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5294B1 - 편향요크 - Google Patents

편향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5294B1
KR100465294B1 KR10-2002-0073551A KR20020073551A KR100465294B1 KR 100465294 B1 KR100465294 B1 KR 100465294B1 KR 20020073551 A KR20020073551 A KR 20020073551A KR 100465294 B1 KR100465294 B1 KR 100465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deflection
coil
radius
predetermin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3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7202A (ko
Inventor
임창주
김재정
최환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0/322,386 priority Critical patent/US6943490B2/en
Priority to CNA021598363A priority patent/CN1467780A/zh
Priority to JP2003003603A priority patent/JP2004047417A/ja
Publication of KR20040007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7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2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1Cores for field producing elements, e.g. ferr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8Coil separators and formers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향요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음극선관 후부에 장착되어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에 있어서,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나팔형상의 코일세퍼레이터와; 상기 코일세퍼레이터에 내면에 설치되어 전자빔을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자계를 발생시키는 제1구간내 소정부분의 단면반경과, 실질적으로 불필요한 수직방향 편향자계를 약화시키도록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단면반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수평편향코일과; 상기 코일세퍼레이터의 외면에 설치되어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자계를 발생시키는 수직편향코일 및; 상기 수평 및 수직편향코일의 자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편향코일의 일부를 감싸는 원통형상의 페라이트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편향코일에 형성된 제2구간에 의하여 편향코일 후단의 불필요한 자계가 약화되므로 BSN 길게를 연장함과 동시에 편향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편향요크{Deflection yoke}
본 발명은 편향요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른 특성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편향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편향요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수상기 또는 모니터의 음극선관(CRT)에 사용되는 편향요크는 새들-트로이달(saddle toroidal type), 새들-새들형등 여러 가지 형태로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편향요크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편향요크는 좌·우 대칭형으로 되어 한쌍이 하나로 합체되는 코일세퍼레이터(10)를 구비한다.
이러한, 코일세퍼레이터(10)는 미도시된 음극선관의 스크린면에 결합되는 스크린부(11)와, 스크린부(11)에서 후방으로 연장형성된 중간부(12)와, 중간부(12)와 일체로 형성되어 미도시된 음극선관의 전자총이 결합되는 네크부(1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코일세퍼레이터(10)의 내·외주면에는 수평편향자계와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편향코일(14)과 수직편향코일(15)이 각각 마련되며, 수직편향코일(15)의 외주면에는 수직자계를 강화시키기 위한 페라이트코어(16)가 마련된다.
이때, 수평편향코일(15)은 후단에 외향플렌지형상으로 형성되고, 불필요한 수직편향자계가 발생되는 벤트(bent)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의한 편향요크(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세퍼레이터(10)의 전단에서부터 후단까지 만곡이 형성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나팔모양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수평 및 수직편향코일(14, 15) 역시 코일세퍼레이터(10)의 형상과 동일하게 나팔모양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수직편향코일(15)을 도시된 바와 달리 페라이트코어(16)에 코일을 권선한 트로이달형을 적용할 수 있으며, 편향요크(1)의 수직편향코일(15)에 이와 같은 트로이달이 적용된 경우를 새들-트로이달형이라고 한다.
물론, 도 1에 도시된 편향요크(1)는 수평 및 수직편향코일(14, 15)을 말 안장 모양으로 권선하여 성형한 새들형을 적용한 것이므로 새들-새들형이라 한다.
도 2는 또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편향요크에 적용되는 코일세퍼레이터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종래 기술의 편향요크에 적용되는 코일세퍼레이터(20)는 전술된 바와 달리 코일세퍼레이터(20)의 후반에 수평면(H)이 형성되도록, 중간부(22) 후반에서부터 네크부(23) 후단까지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된다.
이때, 중간부(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나팔모양의 곡선을 갖는 나팔형상구간(22a)과, 직선모양으로 형성된 직선구간(22b)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도2에 도시된 코일세퍼레이터에 적용되는 편향코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편향코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와 도6은 도 3에 도시된 편향코일의 평면도 및, 도 5에 도시된 a-a' 및 b-b'선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편향코일은 후단에 외향플렌지 형상의 벤트(bent)가 없는 벤트레스(bent less) 타입의 수평편향코일(30)을 도시한 것이며, 설명에
앞서 수직편향코일은 수평편향코일(30)과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시된 수평편향코일(30)은 전술된 코일세퍼레이터(20)의 스크린부(21)와, 중간부(22) 및 네크부(23)에 각각 대응되는 스크린벤트부(31)와, 연장부(32) 및 네크벤트부(33)로 이루어진다.
물론, 연장부(32)는 스크린벤트부(31)의 후방에 형성되고, 네크벤트부(33)는 연장부(32)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연장부(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나팔모양의 곡선을 갖는 나팔형상구간(32a)과, 직선형태를 갖는 직선구간(32b)로 이루어지며, 연장부(32)에는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수평방향의 편향자계가 발생되고, 네크벤트부(33)에는 전자빔의 수평편향에 실질적으로 기여하지 않는 자계가 발생되며, 이를 일반적으로 무효벤트구간이라고 정의한다.
한편, 수평편향코일(30)의 나팔형상구간(32a)에서부터 네크벤트부(33) 후단까지는 도 4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크기의 내경(DSO, DL)과 외경(FSO, FL)이 형성된다.
