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7875B1 - 펄스 전압 시퀀스 발생 방법 및 그 회로 장치 - Google Patents

펄스 전압 시퀀스 발생 방법 및 그 회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875B1
KR100467875B1 KR10-1999-7002429A KR19997002429A KR100467875B1 KR 100467875 B1 KR100467875 B1 KR 100467875B1 KR 19997002429 A KR19997002429 A KR 19997002429A KR 100467875 B1 KR100467875 B1 KR 100467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voltage
pulse
discharge lamp
dielectric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2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8607A (ko
Inventor
오이겐 슈타트닉
알빈 페저
베른하르트 에르틀
Original Assignee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filed Critical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00068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8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out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high-intensity discharge lamps, high-pressure mercury or sodium lamps or low-pressure sodium lamps
    • H05B41/2881Load circuit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0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ulses, e.g. flash lam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0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out electrodes in the vessel, e.g. surface discharge lamps, electrodeless discharge la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15/00Electric lamp and discharge devices: systems
    • Y10S315/07Starting and control circuits for gas discharge lamp using transistor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Discharge-Lamp Control Circuits And Pulse- Feed Circuits (AREA)

Abstract

유전적으로 방해받는 방전의 동작을 위한 펄스 전압 시퀀스 발생 회로 장치는 동조 회로 인덕턴스(TR2-A)와 제어 스위치(T1)로 형성되는 직렬 회로, 상기 스위치(T1)를 구동시키는 펄스 발생기(OS), 상기 스위치(T1)와 병렬로 연결되는 전기 밸브(D1), 상기 스위치(T1)와 병렬로 연결되는 동조 회로 캐패시턴스(C2), 유전적으로 방해받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램프(La1)를 결합하기 위한 수단(TR2-B, a", b"), 그리고 선택적으로 동조 회로 인덕턴스(TR2-A)와 스위치(T1)에 의해 형성된 직렬 회로와 병렬로 연결되는 버퍼 및 피드백 캐패시터(C1)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 결합 수단은 2개의 접속부(a", b") 및 스위치(T1)의 제1 극과 대응하는 접속부(a") 사이에 연결되는 자동 변압기(TR2)의 2차 권선(TR2-B)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 변압기(TR2)의 1차 권선(TR2-A)은 동조 회로 인덕턴스로서 기능한다. 상기 제2 접속부(b")은 스위치(T1)의 제2 극에 연결된다. 동작중, 상기 스위치(T1)는 펄스 발생기(OS)의 구동 신호로 때가 이르면 선택적으로 개방 폐쇄되며, 그결과 휴지시간만큼 분리되는 전압 펄스의 시퀀스가 접속부(a", b")(도 4 참조)에 연결되는 램프(La1)의 유전적으로 방해받는 전극에서 발생된다.

Description

펄스 전압 시퀀스 발생 방법 및 그 회로 장치 {PROCESS FOR GENERATING VOLTAGE PULSE SEQUENCES AND CIRCUIT ASSEMBLY THEREFOR}
더욱 엄밀하게,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는 적어도 일극성의 전극이 WO94/23442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단극 또는 단극 전압 펄스에 의해 유전적으로 방해받는 램프 또는 방사기를 동작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런 동작 방법은 원리상 제한되지 않으며, 휴지시간(pause)만큼 서로 분리되는 전압 펄스의 시퀀스를 사용한다. 요구된 방사 생성의 효율성을 위해 중요한 인자는 펄스 형태 뿐만 아니라 펄스의 지속시간지속시간간이다. 전형적인 듀티 비율은 1:5 내지 1:10 사이의 범위이다. 고전압 펄스의 피크값은 개별 램프의 디자인, 예를 들어 전극의 수, 플래시오버 거리 그리고 유전체 특성 및 거리에 의존하며, 전형적으로 1㎸ 내지 5㎸ 사이에 있다. 또한 펄스 반복 주기는 램프의 기하학적 형태에 의존하고 25㎑ 내지 80㎑ 사이에 있다. 종래의 램프 동작 방법은 정현파 AC 전압을 사용한다. 종래 방전과 대조적으로, 보통 방전 램프에 대해 사용될 때, 유전적으로 방해받는 방전 램프는 방전 영역의 내부와 전극 사이 또는 일극성 전극들 사이 또는 다시 말해서 (양쪽에서 유전적으로 방해받는) 양극성의 전극과 같은 그 밖의 모든 전극들 사이에 배열되는 유전체를 가진다. 또한 이런 전극들은 유전적으로 방해받는 전극으로 불린다. 그러므로 유전적으로 방해받는 전극으로부터 방전 경로내의 이온화된 가스로의 전하 캐리어 전송은 도전 전류에 의해서라기보다 변위 전류(displacement current)에 의해 발생한다. 이것은 어떤 방전동안 전기 등가 회로의 용량 성분(capacitive component)을 초래한다. 결국, 상기 회로 장치는 램프내에 용량적으로 에너지를 주입하기에 적당해야 한다.
