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807B1 - 사운드제어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사운드제어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807B1
KR100468807B1 KR1019970032170A KR19970032170A KR100468807B1 KR 100468807 B1 KR100468807 B1 KR 100468807B1 KR 1019970032170 A KR1019970032170 A KR 1019970032170A KR 19970032170 A KR19970032170 A KR 19970032170A KR 100468807 B1 KR100468807 B1 KR 100468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volume
control circuit
leve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2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0797A (ko
Inventor
에이치. 노트 윌리엄
베이라모글루 고캘프
티. 트란 댄
엔. 델랄 히텐
주니어 콘래드 엠. 앨린
Original Assignee
콤파크 컴퓨터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파크 컴퓨터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콤파크 컴퓨터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980010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0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1/00Details of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mplification
    • H03G1/02Remote control of amplification, tone or bandwid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using hardware independent of the central processor, e.g. channel or peripheral proces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은 스피커와,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한 유닛과, 상기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모니터와, 상기 유닛을 모니터에 접속시키는 비디오 케이블과, 상기 모니터 내에 장착되고 스피커의 볼륨을 제어하는 볼륨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닛 내의 회로는 스피커의 볼륨 출력을 조절함으로써 볼륨 제어부에 응답한다.

Description

사운드 제어 장치 및 방법{CONTROLLING SOUND}
본 발명은 사운드를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컴퓨터 시스템은 예컨대, 스피커폰 에뮬레이션의 부품으로서 오디오 스피커를 이용하거나 또는 CD-ROM으로부터 판독되는 데이타를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갖는다.
플러그-인 사운드 카드 또는 보드 장착된 칩은 통상적으로 소프트웨어에 의해 발생된 사운드 데이타와 스피커 사이에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 사운드 회로는 마이프로폰에 의해 제공되는 아날로그 입력을 샘플링하는데 사용되는 디지탈 신호 프로세서를 가질 수 있다. 사운드 데이타가 디지탈 포맷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사운드 회로는 통상적으로 사운드 데이타를 스피커에 제공되는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지탈 아날로그(D/A) 컨버터를 가지고 있다. 컴퓨터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는 통상적으로 아날로그 표시량 및 그에 따른 스피커로부터 방출되는 사운드의 볼륨 레벨을 설정하기 위해 사운드 칩을 프로그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와 관련된 사운드 발생 장치에 의해 방출되는 사운드의 가청 특성 레벨을 제어하는 장치가 일반적으로 제공된다. 이 장치는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여 사운드 발생 장치를 구동시키도록 접속된 오디오 출력을 갖는 사운드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어부는 사용자가 원하는 가청 특성 레벨을 지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복수 라인의 비디오 케이블은 컴퓨터의 비디오 콘트롤러와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를 접속하는 라인을 갖는다. 사운드 회로는 비디오 케이블의 적어도 하나의 라인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사용자 제어부는 비디오 케이블의 적어도 하나의 라인의 타단부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부는 사운드 회로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행은 이하에 나타난 하나 이상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 및 사운드 회로는 원하는 가청 특성 레벨에 대한 정보를 인코딩 및 디코딩하는 인코더 및 디코더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원하는 레벨에 있어서의 상대 증가량 및 감소량을 나타내는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가청 특성은 볼륨이다. 제어부는 원하는 레벨로서 뮤팅(muting)을 나타내는 소자를 포함한다. 몇개의 예에서, 사운드 회로를 제어부에 접속시키는 정확하게 2개의 비디오 케이블 라인이 있다. 제어부는 수동으로 회전가능한 부재 및 이 부재와 관련된 샤프트 인코더를 포함한다. 수동으로 회전가능한 부재는 양방향으로 정지함이 없이 회전가능하다. 케이블은 VGA 케이블이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VGA 호환가능한 모니터이다. 제어부는 푸시 버튼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운드 회로가 제공하는 가청 특성 레벨을 표시하는 값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 장치를 포함하는 사운드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가 일반적으로 제공되는데, 이 기억된 값은 컴퓨터의 다른 장치에도 이용될 수 있다. 전자 기계적 제어부에 의해 사용자는 가청 특성 레벨에 있어서의 원하는 불연속 증분을 지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이 제어부는 원하는 불연속 증분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모션 인코더(motion encoder)를 포함한다. 사운드 회로는 인코더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원하는 가청 특성 레벨을 나타내는 저장된 값을 변경한다.
