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5008B1 - 대구경 천공을 이용한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 - Google Patents

대구경 천공을 이용한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5008B1
KR100465008B1 KR1020040015062A KR20040015062A KR100465008B1 KR 100465008 B1 KR100465008 B1 KR 100465008B1 KR 1020040015062 A KR1020040015062 A KR 1020040015062A KR 20040015062 A KR20040015062 A KR 20040015062A KR 100465008 B1 KR100465008 B1 KR 100465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
diameter
chain
underwater
dri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인숙
김종설
강대우
Original Assignee
강대우
백인숙
김종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우, 백인숙, 김종설 filed Critical 강대우
Priority to KR1020040015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5008B1/ko
Priority to US10/900,690 priority patent/US7032978B2/en
Priority to CNB200410056473XA priority patent/CN100350129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0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12Underwater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37/00Other methods or devices for dislodging with or without loading
    • E21C37/005Other methods or devices for dislodging with or without loading by projec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arth Drilling (AREA)
  • Drilling And Exploitation, And Mining Machines And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쇄암선의 지브크레인에 매단 쇄암봉으로 파쇄 대상 암반을 타격하는 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쇄 대상 암반에 다수의 대구경 천공(穿孔)들을 소정 간격으로 천공하여 대구경 천공들에 의한 다수의 자유면을 형성한 후 대형 쇄암봉으로 충격을 가함으로써, 천공된 구멍들의 자유면들을 통해 쇄암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대구경 천공을 이용한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쇄암봉(12)을 자유낙하시켜 파쇄 대상 암반(30)을 타격하는 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에 있어서, 쇄암봉 타격 작업을 실시하기에 앞서, 파쇄 대상 암반(30)에 천공경 100∼300㎜φ의 대구경 천공(31)을 소정 간격으로 다수 배열하여 1∼10m의 깊이로 천공하여 자유면을 크게 확보한 후, 상호 이웃하는 대구경 천공(31) 사이의 중간지점을 타격목표지점(A)으로 설정하고, 그 타격목표지점(A)의 수직상부로 상기 쇄암봉(12)을 승강시킨 후 자유낙하시켜 파쇄 대상 암반(30)을 타격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시행하여서 수중 암반을 파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대구경 천공을 이용한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Crushing method using large boreholes in underwater rock}
본 발명은 쇄암선의 지브크레인에 매단 쇄암봉으로 수중속의 파쇄 대상 암반을 타격하여 수중 암반을 제거하는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중속의 파쇄 대상 암반에 다수의 대구경 천공(穿孔)들을 소정 간격으로 천공하여 대구경 천공들에 의한 다수의 자유면(自由面)을 형성한 후 대형 쇄암봉으로 천공된 암반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천공된 구멍들의 자유면들을 통해 쇄암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대구경 천공을 이용한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중속에 교량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교각기초 시공시, 특정목적의 해양구조물 구축시, 대형선박의 통로(수로) 개척시, 대형선박의 접안장소의 구축시 그 구축장소에 수중(해저)에 돌출 암반이 존재할 경우 이를 제거하여서 평탄하게 하는 수중 암반 제거작업을 수행한 후에 본 공사를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돌출 암반을 제거하는 작업은 암반에 천공작업을 실시한 후 천공된 공내에 폭약을 장전하여 발파하는 작업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발파가 실패하여 재발파가 불가능한 경우 또는 주변에 구조물 등이 있어 발파작업이 불가능한 지역의 경우, 발파후 암석대괴(=전석)가 발생된 경우에는 이들 암반을 타격하여 쇄암하는 작업을 통해 제거하고 있다.