DE 195 48 003 A1은 특히 유전적으로 방해받는 방전의 동작을 위해 펄스-전압 시퀀스(pulsed-voltage sequence) 발생을 위한 전기 회로 장치, 개시한다. 이런 회로 장치는 입력 전압으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회로를 가지고, 충전 캐패시터, 펄스 구동 회로에 연결되는 빠른 제어가능한 스위치를 가지는 방전 및 펄스 회로, 및 부하를 갖는 펄스 변압기, 뿐만 아니라 충전 회로의 입력과 병렬로 연결되는 피드백 전기 밸브와 버퍼 캐패시터를 갖는 피드백 회로를 가진다. 스위치가 스위칭-온되는 단계 동안, 충전 캐패시터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펄스 변압기를 통해 부하로 항상 전송된다. 피드백 회로를 통해 부하와 펄스 변압기로부터 복귀하는 발진 에너지는 피드백 포인트로 공급되고, 버퍼 캐패시터에 의해 흡수된다. 그러므로, 역 발진 단계동안, 2차 권선의 전위는 입력 전압의 전위로 클램핑된다. 부가적으로, 또한 에너지 피드백은 이런 식으로 충전 캐패시터의 충전 단계동안 사용된다. 이런 방법의 단점은 펄스 변압기와 스위치 상에서의 높은 펄스 부하, 상대적으로 빈약한 효율, 뿐만 아니라 중요한 부품 복잡성에 있다. 게다가, 펄스 변압기의 특정한 설계는 회로동작에 대해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더욱이, 펄스 변압기의 최적 디자인은 경험에 의해서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전적으로 방해받는 방전의 동작을 위한 펄스 전압 시퀀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기 회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방전 램프의 동작을 위한 펄스 전압 시퀀스 발생 회로 장치에 관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로 장치가 펄스 전압 시퀀스를 발생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블록도.
도 2는 상대적으로 낮은 펄스 전압을 위해 비용효율적인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더 높은 펄스 전압을 위해 고전압 변압기를 가지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더 높은 펄스 전압을 위해 자동 변압기를 가지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4로부터의 회로의 시간 응답에 관련하여 측정된 값 곡선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스위치로서 MOSFET를 사용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의 특징부에 따른, 주로 단극(unipolar) 펄스 전압 시퀀스가 발생되고 낮은 회로 손실을 갖는 회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상기 장치는 지배적으로 용량성 방식으로 기능하는 부하에서 가능한한 평탄한 펄스 형태를 갖는 펄스 전압 시퀀스를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은 가능한 적은 부품을 갖는 상대적으로 간단한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발명, 즉, 휴지시간들만큼 동작 중에 서로 분리되는 전압 펄스들을 제공하는 펄스-전압 소스; 및 가스 충진물로써 충진되어 폐쇄되어 있거나 가스 또는 가스 혼합물이 흐르면서 개방되어 있고,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물질로 구성된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방전관과, 상기 펄스-전압 소스에 접속된 전극들로서, 적어도 일극에 있는 상기 전극들은 유전 물질에 의해 상기 방전관의 내부와 차단되는 전극들을 구비한 유전체 장벽 방전 램프(La1)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펄스-전압 소스는 상기 유전체 장벽 방전 램프(La1)의 방전관 내에서 유전적으로 방해된 방전 동작을 위해 펄스-전압 시퀀스들을 생성하는 전기 회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펄스-전압소스는, 발진-회로 인덕턴스(L1; TR1-A; TR2-A), 상기 발진 회로 인덕턴스(L1; TR1-A; TR2-A)와 직렬로 접속된 제어 스위치(T1, T2), 상기 스위치(T1)를 구동시키는 펄스 생성기(OS), 상기 스위치(T)와 병렬로 연속적으로(back-to-back) 접속되고, 개별 구성요소에 의해 형성되거나 스위치로서 작용하는 MOSFET(T2)의 통합된 소스-드레인에 의해 형성되는 전류 밸브(D1), 상기 스위치(T1)와 병렬로 접속되고, 개별 구성요소에 의해 형성되거나, 스위치로서 작용하는 MOSFET(T2)의 경계-층 커패시턴스에 의해 및/또는 접속된 유전체 장벽 방전 램프(La1)의 고유 커패시턴스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발진 회로 커패시턴스(C2)와, 상기 유전체 장벽 방전 램프(La1)을 결합하는 수단(a, b; TR1-B, a', b'; TR2-B, a", b")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T1, T2)는 상기 펄스 생성기(OS)의 구동 신호에 의해 동작 중에 교번적으로 스위칭 온 및 스위칭 오프하고, 그 결과로서, 휴지시간들만큼 분리된 전압 펄스들의 시퀀스가 상기수단에 접속된 유전체 장벽 방전 램프(La1)의 전극들 사이에서 생성되는 조명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특히 유리한 진보는 종속항들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미 언급된 펄스 전압 시퀀스 발생 방법을 상술하는것이다. 이런 목적은 방법 청구항의 특징부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기본적 개념은 도 1의 간략화된 블록도를 참조하여 다음의 본문에서 설명된다. 파워 서플라이(1)로부터 공급된, 유도성 에너지 저장기(3)는 제어가능한 스위치(2)의 스위칭- 온 단계동안 주기적으로 충전된다. 충전 단계 이후에, 다시 말해서 스위치(2)가 오프되자마자, 유도성 에너지 저장기(3)에 저장된 자기 에너지는 용량성 에너지 저장기(4)로 전송된다. 결국, 대략적인 정현파 발진의 제1 전압 반주기가 유도성 에너지 저장기(3)에서 발생되고, 유사한 반주기가 반대 위상으로 용량성 에너지 저장기(4)에서 발생된다. 이런 제1 전압 반주기는 유도성 에너지 저장기(3) 또는 용량성 에너지 저장기(4)중 하나에 연결되는 램프(5)를 위한 전압 펄스로서 사용된다. 이후에, 상기 에너지는 용량성 에너지 저장기(4)로부터 유도성 에너지 저장기(3)를 통해 유리하게 부가적 피드백 저장기(도시 안됨)를 포함하는 파워 서플라이(1)내로 피드백된다. 이 경우에, 용량성 에너지 저장기(4)상의 전압은 개방 전기 밸브(6)를 따라 강하되는 전압으로 클램핑된다. 결국, 이런 과정동안 유도성 에너지 저장소(3)상의 전압은 서플라이 전압과 동일하다. 이런 과정은 미리 결정될 수 있는 소정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상기 시간 조정은 제어가능한 스위치(2)에 연결되는 센서 소자(7)를 통해 제어된다.
