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352B1 - 액정표시장치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352B1
KR100469352B1 KR10-2002-0035385A KR20020035385A KR100469352B1 KR 100469352 B1 KR100469352 B1 KR 100469352B1 KR 20020035385 A KR20020035385 A KR 20020035385A KR 100469352 B1 KR100469352 B1 KR 100469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frame
crystal panel
polarizing plat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0202A (ko
Inventor
김효진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5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352B1/ko
Publication of KR20040000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0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3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완충패드 등을 사용하지 않고 금속 프레임에 의한 기구적인 리플현상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2개의 기판과, 이 기판의 상,하부에 각각 부착되는 상,하부 편광판으로 이루어진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의 후면에 배치되어 액정패널의 전면에 걸쳐 빛을 방출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상기 액정패널과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각 구성요소들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사각틀 형태의 몰드프레임과; 상기 액정패널 및 몰드프레임의 모서리부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LCD 모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액정패널의 상부 편광판 모서리부와 대응하는 전면부를 따라 상기 상부 편광판과 면접촉하게 되는 복수개의 비드부(beading)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비드부 외측 모서리와 액정패널의 상부 편광판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프레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용 프레임{Fram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LCD)}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을 지지하여 주는 금속 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하여 기구적 리플(ripple) 현상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액정표시장치의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형 표시장치의 하나인 액정디스플레이(LCD)는 음극선관(CRT)에 비해 시인성이 우수하고 평균소비전력도 같은 화면크기의 CRT에 비해 작을 뿐만 아니라 발열량도 작기 때문에 플라즈마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나 전계방출표시장치(FED:Field Emission Display)와 함께 최근에 휴대폰이나 컴퓨터의 모니터, 텔레비젼의 차세대 표시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LCD)는 특수하게 표면처리된 2개의 얇은 유리판 사이에 고체와 액체의 중간물질인 액정물질을 주입해 상하 유리기판 위의 전극의 전압차로 액정분자의 배열을 변화시킴으로써 명암을 발생시켜 영상을 표시하는 작동원리를 갖는다.
통상적으로, 액정표시장치를 이루는 LCD 모듈은 화면을 출력하는 액정패널과, 이 액정패널 후면에서 액정패널에 광원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backlight assembly), 외부로부터 영상신호 등을 받아 액정패널에 원하는 화면을 구현하는 구동회로부 및, 이들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몰드프레임 및 금속 프레임 등의 지지부재로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면의 도 1과 도 2는 액정표시장치의 LCD 모듈의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것으로, 영상을 출력하는 액정패널(10)의 후면에는 백라이트 어셈블리(20)를 구성하는 확산시이트(21) 및 상,하부 프리즘시이트(22, 23)와, 도광판(24)과, 반사시이트(25)가 차례로 배치되어 사각틀 형태의 플라스틱 몰드프레임(30) 상에 얹혀져 지지되고, 상기 몰드프레임(30)의 일측 모서리에는 빛을 방출하는 램프(27)가 설치되며, 상기 액정패널(10)과 백라이트 어셈블리(20) 및 몰드프레임(30)은 몰드프레임(30) 위쪽에서 결합되는 사각틀 형태의 금속 프레임(40)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지지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액정패널(10)은 2개의 유리기판(11)과 이 유리기판(11)의 상,하부면에 각각 부착되는 상부 편광판(12) 및 하부 편광판(13)으로 구성되며, 상기 금속 프레임(40)은 'ㄱ'자형 단면을 가지며 그의 전면부는 상기 액정패널(10)의 상부 편광판(12)의 모서리부분과 면접촉하며 지지하고, 그의 측면부는 몰드프레임(30)의 측면부와 나사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한다.