종래, 타격에 의한 쇄암작업은 지브크레인이 설치된 쇄암선을 파쇄 대상 암반 위치로 이동시키고, 선체로부터 소정거리로 이격되어진 기저 암반에 쇄암선의 앵커들을 정착시켜 쇄암선을 정지시킨 후, 드럼에 권취된 지브크레인의 호이스트 줄에 매달린 5∼50톤 중량의 쇄암봉을 소정 높이(대략 타격목표지점으로부터 15m 상측)로 상승시킨 다음, 그 쇄암봉을 자유낙하시켜 파쇄 대상 암반을 반복적으로 타격하는 과정을 통해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쇄암봉을 이용한 쇄암방법은 발파작업에 비해 소음과 진동에 의한 충격파가 현저하게 작고 쇄석이 비산되지 않기 때문에 수위가 얕은 지역의 경우, 가스관·교량 등 중요 구조물이 인근에 존재하는 암반의 경우 또는 기존 발파지역에서 발파가 실패한 암반의 경우 등 발파가 불가능한 지역에서 적절히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쇄암봉을 이용한 쇄암방법은 파쇄 대상 암반이 하나의 몸체로 단단히 뭉쳐 있기 때문에 쇄암봉의 타격시 타격에너지가 암반 전체로 분산되기 때문에 쇄암봉을 여러번(통상 7회이상) 반복적으로 내리쳐도 잘 쪼개지지 않게 되어 쇄암 속도가 매우 더딜 수밖에 없었으며, 결과적으로 시간과 투입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파쇄 대상 암반의 타격 목표지점을 육안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암반의 파쇄지점을 정확하게 타격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타격효과가 크게 감소되어 시공작업의 속도, 비용의 증가 등 비경제적인 문제점들이 많이 노출되어 있다.
한편, 종래 수중 암반을 천공(drilling)한 상태에서 쇄암봉으로 파쇄하는 경우에도 천공경이 75㎜φ이하의 범위내에서 천공을 할 수밖에 없어 자유면이 그 천공경에 따라 제한된 범위를 갖게 되어 그 이상의 더 큰 자유면을 확보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암반을 파쇄함에 있어 쇄암봉의 타격횟수를 7회이상 반복적으로 실시하게 됨으로써 수중 암반을 용이하게 파쇄할 수가 없게 되고, 수중 암반을 쇄암시키기 위한 시공기간의 증가 및 시공비용의 증가 등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이 쇄암선의 지브크레인에 매단 쇄암봉으로 파쇄 대상 암반을 타격하는 종래의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에서 나타나는 작업상의 비효율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디지피에스 수신기가 부착된 수중 암반 천공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수중 암반 천공방법에 의하여 수중 암반에 대구경 천공이 가능한 것을 이용하여 수중 암반에 대구경 천공을 형성하여 수중 암반을 파쇄시키는 방법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쇄 대상 수중 암반에 다수의 대구경 천공들을 소정 간격으로 천공하여 대구경 천공들에 의한 다수의 자유면을 크게 확보한 후 대형 쇄암봉으로 충격을 가함으로써, 천공된 구멍들의 자유면 사이 영역에 인장균열을 발생시키는 작용을 통해 쇄암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여 주기 위한 대구경 천공을 이용한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확한 위치를 표정하는 위성항법장치의 기술(DGPS,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을 수중 암반의 쇄암작업에 접목시켜 파쇄 대상 암반의 타격목표지점을 정확하게 파악한 후 타격함으로써, 타격에너지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대구경 천공을 이용한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쇄암선을 파쇄 대상 암반의 위치로 이동하여 정지시킨 상태의 측단면도,
도2는 본 발명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에 따른 대구경 천공상태의 일측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서 수행되는 대구경 천공들의 천공을 1,2차에 걸쳐 시행하는 시공예를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에 따른 대구경 천공들의 배열상태 평면도,
도5는 본 발명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에 따라 쇄암봉으로 타격후 암반의 균열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지브크레인 11:호이스트 줄 12:쇄암봉
13:DGPS수신기 14:붐 20:쇄암선