이런 식으로, 동일 위상의 반파-정현파 전압 펄스 시퀀스가 램프 전극에서 발생되고, 개별 전압 펄스는 휴지시간, 다시 말해서 전극에서의 전압이 상당히 일정하고 전압 펄스의 피크값보다 상당히 작은, 바람직하게 제로에 가깝게 되는 시간만큼 서로 분리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제어가능한 스위치 및 특히 유도성 에너지 저장기로서 사용되고 다음의 본문에서 잠시동안 동조 회로 인덕턴스로서 참조되는 인덕턴스에 의해 형성된 직렬 회로에 의해 달성되는데, 상기 스위치는 그것과 병렬로 연결된 전기 밸브 및 용량성 에너지 저장기로서 사용되고 또한 다음의 본문에서 잠깐동안 동조 회로 캐패시턴스로서 참조되는 캐패시턴스를 가진다.
특히, 전압 펄스의 폭은 동조 회로 인덕턴스와 동조 회로 캐패시턴스의 특정값에 의해 영향받을 수 있다. 도입부에서 언급된 타입의 방사 소스의 동작을 위한 전형적인 값은 동조 회로 인덕턴스에 대해 500μH 내지 10mH 범위이고 동조 회로 캐패시턴스에 대해 100pF 내지 1㎌ 범위이다.
예를 들면, 캐패시터는 동조 회로 캐패시턴스 또는 유전적으로 방해받는 전극을 가지는 방전 장치의 실제 고유 캐패시턴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스위치가 제어가능한 반도체 스위치, 예를 들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IGBT(집적된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또는 MOSFET(금속 산화물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의해 제공되는 경우, 반도체 스위치의 공핍층 캐패시턴스가 동조 회로 캐패시턴스로서 사용될 수 있는데, 이후에 설명될 동조 회로 캐패시턴스는 스위치가 오프될때의 단계동안에만 회로 장치의 동작에 중요하기 때문이다. 사실상, 부가적 캐패시터는 이런 식으로 전압 위상의 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부가적 캐패시터의 전압은 요구된 펄스 폭에 의존하여 선택된다. 회로 장치의 입력 단자와 병렬로 연결되는 캐패시터가 피드백 저장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백 저장기는 피드백될 수 있는 에너지 서플라이 소자가 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회로 장치의 입력에서 특정 피드백 저장기는 불필요하다.
가장 간단한 경우로, 방전 장치 또는 램프는 캐패시터 또는 제어가능한 반도체 스위치에 직접 결합된다. 이것을 수행하기 위해, 램프 서플라이 리드는 캐패시터 또는 반도체 스위치의 접속부에 연결된다. 이런 경우에, 반도체 스위치가 오프될때 반도체 스위치에 걸리는 최대 전압이 발생될 수 있는 최대 펄스 전압을 제한하기 때문에, 이런 간단한 방법은 특히 상대적으로 낮은 최대 펄스 전압(약 1500V이하의 펄스 전압)을 가지는 램프에 적당하다.
더 높은 최대 펄스 전압을 가지는 램프에 대한 바람직한 변형에서, 자동 변압기의 2차 권선은 램프 서플라이 리드중 하나에 연결된다. 이런 경우에, 유도성 에너지 저장기로서 사용되는 동조 회로 인덕턴스는 자동 변압기의 1차 권선에 의해 제공된다.