즉, 수평편향코일(30)은 중간부분에서부터 후단까지 동일한 크기의 내경(DSO, DL)과 외경(FSO, FL)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이 네크벤트부(33)에는 실질적으로 불필요한 수직편향자계가 발생되어 후술되는 BSN(beam strike neck)의 길이를 짧아지게하는 문제점을 야기 시킨다.
여기서, 후술되는 BSN에 대하여 간략히 이야기하면, BSN은 전자빔의 편향이
시작되는 편향점의 이동거리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편향요크(1)가 음극선관의 후부에 밀착되지 않고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됨에 따라 편향점도 소정 간격으로 이동되어 발생된다.
이러한 BSN의 이동거리, 즉 BSN 길이는 그 길이가 길어지면 전자빔이 음극선관의 스크린면 테두리에 해당하는 음극선관의 최대지점까지 편향되어 도달하지만, 길이가 짧아지면 전자빔이 스크린면의 코너부분까지에 편향되지 못하고 음극선관의 후부에 부딪히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로 인하여 스크린의 코너 부분이 검게 나타나게 되어 화상표현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평편향코일(30)의 연장부(32)에서 발생되는 수평편향자계와, 네크벤트부(33)에서 발생되는 수직편향자계가 전자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편향코일에서 발생되는 편향자계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편향코일의 네크벤트부에서 발생되는 편향자계와 전자빔과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수평편향코일(30)의 연장부(32)에는 a-a'선 단면자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32)에서 발생된 수평편향자계(B1)에 의하여 수평편향력(F1)이 발생되며, 수평편향력(F1)에 의하여 전자총(2b)의 전자빔은 X방향으로 수평편향된다.
물론, 전류(I)는 전자총에서 방출되는 전자빔의 반대방향, 즉 전자빔의 역방향으로 정의된다.
다음, 수평편향코일(30)의 네크벤트부(33)에서 발생되는 수직편향자계(B2)는 b-b'선 단면자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흐르는 전류(I)에 의하여 전자빔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네크벤트부(33)에는 수평편향코일(30)의 상부측인 Y방향의 수직편향력(F2)이 형성된다.
즉, 수평편향코일(30)의 네크벤트부(33)에는 수직편향자계(B2)에 의하여 전자빔의 수평편향력에 실질적으로 기여하지 않고 후술되는 BSN의 길이를 짧아지게 하는 수직편향력(F2)이 발생된다.
물론, 수직편향자계(B2)는 네크벤트부(33)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후방으로 방사되는 부채꼴 형태를 이루게 되며, 네크벤트부(33)의 코너에 발생되는 수직편향자계(B2)는 전자빔의 방향과 대각선을 이루게 되어 도 8에서와 같이 전자빔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전자빔(GB)의 B, G, R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점에 형성된 것이 아니라 일직선상에 나란히 형성되고, 각각의 B, G, R 사이에는 갭(gap)이 형성된다.
하지만, 각각의 B, G, R은 G를 기준으로 음극선관의 스크린면(2a)의 한점에 모이게 되며, 이로 인하여 B와 R은 경사를 이루게 된다.
이때, 전자빔에는 전자방출방향과 역방향으로 전류가 정의되고, 이러한 역방향 전류(I)와 전자빔의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수직편향자계(B2) 사이에는 경사각(θ)이 형성된다.
따라서, 경사각(θ)은 벡터F=IBsinθ의 공식에 따라 sinθ에 해당되므로, 수평편향코일(30)의 네크벤트부(33)에는 전자빔을 수직편향시키는 편향력(벡터F)이 발생된다.
물론, 네크벤트부(33)의 코너부분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발생되는 수직편향자계(B2)는 경사각(θ)이 더욱 커지므로 전자빔을 더욱 수직으로 편향시킨다.
하지만, 수직편향자계(B2)는 수평편향코일(30)에서 발생되는 수평편향자계(B1)에 비하여 자계가 미미하므로 전자빔의 수평편향에는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BSN 길이를 짧아지게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한편, 도 9는 전술된 수평편향코일(30)에 의하여 전자빔이 스크린면(2a)에 수평방향으로 주사되어 화상을 재현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편향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에 따른 전자빔의 주사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수평편향코일(30)에 의하여 수평편향되는 전자빔은 수평편향코일(30)에 인가되는 톱니파형의 전류(IR, IL)에 의하여 음극선관의 스크린면(2a)에 수평주사된다.
이때, 전자빔은 인가되는 최대치전류(IR)에 의하여 스크린면(2a)의 수평방향의 최 우측(HR)으로 편향되고, 최저치전류(IL)에 의하여 최 좌측(HL)으로 편향되며, 이와 같은 전류(IR, IL)의 크기와 주사폭의 상관관계를 편향감도라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편향감도에 대하여 좀더 설명하면, 편향감도는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하여 편향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제곱에 인덕턴스(즉, 수평편향코일의 인덕턴스)를 곱한것이며, 수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수식> 수평편향감도[mHA2]=I2×L
즉, 수평편향코일(30)에 대한 편향감도는 최대치 및 최저치전류(IR, IL)의 제곱에 인덕턴스를 곱한 것이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스크린면(2a)의 최 좌측(HL)에서 최 우측(HR)까지 편향시 소비되는 전류가 작을수록 편향요크(1)의 효율이 좋은 것이므로, 편향감도 수치는 적을수록 좋은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전술된 수식의 편향감도에 있어서, I와 L은 전자빔이 스크린면(2a)의 최 좌측(HL) 및 최 우측(HR)까지 도달하기 위하여 소비된 I와 L의 최종 값에 의하여 정의된다.