30:파쇄 대상 암반 31:대구경 천공 A:타격목표지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구경 천공을 이용한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은, 수중 암반을 파쇄하기 위해 지브크레인이 설치된 쇄암선을 파쇄 대상 암반 위치로 이동시키고, 선체로부터 소정거리로 이격되어진 기저 암반에 쇄암선의 앵커들을 정착시켜 쇄암선을 정지시킨 후, 드럼에 권취된 지브크레인의 호이스트 줄의 단부에 매달린 쇄암봉을 소정높이로 상승시킨 다음, 그 쇄암봉을 자유낙하시켜 파쇄 대상 암반을 타격하는 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에 있어서, 상기 쇄암봉 타격 작업을 실시하기에 앞서, 파쇄 대상 암반에 천공경 100∼ 300㎜φ으로 된 대구경 천공(穿孔)을 소정 간격으로 다수 배열하여 1∼10m의 깊이로 천공하여 자유면을 크게 확보한 후, 상호 이웃하는 대구경 천공 사이의 중간지점을 타격목표지점으로 설정하여 그 타격목표지점의 수직상부로 상기 쇄암봉을 승강시킨 후 자유낙하시켜 파쇄 대상 암반을 타격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시행하여서 쇄암함을 기술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파쇄방법을 시행함에 있어서, 상기 대구경 천공들은 소요 간격으로 1차 천공하고 쇄암봉 타격작업을 시행하여서 파쇄 대상 암반의 표층부를 일정깊이 쇄암한 후, 타격 작업을 중지하고 1차 천공한 대구경 천공들의 사이에 다시 2차 이상의 다중 천공작업을 시행하여 대구경 천공들에 의한 자유면을 증대시킨 다음, 다시 심층부에 대한 쇄암봉 타격 작업을 단계적으로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파쇄방법을 시행함에 있어서 쇄암봉이 장착된 상기 지브크레인의 붐의 소정위치, 바람직하기는 쇄암봉의 수직선상에 다수의 위성들과 기지국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받는 DGPS수신기를 설치하고, 그 DGPS수신기를 이용해 상기 타격목표지점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 타격목표지점 직상부로 상기 쇄암봉을 이동시킨 다음 타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좁은 간격으로 천공된 다수의 대구경 천공들에 의하여 다수의 자유면을 파쇄 대상 암반 주위에 형성시켜 대형 쇄암봉으로 충격을 가해 천공된 공들사이에 크랙(실금)을 형성시켜 위쪽으로 자유면을 더 형성하고, 다시 충격을 가해서 2차 파쇄를 하는 것으로서, 종래 방법에 의하면 7회이상 타격해야 파쇄되는 암반이 본 발명의 방법을 통하면 3∼5회 정도내에서 암반 파쇄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쇄암 작업속도가 매우 빠르게 되어 시공성·경제성 등 모든 면에서 탁월한 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대구경 천공을 이용한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첨부도면을 참조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쇄암선을 파쇄 대상 암반의 위치로 이동하여 정지시킨 상태의 측단면도, 도2는 본 발명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에 따른 대구경 천공상태의 일측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서 수행되는 대구경 천공들의 천공을 1,2차에 걸쳐 시행하는 시공예를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에 따른 대구경 천공들의 배열상태 평면도, 도5는 본 발명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에 따라 쇄암봉으로 타격후 암반의 균열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은, 사전 천공작업을 하게 되는데,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천공장치, 즉 바지선 내부 중앙부에 배치된 대구경 천공기의 천공작업으로 파쇄 대상 암반(30)에 천공경 100∼ 300㎜φ, 바람직하기로는 105㎜φ의 크기로 된 대구경 천공(31)을 소정 간격으로 다수 배열하여 1∼10m의 깊이로 천공한다.
통상 파력 등 외력의 영향을 받으면서 바지선의 일측에 치우쳐진 편심위치에서 천공하기 때문에 천공경이 75㎜φ이하 밖에 적용할 수 없었던 종래기술과 달리,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천공장치 및 천공방법에 의하면 천공기가 바지선의 내부에 위치하여 천공하므로 외력으로부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천공할 수 있으므로 100∼300㎜φ의 대구경의 천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대구경 천공경으로 이루어진 천공(31)을 형성하게 되면 종래의 천공경보다 상대적으로 천공경이 증가된 크기만큼 자유면을 더 크게 확보할 수 있어 암반을 파쇄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즉, 천공된 상태에서의 자유면(自由面)은 천공구멍 내부의 자유면과, 천공구멍의 상측의 자유면이 형성되는데, 그 자유면의 크기는 천공경의 크기에 따라 크게 