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7162B1 - 일반전기와 태양광을 이용한 잔물결 에어레이터 - Google Patents

일반전기와 태양광을 이용한 잔물결 에어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162B1
KR100467162B1 KR10-2002-0003747A KR20020003747A KR100467162B1 KR 100467162 B1 KR100467162 B1 KR 100467162B1 KR 20020003747 A KR20020003747 A KR 20020003747A KR 100467162 B1 KR100467162 B1 KR 100467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discharge
impeller
aerator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3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4046A (ko
Inventor
임정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니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니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니코
Priority to KR10-2002-0003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162B1/ko
Publication of KR20020024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4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1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전기와 태양광을 이용하여 물표면에 잔물결을 발생시켜 산소용해효율을 증대시키는 에어레이터로 첫째는 태양전지판을 설치하여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 및 발전시켜 사용하고 잉여전력은 태양축전지에 축전하여 야간이나 악천우시 모우터를 이용하여 임펠러를 작동시켜 대기 중의 공기를 빨아들여 다수의 프로펠러형 공기배출관으로 폭기시키는 방법이다.
둘째는 케이블을 설치하여 일반전기를 사용하고 모우터를 이용하여 임펠러를 작동시켜 대기 중의 공기를 빨아들여 다수의 프로펠러형 공기배출관으로 폭기시키는 방법이다.
두 장치 공통으로 양어장 상부 표면에 2개 이상의 복수로 부유체를 설치하고 부유체 위에 지지장치로 모우터를 고정해서 임펠러를 이용하여 대기 중의 공기를 빨아들여 다수의 프로펠러형 공기배출관으로 보낸다. 1개의 공기배출관에는 다수의 공기배출공이 있어 임펠러의 회전작용에 의해 빨아들인 대기중의 공기를 물표면으로부터 30∼50mm에 위치한 프로펠러형 공기배출관으로 폭기시켜 수면에 잔물결이 일어나게 한다. 이때 양어장 물표면에서 산소용해효율이 높아지고 공기가 분사되는 힘에 의해서 다수개의 프로펠러형 공기배출관이 뒤로 밀리면서 저속으로 회전하여 양어장 저부까지 골고루 혼합시켜 물이 혼탁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양어 환경을 개선하고 또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하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장치이다.