최종적으로, 추가 변형에서, 상기 램프는 고전압 변압기를 통해 결합된다. 고전압 변압기의 1차 권선은 유도성 에너지 저장기로서 기능한다. 이런 경우에, 램프 서플라이 리드는 2차 권선의 접속부에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더 높은 최대 펄스 전압이 이런 변형으로 발생될 수 있다. 사실상, 이런 방법은 더욱 복잡하고, 따라서 이미 언급된 방법보다 더욱 비싸다. 자동 변압기 변형과 비교할때의 단점은 더 높은 손실과 덜 유리한 권수비이다. 예를 들면, 1차 권선상의 전압과 비교하여 램프 서플라이 리드상의 전압을 3배로 하기 위하여, 마찬가지로 3의 변성비가 요구된다. 대조적으로, 1차 및 2차 권선의 전기 회로 때문에, 그리고 이들이 동일한 경향으로 감기기 때문에 자동 변압기 변형에서는 2의 변성비면 충분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는 특히 저전압에서의 동작, 예를 들어 자동차 등에 사용될 때 배터리 동작에 적당하다. 메인 전압에서의 동작을 위해, 상기 회로 장치는 그것의 상류에 연결된 전압 매칭 컨버터를 가지며, 또한 동시에 상기 컨버터에 의해 메인으로부터 유도되는 전류가 정현파가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부가적으로, 이미 언급된 새로운 펄스 전압 소스와 방전 램프 또는 처음에 언급된 타입의 방전 방사기를 포함하는 방사 시스템에 대해 보호가 요구된다.
도 2는 상대적으로 낮은 최대 요구 펄스 전압을 갖는 램프에 대한 바람직한 회로 장치의 간략화된 도면이다. 이런 회로 장치에서, 램프가 반도체 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되기 때문에, 발생될 수 있는 최대 펄스 전압은 예를 들어 스위치 오프될때의 반도체 스위치에 걸리는 최대 전압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 회로 장치는 DC 전압(+U0), 예를 들어 정류기 회로 또는 배터리의 출력 전압에 의해 공급되고 부가적으로 피드백 저장기로서 사용되는 버퍼 캐패시터(C1), 프리휠링 다이오드((D1)를 갖는 동조 회로 인덕턴스(L1)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1)로부터 형성되고 버퍼 캐패시터(C1)의 네거티브 리드에 연결되는 직렬 회로, 및 트랜지스터(T1)와 병렬로 연결되는 동조 회로 캐패시터(C2)를 포함한다. 유전적으로 방해받는 전극들을 갖는 램프(La1)는 접속부(a,b)에 의해 동조 회로 캐패시터(C2)와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트랜지스터(T1)는 비대칭 구형파 발진기(OS), 예를 들어 공지되어 있는 펄스 발생기 IC에 의해 구동된다. 트랜지스터(T1)가 스위칭 온되는 동안, 선형적으로 상승하는 전류가 그것을 통해 그리고 동조 회로 인덕턴스(L1)를 통해 흐른다. 스위칭 온 시간(t1)의 끝에서, 상기 전류는 피크값(IS)에 도달한다. 이때, 동조 회로 인덕턴스에 저장되는 자기 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1)
시간 t=t1에서, 상기 트랜지스터(T1)는 스위칭 오프되고, 이제 다음과 같은 주기를 가지는 자유 정현파 발진이 발생한다.
(2)
상기 과정에서, 자기 에너지(Wm)는 다음과 같은 식(3)에 따르는 에너지(Wm)로부터 얻어지는 전압(Uc2)까지 동조 회로 캐패시터(C2)를 충전시킨다.
다시말해서,(4)
직렬 동조 회로(C1, L1, C2)에 대한 이런 평가에서, 통상적으로 수 ㎌인 버퍼 캐패시터(C1)의 캐패시턴스는 수 100pF인 동조 회로 캐패시터(C2)의 캐패시턴스와 비교하여 무시할 수 있게 된다.
동조 회로 캐패시터(C2)에서 진폭(Uc2)을 가지는 정현파 발진의 양의 반주기는 트랜지스터(T1)와 병렬이며, 연속적으로 연결된 다이오드(D1)를 역방향으로 바이어싱한다. 상기 음의 반주기는 다이오드(D1)에 의해 클램핑되며, 동조 회로 인덕턴스(L1)는 다시 피드백 캐패시터(C1)로 에너지를 공급한다. 이런 식으로, 대략적인 반파 정현파 펄스 전압(U1)이 발생되는데, 서플라이 전압(U0)보다 훨씬 더 높은 진폭을 가진다. 이런 경우에, 상기 전압 펄스의 폭은 다음과 같다.
(5)
도 3은 도 2의 변형예를 도시하며, 이는 또한 더 높은 최대 펄스 전압을 갖는 램프에 적당하다. 같은 소자들은 동일한 참조 기호가 주어진다. 이 경우에, 도 2의 동조 회로 인덕턴스(L1)는 변압기(TR1)에 의해 대체된다. 상기 램프(La1)는 접속부(a', b')에 의해 변압기(TR1)의 2차 권선(TR1-B)에 연결된다. 결국, 스위칭 오프되는 반도체 스위치(T1)에 걸친 최대 전압을 상당히 초과하는 최대 펄스 전압을 가지는 램프에서도 동작가능하게 된다.
도 2의 회로에서와 같이, 상기 트랜지스터(T1)는 비대칭 구형파 발진기(OS)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트랜지스터(T1)가 스위칭 온될 때, 선형적으로 상승하는 전류가 인덕턴스(Lp)를 갖는 변압기(TR1)의 1차 권선(TR1-A)을 통해 그리고 트랜지스터(T1)를 통해 흐른다. 스위칭 온 시간(t1)의 끝에서, 상기 전류는 피크값(Is)에 도달한다. 동시에, 1차 인덕턴스(Lp)에 저장된 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6)
시간(t=t1)에서, 상기 트랜지스터(T1)는 스위칭 오프되고, 이것은 다음과 같은 주기를 갖는 자유 정현파 발진에 의해 수반된다.