이러한 편향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수평편향코일(30)의 내경(DL, DSO)과 외경(FL, FSO)이 줄어들도록 설계하여야 하나, 편향요크를 전자총(2b)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수평편향코일(30)의 내경(DL, DSO)과 외경(FL, FSO)이 전자총(2b) 보다 커야 하므로, 수평편향코일(30)의 내경(DL, DSO)과 외경(FL, FSO)을 줄이는 데에는 물리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도 10은 종래 기술의 편향요크에 의한 편향감도 및 BSN현상을 도시한 개념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BSN(beam strike neck)현상은 편향요크(1)가 음극선관(2)의 후부에 밀착되지 않고, 편향요크(1)가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전자빔이 스크린
면(2a)의 최대치인 max포인트에 도달하지 못하고, 도시된 GB3와 같이 음극선관(2) 후부 네크측에 부딪힘으로서 화면 코너측 부분이 검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때, 편향요크(1)는 음극선관(2)의 후부에 밀착된 후, 컨버전스(convergence)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후방이동이 되는 것이며, max포인트는 스크린면(2a)의 상·하단 및 코너부분의 최대치이다.
한편, 편향요크(1)의 후방이동으로 인하여 편향요크(1)의 조절자유도는 향상되며, 작업자는 편향요크(1)를 상하 및 좌우로 용이하게 움직여 컨버전스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공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편향요크(1)는 이동길이가 길게 확보될수록 조절자유도가 향상되므로, BSN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동길이를 최대한 길게 확보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전술된 편향감도와 BSN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편향요크(1)의 편향감도가 좋을 경우 자계가 강해지므로 전자빔의 편향각도가 커져 BSN의 거리는 짧아 지며, 이와 반대로 편향감도가 나쁠 경우에는 전자빔의 편향각도가 작아져 BSN의 거리가 길어지므로, 편향감도와 BSN은 서로 반비례 관계가 성립된다.
즉, 편향감도가 좋을 경우 BSN 길이는 짧아지므로 BSN은 나빠지며, 편향감도가 나쁠 경우 BSN 길이는 길어져 BSN은 좋아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서로 감도가 다른 편향요크(1)를 음극선관의 후부에 전면 밀착할 경우, 편향감도가 나쁜 편향요크(1)는 도시된 GB1과 같이 전자빔을 편향시키며, 편향감도가 좋은 편향요크(1)는 도시된 GB2와 같이 전자빔을 편향시킨다.
즉, GB1은 편향요크(1)에서 소비되는 전류에 비하여 전자빔이 약하게 편향되어 스크린면(2b)에 max포인트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GB2는 max포인트에 도달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GB1은 편향감도가 나쁘므로 편향요크(1)의 효율이 낮고, GB2는 편향감도가 좋으므로 편향요크(1)의 효율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컨버전스조절을 위하여 음극선관(2)의 전자총(2b) 방향으로 편향코일(1)을 후방이동하면 편향점은 f'로 이동하게 되고, 편향점의 이동에 따라 전자빔은 도시된 GB3와 같이 전자총(2b)의 내경에 부딪히는 BSN현상이 발생된다.
이때, BSN의 길이는 편향점의 이동, 즉 편향요크(1)의 이동길이라고 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점 f와 f'의 거리도 정의될 수 있다.
그러므로, 편향감도가 낮은 GB1이 BSN 현상 발생지점의 거리가 길고, 편향감도가 높은 GB2는 BSN 현상 발생지점의 거리가 짧으므로, GB1은 BSN 길이가 길고, GB2는 BSN 길이가 짧다고 정의할 수 있다.
물론, BSN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편향감도를 저하시킬 수도 있으나, 편향요크(1) 설계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편향감도이므로, BSN 길이 보다는 1차적으로 편향감도가 좋은 편향요크(1)를 설계하여야 한다.
따라서, 편향감도가 좋으면서 BSN 길이도 길게 형성되는 편향요크(1)를 설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수평편향코일(30)의 네크벤트부(33)에서 발생되는 수직편향자계(B2)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전자빔을 수직으로 편향시키므로 BSN 길이를 짧아지게 하며, 네크벤트부(33)의 코너부분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발생되는 수직편향자계(B2)는 경사각(θ)이 더욱 커지므로 BSN 길이를 더욱 짧아지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편향요크(1)는 컨버전스 조절을 위하여 음극선관(2) 후부에 밀착 후, 전자총(2b) 방향으로 이동설치되므로, 1차적으로 편향감도는 좋으나 BSN 길이가 짧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평편향요크(30)의 네크벤트부(33)에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수직편향자계(B2)에 의하여 BSN 길이가 더욱 짧아지는 문제도 있다.
그리고, 전자총(2b)의 후방으로 이동 설치된 편향요크(1)의 BSN 길이를 길게하기 위해서는 편향감도 수치가 커지게 되어 편향감도가 나빠지는 문제도 있다.
아울러, 편향요크(1)를 전자총(2b)의 후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BSN 길이가 짧아져 전자빔이 스크린면(2a)의 max포인트에 도달하지 않고, 음극선관(2)의 후부에 부딪히게 되어 화상표시가 되지않는 치명적인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컨버전스조절이 가능하도록 편향요크를 음극선관의 후부에 이격 설치하여도 BSN 길이를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향감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편향요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편향요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또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편향요크에 적용되는 코일세퍼레이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도2에 도시된 코일세퍼레이터에 적용되는 편향코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편향코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편향코일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a' 및 b-b'선 단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편향코일에서 발생되는 편향자계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편향코일의 네크벤트부에서 발생되는 편향자계와 전자빔과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편향코일의 전류에 따른 전자빔의 주사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10은 종래 기술의 편향요크에 의한 편향감도 및 BSN현상을 도시한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코일세퍼레이터와 편향코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코일세퍼레이터와 편향코일을 분해도시한 분해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j-j'선 단면도.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k-k'선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의 편향코일의 제1구간과 제2구간에서 발생되는 자계를 도시한 개념도.
