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7051B1 - 고속인쇄기용 요판잉크의 전색제 및 이를 함유하는 요판잉크 - Google Patents

고속인쇄기용 요판잉크의 전색제 및 이를 함유하는 요판잉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051B1
KR100467051B1 KR10-2001-0088758A KR20010088758A KR100467051B1 KR 100467051 B1 KR100467051 B1 KR 100467051B1 KR 20010088758 A KR20010088758 A KR 20010088758A KR 100467051 B1 KR100467051 B1 KR 100467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ink
acid
intaglio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8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8342A (ko
Inventor
장윤진
손규복
김종균
고병옥
Original Assignee
한국조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조폐공사
Priority to KR10-2001-0088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051B1/ko
Publication of KR20030058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8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0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6Printing inks based on fatty 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7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은행권 또는 각종 유가증권 등의 요판인쇄시 수불식 요판 인쇄방식에 사용할 수 있는 전색제와, 이를 함유한 잉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요판인쇄시 저알카리 불식용액으로도 불식이 가능하며 고속인쇄시 잉크 전이성이 양호하고 잉크비산 발생이 없으며, 고심도 인쇄물 적재시 뒤묻음 발생이 없고, 또한 인쇄제품의 내약품성, 내알카리성이 우수한 인쇄 용지가 큰 고속인쇄기 (Super Orlof Intaglio)에 적용할 수 있는 잉크와 이러한 잉크의 제조에 사용되는 전색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불식 요판인쇄 방식으로 고속인쇄기에서 불식적성, 잉크 전이성, 뒤묻음 방지적성이 우수하여 고심도요판 인쇄가 가능하며 특히, 인쇄 용지가 큰 고속인쇄기에서 고속인쇄(10,000장/시간)를 행하여도 잉크 비산이 없으며 인쇄제품의 내약품성 및 내알카리성이 우수한 품질 특성을 갖는 수불식 요판인쇄 잉크이다.

Description

고속인쇄기용 요판잉크의 전색제 및 이를 함유하는 요판잉크 {Panchromatic material of intaglio plate ink for Super Orlof Intaglio and intaglio plate ink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속인쇄기용 요판잉크의 전색제 및 이를 함유하는 요판잉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은행권 또는 각종 유가증권 등의 요판인쇄시 저알카리 불식용액으로도 불식이 가능하며 고속인쇄시 잉크 전이성이 양호하고 잉크비산 발생이 없으며, 고심도 인쇄물 적재시 뒤묻음 발생이 없고, 또한 인쇄제품의 내약품성, 내알카리성이 우수한 인쇄 용지가 큰 고속인쇄기(Super Orlof Intaglio)에 적용할 수 있는 잉크와 이러한 잉크의 제조에 사용되는 전색제에 관한 것이다.
요판인쇄에 있어서 요판의 요부에 잉크를 채운 후 비화선부(요부를 제외한 부분)에 묻은 잉크를 와이핑 롤러로 딱아내고, 이 더럽혀진 와이핑 롤러를 불식(딱아냄)시켜야 하는데, 와이핑 롤러에 묻은 잉크를 알카리성 수용액으로 세척하는 것을 수불식 방식이라 한다.
수불식이 용이하게 되기 위해서는 잉크가 알카리 용액에서 쉽게 분산되어야 하고 요부의 잉크가 용지로 전이되어 고착화된 인쇄물은 내약품성, 내알카리성이강해야 하며 장시간 인쇄시 인쇄기계상에서 잉크 경화가 일어나지 않아야 하며 고속인쇄시 잉크비산이 없어야 한다.
