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4072B1 - 광픽업의 대물렌즈 출사광 스큐 조정방법 - Google Patents

광픽업의 대물렌즈 출사광 스큐 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4072B1
KR100464072B1 KR10-2000-0085001A KR20000085001A KR100464072B1 KR 100464072 B1 KR100464072 B1 KR 100464072B1 KR 20000085001 A KR20000085001 A KR 20000085001A KR 100464072 B1 KR100464072 B1 KR 100464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ew
light
optical pickup
objective lens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5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5779A (ko
Inventor
김영식
김용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5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4072B1/ko
Publication of KR20020055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0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 G11B7/095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to compensate for tilt, skew, warp or inclination of the disc, i.e. maintain the optical axis at right angles to the dis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Abstract

본 발명은 광픽업의 대물렌즈 출사광의 스큐(skew)를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광픽업의 대물렌즈 출사광의 스큐 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주 빔(main beam) 영역에 마스크(mask)를 적용해서 R(Radial) 방향의 1차 링 신호를 강제로 만들어서 R 방향의 1차 광량을 증대시킴으로써 R방향의 스큐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광픽업의 대물렌즈 출사광 스큐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픽업의 대물렌즈 출사광 스큐 조정방법은 픽업 대물렌즈 출사광의 주빔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주 빔의 광 분포에 대하여 R방향의 1차 링을 인위적으로 증대시키기 위한 마스크를 적용하는 단계, 상기 적용된 마스크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R방향의 1차 링이 증대된 신호를 구하여 R방향 스큐를 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의 대물렌즈 출사광 스큐 조정방법으로서, R방향의 상대 광량을 증가시켜 줌으로써 R방향의 스큐 조정에 대한 감도가 증가하게 되어 R스큐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픽업의 대물렌즈 출사광 스큐 조정방법{SKEW SETTING METHOD OF OBJECT LENS IN OPTICAL PICKUP}
본 발명은 광픽업의 대물렌즈 출사광의 스큐(skew)를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광픽업의 대물렌즈 출사광의 스큐 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주 빔(main beam) 영역에 마스크(mask)를 적용해서 R(Radial) 방향의 1차 링 신호를 강제로 만들어서 R 방향의 1차 광량을 증대시킴으로써 R방향의 스큐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광픽업의 대물렌즈 출사광 스큐 조정방법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픽업 장치는 레이저 광원(레이저 다이오드)와 상기 레이저 광원에서 출력된 레이저 빔을 평행빔으로 만들어 주는 시준렌즈, 그리고 평행 빔을 디스크 방향으로 광로 변경시켜 주는 반사경 및, 상기 반사된 레이저 빔을 집속하여 디스크 상의 임의의 한 점에 맺어주는 대물렌즈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광픽업 장치에서 픽업 베이스와 액츄에이터를 조립할 때 R(Radial)방향과 T(Tracking) 방향의 스큐(Skew)를 조정한다. 그런데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읽을 수만 있는 타입의 픽업(Read Only Type Pick Up)은 시준렌즈의 개구수(NA)가 작기 때문에 대물렌즈의 R/T(Radial/Tracking) 방향의 1차 링(Ring)이 크지만, 기록 가능한 픽업(Recordable Pick Up)의 경우 시준렌즈의 개구수는 상대적으로 커서 1차 링이 거의 없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대물렌즈의 스큐(Skew) 변화를 감지하는데 이용되는 1차 링의 신호 특히 R방향으로의 1차 링 신호가 작아 R방향의 스큐를 조정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종래에는 R방향의 스큐는 T방향의 빔의 형상을 보고 스큐 조정자의 경험에 의존해서 조정하고 있다. 이와같이 조정자의 경험에 의존하기 때문에 각 조정자별로 개인 편차가 있고 정밀한 조정이 어려워서 고품질 픽업의 구현에 장애가 되고 있다.
