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7947B1 - 마이크로폰의 자동 믹서 우선 순위 회로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폰의 자동 믹서 우선 순위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947B1
KR100467947B1 KR10-2002-0009277A KR20020009277A KR100467947B1 KR 100467947 B1 KR100467947 B1 KR 100467947B1 KR 20020009277 A KR20020009277 A KR 20020009277A KR 100467947 B1 KR100467947 B1 KR 100467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ignal
level
inpu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0224A (ko
Inventor
김창웅
Original Assignee
(주)알이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이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알이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2-0009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947B1/ko
Publication of KR20030070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9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68Combinations of amplifiers, e.g. multi-channel amplifiers for stereophon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의 자동 믹서 우선 순위 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입력채널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우선 순위를 매기는 즉, 한 사람이 해당 한계값 이상에서 이야기 할 때 다른 사람은 음성이 꺼져 있거나 혹은 특정 크기치로 제약을 받도록 함으로써, 참가자는 특정한 화자의 말을 청취하거나 그 쪽에 시선을 두도록 유도하되, 음성시스템 동작 시 한 개의 채널이 고용적(高容積)을 차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다수 채널 시스템에서 피드백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순위조정 기능이 있는 마이크로폰의 자동 믹서 우선 순위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비례형 다중채널 이득 공유형 오디오 회로는 별도의 가중치가 채널에 일치되도록 계산 레그(leg) 내에 이득 제어부를 구비하며 이에 따라 채널은 연결 조합된 모든 채널에서 유효한 신호의 총량에 비례하는 대량의 이득을 할당받게 되는 것으로, 가중치는 조정가능하며, 하나 이상의 채널은 계층별 우선 순위를 정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마이크로폰의 자동 믹서 우선 순위 회로{Automatic mixer priority circuit for microphone}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의 자동 믹서 우선 순위 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입력채널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우선 순위를 매기는 즉, 한 사람이 해당 한계값 이상에서 이야기 할 때 다른 사람은 음성이 꺼져 있거나 혹은 특정 크기치로 제약을 받도록 함으로써, 참가자는 특정한 화자의 말을 청취하거나 그 쪽에 시선을 두도록 유도하되, 음성시스템 동작 시 한 개의 채널이 고용적(高容積)을 차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다수 채널 시스템에서 피드백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순위조정 기능이 있는 마이크로폰의 자동 믹서 우선 순위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성 작동 시스템은 다수의 화자가 이에 상응한 복수개의 입력채널에 말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한 사람이 해당 한계값 이상에서 이야기 할 때 다른 사람은 음성이 꺼져 있거나(뮤트) 혹은 특정 크기치로 제약을 받는다.
따라서 참가자는 특정한 화자의 말을 청취하거나 그 쪽에 시선을 두며 피드백 노이즈는 차단 혹은 감소된다.
이러한 접근에서의 한가지 큰 단점은 상대방의 뮤트 혹은 제약을 위해 필요한 한계값이 너무 낮아 과잉소음이 있을 시 시스템을 단속시켜 뮤트화 해버리는 점이다.
이 문제를 완화시키려면, 다양한 이득 공유 방책이 제안되었으며 특히 특정 채널의 신호레벨을 모든 채널의 합과 비교하여 이득 공유계수를 계산하는 것이 있다.
최고 레벨의 입력채널이 총 유효이득의 비율에 비례하는 최고이득을 수령한다. 이러한 시스템의 장점은 특정 위치에서 유효한 총 이득이 과다하지 않다는 것이다.
공지의 시스템은 오디오 회로에 대해 이득제어가 가능하나 이것으로는 우선 순위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이것은 동작시 한 개의 채널이 고용적을 차지하며, 이는 다수채널 시스템에서 피드백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큰 피드백 없이 우선 순위를 가능하게 하는 자동 마이크로폰 믹서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은 복수개의 입력채널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우선 순위를 매기는 즉, 한 사람이 해당 한계값 이상에서 이야기 할 때 다른 사람은 음성이 꺼져 있거나 혹은 특정 크기치로 제약을 받도록 함으로써, 참가자는 특정한 화자의 말을 청취하거나 그 쪽에 시선을 두도록 유도하되, 음성시스템 동작 시 한 개의 채널이 고용적(高容積)을 차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다수 채널 시스템에서 피드백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순위조정 기능이 있는 마이크로폰의 자동 믹서 우선 순위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자동 믹서가 비례형 이득 공유회로를 포함하되, 이때의 회로는 추가 - 증대된 이득이 서로 조합된 채널 전체에서 유효한 신호총량에 비례하여 해당 채널에 할당되는 방식으로 상기 채널과 일치하도록 - 가중계수를 설정하는 회로의 계산 레그(leg) 내에 이득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특정의 구현 예에서, 본 발명은 우선 순위를 정하고 또한 변화레벨에서 다수의 입력채널에 상응하는 입력신호를 수용할 다수의 입력채널의 이득을 공유하는 자동 비례식 이득 공유 음향 믹서를 위한 우선 순위 회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순위 회로는 대응 입력신호를 수령하고 또한 해당 채널에 대한 입력신호의 레벨을 표시하는 값을 갖는 개별 채널레벨 신호를 발생할 각 채널의 채널레벨 회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각 채널에 결합된 합산채널은 입력신호를 수령하고 또한 개별레벨 신호 전체값의 합을 표시하는 전체값을 갖는 조합된 채널레벨 신호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한다.