종래의 수불식 요판잉크는 내알카리성이 약하여 이를 개선한 내알카리성 요판잉크를 제조하는 방법(한국 특허 제36791호)을 제공한 바 있으나, 이와 같이 제조된 요판잉크는 잉크피막의 두께가 100㎛ 이하에서 무간지 인쇄가 가능하고 고심도 요판잉크로 무간지 인쇄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한국 특허 제089670호에 개시된 수불식 고심도 요판잉크는 고심도 요판인쇄물을 얻을 수 있지만, 고속인쇄시 잉크비산과 불식적성이 미흡하며, 수불식 요판인쇄 잉크(한국 특허 제128373호)는 고속인쇄시 잉크비산과 잉크피막의 내부경화 건조성이 미흡하여 인쇄물 분리적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고심도 인쇄판에서 무간지적성, 사이즈가 큰(Super size) 용지에서 불식, 고속인쇄시 미스팅 방지적성, 잉크피막의 내부경화, 건조성 등이 우수한 요판잉크에 사용되는 제1전색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요판잉크에 사용되는 또 다른 제2전색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1전색제 및 제2전색제를 함유하는 요판잉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전색제는 촉매 및 불활성 가스존재하에서, 식물유 지방산 25 내지 30중량%에 에폭시수지 10 내지 15중량%를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230 내지 240℃에서 1.5 내지 2.0시간 에스테르반응시키고 190∼210℃로 냉각시키는 제1단계; 제1단계의 반응물에 다가알콜 14 내지 18중량% 및 다염기산 18 내지 20중량%를 첨가하여 220 내지 230℃에서 0.5 내지 1시간 반응시키고 160∼180℃로 냉각시키는 제2단계; 및 제2단계의 반응물에 다염기산 6 내지 8중량%를 가하여 170 내지 180℃에서 0.5 내지 1.0시간 반응시키고 150∼170℃로 급냉시킨 후 글리콜에테르계 용제 20∼30중량%를 가하여 반응시키는 제3단계를 거쳐 제조되며, 산가 65 내지 70, 점도 250 내지 350poise(25℃)의 물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2전색제는 촉매 및 불활성 가스 존재하에서, 식물유 지방산 20 내지 30중량%에 다가알콜 7 내지 10중량% 및 다염기산 6 내지 10중량%를 가하고 교반하면서 230 내지 240℃에서 약 3 내지 4시간 에스테르반응을 시키고 190∼210℃로 냉각시키는 제1단계; 및 상기 제1단계의 반응물에 지방족 탄화수소용제 45 내지 55중량% 및 다염기산 7 내지 10중량%룰 가하여 170 내지 180℃에서 0.5 내지 1.0시간 반응시키는 제2단계를 거쳐 제조되며, 산가 45 내지 55의 연겔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요판잉크는 상기 제1전색제 바니시 25 내지 30중량%, 상기 제2전색제 바니시 8 내지 15중량%, 글리콜에테르계 용제 5 내지 10중량%,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 10 내지 15중량%, 왁스 3 내지 5중량%, 분산제 1 내지 3중량%, 건조제 0.1∼2중량%, 착색안료 5 내지 15중량%, 산화철 안료 5내지 10중량% 및 체질안료 20 내지 30중량%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쇄 용지가 큰 고속인쇄기(Super Orlof Intaglio)와 종전의 요판인쇄기를 비교하면, 인쇄 용지가 큰 고속인쇄기는 각각의 잉킹장치에서 배출되는 서로 다른 3색의 잉크가 조각로라(chablon roller)를 거쳐 1개의 집합통(collecting drum)에 합친 다음 판통에 잉크를 묻혀주는 간접 잉킹방식이며, 조각로라의 경도가 종전보다 높기 때문에 잉크의 전이성이 좋아하여야 하고, 종전의 쇼트잉킹시스템(Short Inking System)보다 로러 수도 많고 롤러닙(Roller Nip)도 크며, 잉크 집합통을 제외하고는 인쇄기의 모든 로라 직경이 작으므로 고속인쇄시 강한 윈심력에 의해 잉크비산과 잉크의 기상안정성이 요구되어 종전과 다른 잉크 조성물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잉크제조용 새로운 2종의 전색제(이하 "제1전색제 및 제2전색제 바니시"라 함)를 사용한다. 상기 제1전색제 바니시는 내약품성, 내알카리성, 내석검성 등이 우수하며 유장을 단유성으로 실온내부경화 건조성 향상과 잉크비산 방지효과(잉크비산은 유장에 비례)를 지닌 에폭시수지 변성 알키드 바니시이며, 상기 제2전색제 바니시는 수지의 산가를 높여 수분산성을 향상시키고 특히 인쇄상에서 잉크의 물성을 균일하게 유지시키고 고속인쇄에서 잉크의 점탄성을 증가시켜 잉크비산 방지효과가 우수한 겔구조를 갖는 유변성 알키드 겔 바니시이다.