도1에는 광픽업 대물렌즈 출사광의 전형적인 광 분포 및 형상을 나타내었으며, 도2에는 대물렌즈 출사광의 1차 링 광량의 상대적인 분포를 나타내었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물렌즈 스큐 조정장비를 이용해서 R방향과 T방향의 스큐를 조정하는데 T방향의 스큐는 레이저 다이오드 방사각의 비대칭성으로 인해 1차 링의 광량이 R방향의 1차 링의 광량 보다 상대적으로 훨씬 풍부하여 R방향의 검출을 가시화하는데 어려움을 주게 된다. 그 결과 T방향의 스큐의 틀어짐은 쉽게 인지할 수 있지만, R방향의 스큐의 틀어짐은 쉽게 얻을 수 없게 된다.
상기 광 분포 특성은 대물렌즈 출사광을 CCD카메라로 잡아서 디스플레이하여 봄으로써 구할 수 있다. CCD 카메라로 획득한 대물렌즈 출사광의 광 분포를 보면 T방향의 광 분포에서는 1차 링의 신호 세기가 크지만 R방향의 1차 링 신호 세기가 작기 때문에, 작은 레벨의 R방향 1차 링을 보면서 스큐를 조정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R 방향으로 좁은 폭 안에서 R 스큐를 조정한다고 해도 어느 정도로 조정이 이루어졌는지를 식별하기가 어렵고, 그 조정의 정도와 정밀도 또한 T방향에 비해서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점은 결과적으로 광픽업 장치의 신뢰도나 품질의 저하로 연결되고, 나아가 서보 제어의 불안정이나 데이터의 신뢰도 저하로 작용하게 되어 광디스크 기록 재생장치의 품질 저하를 야기한다.
본 발명은 광픽업의 대물렌즈 출사광 스큐를 조정함에 있어, R방향의 1차 링을 강제로 크게 하여 줌으로써, R방향의 스큐 조정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광픽업의 대물렌즈 출사광 스큐 조정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광픽업의 대물렌즈 출사광 스큐를 조정함에 있어, 주 빔 영역에 R방향의 1차 링 신호를 증대시켜 얻을 수 있는 마스크를 적용하여 R방향의 1차 링 신호 이득을 증대시켜 줌으로써, R방향의 스큐 조정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광픽업의 대물렌즈 출사광 스큐 조정방법을 제안한다.
도1은 광픽업의 대물렌즈 출사광의 전형적인 광 분포 및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광픽업의 대물렌즈 출사광의 1차 링(ring) 광량의 상대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대물렌즈 출사광의 광 분포 및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대물렌즈 출사광의 1차 링(ring) 광량의 상대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광픽업의 대물렌즈 출사광 스큐 조정방법은 픽업 대물렌즈 출사광의 주빔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주 빔의 광 분포에 대하여 R방향의 1차 링을 인위적으로 증대시키기 위한 마스크를 적용하는 단계, 상기 적용된 마스크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R방향의 1차 링이 증대된 신호를 구하여 R방향 스큐를 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의 대물렌즈 출사광 스큐 조정방법이다.
도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픽업 대물렌즈 출사광의 광 분포 및 형상(CCD Detector Sensitivity)를 나타내었고, 도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픽업 대물렌즈 출사광의 1차 링 광량의 상대 분포를 나타내었다.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CCD로 촬영하여 구해진 대물렌즈 출사광의 주 빔을 검출하여 T방향과 R방향의 스큐를 조정한다.
이 때 T방향에 대한 스큐 조정시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T방향의 1차 링의 광량이 풍부하여 이 것을 보고 T방향의 스큐를 조정하는 것은 용이하다.
그러나, R방향에 대한 스큐 조정시에는 종래 도1과 같이 R방향의 1차 링의 광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이 것을 보고 R방향의 스큐를 조정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R방향의 스큐 조정을 위해서 도3에 도시한 바와같이 R방향의 1차 링을 인위적으로 증대시키는 마스킹 영역을 가지는 마스크(mask)를 적용하여 R방향의 주 빔을 검출한다. 여기서 마스크는 주 빔을 검출하는 CCD의 이득제어를 이용해서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마스크를 적용하면 마스킹에 의해 R방향의 1차 링이 인위적으로 증대된 형태로 R방향의 1차 광량이 상대적으로 풍부하게 검출되게 된다.
그러므로 도4에 나타낸 바와같이 R방향의 상대 광량이 증가하면 R방향의 스큐에 대한 감도(Sensitivity)가 증가하게 되어 도4에 의해서 R방향의 스큐를 더욱더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광픽업 대물렌즈 출사광의 스큐를 조정하기 위하여 특히 R방향의 1차 링 광량을 상대적으로 풍부하게 해줌으로써 대물렌즈 출사광의 R 스큐 조정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주 빔의 검출이 이루어질 때 주 빔에 대해서 R방향의 1차 링을 인위적으로 크게 생성시키는 폼(form)의 마스크를 이용해서 R방향의 상대 광량을 증대시켜 줌으로써, R방향에 대한 감도를 증가시켜 R스큐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광픽업 베이스와 액츄에이터 조립시에 스큐 조정이 용이하게 되고, 정밀한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2)