(7)
동일한 시간에, 상기 자기 에너지(Wm)는 다음과 같은 에너지(Wm)(8)에 대응하는 전압(Uc2)까지 동조 회로 캐패시터(C2)를 충전시킨다.
다시말해서,(9)
그러므로, 상기 변압기(TR1)의 1차 권선(TR1-A)상의 전압은 다음과 같다.
(10)
상기 전압(ULP)은 변압기(TR1)의 1차 권선(TR1-B)상의 다음과 같은 변성비:
에 따라 변압되고, 결국 거기에 연결된 램프(La1)에 인가된다. 다음과 같은 식(12)에서, Ws는 2차 권선상의 권수이고 Wp는 1차 권선상의 권수이다. 변압기(TR1)의 2차 권선(TR1-B)상의 전압(ULS)은 다음과 같다.
(12)
진폭(Uc2)을 갖는 동조 회로 캐패시터(C2)에서의 정현파 발진의 양의 반주기는 트랜지스터(T1)와 병렬로 되며, 그러므로 연속해서(back-to-back) 연결된 다이오드(D1)를 스위칭 오프시킨다. 대조적으로, 음의 반주기는 다이오드(D1)에 의해 클램핑되고, 에너지는 변압기(TR1)의 1차 인덕턴스(Lp)를 통해 피드백 캐패시터(C1)에 다시 공급된다.
상기 피드백 과정동안, 1차 인덕턴스(Lp)상의 전압은(13)이며, 이는 2차 권선(TR-B)상의 변압기(TR1)의 변성비()에 따라 변압된다.
결국, 펄스 휴지시간 동안, 다시 말해서 펄스 사이의 시간동안, 램프(La1)에 오프셋 전압이 걸린다. 램프 동작에 대한 어떤 불리한 효과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회로는 오프셋 전압이 상기 펄스 전압보다 훨씬 작게 되도록 설계된다.
도 4는 도 3에 따른 회로의 바람직한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데, 마찬가지로 더 높은 최대 펄스 전압을 갖는 램프에 적당하다.
이런 변형예에서, 상기 변압기(TR1)는 유도성 에너지 저장기로서 사용되는 1차 권선(TR2-A), 및 동조 회로 캐패시터(C2)와 램프(La1)의 대응하는 접속부(a")에 연결되는 2차 권선(TR2-B)을 가지는 자동 변압기(TR2)에 의해 대체된다. 결국, 램프(La1)는 2차 권선(TR2-B)과 동조 회로 캐패시터(C2)에 의해 형성된 직렬 회로와 병렬로 접속부(a", b")에 연결된다. 이런 방법의 한가지 장점은 도 3의 방법이상으로 효율적인 권수비가 얻어진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1차 권선(TR2-A)상의 전압과 비교하여 램프 서플라이 리드로부터의 전압을 3배로하기 위해선, 1차(TR2-A) 및 2차(TR2-B) 권선의 전기 회로 때문에, 그리고 이들이 동일한 방식으로 감겨진다는 사실 때문에 자동 변압기 변형(TR2)에 대해 단지 2의 변성비면 충분하다. 대조적으로, 도 3의 방법에서는 이런 방법을 위해 3의 변성비가 요구된다. 이와는 별개로, 도 4의 변형예의 다른 기능은 이미 도 3과 관련한 설명에 개시되어진 기능과 대응한다. 도 3에 따른 방법을 능가하는 추가 장점은 낮은 기생 인덕턴스 및 더 낮은 손실 뿐만 아니라 더 낮은 캐패시턴스이다. 더 낮은 권선 캐패시턴스 때문에, 더 가파른 펄스 측면을 갖는 전압 펄스가 가능한데, 이는 펄스 방식으로 동작되고 유전적으로 방해받는 방전과 관련한 방사기의 효율적 동작에 유리하다.
도 5는 1차 권선(TR2-A)을 통과하는 전류와 램프(La1; CH3)상의 전압의 트랜지스터(T1; CH1)를 위한 구동 신호에 대한 측정 곡선을 도시한다. 시간 t(하나의 단위는 2㎲에 대응한다)는 x축상에 표시되며, 개별 신호 세기가 절대 단위로 y축상에 표시된다.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 전압 펄스 사이의 휴지시간은 제어 신호의 주기(T)의 길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다른 한편, 전압 펄스의 하강 측면이 컷오프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T1)의 스위칭 오프 시간(t2)의 지속이 전압 펄스의 지속(t1)보다 더 길어야한다는 요구를 도 5로부터 알 수 있다. 또다른한편, 스위칭 오프 시간(t2)은, 그렇지 않으면, 간섭 발진이 발생하기 때문에 동조 회로 인덕턴스(L1)를 통과하는 전류의 제로 교차점 이전에 끝나야 한다. 개별 전압 펄스 사이의 휴지시간 지속은 트랜지스터(T1)의 스위칭 온 시간(t1)의 지속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파라미터 스위칭 온 시간(t1)과 스위칭 오프 시간(t2)은 연결된 방사 소스를 조광(diming)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서의 자동 변압기 회로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동조 회로 캐패시터는 이런 경우에 램프(La1)의 고유 캐패시턴스(도시 안됨) 또는 자동 변압기에 의해 변압된 램프 캐패시턴스, 및 부가적으로 MOSFET(T2)의 공핍층 캐패시턴스(도시 안됨)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은 개별 캐패시터 형태의 보조 동조 회로 캐패시턴스는 여기에서 제거된다. 부가적으로, 개별 프리휠링 다이오드는 그것의 기능이 MOSFET(T2)의 고유 다이오드(도시 안됨)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제거된다. 나머지 회로와 동작 방법의 원리는 도 4의 이것과 대응한다. 상기 램프(La1)는 결국 접속부(a″, b″)에 의해 2차 권선(TR2-B)과 MOSFET(T2)에 의해 형성된 직렬 회로와 병렬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이런 회로 변형예는 바람직하게 작은 수의 부품으로 된다.