달라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100∼300㎜φ의 천공경의 크기를 갖게 되므로 자유면을 크게 확보한 후에 쇄암봉에 의한 타격작업을 하기 때문에 수중 암반의 파쇄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대구경 천공(31)들의 배열 간격은 도2 및 도4의 도시와 같이, 파쇄 대상 암반(30)이 경암층인 경우 대구경 천공(31)들을 30∼100㎝ 간격으로 조밀하게 배열하여 천공하고, 상기 파쇄 대상 암반(30)이 연암층인 경우에는 상기 대구경 천공(31)들의 간격을 경암층보다는 상대적으로 긴 100∼180㎝ 간격으로 배열하여 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천공된 대구경 천공(穿孔)에 의한 자유면(自由面)의 크기를 확대시킨 점과, 수중 암반의 경도(硬度) 및 쇄암봉이 암반에 직접 부딪치는 하단부의 폭 길이 55∼118㎝를 고려하여 공과 공 사이에 타격되었을 시 타격횟수를 줄이면서 암반의 파쇄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경암의 경우 30㎝이하 또는 연암의 경우 100㎝이하의 간격을 두면 크랙을 형성하기 위한 동일위치에서의 타격횟수는 적게 되지만 파쇄 대상 암반지역에 대한 전체적인 타격횟수가 증가되어 쇄암속도가 더디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경암의 경우 100㎝이상 또는 연암의 경우 180㎝이상의 간격을 두면 크랙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동일위치에 대한 타격횟수를 크게 증가시키게 됨으로써 쇄암효율에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이 소정 간격으로 천공작업을 완료한 상태에서, 도1의 도시와 같이 지브크레인(10)이 설치된 쇄암선(20)을 대구경 천공(31)이 이루어진 파쇄 대상 암반 (30) 위치로 이동시키고, 선체로부터 소정거리로 이격되어진 기저 암반에 쇄암선 (20)의 앵커들을 정착시켜 쇄암선(20)을 정지시킨다.
상기 지브크레인(10)은 쇄암선의 지지점에서 경사로 나온 붐(14)을 갖는 크레인으로서, 지지점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는 것이 사용되며, 그 붐의 경사각도는 50∼65°의 설치범위내에서 쇄암작업을 하게 되며, 호이스트 줄(11)이 지브크레인의 기관실 내부 호이스트 드럼(미도시)에 권취되어 붐대를 거쳐 설치된 호이스트 줄(11)의 단부에는 쇄암봉(12)이 고정되어 현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쇄암봉 (12)의 수직선상의 붐(14)의 끝부분에는 다수의 위성들과 기지국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받는 DGPS수신기(13)가 설치된다.
쇄암선(20)을 정지시킨 다음, 지브크레인(10)의 붐(14)의 끝부분에 설치한 DGPS수신기(13)를 이용해 상기 대구경 천공(31)들 사이의 중간지점인 타격목표지점 (A)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지브크레인(10)의 붐(14)을 움직여 타격지점에 위치시켜 그 타격목표지점(A)의 직상부로 상기 쇄암봉(12)을 현수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DGPS수신기(13)를 이용하여 수중 암반의 타격목표지점의 파악은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측정기를 통해 구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DGPS는 위성으로부터 위성신호를 수신하고 육상의 위치를 알고 있는 지점에 설치된 DGPS기준국의 보정신호를 수신하여 외해에서도 선박의 위치를 정밀하게 구할 수 있는 위치측정장비로서,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부, 이 신호에서 필요한 신호를 재생하는 RF(radio frequency)부, 다시 이 신호를 처리하는 컴퓨터 부분,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분으로 구성된 경량의 장비이다.
이 장비는 GPS위성과 기지국으로부터 위치측정을 하는 모듈화된 GPS시스템으로 24시간 수신은 물론, 빠른 초기화와 저전력으로 동적실시간(RTK: Real Time Kinematic) 신속한 관측자료의 처리를 통하여 높은 정확도(오차 범위 2㎝)의 위치정보를 구할 수 있는 위치 측정장비로서,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DGPS는 종래 알려진 기술을 전용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피한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타격목표지점(A)인 대구경 천공(31)들 중간지점의 직상부에 상기 쇄암봉(12)을 위치시킨 다음에는 기관실 내부의 호이스트 드럼에 권취되어 있는 호이스트 줄(11)을 감도록 구동시켜 상기 쇄암봉(12)을 타격목표지점(A)으로부터 대략 15m 상측으로 상승시킨 다음 호이스트 줄(11)을 구속시켜 쇄암봉 (12)을 정지상태로 유지시킨다.