각 채널의 비교기는 해당 개별 채널레벨 회로 및 개별 채널레벨 신호 대 조합된 채널레벨 신호의 대비에 대한 함수로서 입력신호의 가중치를 표시하는 가중채널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합산채널에 응답방식으로 결합함을 특징으로 한다.
입력신호 및 가중채널 신호에 응답 결합된 회로는 입력신호에 일치한 가중치에 비례하는 채널 출력신호를 발생하고 이에 따라 채널의 이득이 가중신호에 비례하여 공유됨을 특징으로 한다.
적어도 하나의 채널은 입력신호에 응답하고 및 개별 채널레벨 신호의 레벨을 변화시킬 대응 채널레벨 회로에 조작 연결되는 이득 가변장치를 구비하여 가중채널신호가 이와 함께 변화하고 이의 대응 채널이 다른 채널보다 다소의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채널레벨 회로는 db 단위의 신호값을 발생할 로그방식 레벨 검출기이고, 합산회로는 합산연산 증폭기 형태를 취하기도 하며, 비교기 회로는 미분연산 증폭기를 포함하며 신호응답 회로는 전압제어 증폭기를 포함할 수도 있고, 한가지 형태의 이득 가변회로는 검출기의 입력 시 가변 임피던스를 포함하기도 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선 순위 회로의 개략적 다이어그램
도 2는 검출기 및 우선 순위 회로의 개략적 다이어그램
도 3은 전체 신호합 검출기 회로의 개략적 다이어그램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우선 순위 회로 12 : 증폭기
14 : 가변 이득 제어기 16 : 전압제어 증폭기
18 : 공용 출력부 20 : 검출기 회로
21 : 출력부 22 : 비교기
26 : 감지 레지스터 28 : 접지부
30 : 합산 증폭기 32 : 채널 검출기 회로
34,36 : 접지부 40 : 가변 이득 제어부
42 : 분압계 62,66 : 정류기
64,68 : 로그 검출기 회로 69 : 인버터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선 순위 회로의 개략적 다이어그램이고, 도 2는 검출기 및 우선 순위 회로의 개략적 다이어그램이며, 도 3은 전체 신호합 검출기 회로의 개략적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 도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신호원(S1), (S2-SN)은 각각 증폭용 대응 채널(C1),(C2)...(CN)의 입력에 결합되기도 한다. 각 채널은 오디오 출력을 제공할 오디오 레그 및 비례적인 이득공유를 계산할 계산 레그를 포함한다.
각 오디오 레그는 또한 가변이득 제어기(14)를 포함한 증폭기(12)를 구비할 수 있다.
증폭기(12)는 전압제어 증폭기(16)를 통해 각종 채널을 위한 공용 출력부(18)에 결합되며, 채널(C2-CN)도 유사하게 구성된다.
전압제어 증폭기(16)는 이후 설명할 제어 조립배열에 따라 출력신호를 변화시킨다.
그러나, 대체로 증폭기(12)에 들어가는 입력신호는 낮으며 해당 채널의 출력도 낮다.
각 채널(C1-CN)의 채널레벨을 결정하는 계산 레그는 각각 증폭기(12)의 출력부에 대응 결합된 검출기회로(20)를 포함한다.
검출기 회로(20)는 채널레벨을 표시하는 값을 갖는 출력부(21)에서 채널레벨 신호를 발생한다.
채널레벨 신호는 비교기(22)의 입력으로 제공되며 이 비교기(22)의 출력는 전압제어 증폭기(16)의 제어 입력부에 연결된다.
비교기(22)는 검출기 출력과 모든 검출기 출력값을 대변하는 신호 사이의 차이를 감지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여, 각 비교기(22)는 각 채널의 신호레벨 및 시스템의 총 신호레벨 간의 차이를 감지한다.