Claims (17)

  1. 휴지시간들만큼 동작 중에 서로 분리되는 전압 펄스들을 제공하는 펄스-전압 소스; 및
    가스 충진물로써 충진되어 폐쇄되어 있거나 가스 또는 가스 혼합물이 흐르면서 개방되어 있고,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물질로 구성된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방전관과,
    상기 펄스-전압 소스에 접속된 전극들로서, 적어도 일극에 있는 상기 전극들은 유전 물질에 의해 상기 방전관의 내부와 차단되는 전극들을 구비한 유전체 장벽 방전 램프(La1)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으로서,
    상기 펄스-전압 소스는 상기 유전체 장벽 방전 램프(La1)의 방전관 내에서 유전적으로 방해된 방전 동작을 위해 펄스-전압 시퀀스들을 생성하는 전기 회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 회로 장치는,
    발진-회로 인덕턴스(L1; TR1-A; TR2-A),
    상기 발진 회로 인덕턴스(L1; TR1-A; TR2-A)와 직렬로 접속된 제어 스위치(T1, T2),
    상기 스위치(T1)를 구동시키는 펄스 생성기(OS),
    상기 스위치(T1)와 병렬로 연속적으로(back-to-back) 접속되고, 개별 구성요소에 의해 형성되거나 스위치로서 작용하는 MOSFET(T2)의 통합된 소스-드레인에 의해 형성되는 전류 밸브(D1),
    상기 스위치(T1)와 병렬로 접속되고, 개별 구성요소에 의해 형성되거나, 스위치로서 작용하는 MOSFET(T2)의 경계-층 커패시턴스에 의해 및/또는 접속된 유전체 장벽 방전 램프(La1)의 고유 커패시턴스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발진 회로 커패시턴스(C2)와,
    상기 유전체 장벽 방전 램프(La1)을 결합하는 수단(a, b; TR1-B, a', b'; TR2-B, a", b")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T1, T2)는 상기 펄스 생성기(OS)의 구동 신호에 의해 동작 중에 교번적으로 스위칭 온 및 스위칭 오프하고, 그 결과로서, 휴지시간들만큼 분리된 전압 펄스들의 시퀀스가 상기 결합 수단에 접속된 유전체 장벽 방전 램프(La1)의 전극들 사이에서 생성되는 조명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 회로 커패시턴스의 값은 100pF와 1㎌ 사이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 회로 인덕턴스의 값은 500μH와 10mH 사이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된 스위치는 트랜지스터(T1; T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는 MOSFET(금속 산화물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T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밸브는 다이오드(D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장벽 방전 램프(La1)를 결합하는 수단은 상기 스위치(T1)의 일극에 각각 접속된 2개의 접속부들(a, 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장벽 방전 램프(La1)를 결합하는 수단은 2차 권선(TR2-B)이 상기 스위치(T1; T2)의 제 1극과 상기 유전체 장벽 방전 램프(La1)에 대한 상응하는 접속부들(a"; a"') 사이에 접속되고, 1차 권선(TR2-A)이 상기 발진 회로 인덕턴스로서 작용하는 자동 변압기(TR2)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장벽 방전 램프(La1)를 결합하는 수단은 2차 권선(TR1-B)의 일극에 각각 접속되는 2개의 접속부들(a', b') 뿐만 아니라 변압기(TR1)의 2차 권선(TR1-B)을 포함하고, 상기 변압기(TR1)의 1차 권선(TR1-A)은 상기 발진 회로 인덕턴스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 회로 인덕턴스(L1; TR1-A; TR1-B) 및 상기 스위치(T1)에 의해 형성된 직렬 회로와 병렬로 버퍼 및 피드백 커패시터(C1)가 또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및 피드백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턴스는 상기 발진 회로 커패시턴스(C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발생기는 구형파 생성기 IC(집적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1999-7002429A 1997-07-22 1998-06-24 펄스 전압 시퀀스 발생 방법 및 그 회로 장치 KR1004678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31275.6 1997-07-22
DE19731275 1997-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607A KR20000068607A (ko) 2000-11-25
KR100467875B1 true KR100467875B1 (ko) 2005-01-24

Family

ID=7836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2429A KR100467875B1 (ko) 1997-07-22 1998-06-24 펄스 전압 시퀀스 발생 방법 및 그 회로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323600B1 (ko)
EP (1) EP0927506B1 (ko)
JP (1) JP2001502843A (ko)
KR (1) KR100467875B1 (ko)
CN (1) CN1183807C (ko)
AT (1) ATE208121T1 (ko)
CA (1) CA2267366C (ko)
DE (1) DE59801941D1 (ko)
ES (1) ES2167927T3 (ko)
HK (1) HK1023684A1 (ko)
TW (1) TW457773B (ko)
WO (1) WO19990058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6284B2 (ja) * 1998-03-12 2002-06-24 ウシオ電機株式会社 誘電体バリア放電ランプ光源装置およびその給電装置
DE10005975A1 (de) * 2000-02-09 2001-08-16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Betriebsverfahren für eine Entladungslampe mit mindestens einer dielektrisch behinderten Elektrode
DE10111191A1 (de) 2001-03-08 2002-09-19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Verfahren mit Kontaktsystem
DE10133326A1 (de) 2001-07-10 2003-01-23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Dielektrische Barrieren-Entladungslampe mit Zündhilfe
DE10145993A1 (de) * 2001-09-18 2003-04-24 Siemens Ag Hochspannungs-Pulsgenerator für ein Elektrofilter
DE10147961A1 (de) * 2001-09-28 2003-04-10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Dielektrische Barriere-Entladungslampe und Verfahren sowie Schaltunggsanordnung zum Zünden und Betreiben dieser Lampe
TWI268035B (en) * 2003-01-10 2006-12-01 Sunyen Co Ltd Energy storage circuitry system