다음으로, 기관실 내부의 호이스트 드럼에 권취되어 있는 호이스트 줄(11)의 구속 상태를 해제시켜 상기 쇄암봉(12)이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되도록 하여 쇄암봉 (12)이 파쇄 대상 암반(30)의 타격목표지점(A)을 타격하는 쇄암작업을 실시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쇄암봉을 타격목표지점(A) 상측으로의 현수 및 정지, 자유낙하의 단계를 거치는 작업으로 타격목표지점(A)의 타격을 대략 3∼5회 정도 실시하고, 다음의 타격목표지점으로 쇄암봉(12)을 이동시킨 후 위와 같은 타격작업을 반복적으로 시행해 파쇄 대상 암반지역을 쇄암하는 것이다.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 간격으로 천공된 다수의 대구경 천공들에 의하여 다수의 자유면을 파쇄 대상 암반 주위에 형성시킴으로써 대형 쇄암봉으로 충격을 가해 천공된 대구경 천공들 사이에 크랙(실금)을 형성시켜 대구경 천공(31)들에 의한 자유면을 이용해 쇄암하므로 수중 암반의 파쇄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후 파쇄된 암반조각들을 버켓에 담아 제거함으로써 해저면을 평탄하게 정리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대구경 천공(31)들은 도3의 도시와 같이 소요 간격으로 1차 천공하고 쇄암봉 타격작업을 시행하여서 파쇄 대상 암반 (30)의 표층부를 일정깊이 쇄암한 후, 타격 작업을 중지하고 1차 천공한 대구경 천공(31)들의 사이에 다시 2차이상의 다중 천공작업을 시행하여 대구경 천공(31)들에 의한 자유면을 증대시킨 다음, 다시 심층부에 대한 쇄암봉 타격 작업을 단계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대구경 천공들의 천공을 2차이상에 걸쳐 다중으로 시행하면서 단계적으로 쇄암하는 경우에는 천공되는 대구경 천공들의 깊이가 깊고 자유면이 많이확보되므로 쇄암작업의 효율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대구경 천공을 이용한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에 의하면, 쇄암선의 지브크레인에 매단 쇄암봉으로 파쇄 대상 암반을 타격하는 작업을 시행함에 있어서, 파쇄 대상 암반에 미리 다수의 대구경 천공들을 소정 간격으로 천공하여 대구경 천공들에 의한 자유면을 크게 확보한 후, 대형 쇄암봉으로 충격을 가함으로써, 천공된 구멍들의 자유면 사이 영역에 인장균열을 발생시키는 작용을 통해 쇄암 효과를 제고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확한 위치를 표정하는 위성항법장치의 기술(DGPS,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을 수중 암반의 쇄암작업에 접목시켜 파쇄 대상 암반의 타격목표지점을 정확하게 파악한 후 타격함으로써, 타격 에너지의 효율을 극대화시켜 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발파가 곤란한 지역에 위치하는 수중 암반을 효율적으로 파쇄할 수 있으며, 쇄암작업의 속도를 높혀 작업기간을 단축시키고 경제적인 비용으로 수중 암반을 파쇄하여 제거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5)

  1. 수중 암반을 파쇄하기 위해 지브크레인(10)이 설치된 쇄암선(20)을 파쇄 대상 암반(30) 위치로 이동시키고, 선체로부터 소정거리로 이격되어진 기저 암반에 쇄암선(20)의 앵커들을 정착시켜 쇄암선(20)을 정지시킨 후, 드럼에 권취된 지브크레인(10)의 호이스트 줄(11)에 매달린 쇄암봉(12)을 소정높이로 상승시킨 다음, 그 쇄암봉(12)을 자유낙하시켜 파쇄 대상 암반(30)을 타격하는 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에 있어서,
    상기 쇄암봉 타격 작업을 실시하기에 앞서, 파쇄 대상 암반(30)에 천공경 100∼300㎜φ로 천공된 대구경 천공(31)을 소정 간격으로 다수 배열하여 1∼10m의 깊이로 천공하여 자유면을 크게 확보한 후, 상호 이웃하는 대구경 천공(31) 사이의 중간지점을 타격목표지점(A)으로 설정하고, 그 타격목표지점(A)의 수직상부로 상기 쇄암봉(12)을 승강시킨 후 자유낙하시켜 파쇄 대상 암반(30)을 타격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시행하여서 쇄암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천공을 이용한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 대상 암반(30)이 경암층인 경우 상기 천공경 100∼300㎜φ로 천공된 대구경 천공(31)들을 30∼100㎝ 간격으로 배열하여 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천공을 이용한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 대상 암반(30)이 연암층인 경우 상기 천공경 100∼300㎜φ로 천공된 대구경 천공(31)들을 100∼180㎝ 간격으로 배열하여 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천공을 이용한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경 100∼300㎜φ로 천공된 대구경 천공(31)들은 소요 간격으로 1차 천공하고 쇄암봉 타격작업을 시행하여서 파쇄 대상 암반(30)의 표층부를 일정깊이 쇄암한 후, 타격 