총 신호 레벨값을 결정하기 위해 각 채널(C1-CN)은 증폭기(12)의 출력부에 연결된 감지 레지스터(26)를 구비한다.
감지 레지스터(26)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용의 접지부(28)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이 접지부(28)는 합산 증폭기(30)로 향하는 입력부이다.
합산 증폭기(30)의 출력부는 다시 상술한 검출기 회로(20)과 유사하게, 모든 채널 검출기 회로(32)의 합체부에 연결된다.
상기 회로(20)의 출력부는 비교기(22) 각각의 역방향 입력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채널(C1)에서 출력 검출기(20)에서 공급한 신호레벨값을접지부(34)에 공급된 모든 채널의 합체부의 신호 레벨값과 비교한다.
이 차이는 전압제어 증폭기(16)를 제어하기 위한 접지부(36) 상의 출력값으로 제공된다.
전압제어 증폭기(16)의 출력값은 전체 채널 신호의 합산값에 대한 신호레벨의 상대비에 비례한다.
따라서, 가장 강한 채널이 가장 큰 출력값을 수용하고 무동작 채널은 거의 혹은 전혀 출력값을 갖지 못한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가변이득 입력값을 하나 이상의 검출기(20)에 공급하는 것이다.
즉, 도 1에서 채널(CN)은 검출기(20)의 타일 입력부 및 감지 레지스터(26) 상에 가변이득 제어부(40)를 구비하며, 가변이득 제어부(40)는 전체 채널 검출회로(32)의 합체부에 신호를 공급한다.
가변이득 제어부(40)는 채널(CN)이 실질적으로 다른 채널들보다 크게 편향되는 방식으로 검출기(20)에 대량의 입력값을 제공한다.
따라서, 채널(CN) 내의 비교기(22)가 검출기(20)의 출력을 찾으면, 더욱 유효한 입력신호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비교기(22)는 이 유효 입력값을 전압제어 증폭기(16)를 위한 고제어신호로 번역한다.
따라서, 예시된 설명과 같이, N번째 채널의 화자(CN)는 다른 채널에 우선하는 순위를 갖게되는 것이다.
초기의 가변이득 제어부(40)를 다른 회로에 추가 및 이것을 다변하는 레벨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결과 예컨대, 한사람 이상이 계층간의 독립적인 우선 순위로 되는 나머지 채널보다 우선 순위를 갖는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한 구현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증폭기(12) 즉, 연산증폭기는 분압계(42)를 포함하는 가변이득 제어부(40)에 연결된다.
분압계(42)는 완전 시계방향(CW) 위치에 있으면 시스템이 최대의 우선 순위를 갖는다.
만일 이 분압계(42)가 완전 반시계 방향(CCW) 위치에 있다면 전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없다.
가변이득 제어부(40)의 출력은 검출기 회로(20)에 연결되고 이 회로는 정류기(62) 및 로그 검출기 회로(64)를 포함한다.
채널레벨 검출기 회로(20)의 출력부(21)는 비교기(22)와 연결된다.
도 3은 정류기(66) 및 로그 검출기 회로(68)와 연결되는 인버터(69)를 포함하는 전체 채널 검출회로(32)의 합체부를 도시한 것으로, 채널 검출회로(32)의 출력(34)은 채널레벨 검출기 회로(20)의 출력(21)과 대수적으로 합산된다.