DE10333729A1 (de) * 2003-07-23 2005-03-10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Vorschaltgerät für mindestens eine Hochdruckentladungslampe, Betriebsverfahren und Beleuchtungssytem für eine Hochdruckentladungslampe
DE10359882A1 (de) * 2003-12-19 2005-07-14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Schaltungsanordnung zum Betreiben von elektrischen Lampen
JP2007518387A (ja) 2004-01-09 2007-07-0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バリア放電ランプ用高効率シングルエンド順方向フライバック電子ドライバ
DE102004020398A1 (de) * 2004-04-23 2005-11-10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Dielektrische Barriere-Entladungslampe mit Außenelektroden und Beleuchtungssystem mit dieser Lampe
CN1989789A (zh) * 2004-07-21 2007-06-27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气体放电灯的多脉冲点火电路
DE102004047372A1 (de) * 2004-09-29 2006-03-30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Wandlerschaltung mit Klasse-E-Konvertermodulen
CN100364486C (zh) * 2004-11-01 2008-01-30 蒋中为 一种医疗美容用强脉冲光发生装置
TWI285519B (en) * 2005-11-04 2007-08-11 Delta Electronics Inc Method adopting square voltage waveform for driving flat lamps
DE102005034505A1 (de) 2005-07-20 2007-02-01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Schaltungsanorndung mit transformatorlosem Wandler mit Drossel für den gepulsten Betrieb von dielektrischen Barriere-Entladungslampen
DE102005037352A1 (de) * 2005-08-08 2007-02-15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mindestens einer dielektrisch behinderten Entladungslampe
US7221100B2 (en) * 2005-08-12 2007-05-22 Alameda Applied Sciences Corp. Gas discharge lamp power supply
FR2891775B1 (fr) * 2005-10-07 2008-02-01 Alstom Transport Sa Procede et systeme de mise sous tension d'un bus d'alimentation d'un vehicule electrique, support d'enregistrement et vehicule pour ce procede
TW200721907A (en) * 2005-11-18 2007-06-01 Delta Optoelectronics Inc An improved startup method for the mercury-free flat-fluorescent lamp
DE202006005212U1 (de) * 2006-03-31 2006-07-20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Beleuchtungssystem mit dielektrischer Barriere-Entladungslampe, Betriebsgerät und Verbindungskabel
TW200740300A (en) * 2006-04-04 2007-10-16 Delta Optoelectronics Inc Driving circuit and method for fluorescent lamp
DE202007004236U1 (de) * 2007-03-22 2007-06-14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Dielektrische Barriere-Entladungslampe mit Zündhilfe
US7446488B1 (en) 2007-08-29 2008-11-04 Osram Sylvania Metal halide lamp ballast controlled by remote enable switched bias supply
GB0805785D0 (en) * 2008-03-31 2008-04-30 Cyden Ltd Control circuit for flash lamps or the like
FR2940741A1 (fr) * 2008-12-31 2010-07-02 Saint Gobain Ballast pulse pour lampe a decharge
DE102009019904A1 (de) * 2009-05-04 2010-11-25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von Entladungslampen
CN103120026B (zh) * 2010-09-22 2015-08-26 欧司朗股份有限公司 用于点燃高压放电灯的方法
CN102176643B (zh) * 2011-03-09 2013-08-28 福州大学 单级三相大升压比电流型逆变器
DE102016213944A1 (de) * 2016-07-28 2018-02-01 Ellenberger & Poensge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ines Halbleiterschalters
CN112204864A (zh) * 2019-08-29 2021-01-08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驱动电路、驱动电路板与驱动器
CN111239507A (zh) * 2019-11-05 2020-06-05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油纸绝缘表面电荷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49667A2 (en) * 1990-03-30 1991-10-02 Bertonee Inc Digital controller for gas discharge tub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6346A (en) * 1978-03-20 1995-08-29 Nilssen; Ole K. Electronic ballast with controlled DC supply voltage
JPS6070698A (ja) * 1983-09-27 1985-04-22 Toshiba Corp X線管フイラメント加熱装置
US4720668A (en) * 1986-06-20 1988-01-19 Lee Fred C Zero-voltage switching quasi-resonant converters
US4742278B1 (en) * 1987-06-03 1996-11-05 Bertonee Inc Single connection gas discharge display and driver
AU607520B2 (en) 1987-08-06 1991-03-07 Shing Cheung Chow Discharge lamp type display device
US5065072A (en) * 1989-03-31 1991-11-12 Valeo Vision Power supply circuit for an arc lamp,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headlight
DE9015674U1 (ko) * 1990-11-15 1992-03-12 Patent-Treuhand-Gesellschaft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8000 Muenchen, De
US5144204A (en) * 1991-05-28 1992-09-01 General Electric Company Tapped-inductor boost convertor for operating a gas discharge lamp
NO913368D0 (no) * 1991-08-27 1991-08-27 Julius Hartai Frekvensmodulert driver med parallell-resonans.