본 발명의 실행은 이하에 나타나는 하나 이상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불연속 증분은 볼륨에 있어서의 증가 및 감소를 포함한다. 전자 기계적 제어부는 회전가능한 부재를 포함하며 인코더는 샤프트 앵글 인코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갱신율보다 빠르지 않은 속도로 갱신가능한 기억 장치에서의 불연속 값을 갖는 장치가 일반적으로 제공된다. 제어부에 의해, 사용자는 가청 특성 레벨의 원하는 불연속 증분을 지시할 수 있으며, 이 증분은 제1 갱신율보다 빠른 제2 갱신율로 지시된다. 버퍼 장치(예컨대, 마이크로콘트롤러를 포함한다)는 제2 갱신율로 전송되는 원하는 불연속 증분을 큐잉하며, 제1 갱신율보다 빠르지 않은 속도로 기억 장치에 기억된 값의 대응하는 갱신을 관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피커와,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한 유닛과, 상기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모니터와, 상기 유닛을 모니터에 접속하는 비디오 케이블과, 상기 모니터 내에 장착되고 스피커의 볼륨을 제어하는 볼륨 제어부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특징이 있다. 유닛 내의 회로는 스피커의 볼륨 출력을 조절함으로써 볼륨 제어부에 응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피커와,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한 유닛 및 비디오 콘트롤러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특징이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모니터와, 스피커용 볼륨 제어부를 포함하며, 볼륨 제어부는 모니터 내에 장착된다. 비디오 케이블은 모니터와 통신하기 위해 비디오 콘트롤러에 의해 사용되는 라인과, 스피커의 볼륨을 제어하기 위한 2 개의 라인을 갖는다. 컴퓨터 시스템은 유닛 내에 2 개의 라인에 접속되어 스피커의 볼륨 출력을 조절함으로써 볼륨 제어부에 응답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하 나타나는 하나 이상의 장점을 갖는다. 통상적으로 이용가능한 VGA 커넥터 및 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는 볼륨 또는 스피커에 의해 생성된 사운드의 다른 특성을 제어 손잡이(control knob)에 의해 갱신될 때 추적할 수 있다. 실제의 볼륨 또는 스피커로부터의 사운드의 다른 특성은 모니터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볼륨 제어 및 뮤팅(muting) 정보는 동시에 인코딩되며, 그것에 의해 VGA 케이블의 전용 제어 라인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어 손잡이의 위치에 있어서의 신속한 변화는 큐잉되며, 그에 따라, "미끄러짐"이 방지된다. 볼륨에 있어서의 변화는 볼륨 제어 손잡이의 절대 위치와 무관하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및 특징이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10)의 볼륨 제어 회로(36)(모니터(12)에 장착됨)는 사운드 칩(82)(컴퓨터 유닛(30)에 장착됨)과 상호 작용하여 2 개의 스피커(18)로부터 방출되는 사운드의 볼륨을 제어한다. 원하는 볼륨의 변화를 표시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볼륨이 증가되거나(시계 방향으로 회전) 또는 감소되는지(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의 여부를 표시하는 모니터(12)의 볼륨 제어 손잡이(16)를 돌릴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모니터(12)의 뮤트 버튼(14)을 통해 사운드를 선택적으로 뮤트할 수 있다. 볼륨 제어 회로(36)는 뮤트 버튼(14)(누름용) 및 손잡이(16)(회전용)를 모니터하고, 통상적인 비디오 그래픽 어댑터(video graphics adaptor;VGA) 케이블(24)의 2개의 사용되지 않은 라인[볼륨 제어 라인(21-22)]을 통해 이 정보를 사운드 칩(82)으로 전송한다. 볼륨 제어 라인(21-22)는 VGA 커넥터(28)의 핀 4와 11에 대응한다(도 4 참조).
스피커(18)로부터 방출되는 사운드의 볼륨은 예컨대, 스피커(18) 부근의 증폭기에 의해 조절하는 대신에 사운드 공급원[즉, 사운드 칩(82)]에서 조절된다. 스피커(18) 부근의 증폭기 대신에 사운드 공급원에서 볼륨을 조절함으로써, 스피커(18)로부터 방출되는 바람직하지 않은 노이즈(예컨대, 모니터로부터의 노이즈)가 감소되고, 컴퓨터 시스템(10)의 소프트웨어는 사운드 칩(82)에 의하여 스피커(18)로부터 방출하는 사운드의 실제 볼륨을 나타내는 데이타 레벨을 판독할 수 있다.
원하는 볼륨의 변화량을 표시하기 위해, 볼륨 제어 회로(36)는 볼륨 제어 손잡이(16)의 불연속 증분각 변위(710)(도 18 참조)를 추적한다. 볼륨 제어 손잡이(16)의 증분각 변위(710)(절대적인 각도 위치는 아님)가 원하는 볼륨 조절을 표시하기 때문에, 볼륨 제어 손잡이(16)는 회전 정지 제한되지 않고 양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볼륨 제어 손잡이(16)의 회전 각도 360도는 증분각 변위(710)에 대해 소정의 수(예컨대, 20)로 일정하게 분할된다. 각각의 증분각 변위(710)는 "클릭(click)"을 통해 사용자에게 지시되며, 각 클릭은 볼륨에 있어서의 변화(증가 또는 감소)의 소정의 증분을 나타낸다. 볼륨 제어 손잡이(16)는 사운드 칩(82)이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미끄러짐(slippage)"이라고 칭함), 볼륨 제어 회로(36)는 검출되는 증분각 변위(710)의 전체를 큐잉한다. 볼륨 제어 회로(36)는 사운드 칩(82)으로 다시 큐잉되는 증분각 변위(710)를 사운드 칩(82)이 수용할 수 있는 속도로 재생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유닛(30)은 중앙 처리 장치(CPU)(50), 레벨 2(L2) 캐시(52) 및 시스템 메모리(58)를 포함하는데, 이들 모두는 로컬 버스(54)에 결합되어 있다. 호스트 브리지/시스템 콘트롤러(56)는 로컬 버스(54)를 주변 장치 상호 접속(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PCI) 버스(60)에 인터페이스시키며, 시스템 메모리(58)로의 액세스를 제어한다. PCI 버스(60)에는, PCI-산업 표준 구조(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ISA) 브리지 회로(62) 및 비디오 콘트롤러(64)가 결합되어 있다. 비디오 콘트롤러(64)는 VGA 케이블(24)의 VGA 라인(65)을 통해 이미지 데이타를 모니터(12)로 전송하며, 브리지 회로(62)는 PCI 버스(60)를 ISA 버스(66)에 인터페이스시킨다. ISA 버스(66)에는 모뎀(68)(스피커폰을 에뮬레이트하기 위해 사운드 칩(82)과 함께 사용됨), 드라이브 콘트롤러(70), 키보드 콘트롤러(76) 및 사운드 칩(82)이 결합되어 있다. 드라이브 콘트롤러(70)는 소형 컴퓨터 시스템 인터페이스(Small Computer Systems Interface;SCSI) 버스(71)를 제어한다.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72)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74)는 SCSI 버스(71)에 결합되어 있다. 키보드 콘트롤러(76)는 누름 키용 키보드(78)를 스캔한다. 모니터(12)의 특징(예컨대, 제조자 및 모델)을 식별하기 위해, 키보드 콘트롤러(76)는 VGA 케이블(24)을 통해 모니터(12)로 연장하는 디지탈 데이타 채널(Digital Data Channel; DDC) 라인(87)을 통해 모니터(12)와 인터페이스한다. 사운드 칩(82)(예컨대, ESS Technology에 의해 제조된 부품 번호 1888, 1788 또는 1688)의 마이크로폰 입력은 마이크로폰 케이블(34)을 통해 마이크로폰(20)에 결합되며, 사운드 칩(82)의 스피커 출력은 스피커 케이블(32)을 통해 스피커(18)에 결합된다.