상기 금속 프레임(40)의 전면부에는 소정 간격으로 장홈형태의 비드부(41)(beading)가 복수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 비드부(41)는 금속 프레임(40)과 몰드프레임(30) 간의 틈새를 없앰으로써 지지강도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금속 프레임(40)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작되는데, 통상적으로 평탄도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금속 프레임(40)이 LCD 모듈에 결합되었을 때 액정패널(10)의 상부 편광판(12)에 국부적으로 집중하중이 가해져 잔물결이 이는 현상, 즉 리플(ripple)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말해서, 종래의 금속 프레임(40)은 액정패널(10)의 상부 편광판(12)과 면접촉하게 되므로, 평탄도 관리가 되지 않을 경우 금속 프레임(40)이 몰드프레임(30)에 결합시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된 부위 및 휘어진 부분 등에서 집중하중이 가해져 금속 프레임(40)의 끝단부와 상부 편광판(12) 간에 간섭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에 약간의 충격만 가해지더라도 리플현상이 야기되어 불량률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액정표시장치의 LCD모듈을 구성하는 금속 프레임에 의한 기구적인 리플(ripple)현상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액정표시장치용 프레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LCD 모듈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LCD 모듈의 일례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프레임의 일 실시예가 적용된 LCD 모듈의 부분 평면도 및 요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LCD 모듈의 프레임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LCD 모듈의 리플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수행하는 실험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LCD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액정패널 11 : 유리기판
12 : 상부 편광판 13 : 하부 편광판
20 : 백라이트 어셈블리 30 : 몰드프레임
400 : 금속 프레임 401 : 전면부
402 : 측면부 403 : 비드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르면, 2개의 기판과, 이 기판의 상,하부에 각각 부착되는 상,하부 편광판으로 이루어진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의 후면에 배치되어 액정패널의 전면에 걸쳐 빛을 방출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상기 액정패널과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각 구성요소들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사각틀 형태의 몰드프레임과; 상기 액정패널 및 몰드프레임의 모서리부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LCD 모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액정패널의 상부 편광판 모서리부와 대응하는 전면부를 따라 상기 상부 편광판과 면접촉하게 되는 복수개의 비드부(beading)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비드부 외측 모서리와 액정패널의 상부 편광판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프레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용 프레임이 다른 한 형태에 따르면, 2개의 기판과, 이 기판의 상,하부에 각각 부착되는 상,하부 편광판으로 이루어진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의 후면에 배치되어 액정패널의 전면에 걸쳐 빛을 방출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상기 액정패널과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각 구성요소들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사각틀 형태의 몰드프레임과; 상기 액정패널 및 몰드프레임의 모서리부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LCD 모듈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의 상부 편광판 모서리부와 프레임의 모서리부 사이에 부드러운 재질의 완충패드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프레임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프레임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의 설명에서 액정표시장치의 구성부 중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프레임 및 이 프레임이 적용된 LCD 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바, 액정표시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액정패널(10)과, 이 액정패널(10)의 후면에 설치되어 액정패널(10)의 전면으로 빛을 방출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20)와, 상기 액정패널(10)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20)가 얹혀져 지지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몰드프레임(30) 및, 상기 액정패널(10)과몰드프레임(30)의 각 모서리를 둘러싸며 지지하도록 액정패널(10)의 전방에서부터 결합되는 사각틀 형태의 금속 프레임(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는 확산시이트(21) 및 상,하부 프리즘시이트(22, 23)와, 도광판(24)과, 반사시이트(25) 및, 빛을 방출시키는 램프(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액정패널(10)은 2개의 유리기판(11)이 합착되고, 이 합착된 유리기판(11)의 상,하부면에 상,하부 편광판(12, 13)이 부착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금속 프레임(400)은 'ㄱ'자형 단면을 가지며, 그의 전면부(401)는 상기 액정패널(10)을 지지하고, 그의 측면부(402)는 몰드프레임(30)의 측면부와 결합되어 지지한다.
또한, 상기 금속 프레임(400)은 상기 액정패널(10)의 상부 편광판(12)과 대응하는 전면부를 따라서 복수개의 장홈형 비드부(403)(beading)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비드부(403)는 금속 프레임(400)이 액정패널(10) 및 몰드프레임(30)에 결합시 액정패널(10)의 상부 편광판(12) 모서리부에 면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금속 프레임(400)은 상기 비드부(403)에 의해 그의 전면부(401) 끝단부가 상부 편광판(12)과 직접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되어 간섭이 방지되고, 이로써 금속 프레임(400)에 의한 기구적인 리플 현상이 개선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금속 프레임(400)의 간섭에 의한 리플현상은 액정패널(10)의 유효면(Active Area)에 근접할수록 불리하며, 반대로 액정패널(10)의 모서리부로 갈수록 유리하게 작용하게 되는 바, 상기 비드부(403)에 의해 금속 프레임(400)과 상부 편광판(12) 간의 접촉 위치가 기존보다 모서리 쪽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리플현상이 개선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측정봉(60)으로 액정패널(10)의 유효면(A)(Active Area)과, 이 유효면(A)으로부터 모서리 쪽으로 1mm 이격된 지점(B), 상기 유효면(A)으로부터 모서리 쪽으로 2mm 이격된 지점(C)을 터치했을 때 리플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리플강도는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다.