상기 제1전색제 바니시 및 제2전색제 바니시의 제조공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전색제 바니시
1단계 반응으로 식물유 지방산 25 내지 30중량%에 에폭시수지 10 내지 15중량% 및 미량의 촉매(수산화 리튬)를 가하고 불활성 가스(질소) 존재하에 교반하면서 230 내지 240℃에서 약 1.5 내지 2.0시간 에스테르반응시키고 190∼210℃로 냉각시킨 다음, 여기에 2단계 반응으로 다가알콜 14 내지 18중량% 및 다염기산 18 내지 20중량%를 첨가하여 220 내지 230℃에서 0.5 내지 1시간 반응시키고 160∼180℃로 냉각시킨 다음, 3단계 반응으로 다염기산 6 내지 8중량%를 가하여 170 내지 180℃에서 0.5 내지 1.0시간 반응시키고 150∼170℃로 급냉시킨 후 글리콜에테르계 용제 20∼30중량%를 가하여 반응을 완료하면 산가 65 내지 70, 점도 250 내지 350poise(25℃)의 물성을 갖는 에폭시수지 변성 알키드 바니시를 얻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폭시수지는 에폭시 당량 800 내지 900의 에폭시수지, 에폭시 당량 1750 내지 2100의 에폭시수지, 에폭시 당량 2400 내지 3300의 에폭시수지 및 에폭시 당량 4000 내지 6000의 에폭시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 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색제 바니시 합성에 있어서, 에폭시수지 함량을 증가시키거나 에폭시 당량이 증가될수록 수지의 분자량이 증가하여 잉크의 내약품성은 증가하나 점도상승 및 수분성이 저하되고 용제 투입량이 증가하게 되어 잉크의 물성조정이 곤란하게 되는 반면, 에폭시수지 함량이 감소할 수록 내약품성 및 내석검성이 저하되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글리콜에테르계 용제는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및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글리콜에테르계 용제의 함량이 낮을수록 전색제의 점도가 상승하는 반면, 글리콜에테르계 용제의 함량이 높을수록 전색제의 점도가 낮아지므로, 취급 용이성, 추후 제조될 잉크물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전색제 바니시
1단계 반응으로 식물유 지방산 20 내지 30중량%에 다가알콜 7 내지 10중량%, 다염기산 6 내지 10중량%에 미량의 촉매(수산화 리튬)를 가하고 불활성가스(질소) 존재하에 교반하면서 230 내지 240℃에서 약 3 내지 4시간 에스테르반응을 시키고 190∼210℃로 냉각시킨 다음, 여기에 2단계 반응으로 지방족 탄화수소용제 45 내지 55중량% 및 다염기산 7 내지 10중량%룰 가하여 170 내지 180℃에서 0.5 내지 1.0시간 반응시키면 산가 45 내지 55의 연겔성을 갖는 유변성 알키드 겔바니시를 얻는다.
상기 제1전색제 바니시 및 제2전색제 바니시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식물유 지방산은 산화 건조성이 빠른 탈수피마자유 지방산이 바람직하며, 아마인유 지방산, 대두유 지방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물유 지방산의 함량이 낮을수록 전색제의 점도가 상승하여 반응이 곤란해질 수 있는 반면, 상기 식물유 지방산의 함량이 높을수록 내석검성이 저하되거나(특히, 제1 전색제의 경우) 내약품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전색제에 요구되는 특성에 부합되도록 상술한 함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가알콜로는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 트리메틸올에탄, 펜타에리트리톨 및 디펜타에리트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가알콜의 함량이 낮을수록 전색제의 최종 산가가 높아져 제조될 잉크의 약품성이 저하되는 반면, 상기 다가알콜의 함량이 높을수록 전색제의 최종 산가가 낮아져 제조될 잉크의 불식적성이 저하되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각각의 전색제에 요구되는 특성에 부합되도록 상술한 함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다염기산으로는 무수프탈산, 이소프탈산, 무수말레인산, 후말산, 아디픽산 및 무수트리메릿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염기산의 함량이 낮을수록 전색제의 최종 산가가 낮아져 제조될 잉크의 불식적성이 저하되는 반면, 상기 다염기산의 함량이 높을수록 전색제의 최종 산가가 높아져 제조될 잉크의 약품성이 저하되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각각의 전색제에 요구되는 특성에 부합되도록 상술한 함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전색제 