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324B1 - 공기 조화기의 리액터 절연 커버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리액터 절연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324B1
KR100469324B1 KR10-2002-0029785A KR20020029785A KR100469324B1 KR 100469324 B1 KR100469324 B1 KR 100469324B1 KR 20020029785 A KR20020029785 A KR 20020029785A KR 100469324 B1 KR100469324 B1 KR 100469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or
air conditioner
insulation cover
outdoor uni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9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3394A (ko
Inventor
최귀주
성병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9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324B1/ko
Publication of KR20030093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3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2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리액터 절연 커버에 관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 비용이 저렴한 절연 커버(insulation cover)를 제공하고, 이 절연 커버를 리액터에 조립 체결함으로써 리액터를 외부의 접촉으로부터 충분히 격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리액터 절연 커버는 판형 부재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를 구비하고, 이 체결 부재를 통해 리액터의 설치 위치에 체결되어 리액터의 권선 부분을 커버함으로써 공기 조화기 내부의 다른 설치물이 리액터와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리액터 절연 커버{REACTOR INSULATION COVER IN 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 조화기의 인버터 전력 공급 장치에 사용되는 리액터(reactor)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냉매와 공기의 열 교환을 통해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장치로서, 크게 실내기와 실외기로 구성된다. 실내기에는 실내 열 교환기가 포함되고, 실외기에는 실외 열 교환기 및 압축기가 포함된다. 실내 공기의 냉방은 실내 열 교환기가 실내 공기로부터 빼앗은 열을 실외 열 교환기에서 외부 공기와의 열 교환을 통해 방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반대로 실내 공기의 난방은 외부 공기로부터 빼앗은 열을 실내 공기와의 열 교환을 통해 방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외기(100) 내부의 후면과 측면에 걸쳐 실외 열 교환기인 응축기(102)가 설치되고, 이 응축기(102)의 전면에는 송풍 팬(104)이 설치된다. 이 송풍 팬(104)을 가동하면 실외기(100)의 뒤쪽에서 앞쪽으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는데, 이 공기가 응축기(102) 사이를 통과하면 응축기의 열을 빼앗는다.
실외기(100) 내부는 격벽(112)을 통해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앞서 설명한 송풍 팬(104)이 설치되는 부분과, 압축기(106)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구분한다. 압축기(106) 설치 공간을 격벽(112)으로 막은 이유는 압축기(106)의 가동중에 발생하는 열이 송풍기(104)에 의한 응축기(102)의 발열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압축기(106)의 위쪽 벽면에는 전장실(108)과 리액터(110)가 설치된다. 이리액터(110)는 전장실(108) 내에 마련된 인버터의 전력공급장치(도시하지 않았음)를 구성하는 여러 구성 요소들 가운데 하나로서, 전력공급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 비교할 때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매우 크다. 이 때문에 리액터(110)는 전장실(108) 내에 삽입되지 못하고 격벽(112)의 벽면에 별도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전력 공급 장치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인버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전력 공급 장치는 입력 전하를 축적하여 보다 큰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스트 회로(Boost Circuit)이다.
도 2에서, 스위치(210)가 턴 온되면 입력 커패시터(206) 양단의 입력 전압(Vin)이 스위치(210)를 통해 흘러 출력 측의 인버터(216)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이 때 교류 전원(202)은 브리지 다이오드(204)를 통해 입력 커패시터(206)를 충전하여 입력 전압(Vin)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축적된 입력 전압(Vin)은 스위치(210)가 턴 오프되면 리액터(208)를 통해 출력 커패시터(214)를 충전하여 출력 전압(Vout)을 발생시킨다. 이 출력 전압(Vout)은 인버터(216)에 공급된다.
도 2의 전력 공급 장치는, 스위치 온 상태에서 입력 커패시터(206)에 축적된 전하가 스위치 오프 상태에서 출력 커패시터(214)에 제공되어 축적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약 18㎑의 속도로 반복되면서 출력 커패시터(214)의 전압이 크게 상승한다.
종래의 전력 공급 장치에 사용되는 리액터(208)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인버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장치의 래액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액터(104)는 도전체로 이루어진 도선이 수차례 권선되어 있는 형태로서, 볼트(310)를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는 다수개의 체결공(306)이 형성되어 있어 이 체결공(306)을 통해 볼트(310)를 삽입하여 리액터(104)를 응축실(112)의 벽면에 고정시킨다. 리액터(104)에 연결된 배선(308)은 전장실(102)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도 2의 회로도와 비교하면 입력측 커패시터(206)와 스위치(210)를 연결하는 배선이 된다.
도 1 및 도 3의 구조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인버터 전력 공급 장치에서 사용되는 리액터(110)는 전장실(108)에 수납되는 전력 공급 장치의 다른 구성 요소들과 달리 크기가 상대적으로 매우 크다. 따라서 리액터(110)는 전장실(108)에 수납되지 못하고 격벽(112)의 벽면에 설치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기(150)의 흡입구와 토출구에는 복잡한 냉매관이 설치되어 있다. 즉, 협소한 공간에 전장실(108)과 압축기(106), 리액터(110) 등이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권선 부분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리액터(104)에 냉매관이나 기타 장치들이 접촉하여 단락 등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리액터(110)의 외부면을 절연체로 몰딩하여 일체화한 제품이 출시되어 있으나 절연체의 몰딩 공정이 비교적 복잡하고, 그에 따른 비용 부담이 커서 경제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는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 비용이 저렴한 절연 커버(insulation cover)를 제공하고, 이 절연 커버를 리액터에 결합함으로써 리액터를 외부의 접촉으로부터 충분히 격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인버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장치의 회로도.
도 3은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인버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장치의 래액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캡을 구비한 리액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캡을 구비한 리액터가 설치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2 : 리액터
404 : 코일 권선
406, 414 : 체결공
412 : 절연 커버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리액터 절연 커버는 판형 부재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를 구비하고, 이 체결 부재를 통해 리액터의 설치 위치에 체결되어 리액터의 권선 부분을 커버함으로써 공기 조화기 내부의 다른 설치물이 리액터와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리액터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커버를 구비한 리액터(40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액터(402)는 도전체인 코일(404)이 링 형태의 본체에 수차례 권선되어 있는 형태이다. 리액터(402)의 본체에는 볼트(410)를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체결공(406)들이 형성되어 있어 이 체결공(406)들을 통해 각각 볼트(410)를 삽입하여 응축실의 벽면(416)에 체결함으로써 리액터(402)가 응축실의 벽면에 고정된다. 리액터(402)에 연결된 배선(408)은 전장실의 인버터(도시하지 않았음)에 연결된다.
절연 커버(412)는 링 형태의 권선 구조에 맞도록 원형으로 형성한다. 이 원형의 절연 커버(412)에도 리액터(402)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406)과 동일한 크기와 수량 및 간격으로 체결공(414)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 체결공(414, 406)들을 통해 볼트(410)를 삽입함으로써 절연 커버(412)와 리액터(402)가 일체로 응축실의 벽면(416)에 고정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커버(412)는 그 지름이 리액터(402)의 직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전면뿐만 아니라 측면과 상부및 하부의 구조물로부터 리액터(402)를 충분히 격리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캡을 구비한 리액터가 설치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외기(500) 내부의 격벽에는 전장실(508)과 리액터(510)가 설치된다.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리액터에는 절연 커버(514)가 설치되어 압축기(506)의 토출구 측에 설치되는 냉매관(516) 등과 접촉하지 않아 누전 등의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래액터 구조는 절연 커버에 의해 압축기의 토출구 측에 설치되어 있는 냉매관이나 오일 분리기와 리액터가 격리됨으로써 누전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Claims (5)