볼륨 제어에 사용되는 VGA 케이블(24)의 라인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볼륨 제어 회로(36)는 볼륨 제어 신호 VOLUP#를 볼륨 제어 라인(21)에 공급하고 볼륨 제어 신호 VOLDOWN#를 볼륨 제어 라인(22)에 공급하며, 접미사 "#"는 음(-)의 논리를 나타낸다. 신호 VOLUP# 및 VOLDOWN#는 사용자가 볼륨을 높일지 낮출지를 각각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뮤팅 정보는 하기 설명하는 바와 같이, 신호 VOLUP# 및 VOLDOWN#으로 인코딩된다. 컴퓨터 유닛(30)의 디코더 회로(84)는 볼륨 제어 라인(21-22)으로부터 볼륨 제어 신호 VOLUP# 및 VOLDOWN#를 수신하여, 이들 신호로부터의 뮤팅 정보를 디코딩하고, 이들 볼륨 제어 신호(V_UP#, V_DOWN# 및 V_MUTE#)를 사운드 칩(82)에 공급한다. 신호 V_UP#, V_DOWN# 및 V_MUTE#는 각각 볼륨을 증가시키고, 감소시키며, 뮤트시키는데 사용된다. 볼륨 제어 신호 V_UP# 및 V_DOWN# 및 V_MUTE#는 풀업(pull-up) 저항(98-100)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디어서트(deassert)될 때 논리 1V 레벨을 갖는다.
키보드 콘트롤러(76)(DDC 라인(87)을 통해)는 컴퓨터 유닛(30)에 접속된 모니터가 볼륨 제어 라인(21-22)의 사용을 지원할 것인지를 판단하고, 이 판단에 기초하여, 디코더 회로(84)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시키거나(모니터가 볼륨 제어 라인(21-22)의 사용을 지원한다) 또는 디스에이블(모니터가 볼륨 제어 라인(21-22)의 사용을 지원하지 않는다)시킨다. 만일 디코더 회로(84)가 디스에이블되면, 신호 V_UP#, V_DOWN# 및 V_MUTE#와 접지 사이에 결합된 푸시 버튼 스위치(101-103)(컴퓨터 유닛(30)에 위치함)는 이들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키보드 콘트롤러(76)는 인에이블 신호 EN#(디코더 회로(84)에 의해 수신됨)를 어서트(assert)시키거나 또는 로우(low) 구동시킴으로써 디코더 회로(84)를 인에이블시키며, 키보드 콘트롤러(76)는 인에이블 신호 EN#를 디어서트시키거나 하이(high) 구동시킴으로써 디코더 회로(84)를 디스에이블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륨 제어 회로(36)는 볼륨 제어 손잡이(16)의 회전을 모니터하는 샤프트 인코더(152)를 갖는다. 볼륨 제어 손잡이(16)의 회전 방향을 전기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샤프트 인코더(152)는 2개의 펄스열 신호 A 및 B를 공급한다.
이들 2개의 신호는 사용자가 볼륨 제어 손잡이(16)를 회전시키는 속도를 표시하는 주파수를 갖는다. 신호 A 및 B는 볼륨 제어 손잡이(1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지를 나타내는 신호 A와 B 사이에 위상 관계를 제외하고 동일하다. 볼륨 제어 손잡이(16)가 정지되어 있으면, 신호 A 및 B는 무효이며(논리 0), 볼륨 제어 손잡이가 회전하면 볼륨 제어 손잡이(16)의 각각의 불연속 증분각 변위(710) 또는 "클릭"은 신호 A 및 B의 1사이클을 생성한다. 신호 MUTE와 신호 A 및 B는 신호 VOLUP# 및 VOLDOWN#을 공급하는 볼륨 디코더 회로(150)에 의해 수신된다. 뮤트 버튼(14)이 눌러지면, 신호 MUTE가 어서트되거나, 하이 구동된다. 그외에는, 신호 MUTE는 디어서트된다. 신호 MUTE는 뮤트 버튼(14)에 의해 활성화되는 직렬 스위치형 경로(155)의 일단자에 결합되는 저항(154)의 일단부에 공급된다. 저항(154)의 다른 단부는 접지에 결합된다. 직렬 스위치형 경로(155)의 다른 단자는 풀업 저항(156)을 통해 DC 전원 전압 레벨에 직렬 결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륨 제어 손잡이(1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볼륨에 있어서의 원하는 증가를 나타냄), 신호 B가 신호 A를 앞선다. 볼륨 디코더 회로(150)가 이 발생을 검출하면, 볼륨 디코더 회로(150)는 볼륨업 시퀀스(171)를 발생시킨다. 볼륨업 시퀀스(171)의 기간 동안 신호 V_UP# 및 V_DOWN#은 신호 VOLUP# 및 VOLDOWN#과 각각 동일하다. 볼륨 디코더 회로(150)는 주기 TPULSE의 다운펄스(160)의 기간 동안 신호 VOLUP#의 어서팅 또는 로우 구동에 의해 볼륨업 시퀀스(171)를 개시한다. 다운펄스(160)는 하나의 불연속 볼륨 레벨(500)(도 17 참조)을 증가시키기도록 사운드 칩(82)에 지시한다. 주기 TPULSE는 사운드 칩(82)의 타이밍 필요 조건(예컨대, 40 ms의 최소 주기)을 만족시킨다. 다운펄스(160) 후에, 볼륨 디코더 회로(150)는 주기 TPULSE의 업펄스(161)의 기간 동안 신호 VOLUP#를 디어서트하거나 또는 하이 구동한다. 업펄스(161)의 주기 TPULSE는 사운드 칩(82)이 모든 다운펄스를 인식하기 전에 소정의 최소 주기가 연속적인 다운펄스 사이에 존재해야 한다는 필요 조건을 만족시킨다. 볼륨 업 시퀀스(171)의 기간 동안, 신호 VOLDOWN#은 디어서트되거나 로우 상태로 유지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륨 제어 손잡이(1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볼륨에 있어서의 원하는 감소를 나타냄), 신호 B가 신호 A를 앞선다. 