바니시에 사용되는 지방족 탄화수소 용제는 기상안정성과 무간지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비점범위 150 내지 210℃의 용제 및/또는 비점범위 230 내지 320℃의 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 용제의 함량이 낮을수록 전색제인 겔 바니쉬의 점도가 상승하는 반면,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 용제의 함량이 높을수록 전색제의 점도가 낮아므로, 제조될 잉크의 물성을 고려하여 상술한 함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에폭시수지 변성 알키드 바니시와 유변성 알키드 겔바니시를 제1전색제 및 제2전색제로 하여 본 발명의 잉크를 제조하는 바, 상기 제1전색제 바니시를 25 내지 30중량%, 제2전색제 바니시를 8 내지 15중량%, 글리콜에테르계 용제 5 내지 10중량%,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 10 내지 15중량%, 왁스 3 내지 5중량%, 분산제 1 내지 3중량%, 건조제 0.1∼2중량%, 착색안료 5 내지 15중량%, 산화철 안료 5 내지 10중량% 및 체질안료 20 내지 30중량%를 혼합하고 교반한 후 연육하여 수불식요판인쇄 잉크를 제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투입원료를 다양화 할 경우에는 투입원료 및 조성비와 반응조건에 따라 반응성과 내약품성, 수분산성 등의 수지 특성이 달라지므로 적정조성비와 반응조건 설정의 조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잉크제조에 사용되는 글리콜에테르계 용제는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및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지방족 탄화수소 용제는 기상안정성과 무간지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비점범위 150 내지 210℃의 용제 및/또는 비점범위 230 내지 320℃의 용제를 혼용하고, 뒤묻음 방지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왁스는 몬탄에스텔 석검왁스 단독 사용보다 파리핀왁스를 혼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기타 착색안료, 체질안료, 건조제 등은 종래의 잉크 제조에 사용되는 것을 그대로 사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불식 요판인쇄 방식으로 고속인쇄기에서 불식적성,잉크 전이성, 뒤묻음 방지적성이 우수하여 고심도 요판 인쇄가 가능하며 특히, 인쇄 용지가 큰 고속인쇄기에서 고속인쇄(10,000장/시간)를 행하여도 잉크 비산이 없으며 인쇄제품의 내약품성 및 내알카리성이 우수한 품질 특성을 갖는 수불식 요판인쇄잉크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제1전색제 바니시의 제조
1단계 반응으로 탈수피마자유 지방산 28.4중량%에 에폭시수지(에폭시 당량 1750 내지 2100) 10.4중량% 및 미량의 수산화 리튬을 가하고 질소 존재하에 교반하면서 약 230℃에서 약 2.0시간 에스테르반응을 시키고 약 200℃로 냉각시킨 다음, 2단계 반응으로 트리메칠올프로판 14.0중량%, 무수프탈산 18.2중량%를 가하여 약 230℃에서 약 1시간 반응시키고, 약 170℃로 냉각시킨 다음, 3단계 반응으로 무수트리메릿산 6.0중량%를 가하여 약 180℃에서 약 1.0시간 반응시킨 다음, 약 160℃로 급냉시킨 후 디에칠렌글리콜 모노메칠에테르 23중량%를 가하여 반응을 완료하여 산가 약 67, 점도 300poise(25℃)의 물성을 갖는 에폭시수지 변성 알키드 바니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제2전색제 바니시의 제조
1단계 반응으로 탈수피마자유 지방산 26.1중량%에 펜타에리트리톨 7.6중량%,이소프탈산 6.2중량%에 미량의 수산화 리튬을 가하고 질소 존재하에 교반하면서 약 240℃에서 약 3시간 에스테르반응을 시키고, 약 200℃로 냉각시킨 다음, 2단계 반응으로 고비점 지방족탄화수소(비점범위 230 내지 320℃) 52.4중량%, 무수트리메릿산 7.7중량%룰 가하여, 약 180℃에서 약 1.0시간 반응시켜 산가 약 50의 연겔성을 갖는 유변성 알키드 겔바니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제조에 의하여 제조되는 잉크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제1전색제 바니시,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제2전색제 바니시, 글리콜에테르계 용제, 지방족탄화수소계 용제, 왁스, 분산제, 건조제, 착색안료, 산화철안료 및 체질안료를 하기 표 1에 기재된 양으로 혼합하고 교반한 후 연육하여 잉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과 양으로 혼합하고 교반한 후 연육하여 잉크를 제조하였다.