도 17은 본 발명의 편향요크에 의한 편향감도 및 BSN현상을 도시한 개념도.
도 18 및 도 19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의 감도 및 BSN현상 비교 그래프.
도 20은 본 발명의 편향요크에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편향코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21는 도 20에 도시된 m-m'선 및 n-n'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80 : 코일 세퍼레이터 30, 70, 70' : 수평편향코일
100 : 편향요크 200, 200' : 연장부
220, 220' : 나팔형상구간 250, 250': 제1구간
300, 300' : 제2구간 R : 단면반경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는, 음극선관 후
부에 장착되어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에 있어서,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나팔형상의 코일세퍼레이터와;
상기 코일세퍼레이터에 내면에 설치되어 전자빔을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자계를 발생시키는 제1구간내 소정부분의 단면반경과, 실질적으로 불필요하게 발생되는 수직방향 편향자계를 약화시키도록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단면반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수평편향코일과;
상기 코일세퍼레이터의 외면에 설치되어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자계를 발생시키는 수직편향코일 및;
상기 수평 및 수직편향코일의 자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편향코일의 일부를 감싸는 원통형상의 페라이트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평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내측반경과, 제1구간내 소정부분의 내측반경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평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외측반경과, 제1구간내 소정부분의 외측반경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평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단면반경이 제1구간내 소정부분의 단면반경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평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내측반경이 제 1구간 소정부분의 내측반경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평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외측반경이 제 1구간
내 소정부분의 외측반경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평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상하 단면반경과, 좌우 단면반경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평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상하 내측반경과, 좌우 내측반경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평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상하 외측반경과, 좌우 외측반경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코일세퍼레이터는 제1구간 소정부분의 내측반경과, 제2구간 소정부분의 내측반경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음극선관 후부에 장착되어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에 있어서,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나팔형상의 코일세퍼레이터와;
상기 코일세퍼레이터의 내면에 설치되어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자계를 발생시키는 수평편향코일과;
상기 코일세퍼레이터에 내면에 설치되어 전자빔을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자계를 발생시키는 제1구간내 소정부분의 단면반경과, 실질적으로 불필요하게 발생되는 수평방향 편향자계를 약화시키도록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단면반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수직편향코일 및;
상기 수평 및 수직편향코일의 자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편향코일의
일부를 감싸는 원통형상의 페라이트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직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외측반경과, 제1구간내 소정부분의 외측반경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직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단면반경이 제1구간내 소정부분의 단면반경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직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내측반경이 제 1구간 소정부분의 내측반경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직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외측반경이 제 1구간내 소정부분의 외측반경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직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상하 단면반경과, 좌우 단면반경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직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상하 내측반경과, 좌우 내측반경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직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상하 외측반경과, 좌우 외측반경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코일세퍼레이터는 제1구간 소정부분의 내측반경과, 제2구간 소정부분의 내측반경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코일세퍼레이터와 편향코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코일세퍼레이터와 편향코일을 분해도시한 분해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j-j'선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k-k'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편향코일은 수평편향자계를 발생하는 수평편향코일(70)을 대표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수직편향코일은 도시된 수평편향코일(70)과 동일한 기술적 사상과 특징을 가지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도시된 도면을 참고하면, 도 11에 도시된 편향요크는 코일이 권선된 형태로 성형된 일명 와인딩프레임형의 수평 및 수직편향코일로 이루어진 새들-새들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100)는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합체되는 한쌍의 코일세퍼레이터(80)를 포함한다.
그리고, 코일세퍼레이터(80)의 내면에 적치되어 수평편향자계를 발생하는 수평편향코일(70)과, 코일세퍼레이터(80)의 외면에 적치되어 수직편향자계를 발생하는 수직편향코일(90)을 포함한다.
또한, 수직편향코일(9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수평·수직편향코일(70, 90)에서 발생되는 수평 및 수직편향자계를 강화하는 페라이트코어(95)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러한 수평편향코일(70)과 코일세퍼레이터(80)에 대하여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수평편향코일(70)과 코일세퍼레이터(80)는 미도시된 음극선관의 스크린면 후부에 밀착되는 스크린부(21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스크린부(210)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실질적으로 전자빔을 수평방
향으로 편향시키는 수평편향자계를 발생시키는 연장부(2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연장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나팔모양의 곡선을 갖는 나팔형상구간(220)과, 미도시된 음극선관의 전자총 외경과 동일한 내경으로 이루어져 전자총의 외주면에 적치되는 제1구간(250)으로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연장부(200)에 일체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불필요한 수직편향자계를 발생시키는 제2구간(30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구간(300)은 수평편향코일(70)의 경우 미도시된 음극선관의 전자총이 형성된 네크부에 적치되는 부분이므로 제2구간(300)을 일반적으로 네크벤트부라고도 칭한다.