볼륨 디코더 회로(150)가 이 발생을 검출하면(신호 MUTE는 어서트되지 않거나 하이가 된다), 볼륨 디코더 회로(150)는 볼륨 다운 시퀀스(173)를 발생시킨다. 볼륨 다운 시퀀스(173)의 기간 동안, 신호 V_UP# 및 V_DOWN#은 신호 VOLUP# 및 VOLDOWN#과 각각 동일하다. 볼륨 디코더 회로(150)는 주기 TPULSE의 다운펄스(163)의 기간 동안 신호 VOLDOWN#를 어서트하거나 로우 구동시킴으로써 볼륨 다운 시퀀스(173)를 개시한다. 다운펄스(163)는 하나의 불연속 볼륨 레벨(500)에 의해 볼륨을 감소시키도록 사운드 칩(82)에 지시한다. 다운펄스(163) 후에 볼륨 디코더 회로(150)는 주기 TPULSE의 업펄스(163)의 기간 동안 신호 VOLDOWN#을 디어서트하거나 하이 구동시킨다. 업펄스(163)의 주기 TPULSE는 연속적인 다운펄스에 대한 사운드 칩(82)의 타이밍 필요 조건을 만족시킨다. 신호 VOLUP#는 볼륨 다운 시퀀스(173)의 기간 동안 디어서트되거나 로우 상태를 유지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신호 VOLDOWN# 및 VOLUP#에서의 뮤트 정보를 엔코딩하기 위해, 볼륨 디코더 회로(150)는 신호 VOLUP# 및 VOLDOWN#가 뮤트 이외의 경우에, 동시에 어서트되거나 로우 구동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볼륨의 뮤팅을 토글하도록 사운드 칩(82)에 지시하기 위해, 볼륨 디코더 회로(150)는 볼륨 디코더 회로(150)가 신호 MUTE의 어서팅을 검출할때 뮤트 시퀀스(175)를 발생시킨다. 뮤트 시퀀스(175)의 동안 신호 VOLUP#, VOLDOWN# 및 V_MUTE#는 모두 동일하다. 뮤트 시퀀스(175)를 개시하기 위해, 볼륨 디코더 회로(150)는 주기 TPULSE의 다운펄스(167)의 기간 동안 신호 VOLUP# 및 VOLDOWN# 모두를 동시에 어서트하거나, 로우 구동시킨다. 주기 TPULSE는 사운드 칩(82)의 타이밍 필요 조건을 만족시킨다. 볼륨 디코더 회로(150)는 주기 TPULSE의 업펄스(169)의 기간 동안 신호VOLUP# 및 VOLDOWN#의 모두를 동시에 디어서트하거나, 또는 로우 구동시킴으로써.뮤트 시퀀스(175)를 완료시킨다. 펄스(169)의 주기 TPULSE는 사운드 칩(82)의 타이밍 필요 조건을 만족시킨다. 신호 VOLUP# 및 VOLDOWN#의 뮤트 버튼(14)이 다시 눌러질 때 까지 디어서트된 상태를 유지한다. 뮤트 시퀀스(175)는 볼륨업(171) 및 볼륨다운(173) 시퀀스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칩(82)은 불연속 다수의 볼륨 레벨(500)을 갖는다. 각 볼륨업(171) 및 볼륨다운(173) 시퀀스는 하나의 불연속 볼륨 레벨(500)에 의해 현재의 볼륨 레벨(506)을 변화시킨다. 볼륨 제어 손잡이(16)는 매우 신속하게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신호 A 및 B의 주기는 볼륨업(171) 및 볼륨다운(173) 시퀀스 보다 짧은 주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볼륨 제어 손잡이(16)의 몇개의 "클릭"은 사운드 칩(82)이 하나의 볼륨 레벨(500)을 현재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동안 발생할 수 있다. 볼륨 제어 손잡이(16)의 모든 증분각 변위(710)를 어카운팅하기 위해, 볼륨 디코더 회로(150)는 볼륨업(171) 및 볼륨다운(173) 시퀀스의 기간 동안 발생하는 증분각 변위(710)를 큐잉한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륨업 시퀀스(171)의 기간 동안 볼륨 제어 손잡이(16)는 신호 A의 3 개의 양의 엣지(179)에 의해 지시된 것과 같은 3번의 증분의 변위(710)를 경험한다. 이 경우에, 볼륨 디코더 회로(150)는 3 개의 볼륨업 시퀀스(171)를 발생시켜서, 큐잉된 증분각 변위(710)를 수행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륨 디코더 회로(150)는 8비트 마이크로콘트롤러(210)(예컨대, National Semiconductor에 의해 제조된 부품 번호 COP912CH) 및 그외의 회로(212-215)(이하 설명됨)를 포함하는데, 이 회로 212-215에 의해 마이크로콘트롤러(210)가 신호 A, B 및 MUTE를 수신하고, 신호 VOLUP# 및 VOLDOWN#를 발생시킬 수 있다. 마이크로콘트롤러(210)에 의해 실행되는 알고리즘(어셈블리 코드로 기록됨)의 예는 부록 A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뮤트 버튼(14)을 모니터하는데 사용되는 소위 MUTECHECK 루틴에서, 마이크로콘트롤러(210)는 뮤트 버튼(14)이 눌러지는지(즉, 신호 MUTE가 어서트되거나 하이되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그렇다면, 마이크로콘트롤러(210)는 뮤트 버튼(14)을 디바운드 시간 간격의 주기를 지연시킴(단계 304)으로써 디바운드시키며, 이어서 뮤트 버튼(14)이 여전히 눌러지고 있는지를 판단(단계 306)한다. 만일 뮤트 버튼(34)이 디바운드 시간 간격의 주기 동안 눌러진다면(즉, 글리치(glitch)가 아니면), 마이크로콘트롤러(210)는 인터럽트의 발생을 디스에이블시키고(단계 308), 이어서 뮤트 시퀀스(175)를 발생시킨(단계 310) 다음, 인터럽트의 발생을 인에이블시킨다(단계 312). 다음에, 마이크로콘트롤러(210)는 뮤트 버튼(14)를 디바운드시키는 것을 재개시한다(단계 302-306).