US5982645A (en) * 1992-08-25 1999-11-09 Square D Company Power conversion and distribution system
DE4311197A1 (de) * 1993-04-05 1994-10-06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inkohärent strahlenden Lichtquelle
US5623187A (en) * 1994-12-28 1997-04-22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Controller for a gas discharge lamp with variable inverter frequency and with lamp power and bus voltage control
US5798616A (en) * 1995-04-06 1998-08-25 Minebea Co., Ltd. Fluorescent lamp circuit employing both a step-up chopper and an inverter
DE19548003A1 (de) * 1995-12-21 1997-06-26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Schaltungsanordnung zur Erzeugung von Impulsspannungsfolgen, insbesondere für den Betrieb von dielektrisch behinderten Entladungen
JP3277788B2 (ja) * 1996-01-16 2002-04-22 ウシオ電機株式会社 放電ランプ点灯装置
US5684683A (en) * 1996-02-09 1997-11-04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DC-to-DC power conversion with high current output
DE19712258A1 (de) * 1997-03-24 1998-10-01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Schaltung zur Zündung einer Hochdruckentladungslamp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49667A2 (en) * 1990-03-30 1991-10-02 Bertonee Inc Digital controller for gas discharge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27506B1 (de) 2001-10-31
HK1023684A1 (en) 2000-09-15
DE59801941D1 (de) 2001-12-06
CA2267366A1 (en) 1999-02-04
ES2167927T3 (es) 2002-05-16
JP2001502843A (ja) 2001-02-27
CN1234958A (zh) 1999-11-10
CN1183807C (zh) 2005-01-05
US6323600B1 (en) 2001-11-27
CA2267366C (en) 2006-01-10
WO1999005892A1 (de) 1999-02-04
KR20000068607A (ko) 2000-11-25
EP0927506A1 (de) 1999-07-07
TW457773B (en) 2001-10-01
ATE208121T1 (de) 200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7875B1 (ko) 펄스 전압 시퀀스 발생 방법 및 그 회로 장치
KR102499709B1 (ko) RF 플라즈마 반응기용 플라즈마 시스(sheath) 제어
US5895984A (en) Circuit arrangement for feeding a pulse output stage
KR100354728B1 (ko) 방전절연차단을위해전압펄스시퀀스를발생시키는회로장치
EP0420251A2 (en)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having level shift control function
Souda et al. Development of high power capacitor charging power supply for pulsed power applications
TW453134B (en) Resonant converter circuit
CA2232850C (en) Circuit for starting an hid lamp
US5065072A (en) Power supply circuit for an arc lamp,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headlight
JP2933077B1 (ja) 放電灯点灯装置
US7355351B2 (en) Circuit arrangement having a converter without a transformer but with an inductor for the pulsed operation of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s
US3368107A (en) Oscillator circuit
CA1086815A (en) High frequency transistor ballast
US7791905B2 (en) Electrical DC-DC power converter with magnetically coupled switch control circuit
KR840001992A (ko) 방전램프용 전자안정기
KR100202336B1 (ko) 디씨-에이씨 컨버터를 구비한 회로 장치
KR100716321B1 (ko) 회로 장치
RU2210180C2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высоковольтных импульсов
JPH05103462A (ja) スイツチモード電源を具えた回路配置
Meisser et al. Transformerless high voltage pulse generators for bipolar drive of dielectric barrier discharges
US7768213B2 (en) High-efficiency single-ended forward-flyback electronic driver for barrier discharge lamps
WO2000011784A1 (en) A high voltage pulse generator using a non-linear capacitor
CA1263433A (en) Apparatus for starting and operating a discharge lamp
KR0169164B1 (ko) 순간점등형 형광램프 점등회로
KR920003569B1 (ko) 동작전압 및 수평 편향전류의 발생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