물론, 수평편향코일(70)의 제2구간(200)은 실질적으로 필요한 수평편향자계가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수직편향자계가 발생되므로 무효벤트구간이라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제2구간(300)은 불필요하게 발생되는 수직편향자계를 약화시켜 BSN 길이를 연장 할 수 있도록 단면반경이 제1구간(250)에 비하여 크게 형성된다.
즉, 제1구간(250)과 제2구간(300)은 서로 다른 단면반경으로 형성되되, 제2구간(300)의 단면반경이 제1구간(250)의 단면반경 보다 크게 형성된다.
좀더 자세하게는 제2구간(300)의 전단측 상부면 일부분을 함몰시켜 제2구간(300)의 단면반경을 제1구간(250)의 단면반경 보다 크게 형성한다.
이때, 수평편향코일(70)은 네크벤트부인 제2구간(300)의 전단측 상부면의 일부분 함몰로 인하여 제1구간(250)의 상부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편향코일과 비교할
때 도시된 d 만큼의 깊이가 형성된다.
물론, 코일세퍼레이터(80)의 제1구간(250) 상부면에도 수평편향코일(70)과 동일한 d 만큼의 깊이가 형성된다.
즉, 제1구간(250)은 내·외측반경이 종래 기술의 편향코일에 비하여 d 만큼 작게 형성되고, 제2구간(300)은 내측반경이 도시된 T 만큼 확대된다.
이때, T는 수평편향코일(70)과 코일세퍼레이터(80)의 설계상 한계 값인 0.05∼0.5mm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평편향코일(70)과 코일세퍼레이터(80)는 스크린부(210)와 연장부(220) 및 네크부(300)가 각각 대응된 상태로 적치되어 서로 일체를 이룬다.
한편, 전술된 단면반경은 내측반경과 외측반경을 합한 값의 평균치로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R에 해당한다.
여기서, 도 15를 참고하여 제2구간(300)에 형성된 단면반경(R)에 대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설명에 앞서 코일세퍼레이터(80)의 단면반경은 후술되는 수평편향코일(70)의 단면반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수평편향코일(70)의 예만을 들어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편향코일(70)의 단면반경(R)은 제2구간(300)의 상부측 단면반경(R)이 제1구간(250)의 단면반경(R) 보다 T 만큼 더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2구간(300)의 단면반경(R) 값을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제2구간(300)의 내측반경(DL, DSO+T)과 외측반경(FL, FSO+T)을 합한 값의 평균치이
다.
물론, 제2구간(300)은 단면반경(R) 뿐만 아니라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반경(DL, DSO)과 외측반경(FL, FSO) 역시, 상부가 T 만큼 확대되므로 내측반경은 DSO+T가 되며, 외측반경은 FSO+T가 된다.
즉, 단면반경(R)과 내·외측반경(DL, DSO, FL, FSO)은 좌우에 비하여 상하가 크게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단면반경(R)과 내·외측반경(DL, DSO, FL, FSO)은 상하와 좌우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편향요크(100)에 음극선관의 전자총이 결합될 경우 전자총 외주면과 네크벤트부인 제2구간(300)은 T 만큼 이격되므로 전자총에 대한 제2구간(300)의 수직편향자계는 약화된다.
물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코일세퍼레이터(80)의 제2구간(300)에 형성된 단면반경 및 내·외측반경 역시, 전술된 바와 같이 수평편향코일(70)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코일세퍼레이터(80)의 제2구간(300)에 형성된 단면반경 및 내·외측반경 역시 제1구간(250)에 비하여 T 만큼 더 크게 형성된다.
이때, 코일세퍼레이터(80)에 형성된 제2구간(300)의 단면반경과 내·외측반경은 수평편향코일(70)에서와 같이 상하가 좌우에 비하여 크게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코일세퍼레이터(80)의 단면반경과 내·외측반경은 상하와 좌우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 2구간(250, 300)이 수평편향코일(70)과 동일하게 형성된 코일세퍼레이터(80)로 인하여 수평편향코일(70)은 코일세퍼레이터(80)에 일체로 적치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수직편향코일(90)을 수평편향코일(70) 및 코일세퍼레이터(80)에서 처럼 제1구간(250)과 제2구간(300)의 단면반경 및 내·외측반경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제2구간(300)에서 발생되는 수평편향자계를 약화시켜 BSN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코일세퍼레이터(80)에 수평편향코일(70)이 적치된 편향요크(100)는 후단부에 도 11에 도시된 T 만큼의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편향요크(100)에 음극선관의 전자총을 결합할 경우 전자총의 외경과 편향요크(100)의 후단이 T 만큼 이격되므로, 전자총의 전자빔과 수평편향코일(70)의 제2구간(300)은 서로 이격되어 거리가 멀어진다.
그리고, 전자빔과 제2구간(300)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전자빔에 대한 수평편향코일(70)의 제2구간(300)에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수직편향자계의 영향력이 감소되어 BSN 길이가 길어진다.
즉, 전자빔의 기준으로는 제2구간(300)에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자계가 약화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내·외측반경이 전술된 d 만큼 작게 형성된 수평편향코일(70)의 제1구간(250)은 그 부분의 내·외측반경이 줄어들어 전자총의 전자빔과 가까워 지므로 전자빔에 대한 수평편향자계가 강하게 발휘된다.
즉, 전자빔은 수평편향코일(70)의 제1구간(250)에서 발생되는 수평편향자계에 더욱 영향을 받게 된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제1구간(250)은 전자빔과 근접하게 되고, 제2구간(300)은 전자빔과 이격되므로, 제1구간(250)에서 발생되는 수평편향력은 강화되고 제2구간(300)에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수직편향력은 약화된다.