볼륨 제어 손잡이(16)의 증분각 변위(710)를 검출하기 위해, 마이크로콘트롤러(210)는 신호 A(볼륨 제어 손잡이(16)가 회전될 때만 존재함)의 양의 엣지가 마이크로콘트롤러(210)로의 인터럽트 요구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마이크로콘트롤러(210)는 이 인터럽트 요구를 제공하도록 소위 EXTINT 루틴을 실행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EXTINT 루틴은 볼륨 제어 손잡이(16)의 회전 방향(즉, 신호 A 및 B의 위상 관계)을 판단하기 위해, 마이크로콘트롤러(210)는 신호 B가 하이인지(볼륨 제어 손잡이(16)의 반시계 방향 회전) 또는, 로우인지(볼륨 제어 손잡이(16)의 시계 방향 회전)를 판단한다(단계 320). 볼륨 제어 손잡이(16)의 증분각 변위(710)를 큐잉하기 위해, 신호 B가 하이인 경우 마이크로콘트롤러(210)는 반시계 방향으로 큐잉된 증분각 변위(710)의 수를 표시하는 소위 DOWNCOUNT 파라미터를 인크리먼트한다(단계 322). 마이크로콘트롤러(210)는 DOWNCOUNT 파라미터가 소정의 최대수(예컨대, 2)보다 크다고 판단한다면(단계324), 소위 UPCOUNT 파라미터(큐잉된 시계 방향의 증분각 변위(710)의 수를 나타냄)를 클리어한다(단계 326). 다음에, 마이크로콘트롤러(210)는 인터럽트 요구의 발생을 인에이블시키고 EXTINT 루틴으로부터 복귀한다(단계 328).
만일 마이크로콘트롤러(210)가 신호 B가 로우 상태(손잡이(16)의 시계 방향 회전)라고 판단하면(단계 320), 마이크로콘트롤러(210)는 UPCOUNT 파라미터를 인크리먼트한다(단계 330). 마이크로콘트롤러(210)는 만일 UPCOUNT 파라미터가 소정의 최대수(예컨대, 2)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DOWNCOUNT 파라미터를 클리어한다(단계 334). 다음에,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인터럽트 요구의 발생을 인에이블시키고 EXTINT 루틴으로부터 복귀한다(단계 336).
시퀀스(171, 173)의 펄스(160, 161, 163, 165)를 발생시키기 위해, 마이크로콘트롤러(210)는 간격 TPULSE를 측정하도록 내부 프로그램가능 타이머(도시되지 않음)을 사용한다. 이 타이머는 인터럽트 요구를 발생시킴으로써 시간 간격 TPULSE의 종료를 표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콘트롤러(210)는 소위 TMRINT 루틴을 실행하여 타이머에 의해 발생된 인터럽트 요구를 제공한다. 마이크로콘트롤러(210)는 첫번째로 타이머를 리셋한다(단계 350). 마이크로콘트롤러(210)는 그런 다음, UPCOUNT 파라미터가 0인지를 판단한다(단계 352). 만일 UPCOUNT 파라미터가 0이 아니면(볼륨업 시퀀스(171)가 진행중), 마이크로콘트롤러(210)는 다운펄스(160)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354). 다운펄스(160)가 발생되지 않았다면, 마이크로콘트롤러(210)는 신호 VOLDOWN#를 어서트(단계 356)하고(다운펄스(160)를 개시하기 위해), 간격 TPULSE를 측정하기 위해 타이머를 프로그램하고(단계 358), TMRINT 루틴으로부터 복귀한다. 만일 다운펄스(160)가 발생되었다면, 마이크로콘트롤러(210)는 DOWNCOUNT 파라미터를 디크리먼트하고(단계 360), 신호 VOLDOWN#를 디어서트(단계 362)하고(볼륨업 시퀀스(171)를 종료하기 위해), 간격 TPULSE를 측정하기 위해 타이머를 프로그램하고(단계 364), TMRINT 루틴으로부터 복귀한다.
만일 마이크로콘트롤러(210)가 UPCOUNT 파라미터가 0이라고 판단하면(단계 352)(볼륨다운 시퀀스(173)가 진행중), 마이크로콘트롤러(210)는 다운펄스(163)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366). 다운펄스(163)가 발생되지 않았다면, 마이크로콘트롤러(210)는 신호 VOLUP#를 어서트(단계 368)하고(다운펄스(163)를 개시하기 위해), 간격 TPULSE를 측정하기 위해 타이머를 프로그램하고(단계 370), TMRINT 루틴으로부터 복귀한다. 만일 다운펄스(163)가 발생되었다면, 마이크로콘트롤러(210)는 UPCOUNT 파라미터를 디크리먼트하고(단계 372), 신호 VOLUP#를 디어서트(단계 374)하고(볼륨다운 시퀀스(173)를 종료하기 위해), 간격 TPULSE를 측정하기 위해 타이머를 프로그램하고(단계 376), TMRINT 루틴으로부터 복귀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코더 회로(84)는 2X4 디코더(200)를 포함하는데, 이 2X4 디코더는 0 선택 입력(S0)에서 VODOWN# 신호를 수신하고, 1 선택 입력(S1)에서 VOLUP# 신호를 수신한다. 디코더(200)의 인에이블 입력은 키보드 콘트롤러(76)로부터 인에이블 신호 EN#를 수신한다. 디코더(200)의 제로 반전 입력은 신호 V_MUTE#를 제공하는 3상 반전 인버터(204)의 인에이블 입력에 접속된다. 인버터(204)의 입력은 신호 V_UP# 및 V_DOWN#을 수신하는 AND 게이트(202)의 출력에 접속된다. 신호 V_UP# 및 V_DOWN#은 디코더(200)의 제2 및 제1 반전 출력에 의해 각각 제공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콘트롤러(210)는 이 마이크로콘트롤러(210)의 동작 주파수를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회로(212) 및, 마이크로콘트롤러(210)에 의해 공급된 DC 전원 전압 레벨이 원하는 레벨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마이크로콘트롤러(210)를 리셋하는데 사용되는 전압 보호 회로(214)에 결합된다. 신호 VOLUP#를 공급하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그 콜렉터에서 신호 VOLUP#를 공급하는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230)를 구동시킨다. 트랜지스터(230)의 에미터는 접지된다. 저항(228)은 마이크로콘트롤러(210)와 트랜지스터(230)의 베이스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신호 VOLUP#와 접지 사이에는 제너 다이오드(234)가 결합되어 있으며, 신호 VOLUP#는 풀업 저항(232)을 통해 DC 전원 전압 레벨에 결합되어 있다. 신호 VOLDOWN#를 공급하기 위해, 마이크로콘트롤러(210)는 그 콜렉터에서 신호 VOLUP#를 공급하는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238)를 구동시킨다. 트랜지스터(238)의 에미터는 접지된다. 저항(236)은 마이크로콘트롤러(210)와 트랜지스터(238)의 베이스 사이에 직렬로 결합되어 있다. 제너 다이오드(242)는 신호 VOLDOWN#와 접지 사이에 결합되어 있다. 풀업 저항(240)은 신호 VOLDOWN#을 DC 전원 전압 레벨에 결합시킨다.