구분성분 실시예 3 비교예 1
적색 황색 청색 적색 황색 청색
제1전색제 바니시 25 25 27
제2전색제 바니시 10 10 12
에폭시 변성 알키드 바니시 32 32 35
적색안료(화스트레드) 6 6
황색안료(디스아조 열로) 6 6
청색안료(시아닌불루) 6 6
산화철 안료 7 7 7 7
체질안료 25 25 28 28 28 32
몬탄에스텔왁스 3 3 3 5 5 5
파라핀 왁스 2 2 2
지방족탄화수소계 용제(비점범위 230-320℃) 7 7 7
지방족탄화수소계 용제(비점범위 150-210℃) 5 5 5 13 13 13
글리콜에테르계 용제(디에칠렌글리콜모노부칠에테르) 7 7 7 7 7 7
분산제 2 2 2 1 1 1
건조제(코발트 옥토에이트) 1 1 1 1 1 1
100 100 100 100 100 100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잉크물성은 택크(32℃, 30초) 10-20, 항복가( 45℃,dyne/㎠) 3,000 내지 4,000, 건조시간(25℃,시간) 3 내지 7범위를 가지며, 인쇄 용지가 큰 고속인쇄기 상에서 가성소다 1.0%, 로트유 0.5%의 불식용액을 사용하여 인쇄한 결과, 비교예 1의 잉크보다 전이성, 불식성, 인쇄효과, 무간지적성, 잉크 비산방지적성 등 제반 인쇄적성과 내약품성, 내알카리성 등의 품질적성이 양호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불식 요판인쇄 방식으로 고속인쇄기에서 불식적성, 잉크 전이성, 뒤묻음 방지적성이 우수하여 고심도요판 인쇄가 가능하며 특히, 인쇄 용지가 큰 고속인쇄기에서 고속인쇄(10,000장/시간)를 행하여도 잉크 비산이 없으며 인쇄제품의 내약품성 및 내알카리성이 우수한 품질 특성을 갖는 수불식 요판인쇄잉크이다.

Claims (5)

  1. 촉매 및 불활성 가스 존재하에서,
    식물유 지방산 25 내지 30중량%에 에폭시수지 10 내지 15중량%를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230 내지 240℃에서 1.5 내지 2.0시간 에스테르반응시키고 190∼210℃로 냉각시키는 제1 단계,상기 식물유 지방산은 탈수피마자유 지방산, 아마인유 지방산 및 대두유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됨;
    상기 제1 단계의 반응물에 다가알콜 14 내지 18중량% 및 다염기산 18 내지 20중량%를 첨가하여 220 내지 230℃에서 0.5 내지 1시간 반응시키고 160∼180℃로 냉각시키는 제2 단계, 상기 다가알콜은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 트리메틸올에탄, 펜타에리트리톨 및 디펜타에리트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되고, 상기 다염기산은 무수프탈산, 이소프탈산, 무수말레인산, 후말산, 아디픽산 및 무수트리메릿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됨; 및
    상기 제2 단계의 반응물에 다염기산 6 내지 8중량%를 가하여 170 내지 180℃에서 0.5 내지 1.0시간 반응시키고 150∼170℃로 급냉시킨 후 글리콜에테르계 용제 20∼30중량%를 가하여 반응시키는 제3 단계, 상기 글리콜에테르계 용제는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및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됨;
    를 거쳐 제조되며, 산가 65 내지 70, 점도 250 내지 350poise(25℃)의 물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불식 요판인쇄 잉크용 전색제 바니시.
  2. 촉매 및 불활성 가스 존재하에서,
    식물유 지방산 20 내지 30중량%에 다가알콜 7 내지 10중량% 및 다염기산 6 내지 10중량%를 가하고 교반하면서 230 내지 240℃에서 약 3 내지 4시간 에스테르반응을 시키고 190∼210℃로 냉각시키는 제1 단계, 상기 식물유 지방산은 탈수피마자유 지방산, 아마인유 지방산 및 대두유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되고, 상기 다가알콜은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 트리메틸올에탄, 펜타에리트리톨 및 디펜타에리트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되고, 그리고 상기 다염기산은 무수프탈산, 이소프탈산, 무수말레인산, 후말산, 아디픽산 및 무수트리메릿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됨; 및
    상기 제1 단계의 반응물에 지방족 탄화수소용제 45 내지 55중량% 및 다염기산 7 내지 10중량%룰 가하여 170 내지 180℃에서 0.5 내지 1.0시간 반응시키는 제2 단계,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용제는 비점범위 150 내지 210℃의 용제 및/또는 비점범위 230 내지 320℃의 용제임;
    를 거쳐 제조되며, 산가 45 내지 55의 연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수불식 요판인쇄 잉크용 전색제 바니쉬.