따라서, 제1구간(250)의 수평편향력 강화로 전자빔의 수평편향력은 향상되며, 제2구간(300)의 수직편향력의 약화로 인하여 BSN 길이는 길어진다.
물론, 미도시된 수직편향코일(90)에 서로 다른 단면반경(R)을 갖는 제1구간(250)과 제2구간(300)을 형성하여 제1구간(250)의 수직편향자계는 강화시키고, 제2구간(300)의 불필요한 수평편향자계는 약화되도록 하여, 수직편향력 향상 및 BSN 길이 연장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수평자계 발생용으로는 전술된 수평편향코일(70)을 적용하고, 수직자계 발생용으로는 코일세퍼레이터(80)의 외주면에 설치된 페라이트코어(95)에 코일이 권선된 수직편향코일(90)을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즉, 수평편향코일에는 새들형이 적용되고, 수직편향코일(90)에는 트로이달 형이 적용된 새들-트로이달형 편향요크에도 본 발명에 의한 수평편향코일(70)을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수평편향코일(70)이 적용되는 새들-트로이달형 편향요크는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와 그 구성 및 특징이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계속해서,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의 편향코일의 제1구간과 제2구간에서 발생되는 자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먼저, 제1구간(250)은 코일의 인입전류에 의하여 Y 축, 즉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핀자계인 수평편향자계(B1)가 발생되며, 이러한 수평편향자계(B1)와 전자빔의 역방향으로 흐르는 전류(I)에 의하여 제1구간(250)에는 X 축 좌측방향의 수평편향력(F1)이 발생된다.
이때, 제1구간(250)은 전술된 바와 같이 d 만큼 줄어든 내측반경을 가지므로 전자빔과의 거리가 단축되어 더욱 강한 수평편향력(F1)을 발휘한다.
다음, 제2구간(300)를 살펴보면, 코일은 전류(I)가 X방향의 우측으로 흐르므로 인가된 전류(I)에 의하여 Y방향의 수직편향자계는 형성되지만, 제2구간(300)과 전자총(2b)의 상·하부면 사이에 T 만큼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전자빔에는 자계의 영향이 적게 미치게된다.
따라서, 제1구간(250)에서는 수평편향자계가 강하게 발생되고, 제2구간(300)에서는 발생하는 수직편향자계는 전자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17은 본 발명의 편향요크에 의한 편향감도 및 BSN현상을 도시한 개념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100)는 컨버전스조절을 위하여 음극선관(2)의 배면에 밀착되지 않고 전자총(2b) 후방으로 약간 이동되어 결합된다.
하지만, 전자빔(GB)은 편향요크(100)의 후단부에 형성된 제2구간(300)에 의하여 제2구간(300) 내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진하므로 BSN 길이는 전자총(2b)
의 후방으로 길어지게 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면에 도시된 점선은 종래의 편향요크에 의한 전자빔(GB)의 편향 궤적을 도시한 것으로서, 전자빔(GB)이 제2구간(300)에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수직편향자계에 의하여 제2구간(300) 내에서 편향을 시작하여 전자총(2b)의 내경에 부딪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실선은 본 발명의 편향요크(10)에 의한 전자빔(GB)의 편향 궤적을 도시한 것으로서, 전자빔(GB)이 제2구간(300) 내에서는 불필요한 수직편향자계의 영향을 받지않으므로 직진하지만, 제1구간(250)에서는 강하게 발생되는 편향력에 의하여 급격히 편향되어 스크린면(2a)의 max포인트 까지 도달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구간(300)과 전자총(2b)의 외경이 이격됨에 따라 전자빔(GB)은 제2구간(300)에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수직편향자계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제2구간(300) 내에서는 직진성을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제2구간(300)을 지나면서 강한 수평편향자계를 발생시키는 제1구간(250)에 의하여 급격히 궤적을 그리며 편향하게 된다.
즉, 전자빔(GB)의 편향점이 제2구간(300) 내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제1구간(250) 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편향요크(100)는 전자빔(GB)이 제2구간(300) 내에서 편향되지 않으므로 BSN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또한, BSN 길이를 연장하여도 전자빔(GB)이 스크린면(2a)의 max포인트에 도
달되도록 편향시킬 수 있다.
이렇게 종래와 동일한 소비전류를 편향요크(100)에 인가하여도 전자빔(GB)은 스크린면(2a)의 max포인트까지 도달되므로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100)는 편향감도 수치가 적게 발생되어 편향감도가 좋게된다.
물론, 제1구간(250)의 내측반경이 줄어듦에 따라 자계가 전자빔(GB)에 강하게 작용하므로 제1구간(250)의 자계 세기에 따라 편향요크(100)에 인가되는 소비전류를 줄이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편향요크(100)의 편향감도는 더욱 좋아진다.
이와 같은 편향감도와 BSN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것이 도 18 및 도 19이며, 도 18 및 도 19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의 감도 및 BSN현상 비교 그래프이다.
먼저, 도 18는 종래 기술의 편향코일의 내측반경과, 본 발명의 편향코일의 내측반경의 크기에 따른 편향감도 및 BSN의 차이를 그래프로 도시한 실험데이터이다.
여기서, 실험데이터에 대한 결과를 간략히 설명하면, 도시된 (a)와 같이 종래 기술에 적용된 편향코일의 내측반경이 15.8mm일 경우 감도 값은 13.9가 나오고, BSN 값은 5.1이 나온다.