마이크로콘트롤러(210)는 신호 A를 직렬 저항(220) 및, 접지에 결합된 커패시터(216)를 갖는 로우 패스 필터를 통해 수신한다. 풀업 저항(224)은 신호 A와 DC 전원 전압 레벨 사이에 결합되어 있다. 마이크로콘트롤러(210)는 직렬 저항기(222) 및, 접지에 결합된 커패시터(218)를 가진 로우 패스 필터를 통해 신호 B에 결합되어 있다. 풀업 저항(224)은 신호 B와 DC 전원 전압 레벨 사이에 결합되어 있다. 마이크로콘트롤러(210)는 신호 MUTE를 수신한다.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로의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제어되고 있는 사운드의 가청 특성은 볼륨 이외의 다른 특성, 예를 들어 주파수 특성이나 밸런스 등도 제어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륨 디코더 회로(150)는 다른 볼륨 디코더 회로(700)로 대체될 수 있다. 논리 회로(702)는 볼륨 디코더 회로(700)의 내부에서, 2 개의 신호 Q1 및 Q2를 발생시키는데, 이들 신호는 볼륨 제어 손잡이(16)의 회전 및 그 회전 방향을 표시한다. 신호 Q2가 하이로 펄스되면(704)(도 15 참조), 볼륨 제어 손잡이(16)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것이다. 신호 Q1이 하이로 펄스되면(706)(도 16 참조), 볼륨 제어 손잡이(16)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것이다.
볼륨업 시퀀스(171)의 다운 펄스(160)를 발생시키기 위해(신호 VOLUP#를 통해), 신호 Q1은 펄스(704)의 주기를 반전하고 확장하여 다운 펄스(160)(주기 TPULSE)를 형성하는 타이머 회로(414)에 의해 수신된다. 볼륨 다운 시퀀스(173)의 다운 펄스(163)를 발생시키기 위해(신호 VOLDOWN#를 통해), 신호 Q2는 펄스(706)의 주기를 반전하고 확장하여 다운 펄스(163)(주기 TPULSE)를 형성하는 타이머 회로(436)에 의해 수신된다.
볼륨 제어 손잡이(16)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신호 Q2에 존재하는 스파이크(708)는 타이머 회로(436)에 의해 응답을 초기화하기에 충분한 주기를 제공하지 못한다. 이와 유사하게, 볼륨 제어 손잡이(16)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신호 Q1에 존재하는 스파이크(710)는 타이머 회로(414)에 의해 응답을 초기화하기에 충분한 주기를 제공하지 못한다. 볼륨 디코더 회로(150)와는 달리, 볼륨 디코더 회로(700)는 증분각 변위(710)를 큐잉하지 않으며, 다운 펄스(160, 163) 이후에, 신호 VOLUP# 및 VOLDOWN#의 디어서팅의 주기를 조절하지도 않는다.
볼륨 디코더 회로(700)는 DC 전원 전압 레벨로 상승된 신호 입력 및 신호 A를 수신하는 클록 입력을 갖는 D형 플립플롭(402)을 포함한다. 풀업 저항(446)은 신호 A를 전원 전압 레벨에 결합시킨다. D형 플립플롭(402)의 클리어 입력은 반전된 MUTE 신호 및 NAND 게이트(420)의 출력을 수신하는 AND 게이트(400)의 출력에 결합되어 있다. NAND 게이트(420)의 입력 중 하나는 D형 플립플롭(402)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되며, NAND 게이트(420)의 다른 하나의 입력은 D형 플립플롭(404)의 비반전 출력에 접속된다. D형 플립플롭(404)의 클록 입력은 신호 B를 수신하고, D형 플립플롭(404)의 신호 입력은 DC 전원 전압 레벨에 접속된다. 풀업 저항(406)은 신호 B를 DC 전원 전압 레벨에 결합시키고, D형 플립플롭(404)의 클리어 입력은 AND 게이트(400)의 출력에 접속된다. D형 플립플롭(402)의 비반전 출력은 로우 패스 필터(저항(444)와 커패시터(442))를 통과하여 신호 Q1을 형성한다. 플립플롭(404)의 비반전 출력은 로우 패스 필터(저항(408)과 커패시터(410))를 통과하여 신호 Q2를 형성한다. 타이머 회로(414)의 클리어 입력는 신호 MUTE를 수신하고, 타이머 회로(414)의 출력은 직렬 저항(430)을 통해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432)의 베이스에 결합되어 있다. 트랜지스터(432)의 에미터는 접지되며, 트랜지스터(432)의 콜렉터는 신호 VOLUP#를 제공한다. 타이머 회로(436)의 클리어 입력은 신호 MUTE를 수신하고, 타이머 회로(436)의 출력은 직렬 저항(416)을 통해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418)의 베이스에 결합되어 있다. 트랜지스터(418)의 에미터는 접지되며, 트랜지스터(418)의 콜렉터는 신호 VOLDOWN#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는 볼륨 또는 스피커에 의해 생성된 사운드의 다른 특성을 제어 손잡이에 의해 갱신될때 추적할 수 있으며, 실제 의 볼륨 또는 스피커로부터의 사운드의 다른 특성은 모니터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볼륨 제어 및 뮤팅 정보는 동시에 인코딩 됨으로써, VGA 케이블의 전용 제어 라인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어 손잡이의 위치에 있어서의 신속한 변화를 큐잉함으로써, "미끄러짐"이 방지된다.
도 1은 컴퓨터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컴퓨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볼륨 제어 회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4는 비디오 그래픽 어댑터(VGA) 커넥터의 정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볼륨 제어 회로의 파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 8은 디코더 회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
도 9는 디코더 회로의 논리 상태를 나타내는 표.