측정봉위치 유효면(A) 1mm 이격된 지점(B) 2mm 이격된 지점(C)
액정주입구 5g 130g 750g
비액정주입구 5g 500g 1500g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효면(A) 지점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리플강도가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비드부(403)가 없는 기존의 금속 프레임(400)에서는 주로 금속 프레임(400) 끝단이 상부 편광판(12)과 간섭하게 되지만, 본 발명의 금속 프레임(400)은 상기 비드부(403)가 상부 편광판(12)과 간섭하게 되므로 리플강도가 기존보다 크게 되어 리플현상을 개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는 액정패널(10)의 상부 편광판(12) 모서리부와, 이 상부 편광판(12)의 모서리부와 접촉하게 되는 금속 프레임(40)의 전면 모서리부 간에 예컨대 고무 또는 섬유와 같은 부드러운 재질의 완충패드(50)를 개재시킴으로써, 금속 프레임(40) 끝단부와 상부 편광판(12) 간의 간섭을 억제하여 리플현상을 방지한다.
이 실시예에서 다른 구성부는 종래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종래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였으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와 두번째 실시예에 개시된 리플 방지를 위한 프레임 구조를 조합하여 액정표시장치용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는 바, 즉 첫번째 실시예의 금속프레임(400)의 비드부(403) 외측 모서리와 액정패널(10)의 상부 편광판(12) 사이를 따라 고무와 같은 부드러운 재질의 완충패드(50)를 개재시킴으로써 더욱 향상된 리플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프레임 전면부에 액정패널의 상부 편광판과 대응하여 접촉하는 비드부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금속 프레임과 상부 편광판과의 간섭이 줄어들게 되고, 접촉지점이 모서리부쪽으로 이동하여 리플강도가 증가되어 리플현상이 대폭 개선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프레임이 접촉하게 되는 액정패널의 편광판 상에 부드러운 완충패드가 개재됨으로써 금속 프레임과 상부 편광판과의 간섭이 줄어들게 되어 리플현상이 개선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2개의 기판과, 이 기판의 상,하부에 각각 부착되는 상,하부 편광판으로 이루어진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의 후면에 배치되어 액정패널의 전면에 걸쳐 빛을 방출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상기 액정패널과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각 구성요소들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사각틀 형태의 몰드프레임과; 상기 액정패널 및 몰드프레임의 모서리부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LCD 모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액정패널의 상부 편광판 모서리부와 대응하는 전면부를 따라 상기 상부 편광판과 면접촉하게 되는 복수개의 비드부(beading)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비드부 외측 모서리와 액정패널의 상부 편광판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는 장홈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프레임.
  3. 삭제
KR10-2002-0035385A 2002-06-24 2002-06-24 액정표시장치용 프레임 KR100469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385A KR100469352B1 (ko) 2002-06-24 2002-06-24 액정표시장치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385A KR100469352B1 (ko) 2002-06-24 2002-06-24 액정표시장치용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202A KR20040000202A (ko) 2004-01-03
KR100469352B1 true KR100469352B1 (ko) 2005-02-02

Family

ID=37312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385A KR100469352B1 (ko) 2002-06-24 2002-06-24 액정표시장치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3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8223B2 (ja) * 2006-03-24 2011-08-03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
KR100953537B1 (ko) 2008-01-21 2010-04-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WO2013037895A2 (de) * 2011-09-13 2013-03-21 Johnson Controls Automotive Electronics Gmbh Verfahren zur integration eines flüssigkristallbildschirms in einen träger und flüssigkristallbildschirmanordn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749A (ko) * 1999-01-14 2000-08-05 윤종용 정보처리장치용 화상표시모듈
KR20010000907U (ko) * 1999-06-22 2001-01-15 김영환 액정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749A (ko) * 1999-01-14 2000-08-05 윤종용 정보처리장치용 화상표시모듈
KR20010000907U (ko) * 1999-06-22 2001-01-15 김영환 액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202A (ko) 200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0534B2 (en) Borderless display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
KR100512396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JP5288526B2 (ja) フラット表示装置
KR100523472B1 (ko) 액정 표시장치
US7147357B2 (en) Backlight assembly
JP4997594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719658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080105725A (ko) 탑 샤시,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KR100413486B1 (ko) 액정표시장치(lcd)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1633125B1 (ko) 표시장치
KR20090046405A (ko)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모듈
US7766535B2 (en) Panel guide memb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80071614A (ko) 액정표시장치
KR100469352B1 (ko) 액정표시장치용 프레임
US8872999B2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JP2008129474A (ja) 表示装置
KR20070000855A (ko) 빛 샘 방지수단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 모듈
KR101165847B1 (ko) 백라이트 유닛을 장착한 액정표시장치
KR100421915B1 (ko) 액정표시장치의 하부커버 결합구조
KR101513159B1 (ko) 액정표시장치의 체결구조
KR100442292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754143B1 (ko) 휴대용 표시장치
US20140029301A1 (en)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191449B1 (ko) 액정 표시 모듈
KR100912690B1 (ko) 엘시디 모듈의 메탈섀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