  1. 도전선이 권선된 리액터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리액터의 권선 부분과 다른 물체와의 접촉을 막기 위한 절연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리액터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마련되고,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는 체결 부재를 통해 상기 절연 커버와 상기 리액터가 일체로 결합되는 공기 조화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커버의 체결 부재가 고정 볼트이고, 상기 고정 볼트가 상기 리액터의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절연 커버가 상기 리액터에 체결되는 공기 조화기.
  4.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장치에서 전력의 축적과 방출 작용을 통해 입력전압보다 큰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리액터가 상기 실외기의 내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리액터에 결합되어 상기 리액터의 권선 부분과 상기 실외기의 다른 장치물과의 접촉을 막기 위한 절연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리액터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마련되고,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는 체결 부재를 통해 상기 절연 커버와 상기 리액터가 일체로 결합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5. 삭제
KR10-2002-0029785A 2002-05-29 2002-05-29 공기 조화기의 리액터 절연 커버 KR100469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785A KR100469324B1 (ko) 2002-05-29 2002-05-29 공기 조화기의 리액터 절연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785A KR100469324B1 (ko) 2002-05-29 2002-05-29 공기 조화기의 리액터 절연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394A KR20030093394A (ko) 2003-12-11
KR100469324B1 true KR100469324B1 (ko) 2005-02-02

Family

ID=32384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785A KR100469324B1 (ko) 2002-05-29 2002-05-29 공기 조화기의 리액터 절연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3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3968U (ja) * 1983-06-13 1984-12-22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始動リアクタ固定装置
JPH06137610A (ja) * 1992-10-22 1994-05-20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JPH09159219A (ja) * 1995-12-05 1997-06-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KR19980021315U (ko) * 1996-10-19 1998-07-15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리액터 장착구조
KR200230977Y1 (ko) * 1998-08-25 2001-10-2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실외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3968U (ja) * 1983-06-13 1984-12-22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始動リアクタ固定装置
JPH06137610A (ja) * 1992-10-22 1994-05-20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JPH09159219A (ja) * 1995-12-05 1997-06-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KR19980021315U (ko) * 1996-10-19 1998-07-15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리액터 장착구조
KR200230977Y1 (ko) * 1998-08-25 2001-10-2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실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394A (ko) 200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4192B2 (ja) 複数部分構成のハウジングおよび内蔵の冷却用空気ダクトを有するインバータ
US6879057B1 (en) Electrical distribution box for vehicles having two networks with different voltage levels
US10156239B2 (en) Inverter-integrated electrical compressor
JPH07322592A (ja) 電動機
JP2005036773A (ja) 車両用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コンプレッサ
WO2020170447A1 (ja) 充放電装置
US10945355B2 (en) Power conversion device
CA2109522A1 (en) High power ac traction inverter cooling
US20020140290A1 (en) Electric circuit of electric vehicle
CN109275321B (zh) 一种间歇通电工作的电气控制设备
US5628818A (en) Electronic air cleaner cell containment structure
KR102339392B1 (ko) 공기조화기
KR100469324B1 (ko) 공기 조화기의 리액터 절연 커버
JP2001165462A (ja) モータ被動ファンユニットを含む暖房または空調装置
JP6183930B2 (ja) 電気設備用筐体
JP2002191153A (ja) 電動式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7250700A (ja) 半導体装置
EP1500882B1 (en) Outdoor unit for use in air conditioner
CN212183931U (zh) 电控箱和制冷设备
JP5869093B1 (ja) 制御盤
WO2006048835A1 (en) Electronic ballast with remote capacitor placement
JPH10146064A (ja) 電力変換装置用キュービクルの構造
CN102077345A (zh) 接地系统和设备
CN214044671U (zh) 一种增加元器件安装空间的高压散热型配电箱
US20030110790A1 (en) Water removal device for refriger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