도 10은 도 3의 볼륨 디코더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 내지 도 13은 볼륨 디코더 회로의 마이크로콘트롤러에 의해 실행되는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4는 볼륨 디코더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 및 도 16은 도 14의 볼륨 디코더 회로로부터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사운드 칩의 볼륨 레벨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볼륨 제어 손잡이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컴퓨터 시스템
12 : 모니터
14 : 뮤트 버튼
16 : 볼륨 제어 손잡이
18 : 스피커
30 : 컴퓨터 유닛
36 : 볼륨 제어 회로
82 : 사운드 칩

Claims (22)

  1. 컴퓨터와 관련된 사운드 발생 장치에 의해 전달되는 사운드의 가청 특성의 레벨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장착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가청 특성 레벨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회로와,
    상기 컴퓨터의 비디오 제어기, 및 상기 컴퓨터와 떨어져 위치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는 라인들을 가지는 다중 라인 비디오 케이블과,
    상기 사운드 발생 장치를 구동하는 오디오 신호를 전달하도록 연결된 오디오출력을 가지는 사운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 회로는 상기 비디오 케이블의 적어도 한 라인의 한쪽 끝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적어도 한 라인의 다른 쪽 끝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회로가 상기 사운드 회로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운드의 가청 특성 레벨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 및 사운드 회로는 상기 원하는 가청 특성 레벨에 대한 정보를 각각 인코딩 및 디코딩하는 인코더 및 디코더를 포함하는 사운드의 가청 특성 레벨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원하는 레벨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증가량이나 감소량을 입력(register)하는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사운드의 가청 특성레벨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청 특성은 볼륨을 포함하는 사운드의 가청 특성 레벨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원하는 레벨로서 뮤팅(muting)을 입력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사운드의 가청 특성 레벨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케이블 중 정확하게 두 개의 라인이 상기 사운드 회로와 상기 제어 회로를 연결하는 사운드의 가청 특성 레벨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수동으로 회전가능한 부재 및 이 부재와 관련된 샤프트 인코더를 포함하는 사운드의 가청 특성 레벨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으로 회전가능한 부재는 어느 방향으로든 정지하지 않고 회전가능한 것인 사운드의 가청 특성 레벨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케이블은 VGA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VGA 호환가능한 모니터를 포함하는 사운드의 가청 특성 레벨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푸시(push) 버튼 장치를 포함하는 사운드의 가청 특성 레벨 제어 장치.
  11. 컴퓨터와 관련된 사운드 발생 장치에 의해 전달되는 사운드의 가청 특성의 레벨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장착되고, 사용자가 가청 특성 레벨에 있어 원하는 불연속적인 증분(increment)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원하는 불연속 증분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모션 인코더를 포함하는 전자 기계적 제어 회로와,
    상기 사운드 발생 장치를 구동하는 오디오 신호를 전달하도록 연결된 오디오출력을 가지고, 사운드 회로가 전달하도록 설정된 오디오 신호의 가청 특성 레벨을 나타내는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인코더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원하는 가청 특성 레벨을 나타내는 상기 저장된 값-상기 저장된 값은 상기 컴퓨터의 다른 장치들이 액세스할 수 있음-을 변경하는 사운드 회로를 포함하는 사운드의 가청 특성 레벨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청 특성은 사운드의 볼륨을 포함하는 사운드의 가 청 특성 레벨 제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적인 증분은 상기 볼륨에 있어서의 증가 및 감소를 포함하는 사운드의 가청 특성 레벨 제어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계적 제어 회로는 회전가능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코더는 샤프트 앵글 인코더를 포함하는 사운드의 가청 특성 레벨 제어장치.
  15. 컴퓨터와 관련된 사운드 발생 장치에 의해 전달되는 사운드의 가청 특성의 레벨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발생 장치를 구동하는 오디오 신호를 전달하도록 연결된 오디오출력을 가지고, 사운드 회로가 전달하도록 설정된 오디오 신호의 가청 특성 레벨을 나타내는 변경가능한 불연속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상기 저장 장치에서 상기 불연속 값은 제1 갱신 속도보다 빠르지 않은 속도로 갱신 가능함-를 포함하는 사운드 회로와,
    사용자가 가청 특성 레벨에 있어 원하는 불연속적인 증분(increment)을 상기제1 갱신 속도보다 빠른 제2 속도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와,
    상기 제2 갱신 속도로 전달되는 원하는 불연속적인 증분을 큐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 장치에서 대응하는 값의 갱신을 상기 제1 갱신 속도보다 빠르지 않은 속도로 하도록 관리하는 버퍼 장치를 포함하는 사운드의 가청 특성 레벨 제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장치는 마이크로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사운드의 가청 특성 레벨 제어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장치를 포함하는 사운드의 가청 특성 레벨 제어 장치.
  18. 스피커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한정 가능한 가청 특성 레벨을 갖는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한정 가능한 레벨을 제1 속도로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한정 가능한 레벨에 대한 원하는 조정을 나타내는 단계와,
    상기 제1 속도를 초과하는 속도로 발생하는 원하는 조정을 큐에 넣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 가능한 레벨을 상기 제1 속도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 방법.
  20.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운드 발생 장치와,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컴퓨터와 관련된 상기 사운드 발생 장치에 의해 전달되는 사운드의 가 청 특성 레벨을 제어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의 가청 특성 레벨 제어 장치는,
    상기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장착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가청 특성 레벨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회로와,
    상기 컴퓨터의 비디오 제어기, 및 상기 컴퓨터와 떨어져 위치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는 라인들을 가지는 다중 라인 비디오 케이블과,
    상기 사운드 발생 장치를 구동하는 오디오 신호를 전달하도록 연결된 오디오 출력을 가지는 사운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 회로는 상기 비디오 케이블의 적어도 한 라인의 한쪽 끝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적어도 한 라인의 다른 쪽 끝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회로가 상기 사운드 회로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 컴퓨터 시스템.