Description

일반전기와 태양광을 이용한 잔물결 에어레이터{Little waves aerator with general electricity and solar light}
종래의 양어장은 좁은 공간에 많은 수의 어류를 넣어 양어하므로서 양어장의수중에는 산소용존량이 부족하게 되어 어류의 활동이 제한되고 이로 인하여 어류의 성장속도가 늦어지므로 이것을 개선하고자 고동력 폭기시스템을 사용하는데 에너지 낭비가 심하고 폭기로 인한 강한 충격으로 인한 어류의 스트레스로 성장 및 육질에 또 다른 저해요인이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착안된 것으로 일반전기와 태양광을 이용한 잔물결 에어레이터를 이용하여 수면과 아주 가깝게 공기배출관을 설치하여 적은 동력으로 물표면에 잔물결을 형성시켜 대기 중의 공기와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산소용존효율을 상승 시킬 뿐만 아니라 폭기로 인한 충격없이 저소음 및 저진동의 잔물결을 일으키는 장치이므로 어류에게 충격이나 스트레스를 훨씬 줄일 수 있다. 또 다수의 프로펠러형 공기배출관의 저속 회전으로 양어장 저부까지 혼합되어 양어장 탱크 바닥의 부패도 방지할 수 있고 부유장치를 이용하므로써 양어장 위치변화와 수위변화에도 자동 대처할 수 있는 에너지 절약형의 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일반전기를 이용한 잔물결 에어레이터의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태양광을 이용한 잔물결 에어레이터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잔물결 에어레이터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양어장 탱크 2. 모우터
3. 지지장치 4. 케이블
5. 와이어 6. 공기흡입구
7. 임펠러 8. 공기흡입통
9. 공기배출관 10. 공기배출공
11. 부유체 12. 공기
13. 태양축전지 14. 태양전지판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우터와 임펠러를 이용하여 빨아들인 대기 중의 공기가 다수의 프로펠러형 공기배출관으로 이송되며, 1개의 공기배출관엔 다수의 공기배출공이 있어서 빨아들인 공기를 물표면과 인접하게 폭기시켜 물표면에 잔물결이 발생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전기를 이용한 잔물결 에어레이터의 정단면도이다.
양어장 탱크(1) 상부 표면에 부유체(11)를 설치하고 양어장 양쪽 벽과 와이어(5)로 연결시킨다.
부유체(11)는 폴리우레탄수지나 폴리스틸렌수지의 재질로 만든 내부 중공 제품으로 2개이상 복수로 설치하고, 이 부유체(11)는 잔물결 에어레이터를 물위에 떠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부유체(11) 상부에 지지장치(3)를 설치하는데 이 지지장치(3)는 모우터(2)와 임펠러(7)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 모우터(2)는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해주는 케이블(4)과 연결되어 임펠러(7)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임펠러(7)의 회전작용에 의해 대기 중의 공기(12)가 공기흡입통(8) 상부에 위치한 다수의 공기흡입구(6)로 흡입된다.
도 2는 태양광을 이용한 잔물결 에어레이터의 정단면도이다.
위의 일반전기를 이용한 것과 거의 유사하나 다른점은 전력을 케이블(4)을 통해 공급받는 것이 아니고 태양전지판(14)을 이용하여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 및 발전시켜 사용하고 잉여전력은 태양축전지(13)에 비축하여 야간이나 악천우에 사용 가능하므로 케이블(4)이 필요 없다.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모우터(2)를 이용하여 임펠러(7)를 작동하는 부분부터는 도 1에서 설명한 일반전기를 이용한 잔물결 에어레이터와 동일하다.
도 3은 잔물결 에어레이터의 평면도이다.
임펠러(7)의 축과 공기흡입통(8) 상부의 연결부분에 베어링을 사용하여 임펠러(7), 공기흡입통(8)과 공기배출관(9)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였다.
공기흡입구(6)에서 들어온 대기중의 공기(12)가 공기흡입통(8)을 통해 공기배출관(9)으로 이동한다.
이 공기배출관(9)은 다수의 프로펠러식 날개 구조이며 공기흡입통(8)에서 공기(12)를 공급받아 공기 배출관(9) 안에 있는 다수의 공기배출공(10)을 통해 빨아들인 대기중의 공기(12)를 양어장 물표면으로 폭기시킨다. 이 공기배출관(9)은 양어장 물표면에서 30∼50mm정도 물속에 잠겨있어 빨아들인 대기중의 공기(12) 폭기시킬시 물표면에 잔물결을 발생시킨다.
다수의 공기배출공(10)에서 대기중의 공기(12)가 폭기 될 때 다수의 공기배출관(9)은 추진력에 의해 뒤로 밀리면서 공기(12)가 폭기되는 반대방향으로 서서히 회전한다. 이때 이 회전에 의해 양어장 저부까지 혼합이 골고루 발생하여 양어장 물을 순환시켜 양어장 바닥까지 산소를 공급한다.
본 발명은 물표면 가까이에서 폭기되고 폭기시 충격없는 저소음과 저진동의 잔물결을 발생시켜 어류가 받는 충격과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고, 태양광을 이용하여 가동되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또 잔물결 발생시 대기 중의 공기와 접촉면적이 늘어나서 산소용해효율이 향상되고 양어장 저부의 부패방지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물위에 부유장치를 이용하여 위치변화와 수위변화에도 대처 가능한 장치이다.

Claims (2)