반면, 본 발명의 편향코일의 경우 도시된 (b)와 같이 내측반경이 종래와 동일하게 15.8mm이지만 감도 값은 13이 나오며, BSN 값은 5.12가 나온다.
즉, 감도는 소비전류의 값이므로 낮을수록 좋으며, BSN은 전자빔의 편향점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길수록 좋은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100)는 감도 뿐만 아니라 BSN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 도 19는 종래 기술의 편향코일의 외측반경과, 본 발명의 편향코일의 외측반경의 크기에 따른 편향감도 및 BSN의 차이를 그래프로 도시한 실험데이터이다.
도시된 (c)와 같이 종래 기술에 적용된 편향코일의 외측반경이 18.4mm일 경우 감도 값은 13.9가 나오고, BSN 값은 5.1이 나온다.
반면, 본 발명의 편향코일의 경우 도시된 (d)와 같이 내측반경이 종래와 동일한 18.4mm이지만 감도 값은 13이 나오며, BSN 값은 5.12가 나온다.
즉, 외측반경의 변경 실험치 역시 내측반경의 변경 실험치와 동일하게 본 발명의 편향코일이 종래 기술의 편향코일 보다 우수함을 입증하고 있다.
한편, 전술된 바와 달리 수평편향코일(70)의 제2구간(300) 양측면의 단면반경 및 내·외측반경을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하여 BSN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편향요크에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편향코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1는 도 20에 도시된 m-m'선 및 n-n'선 단면도로서, 편향요크의 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에서 수평편향코일(70')만을 대표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수직편향코일은 도시된 수평편향코일(70')과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기재를 생략한다.
도시된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평편향코일(70')은
전술된 본 발명의 수평편향코일(70)에서 처럼 스크린부(210')와, 스크린부(210')에서 연장된 나팔형상구간(220') 및 제1구간(250)으로 이루어진 연장부(200')와, 연장부(200')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된 제2구간(30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구간(250')과 제2구간(300')은 서로 다른 단면반경(R')을 갖도록 형성되되, 제2구간(300')에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수직편향자계가 약화되도록 제1구간(250')에 비하여 제2구간(300')의 단면반경(R')이 크게 형성된다.
좀더 자세하게는, 제2구간(300')의 상하측 단면반경(R')에 비하여 좌우측 단면반경(R')이 크게 형성된다.
물론, 네크벤트부인 제2구간(300')의 앞쪽 양측면이 함몰됨에 따라 제2구간(300')의 좌우측 단면반경(R')은 상하측 단면반경(R') 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제1구간(250')은 전술된 수평편향코일(70)에서 처럼 d 만큼 내·외경이 줄어들게 되어 수평편향자계가 강화된다.
여기서, 제2구간(300')의 좌우측 단면반경(R')의 확대 범위는 도 21에 도시된 T2에 해당한다.
따라서, 제1구간(250')에 비하여 제2구간(300')의 단면반경(R')이 크게 형성되므로 제2구간(300')의 내경이 미도시된 전자총의 외경과 거리가 멀어져, 전자빔은 제2구간(300')에서 발생되는 수직편향자계의 영향을 적게 받게되므로 BSN 길이는 길어진다.
즉, 전자빔을 제2구간(300') 내에서 편향시키지 않고 제1구간(250') 내에서 편향시키므로 BSN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물론, 전자빔은 제2구간(300')에서는 수직편향자계의 영향을 거의 받지않으므로 직진하지만, 제1구간(250')의 강화된 수평편향자계에 의하여 제1구간(250')에서는 급격히 편향되어 궤적을 그리며 스크린면의 max포인트에 도달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술된 본 발명에 의한 코일세퍼레이터(80)의 제2구간(300)을 이와 같은 수평편향코일(70')에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므로 코일세퍼레이터(8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편향요크(100)는 컨버전스조절을 위하여 음극선관(2)의 후부에 전자총(2b) 방향으로 이동설치되어도 편향요크(100)의 후단에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편향자계를 약화시킬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편향자계가 전자빔(GB)에 작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BSN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적은 소비전류로도 전자빔(GB)을 음극선관(2)의 스크린면(2a) 최단부인 max포인트 까지 주사할 수 있으므로 편향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빔(GB)이 음극선관(2)의 스크린면(2a)의 max포인트 까지 도달하므로 스크린면(2a) 전체에 화상표시가 가능하여, 전자빔(GB)을 스크린면(2a) 전체에 편향시키지 못하여 발생되는 편향요크(100)의 불량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단면반경과 내·외측반경이 확대 형성된 제2구간(250, 250')에 의하여 편향요크(100)의 틸팅(tilting)이 가능하므로 작업자의 조절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작업공정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
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는, 후단에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편향자계가 약화되므로 전자빔이 편향요크의 후단에서 바로 편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BSN 길이를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적은 소비전류로도 전자빔이 음극선관의 스크린면 전체에 주사되므로 편향감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스크린면 전체에 화상표시를 할 수 있으며, 편향감도의 향상에 의하여 전자빔의 주사폭을 확대할 수 있어 양품의 편향요크 제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편향요크의 틸팅이 용이하여 작업자의 조절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공정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20)

  1. 음극선관 후부에 장착되어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에 있어서,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나팔형상의 코일세퍼레이터와;
    상기 코일세퍼레이터의 내면에 설치되어 전자빔을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자계를 발생시키는 제1구간과, 실질적으로 불필요하게 발생되는 수직방향 편향자계를 약화시키는 제2구간을 구비하며, 이들 제1구간내 단면반경과 제2구간내 단면반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수평편향코일과;
    상기 코일세퍼레이터의 외면에 설치되어 전자빔을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자계를 발생시키는 수직편향코일 및;