검출기 회로(20) 및 채널 검출회로(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신호를 db 형 입력값으로 표시할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로그 검출기 회로 및 특히 오디오 시스템에서 유용한 종류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한 사람이 해당 한계값 이상에서 이야기 할 때 다른 사람은 음성이 꺼져 있거나 혹은 특정 크기치로 제약을 받도록 함으로써, 참가자는 특정한 화자의 말을 청취하거나 그 쪽에 시선을 두도록 유도하는 한편, 음성시스템 동작 시 한 개의 채널이 고용적을 차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다수 채널 시스템에서 피드백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상이한 레벨에서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수용할 복수개의 입력채널(C1),(C2)...(CN)에서 나오는 이득을 우선 순위화 및 공유하기 위한 자동 이득공유 음향 믹서 용도의 우선 순위 회로(10)로서; 대응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채널의 입력신호 레벨을 표시하는 값을 갖는 개별 채널레벨 신호를 생성하는 채널레벨 수단과; db 단위의 입력신호 레벨값을 생성하는 각 채널을 위한 로그형 검출기 회로(20)와; 합산증폭기(30)를 갖으며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개별채널 레벨의 합산값을 표시하는 전체값을 갖는 전체 채널레벨 신호를 생성할 각 채널에 공용 연결하는 합산수단과; 대응되는 개별 채널레벨 신호 및, 전체 채널레벨 신호에 대한 개별 채널레벨 신호의 대비값에 관한 함수로서, 입력신호의 가중치를 표시하는 가중채널 신호를 생성할 전체 채널레벨 신호에 응답 연결된 각 채널의 비교수단과; 전압제어증폭기(16)를 갖으며, 대응 채널에 대한 입력신호 및, 채널에 대한 상기 입력신호의 가중치에 비례하는, 채널 출력신호를 생성할 가중채널 신호에 응답 연결된 각 채널을 위한 신호 응답수단과; 상기 채널의 대응 채널레벨 신호를 수신할 채널레벨 수단 중 대응되는 것에 응답 연결되고, 가중신호가 변하고 대응채널이 이득 변경수단에 따라서 다른 채널 보다 높거나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방식으로, 개별 채널레벨 신호의 크기를 변화시킬 합산수단에 연산식으로 연결되며 대응 채널레벨 수단의 출력부 및 합산수단의 입력부 사이에 연결된 분압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득 변경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의 자동 믹서 우선 순위 회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2-0009277A 2002-02-21 2002-02-21 마이크로폰의 자동 믹서 우선 순위 회로 KR100467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277A KR100467947B1 (ko) 2002-02-21 2002-02-21 마이크로폰의 자동 믹서 우선 순위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277A KR100467947B1 (ko) 2002-02-21 2002-02-21 마이크로폰의 자동 믹서 우선 순위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224A KR20030070224A (ko) 2003-08-29
KR100467947B1 true KR100467947B1 (ko) 2005-01-24

Family

ID=32222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277A KR100467947B1 (ko) 2002-02-21 2002-02-21 마이크로폰의 자동 믹서 우선 순위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79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9032A (en) * 1978-05-04 1979-04-10 Industrial Research Products, Inc. Priority mixer control
JPS62245852A (ja) * 1986-04-18 1987-10-2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会議通話装置
JPH04186908A (ja) * 1990-11-21 1992-07-03 Nippon Denki Syst Kensetsu Kk 8chオートミキサ
KR960043968A (ko) * 1995-05-08 1996-12-23 에스. 알. 윌리암슨 마이크로폰 선택 방법 및 음성 액츄에이트 스위칭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9032A (en) * 1978-05-04 1979-04-10 Industrial Research Products, Inc. Priority mixer control
JPS62245852A (ja) * 1986-04-18 1987-10-2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会議通話装置
JPH04186908A (ja) * 1990-11-21 1992-07-03 Nippon Denki Syst Kensetsu Kk 8chオートミキサ
KR960043968A (ko) * 1995-05-08 1996-12-23 에스. 알. 윌리암슨 마이크로폰 선택 방법 및 음성 액츄에이트 스위칭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224A (ko) 200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4776A (en) Adaptive proportional gain audio mixing system
US3992584A (en) Automatic microphone mixer
US5652800A (en) Automatic mixer priority circuit
US4405831A (en) Apparatus for selective noise suppression for hearing aids
US6026168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ynchronizing and regulating volume in audio component systems
US5144675A (en) Variable recovery time circuit for use with wide dynamic range automatic gain control for hearing aid
US74090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frequency characteristic of signal
CA1068218A (en) Control system for audio amplifying system having multiple microphones
US20100046766A1 (en) Adjustment of acoustic properties based on proximity detection
US6603858B1 (en) Multi-strategy array processor
JPH0389706A (ja) 自動音量調整装置
US3934085A (en) Audio amplifier systems
US5309517A (en) Audio multiplexer
US6493450B1 (en) Intercom system including improved automatic squelch control for use in small aircraft and other high noise environments
EP0163545B1 (en) Automatic gain and frequency characteristic control unit in audio device
WO2005079108A1 (ja) 音響調整卓
US4864627A (en) Microphone mixer with gain limiting and proportional limiting
US6760452B2 (en) Multi-channel audio signal limiter with shared clip detection
KR100467947B1 (ko) 마이크로폰의 자동 믹서 우선 순위 회로
US4359602A (en) Multiple input audio program system
US5148491A (en) Automatic mixer apparatus
RU2143787C1 (ru) Полудуплексный громкоговоритель с микрофоном
US5557237A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 gain control in an amplifier of an electroacoustic system, particularly for motor vehicles
US4598418A (en) Sound system employing automatic proportional amplification
US5220287A (en) Voice proces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