  1. 일반전기를 이용한 잔물결 에어레이터에 있어서 양어장 탱크 상부표면에 폴리우레탄이나 폴리스틸렌의 내부중공의 부유체를 설치하고 움직이지 않게 양어장 탱크벽에 와이어로 고정시켜 에어레이터를 떠있게 하고 부유체는 회전하는 모터와 임펠러를 고정시키고 임펠러는 베어링으로 공기흡입통에 고정되어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배출관을 거쳐 공기배출공으로 배출시켜 역방향으로 저소음 저진동을 위하여 저속으로 회전하며 폭기시키는 일반전기를 이용한 잔물결 에어레이터.
  2. 태양광을 이용한 잔물결 에어레이터에 있어서 양어장 탱크 상부표면에 폴리우레탄이나 폴리스틸렌의 내부중공의 부유체를 설치하고 움직이지 않게 양어장 탱크벽에 와이어로 고정시켜 에어레이터를 떠있게 하고 지지장치 상부에는 태양축전지가 있고 그상부에는 태양전지판이 있고 부유체는 회전하는 모터와 임펠러를 고정시키고 임펠러는 베어링으로 공기흡입통에 고정되어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배출관을 거쳐 공기배출공으로 배출시켜 역방향으로 저소음 저진동을 위하여 저속으로 회전하며 폭기시키는 태양광을 이용한 잔물결 에어레이터.
KR10-2002-0003747A 2002-01-22 2002-01-22 일반전기와 태양광을 이용한 잔물결 에어레이터 KR100467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747A KR100467162B1 (ko) 2002-01-22 2002-01-22 일반전기와 태양광을 이용한 잔물결 에어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747A KR100467162B1 (ko) 2002-01-22 2002-01-22 일반전기와 태양광을 이용한 잔물결 에어레이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847U Division KR200220971Y1 (ko) 2000-12-02 2000-12-02 일반전기와 태양광을 이용한 잔물결 에어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046A KR20020024046A (ko) 2002-03-29
KR100467162B1 true KR100467162B1 (ko) 2005-01-24

Family

ID=19718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747A KR100467162B1 (ko) 2002-01-22 2002-01-22 일반전기와 태양광을 이용한 잔물결 에어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71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620B1 (ko) * 2009-10-20 2015-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60474Y1 (ko) * 2010-03-22 2012-05-25 주식회사 그린앤썬 부표형 태양광 산소공급장치
KR101151927B1 (ko) * 2011-06-29 2012-05-31 에스엔티코리아 주식회사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수처리장치와 그 설치방법
MY170586A (en) * 2012-03-29 2019-08-19 Sirim Berhad Solar-powered controller system for aquaculture applicatio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3280U (ko) * 1987-12-28 1989-08-08 김순용 공기압 회전식 폭기정수장치
JPH09225486A (ja) * 1996-02-27 1997-09-02 Nippon Electric Ind Co Ltd 水質浄化装置及び浄化方法
KR20000007985A (ko) * 1998-07-09 2000-02-07 윤종용 태양 전지판을 이용한 폭기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KR20010091607A (ko) * 2000-03-16 2001-10-23 오문식 무동력 에어 폭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3280U (ko) * 1987-12-28 1989-08-08 김순용 공기압 회전식 폭기정수장치
JPH09225486A (ja) * 1996-02-27 1997-09-02 Nippon Electric Ind Co Ltd 水質浄化装置及び浄化方法
KR20000007985A (ko) * 1998-07-09 2000-02-07 윤종용 태양 전지판을 이용한 폭기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KR20010091607A (ko) * 2000-03-16 2001-10-23 오문식 무동력 에어 폭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046A (ko) 200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1766B2 (en) Wind, solar and hybrid wind-solar water circulation and aeration methods and apparatus
CN106812678A (zh) 一种风能深水增氧机及其控制系统
CN209835742U (zh) 宽阔水面自净化装置
KR100467162B1 (ko) 일반전기와 태양광을 이용한 잔물결 에어레이터
CN209152025U (zh) 一种用于养鱼场的曝气装置
KR200407318Y1 (ko) 수중폭기장치
KR200220971Y1 (ko) 일반전기와 태양광을 이용한 잔물결 에어레이터
CN101734806A (zh) 一种潜式曝气耕水机
CN206776518U (zh) 一种生态养鱼场
CN200966986Y (zh) 气液混合器
CN216377632U (zh) 一种基于微生物分解的曝气式水体净化设备
CN201605200U (zh) 一种潜式曝气耕水机
CN213680041U (zh) 一种用于湖泊水质生态改造的太阳能曝气平台
KR100441872B1 (ko) 자연풍을 이용한 잔물결 에어레이터
CN203313904U (zh) 一种高效增氧机
CN210782589U (zh) 节能式水车增氧装置
CN210595478U (zh) 船舶式推流搅拌曝气机
CN205478101U (zh) 一种风能深水增氧机控制系统
CN201094224Y (zh) 太阳能微动力的微细气泡产生装置
CN210726426U (zh) 叶轮式增氧机
TW201904422A (zh) 混合式增氧機
CN201010588Y (zh) 扬水式增氧机
CN205445940U (zh) 一种风能深水增氧机
CN220630718U (zh) 一种养鱼池用增氧装置
CN220916238U (zh) 一种悬浮式水产养殖增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