닐을 공급하여 덮도록 하고;
    상기 문양형성과정에서는 한 쌍의 문양로울러이 마주보며 각각 콘크리트벽의측면에 상응하여 회전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로울러를 이용한 문양콘크리트벽 타설방법.
  3. 이동식 기계에 부착되어 콘크리트벽(100)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이동식 기계(1)의 이동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벽(100)을 형성하는 거푸집(2)과, 상기 거푸집(2)에 부착되어 콘크리트벽(100)에 문양을 새기는 문양로울러(3)를 포함하는 문양콘크리트벽 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2)의 끝단 상하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브라켓(51)과, 상기 브라켓(51)의 상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장착되는 문양로울러(3)로 이루어진 문양로울러장착부(5)와;
    상기 문양로울러장착부(5)의 후방 상기 거푸집(2)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 되어 형성된 돌출브라켓(61)과, 상기 돌출브라켓(61)의 사이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축봉(62)으로 이루어지는 비닐공급부(6)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콘크리트벽 타설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51)의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삽입홈(5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52)에 베어링(53)이 각각 장착되며, 상기 마주보는 베어링(53)에 문양로울러(3)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콘크리트벽 타설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52)은 베어링(53)이 장착되어 외측방향으로슬라이드 되도록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장착된 베어링(53)의 일측면에 상응하고 삽입홈(52)의 상기 베어링(53)을 제외한 공간에 상응하여 장착되는 탄성부재(54)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콘크리트벽 타설장치.
KR10-2003-0003812A 2003-01-20 2003-01-20 문양로울러를 이용한 문양콘크리트벽 타설방법 및 상기방법에 사용되는 장치 KR100469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812A KR100469998B1 (ko) 2003-01-20 2003-01-20 문양로울러를 이용한 문양콘크리트벽 타설방법 및 상기방법에 사용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812A KR100469998B1 (ko) 2003-01-20 2003-01-20 문양로울러를 이용한 문양콘크리트벽 타설방법 및 상기방법에 사용되는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811U Division KR200314567Y1 (ko) 2003-01-21 2003-01-21 문양로울러를 이용한 문양콘크리트벽 타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389A KR20030011389A (ko) 2003-02-07
KR100469998B1 true KR100469998B1 (ko) 2005-02-05

Family

ID=27730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812A KR100469998B1 (ko) 2003-01-20 2003-01-20 문양로울러를 이용한 문양콘크리트벽 타설방법 및 상기방법에 사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99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389A (ko) 200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9998B1 (ko) 문양로울러를 이용한 문양콘크리트벽 타설방법 및 상기방법에 사용되는 장치
KR200314567Y1 (ko) 문양로울러를 이용한 문양콘크리트벽 타설장치
FR2789347B1 (fr) Blanchet a proprietes de surface variables pour machine a imprimer
DE50113243D1 (de) Antriebseinheit
ATE166266T1 (de) Seitenwand für eine stranggiessvorrichtung zum giessen von dünnblechen
CN1660570A (zh) 有一个张紧通道的印刷装置滚筒
FI109284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betonituotteiden valamiseksi
CN214563965U (zh) 一种纸板包装盒印刷用夹具
CN204955728U (zh) 数码印花机及其无接触式喷头保湿系统
KR970033285A (ko) 경동식 중력주조기의 탕수 박 자동 제거장치
JP2014046506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成形装置用の給材箱
CN112009988A (zh) 一种空心砖块简易翻转机构
CN209323384U (zh) 一种公路桥函施工防裂缝用填料装置
CN209835184U (zh) 一种数码印花机的上料装置
CN217752413U (zh) 一种胶辊生产用压制模具
CN219969167U (zh) 一种带有夹持功能的印刷装置
BE891584R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ajuster la hauteur de blocs de construction et analogues
CN107999325B (zh) 一种用于涂布的消泡系统
JPH0112643B2 (ko)
ITMO990142A1 (it) Apparato per decorare oggetti piatti
DE60106554D1 (de) Nockenvorrichtung zum entfernen und heben der frontplatte in einer vertikalen giessmaschine
KR920006566Y1 (ko) 이송용 콘베어에 있어서의 원통형 모울드 회동장치
EP1147892A3 (en) Machine and method for printing containers
FR2818336B3 (fr) Agencement de paliers pour un rouleau de machine de coulee continue
KR800001553Y1 (ko) 시멘트 블록 제조기의 진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3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notification of invalidation of opposi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4

Year of fee payment: 4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EXTG Extinguishment
O064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patent]
O064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