작업을 중지하고 1차 천공한 천공경 100∼300㎜φ로 천공된 대구경 천공(31)들의 사이에 다시 2차이상의 다중 천공작업을 시행하여 천공경 100∼300㎜φ로 천공된 대구경 천공(31)들에 의한 자유면을 증대시킨 다음, 다시 심층부에 대한 쇄암봉 타격 작업을 단계적으로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천공을 이용한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브크레인(10)에 장착되는 쇄암봉(12)의 수직선상의 붐(14)의 소정위치에 GPS 위성들과 위치좌표를 알고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받은 GPS위치정보와 상기 알고있는 위치좌표와의 오차정보를 산출하는 기준국으로부터 오차정보를 수신받아 정확한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DGPS수신기(13)를 설치하고, 그 DGPS수신기(13)를 이용해 상기 타격목표지점(A)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 타격목표지점(A)의 직상부로 상기 쇄암봉(12)을 이동시킨 다음 자유낙하시켜 수중 암반을 타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천공을 이용한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
KR1020040015062A 2004-03-05 2004-03-05 대구경 천공을 이용한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 KR100465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062A KR100465008B1 (ko) 2004-03-05 2004-03-05 대구경 천공을 이용한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
US10/900,690 US7032978B2 (en) 2004-03-05 2004-07-27 Crushing method using large boreholes in underwater rock
CNB200410056473XA CN100350129C (zh) 2004-03-05 2004-08-09 利用水下岩石中大钻孔的破碎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062A KR100465008B1 (ko) 2004-03-05 2004-03-05 대구경 천공을 이용한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5008B1 true KR100465008B1 (ko) 2005-01-13

Family

ID=34910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062A KR100465008B1 (ko) 2004-03-05 2004-03-05 대구경 천공을 이용한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032978B2 (ko)
KR (1) KR100465008B1 (ko)
CN (1) CN100350129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811B1 (ko) * 2005-05-20 2007-08-31 웅진개발 주식회사 경사천공에 의한 수중암반 파쇄공법
CN105421286A (zh) * 2015-10-27 2016-03-23 中交天航南方交通建设有限公司 一种反铲式挖泥船与钻机船联合挖岩施工方法
KR101650491B1 (ko) 2015-06-05 2016-08-24 주식회사 알앤지스틸 초대형 지금(地金) 파쇄 드릴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파쇄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20140B (zh) * 2012-07-12 2015-03-25 中铁二十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大跨度预应力砼连续梁深水桥墩施工工艺
CN103895245B (zh) * 2014-04-15 2015-10-28 吴江市赛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重力式手动冲床
CN110887421A (zh) * 2019-12-29 2020-03-17 中铁五局集团第二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深水江中水下沟槽控制爆破施工方法
CN111322070B (zh) * 2020-02-26 2022-10-18 广东力源液压机械有限公司 基于矿山锤的石方开挖方法
CN111893944B (zh) * 2020-06-30 2022-03-08 河海大学 一种环保型海底礁石清理施工工艺
CN113218264A (zh) * 2021-06-02 2021-08-06 广西新港湾工程有限公司 一种水运工程网路安全施工方法
CN114718067B (zh) * 2022-05-20 2023-06-09 长江重庆航道工程局 一种实心重锤吊装方法
CN115305985B (zh) * 2022-07-22 2023-10-31 三一重机有限公司 破碎锤作业控制方法、系统及作业机械
CN116497758A (zh) * 2023-03-22 2023-07-28 中交广州航道局有限公司 一种裂岩船装置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9245A (en) 1922-06-07 1923-06-21 James Armour Fleming Improvements in sub-aqueous rock breakers