  3. 삭제
  4. 제1항에 따른 전색제 바니시 25 내지 30중량%, 제2항에 따른 전색제 바니시 8 내지 15중량%, 글리콜에테르계 용제 5 내지 10중량%,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 10 내지 15중량%, 왁스 3 내지 5중량%, 분산제 1 내지 3중량%, 건조제 0.1∼2중량%, 착색안료 5 내지 15중량%, 산화철 안료 5내지 10중량% 및 체질안료 20 내지 30중량%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불식 요판인쇄 잉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몬탄에스텔왁스 및 파리핀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불식 요판 인쇄잉크.
KR10-2001-0088758A 2001-12-31 2001-12-31 고속인쇄기용 요판잉크의 전색제 및 이를 함유하는 요판잉크 KR100467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758A KR100467051B1 (ko) 2001-12-31 2001-12-31 고속인쇄기용 요판잉크의 전색제 및 이를 함유하는 요판잉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758A KR100467051B1 (ko) 2001-12-31 2001-12-31 고속인쇄기용 요판잉크의 전색제 및 이를 함유하는 요판잉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342A KR20030058342A (ko) 2003-07-07
KR100467051B1 true KR100467051B1 (ko) 2005-01-24

Family

ID=32216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8758A KR100467051B1 (ko) 2001-12-31 2001-12-31 고속인쇄기용 요판잉크의 전색제 및 이를 함유하는 요판잉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70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739A (ko) 2013-12-26 2015-07-06 한국조폐공사 요판잉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604B1 (ko) * 2006-04-06 2007-08-20 한국조폐공사 항균성 수불식 요판잉크 조성물
KR101425426B1 (ko) * 2014-02-14 2014-08-06 주식회사 동양잉크 오프셋 형광잉크 베이스 및 상기 오프셋 형광잉크 베이스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227A (ko) * 1988-08-31 1990-03-27 나가이 아쓰오 인쇄배선 기판
JPH0292972A (ja) * 1988-09-30 1990-04-03 Taniguchi Ink Seizo Kk 印刷インキ用ワニス、印刷インキ、印刷方法及び印刷物
KR0128373B1 (ko) * 1994-01-28 1998-04-01 황원오 수불식 요판인쇄 잉크용 전색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227A (ko) * 1988-08-31 1990-03-27 나가이 아쓰오 인쇄배선 기판
JPH0292972A (ja) * 1988-09-30 1990-04-03 Taniguchi Ink Seizo Kk 印刷インキ用ワニス、印刷インキ、印刷方法及び印刷物
KR0128373B1 (ko) * 1994-01-28 1998-04-01 황원오 수불식 요판인쇄 잉크용 전색제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739A (ko) 2013-12-26 2015-07-06 한국조폐공사 요판잉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342A (ko) 200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5957A (en) Dry planographic printing ink composition
JP2590391B2 (ja) 植物油系印刷インク
US4079026A (en) Printing inks and process for using the same
US5429841A (en) Printing ink emulsion with poly(oxyalkylene) substituted colorant
CN102643577B (zh) 适合高速轮转印刷的环保油墨
US3948827A (en) Dry planographic printing ink composition
EP1739142A1 (en) Method for producing modified rosin ester resin composition for lithographic ink varnish and method for producing lithographic ink varnish
US4415705A (en) Rosin derivatives used as dispersants
JPH11505556A (ja) 印刷インキ
EP2206751B1 (en) Coloring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nd coloring method
JPH0796654B2 (ja) 顔料の分散方法
KR100467051B1 (ko) 고속인쇄기용 요판잉크의 전색제 및 이를 함유하는 요판잉크
CN112996866B (zh) 胶版印刷用油墨组合物及其制造方法、以及使用了该胶版印刷用油墨组合物的印刷物的制造方法
EP0460482A2 (de) Druckfarben
JP3247766B2 (ja) 色つきコート紙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方法でえられる色つきコート紙
US6206960B1 (en) Rub resistant heatset lithographic printing ink
USRE32411E (en) Rosin derivatives used as dispersants
KR950006944B1 (ko) 수불식 고심도 요판인쇄잉크 및 그 전색제의 제조방법
JP2516689B2 (ja) モノアゾレ―キ顔料及び印刷インキ組成物
US6265481B1 (en) Rapidly absorbed printing inks and their use
KR20050061921A (ko) 수불식 요판잉크용 전색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수불식 요판잉크
EP0480705B1 (en) Monoazo lake pigment,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its use
JP2901352B2 (ja) 顔料分散剤及びそれを用いたオフセット印刷インキ組成物
KR20090057749A (ko) 수불식 요판잉크 및 이의 전색제 제조방법
KR102633895B1 (ko) 송진 유래 보조수지를 포함하는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