  1. 픽업 대물렌즈 출사광의 주빔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주 빔의 광 분포에 대하여 R방향의 1차 링을 인위적으로 증대시키기 위한 마스크를 적용하는 단계, 상기 적용된 마스크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R방향의 1차 링이 증대된 신호를 구하여 R방향 스큐를 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의 대물렌즈 출사광 스큐 조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주빔 검출을 위한 CCD 이득 제어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의 대물렌즈 출사광 스큐 조정방법.
KR10-2000-0085001A 2000-12-29 2000-12-29 광픽업의 대물렌즈 출사광 스큐 조정방법 KR100464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001A KR100464072B1 (ko) 2000-12-29 2000-12-29 광픽업의 대물렌즈 출사광 스큐 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001A KR100464072B1 (ko) 2000-12-29 2000-12-29 광픽업의 대물렌즈 출사광 스큐 조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779A KR20020055779A (ko) 2002-07-10
KR100464072B1 true KR100464072B1 (ko) 2004-12-30

Family

ID=27688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5001A KR100464072B1 (ko) 2000-12-29 2000-12-29 광픽업의 대물렌즈 출사광 스큐 조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40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759B1 (ko) * 2001-01-04 2005-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픽업의 대물렌즈 스큐 조정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08811A (en) * 1980-12-26 1982-07-07 Hitachi Ltd Optical focus position detector
JPH02179934A (ja) * 1988-12-29 1990-07-12 Sony Corp 光ピックアップ
JPH06215408A (ja) * 1992-09-09 1994-08-05 Nec Corp レーザー露光装置
KR970029430A (ko) * 1995-11-15 1997-06-26 구자홍 대물렌즈 및 이 대물렌즈를 구비한 광픽업장치
KR19990067081A (ko) * 1995-10-27 1999-08-16 모리시타 요이찌 광헤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08811A (en) * 1980-12-26 1982-07-07 Hitachi Ltd Optical focus position detector
JPH02179934A (ja) * 1988-12-29 1990-07-12 Sony Corp 光ピックアップ
JPH06215408A (ja) * 1992-09-09 1994-08-05 Nec Corp レーザー露光装置
KR19990067081A (ko) * 1995-10-27 1999-08-16 모리시타 요이찌 광헤드
KR970029430A (ko) * 1995-11-15 1997-06-26 구자홍 대물렌즈 및 이 대물렌즈를 구비한 광픽업장치
KR100292478B1 (ko) * 1995-11-15 2001-06-01 구자홍 대물렌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779A (ko) 200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2437A (en) Focussing error detecting apparatus for use in an optical disc reproducing device, an auto-focus camera or image-pickup device
US5105407A (en) Optical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US4525823A (en) Optical tracking system
US6594091B2 (en) Optical pickup
KR0156800B1 (ko)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한 자동 초점 조절 장치
US5018127A (en) Light emitt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points
US6339570B1 (en) Optical pickup system
KR100464072B1 (ko) 광픽업의 대물렌즈 출사광 스큐 조정방법
US5157249A (en) Miniaturized optical pick-up with high sensitivity focusing error detecting device
US4807212A (en) Correcting for comatic aberration in an optical head of an optical disk apparatus
JPH04332185A (ja) 半導体レーザ用前方出射光検出機構及び光量調整方法
US6724699B2 (en) Optical head, lazer diode module and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2003045066A (ja) 光ヘッド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KR100474759B1 (ko) 광픽업의 대물렌즈 스큐 조정방법
EP1005031A2 (en) Multi-beam optical pickup apparatus appropriately controlling distance between objective lens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KR100421011B1 (ko) 다각형의 프리즘을 구비한 광픽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광축보정방법
JPS6055890B2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3713132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の製造方法
KR100657249B1 (ko) 광픽업장치
JPS6297147A (ja) 光ピツクアツプ
KR100444989B1 (ko) 광스폿 크기의 조절 방법
JPH04295629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586097B1 (ko) 광 픽업 장치
KR930002128Y1 (ko) 촛점생성과 에러검출을 겸한 광픽업대물렌즈
KR20030023305A (ko) 광픽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