GB204544A (en) 1922-10-14 1923-10-04 Frederick Lobnitz Improvements in sub-aqueous rock cutting apparatus
GB222099A (en) 1923-09-21 1925-06-18 Marie Etienne Paul Emile Dorm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ub-aqueous rock ramming devices
US4139237A (en) * 1977-02-18 1979-02-13 Columbia Steel Casting Co., Inc. Breaker bar
GB2172030B (en) 1985-03-05 1988-03-16 Koshun Kaihatsu Kabushiki Kais Rock hammer for underwater use
CN1034265A (zh) * 1988-01-11 1989-07-26 壳牌石油公司 爆破作业控制方法
CN2063167U (zh) * 1989-10-31 1990-10-03 江显秋 一种开采石材用的炮孔插片
US5087100A (en) * 1990-10-17 1992-02-11 Bruce Howard D Method of fracturing rock or similar material and apparatus therefore
RU2046942C1 (ru) * 1992-05-18 1995-10-27 Игорь Владимирович Воронцов Способ отбойки горных пород
CN1102868A (zh) * 1993-12-08 1995-05-24 中南工业大学 冲击器
US5670737A (en) * 1993-12-14 1997-09-23 Denel (Proprietary) Limited Breaking up of rock and the like
CA2212993A1 (en) 1997-08-13 1999-02-13 Howard D. Bruce Method and apparatus for fracturing rock or similar material
RU2143071C1 (ru) * 1998-08-27 1999-12-20 Басс Георгий Анатольевич Способ разрушения горных пород
JP2007213989A (ja) * 2006-02-09 2007-08-23 Omron Corp スイッチ装置の製造方法、スイッチ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811B1 (ko) * 2005-05-20 2007-08-31 웅진개발 주식회사 경사천공에 의한 수중암반 파쇄공법
KR101650491B1 (ko) 2015-06-05 2016-08-24 주식회사 알앤지스틸 초대형 지금(地金) 파쇄 드릴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파쇄방법
CN105421286A (zh) * 2015-10-27 2016-03-23 中交天航南方交通建设有限公司 一种反铲式挖泥船与钻机船联合挖岩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94832A1 (en) 2005-09-08
CN100350129C (zh) 2007-11-21
US7032978B2 (en) 2006-04-25
CN1664248A (zh) 200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5008B1 (ko) 대구경 천공을 이용한 수중 암반의 파쇄방법
KR100753811B1 (ko) 경사천공에 의한 수중암반 파쇄공법
KR101555618B1 (ko) 터널굴착시 진동저감과 굴진장증대를 위한 굴착방법
CN108729924A (zh) 一种城市硬岩隧道机械开挖快速施工方法
CN111893944B (zh) 一种环保型海底礁石清理施工工艺
CN106194193A (zh) 一种大断面竖井非爆破大孔径群孔辅助开挖方法
CN112227296A (zh) 水下深基槽破岩施工方法
CN111058767B (zh) 一种嵌岩钻孔灌注桩的施工方法
Prasad et al. Investigations on rock drillability applied to underground mine development vis-à-vis drill selection
KR100362014B1 (ko) 터널 암굴착 굴착선공부 선균열 발파방법
CN105971502A (zh) 深厚基岩复合成槽方法
RU2010136183A (ru) Способ разработки месторождений полезных ископаемых выбуриванием керна большого диаметра
CN208220631U (zh) 提高岩层冲击成孔工效的预处理钻孔结构
CN211647984U (zh) 一种提高旋挖钻机入岩效率的设备
CN109522623B (zh) 基于弱面的高强度岩石分裂方法和分裂装置
Chandrakar et al. Long-hole raise blasting in a single shot: Assessment of void ratio and delay time based on experimental tests
CN109750665B (zh) 一种钻孔桩钢护筒下沉遇孤石的处理方法
CN218624209U (zh) 一种液压矿山锤的硬岩破岩钢钎
CN108505941A (zh) 一种海上风电钻机钻孔施工工艺
RU2154254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буровзрывных работ на карьерах
CN210459217U (zh) 一种冲击钻孔桩卡钻处理工具
CN217629873U (zh) 桩基施工中破除既有预应力锚索的组件
CN110306552B (zh) 水下硬质层破碎的方法
CN107448196B (zh) 一种微创性地质勘查方法
CN201241626Y (zh) 孕镶金刚石造斜钻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