  21.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스피커와,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와,
    상기 장치로부터 분리된 모니터와,
    상기 장치를 상기 모니터에 연결하는 비디오 케이블과,
    상기 모니터 내에 장착되고, 상기 스피커의 볼륨을 제어하는 볼륨 제어 회로와,
    상기 장치 내에 장착되고, 상기 볼륨 제어 회로에 응답하여 상기 스피커의 볼륨 출력을 조정하는 사운드 회로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
  22. 컴퓨터에 시스템에 있어서,
    스피커와,
    중앙 처리 장치와 비디오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장치와,
    상기 장치로부터 분리된 모니터와,
    상기 모니터 내에 장착되고, 상기 스피커의 볼륨을 제어하는 볼륨 제어 회로와,
    상기 비디오 콘트롤러를 상기 모니터에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라인들 및 상기 스피커의 볼륨을 제어하기 위한 2개의 라인들을 포함하는 비디오 케이블과,
    상기 장치 내에 장착되고, 상기 2개의 라인들에 접속되어 상기 볼륨 제어 회로에 응답하여 상기 스피커의 볼륨 출력을 조정하는 사운드 회로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
    부록 A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KR1019970032170A 1996-07-12 1997-07-11 사운드제어장치및방법 KR100468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667,582 1996-07-12
US08/667,582 US5963652A (en) 1996-07-12 1996-07-12 Controlling multimedia aspects of a compu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797A KR980010797A (ko) 1998-04-30
KR100468807B1 true KR100468807B1 (ko) 2005-06-22

Family

ID=24678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2170A KR100468807B1 (ko) 1996-07-12 1997-07-11 사운드제어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963652A (ko)
KR (1) KR100468807B1 (ko)
TW (1) TW3565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8203B1 (en) * 1997-06-06 2002-07-09 Data Race,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audio information between a computer and a duplex speakerphone modem
WO1999009557A1 (fr) * 1997-08-14 1999-02-25 Sony Corporation Appareil electronique
US6654840B1 (en) * 1998-05-19 2003-11-25 Sega Enterprises, Ltd. Connection cable identification mechanism
US6323828B1 (en) * 1998-10-29 2001-11-27 Hewlette-Packard Company Computer video output testing
US6477594B1 (en) * 1999-03-08 2002-11-05 Adi Corporation Computer monitor with dual-purpose control switches, and method for providing screen-control switches on a computer monitor with different functions
US6891955B1 (en) * 1999-07-29 2005-05-10 Micron Technology, Inc. Audio volume control for computer systems
JP3073853U (ja) * 2000-01-07 2000-12-15 船井電機株式会社 音声ミュート装置
US20020194621A1 (en) * 2001-06-18 2002-12-19 Tran Thanh T. Multimedia interface control for consumer electronics device
US7184172B2 (en) * 2002-06-27 2007-02-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rinter color
US7184173B2 (en) * 2002-06-27 2007-02-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system for characterizing printer color
US20050036286A1 (en) * 2003-08-11 2005-02-17 Ricky Kuan Device for computer fan and case light control
TWI311892B (en) * 2006-08-17 2009-07-01 High Tech Comp Corp Audi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TW200841590A (en) * 2007-04-14 2008-10-16 Inventec Corp Digital volum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IT202200006461A1 (it) * 2022-04-01 2023-10-01 St Microelectronics Rousset Circuiti e procedimenti per effettuare il debouncing di segnali prodotti da un trasduttore di posizione angolar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26272A2 (en) * 1989-10-28 1991-05-08 Hewlett-Packard Company Audio system for a computer display
KR940006718Y1 (ko) * 1989-12-11 1994-09-28 삼성전자 주식회사 Vtr의 오디오 더빙 시스템
KR960008997U (ko) * 1994-08-23 1996-03-16 박재일 스피커가 내장된 모니터
KR960024563U (ko) * 1994-12-22 1996-07-22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오디오 재생 모니터
KR970002815U (ko) * 1995-06-28 1997-01-24 멀티미디어 컴퓨터의 오디오 콘트롤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26272A2 (en) * 1989-10-28 1991-05-08 Hewlett-Packard Company Audio system for a computer display
KR940006718Y1 (ko) * 1989-12-11 1994-09-28 삼성전자 주식회사 Vtr의 오디오 더빙 시스템
KR960008997U (ko) * 1994-08-23 1996-03-16 박재일 스피커가 내장된 모니터
KR960024563U (ko) * 1994-12-22 1996-07-22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오디오 재생 모니터
KR970002815U (ko) * 1995-06-28 1997-01-24 멀티미디어 컴퓨터의 오디오 콘트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63652A (en) 1999-10-05
TW356538B (en) 1999-04-21
KR980010797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8807B1 (ko) 사운드제어장치및방법
US5593350A (en) Video game card having interrupt resistant behavior
US5519808A (en) Transcription interface for a word processing station
US6691201B1 (en) Dual mode USB-PS/2 device
US6041416A (en) Circuit for reducing audio amplifier noise during powering on and off
US6125449A (en) Controlling power states of a computer
US6222388B1 (en) Low voltage differential driver with multiple drive strengths
US70961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rotational speed of a fan
JP3742474B2 (ja) オーディオ装置を有する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3272298B2 (ja) 放電回路を備えたスイッチ回路および電子機器
US5701514A (en) System providing user definable selection of different data transmission modes of drivers of an I/O controller transmitting to peripherals with different data transmission rate
US6327635B1 (en) Add-on card with automatic bus power line selection circuit
US20120233483A1 (en) Computer system and operation method applicable thereto
US5734729A (en) Apparatus for eliminating audio noise when power is cycled to a computer
US7237132B2 (en) Power reduction for unintentional activation of a wireless input device using a flip-flop to detect event termination
JP2007171586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映像信号振幅制御方法
KR100249080B1 (ko) 마이크로컴퓨터와의주변장치접속용제어기
US5887177A (en) Host-controlled power management of a computer sound system
US200200978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a sound system
US61954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ependent gain control of a microphone and speaker for a speakerphone mode and a non-speakerphone audio mode of a computer system
US66538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bus capacity
KR100263030B1 (ko) 중앙처리장치 구동 주파수 자동 선택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041846B2 (en) Apparatus with reduced latency for master and slave storage devices
JP2001028525A (ja) 音量制御装置
US20220188063A1 (en) Audio control circuit and associated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