    상기 수평 및 수직편향코일의 자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편향코일의 일부를 감싸는 원통형상의 페라이트코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내측반경과, 제1구간내 소정부분의 내측반경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외측반경과, 제1구간내 소정부분의 외측반경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단면반경이 제1구간내 소정부분의 단면반경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내측반경이 제 1구간 소정부분의 내측반경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외측반경이 제 1구간내 소정부분의 외측반경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7.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상하 단면반경과, 좌우 단면반경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8.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상하 내측반경과, 좌우 내측반경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9. 제 3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상하 외측반경과, 좌우 외측반경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세퍼레이터는 제1구간 소정부분의 내측반경과, 제2구간 소정부분의 내측반경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11. 음극선관 후부에 장착되어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에 있어서,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나팔형상의 코일세퍼레이터와;
    상기 코일세퍼레이터의 내면에 설치되어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자계를 발생시키는 수평편향코일과;
    상기 코일세퍼레이터에 내면에 설치되어 전자빔을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자계를 발생시키는 제1구간과, 실질적으로 불필요하게 발생되는 수평방향 편향자계를 약화시키는 제2구간을 구비하며, 이들 제1구간내 단면반경과 제2구간내 단면반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수직편향코일 및;
    상기 수평 및 수직편향코일의 자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편향코일의 일부를 감싸는 원통형상의 페라이트코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내측반경과, 제1구간내 소정부분의 내측반경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외측반경과, 제1구간내 소정부분의 외측반경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단면반경이 제1구간내 소정부분의 단면반경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내측반경이 제 1구간 소정부분의 내측반경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외측반경이 제 1구간내 소정부분의 외측반경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17. 제 11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상하 단면반경과, 좌우 단면반경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18. 제 12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상하 내측반경과, 좌우 내측반경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19. 제 13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편향코일은 제2구간내 소정부분의 상하 외측반경과, 좌우 외측반경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세퍼레이터는 제1구간 소정부분의 내측반경과, 제2구간 소정부분의 내측반경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KR10-2002-0073551A 2002-07-11 2002-11-25 편향요크 KR100465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322,386 US6943490B2 (en) 2002-07-11 2002-12-13 Deflection yoke with improved deflection sensitivity
CNA021598363A CN1467780A (zh) 2002-07-11 2002-12-27 偏转装置
JP2003003603A JP2004047417A (ja) 2002-07-11 2003-01-09 偏向ヨー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0442 2002-07-11
KR20020040442 2002-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202A KR20040007202A (ko) 2004-01-24
KR100465294B1 true KR100465294B1 (ko) 2005-01-13

Family

ID=37317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3551A KR100465294B1 (ko) 2002-07-11 2002-11-25 편향요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52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7518A (ja) * 1991-11-01 1993-08-27 Philips Gloeilampenfab:Nv セミサドル形のフィールド偏向コイルを有する偏向ユニットをそなえた表示管
EP1081738A1 (en) * 1999-08-30 2001-03-07 THOMSON TUBES &amp; DISPLAYS S.A. Vertical deflection coil structure for CRT
JP2002117786A (ja) * 2000-08-03 2002-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偏向ヨーク
JP2002298756A (ja) * 2001-03-28 2002-10-11 Sony Corp 偏向装置及び表示装置
KR20030001532A (ko) * 2001-03-27 2003-01-0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컬러음극선관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7518A (ja) * 1991-11-01 1993-08-27 Philips Gloeilampenfab:Nv セミサドル形のフィールド偏向コイルを有する偏向ユニットをそなえた表示管
EP1081738A1 (en) * 1999-08-30 2001-03-07 THOMSON TUBES &amp; DISPLAYS S.A. Vertical deflection coil structure for CRT
JP2002117786A (ja) * 2000-08-03 2002-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偏向ヨーク
KR20030001532A (ko) * 2001-03-27 2003-01-0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컬러음극선관 장치
JP2002298756A (ja) * 2001-03-28 2002-10-11 Sony Corp 偏向装置及び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202A (ko) 200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42627B2 (ja) カラ−受像管装置
US5059858A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JPH07272642A (ja) 表示管
KR100465294B1 (ko) 편향요크
KR100452756B1 (ko) 음극선관 장치
KR100703506B1 (ko) 컨버전스 보정 장치를 가진 컬러 음극선관
JP2004047417A (ja) 偏向ヨーク
US20040000858A1 (en) Deflection yoke
JP2000100351A (ja) 陰極線管
US6373202B1 (en) Color cathode ray tube
US6469459B2 (en) Cathode ray tube apparatus
KR930004108B1 (ko) 편향수차를 개선한 칼라 음극선관
US6486624B2 (en) Cathode ray tube apparatus
KR100475173B1 (ko) 칼라 음극선관
JPH11345579A (ja) 陰極線管装置および偏向ヨ―ク
KR100383857B1 (ko) 컬러음극선관장치
US20020053887A1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KR100295453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40002367A (ko) 편향요크
JP3580748B2 (ja) モノクロ用偏向ヨーク
EP1381072A2 (en) Color cathode-ray tube
US20040032198A1 (en) Color picture tube device
JP2002141004A (ja) カラーブラウン管
EP1450390A2 (en) Structure of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JP2000251760A (ja) 電子ビーム偏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