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3660B1 - 산업용 부산물을 이용한 지하 매설용 콘크리트 구조물용연결구 - Google Patents

산업용 부산물을 이용한 지하 매설용 콘크리트 구조물용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3660B1
KR100463660B1 KR10-2002-0009197A KR20020009197A KR100463660B1 KR 100463660 B1 KR100463660 B1 KR 100463660B1 KR 20020009197 A KR20020009197 A KR 20020009197A KR 100463660 B1 KR100463660 B1 KR 100463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crete structure
concrete
joined
en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0174A (ko
Inventor
한재명
Original Assignee
한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명 filed Critical 한재명
Priority to KR10-2002-0009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3660B1/ko
Publication of KR20030070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6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09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25Adhesives, i.e. gl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는 각 콘크리트 구조물(예컨대, PC 단위암거박스, 맨홀, 수로관 등)을 접합 연설시킬 때에 구조물과 구조물과의 접합성을 향상시켜 접합부분에서의 수밀성을 증대시키는 한편, 그 접합작업도 용이한 콘트리트 구조물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용 연결구는 지하에 매설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동일한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이 연설되기 위해서 서로 연접되는 각각의 단부면에 접합되며 각각의 단부면과 동일한 단부면 형상을 갖는 연결구체를 포함하며;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합된 연결구체와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합된 연결구체는 서로 결합되기 위해서 각각의 연결구체의 단부면 중 서로 연접되는 단부면이 요철되어 있는 것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러한 연결구체는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접합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연결구체의 단부면 중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합되는 단부면에 돌출되게 고정 부설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산업용 부산물을 이용한 지하 매설용 콘크리트 구조물용 연결구{CONNECTOR FOR CONNECTING CONCRETE STRUCTURES TO BE LAID UNDER THE GROUND}
본 발명은 지하 매설용 콘크리트 구조물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에 매설되는 각 콘크리트 구조물(예컨대, PC 단위암거박스, 맨홀, 수로관 등)을 접합 연설시킬 때에 구조물과 구조물과의 접합성을 향상시켜 접합부분에서의 수밀성을 증대시키는 한편, 그 접합작업도 용이한 콘트리트 구조물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지하에 매설되는 각각의 콘크리트 구조물 예컨대 PC 단위암거박스, 맨홀, 및 수로관 등이 서로 연설될 때에, 우선 각 콘크리트 구조물이 서로 재치되고, 그 재치된 상태에 따라 각 콘크리트 구조물은 적합한 기법 예컨대, 콘크리트 타설 또는 별도의 연결장치 등에 의해서 접합 연설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단순연설기법에 의해서 접합 연설된 콘크리트 구조물은 그 접합부분에서의 수밀성의 문제를 크게 안고 있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순연설기법에 의해서 연설된 콘크리트 구조물은 지반의 침하 또는 지반의부등침하 등의 환경변화에 의해서 그 접합부분이 쉽게 손상되기 때문에, 따라서 종래의 단순연설기법에 의해서 접합 연설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는 그 접합부분에서의 수밀성의 문제가 내재된 채로 연설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이와 같은 단순연설기법은 각 콘크리트 구조물이 재치된 상태에 따라 별도의 적합한 기법을 선택하여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었고, 또한 이와 같이 선택된 적합한 기법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었고, 더욱이 이러한 수단을 구비함에 있어서 비용의 증가를 가져올 수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접합 연설시킬 때에 콘크리트 구조물과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접합성을 증가시켜 접합부분에서의 수밀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반의 침하 또는 지반의 부등침하 등의 환경변화에 의해서 지하에 매설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콘크리트 구조물이 접합된 접합부분이 쉽게 손상되지 않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하에 매설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콘크리트 구조물을 접합 연설시킬 때에 그 접합작업이 용이한 콘크리트 구조물용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렴한 비용으로 지하에 매설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콘크리트 구조물을 접합 연설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연결구를 제공하는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연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제1 연결구가 단위암거박스에 접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연결구가 접합된 단위암거박스가 접합 연설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연결구의 변형예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변형예의 연결구가 단위수로관에 접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6의 변형예의 연결구가 접합된 단위수로관이 접합 연설된 상태의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연결구의 다른 사용예의 설명도, 및
도 11 및 도 12는 변형 요철된 단부면을 갖는 제1 연결구가 단위암거박스에 접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1', 1a' : 제1 연결구 10, 10a : 연결구체
11 : 관통구 20, 20a, 120, 120a : 보강부재
30, 30' : 단위암거박스 33 : 단위암거박스의 수구(水口)
100, 100a : 제2 연결구 130,130' : 단위수로관
200 : 맨홀 230a: 상부 맨홀
230 : 하부 맨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용 연결구는 지하에 매설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동일한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이 연설되기 위해서 서로 연접되는 각각의 단부면에 접합되며 각각의 단부면과 동일한 단부면 형상을 갖는 연결구체를 포함하며;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합된 연결구체와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합된 연결구체는 서로 결합되기 위해서 각각의 연결구체의 단부면 중 서로 연접되는 단부면이 요철되어 있는 것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용 연결구에 있어서, 연결구체는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접합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연결구체의 단부면 중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합되는 단부면에 돌출되게 고정 부설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용 연결구에 있어서, 연결구체의 단부면 중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합되는 단부면은 요철될 수 있다.
연결구체는 PE재 또는 폐비닐수지, 플라이 애쉬 등의 복수의 산업용 부산물로 화합된 화합물이며, 바람직하게, 이러한 각각의 연결구체가 서로 접합될 때에 각각의 연결구체는 접착제 또는 용융압착으로 접합 연설된다.
선택적으로, 보강부재는 철근 또는 평철 또는 철선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용 연결구에 의하면, 지하에 매설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연설될 때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성을 증대시켜 수밀성을 증대시키는 한편, 지반 침하 또는 지반의 부등침하 등의 환경변화로 인한 접합부분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또한 그 접합 연설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접합 연설작업을 수행하게 한다.
상기 목적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1 연결구가 단위암거박스에 접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용 연결구(이하, "제1 연결구"라고 약칭한다)(1)에는 연결구체(10)와 복수의 보강부재(20)가 포함된다.
설명하면, 상술한 연결구체(10)는 직방체로서 대향하는 양 단부면(도면에는 좌·우측단부면)이 요철되고, 연결구체(10)의 중앙부에는 연결구체(10)를 관통하는 관통구(11)가 마련된다. 이러한 구조의 연결구체(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에 매설되는 단위암거박스(예컨대, PC 단위암거박스)(30)와 접합된다.여기서, 연결구체(10)의 관통구(11)의 크기는 단위암거박스(30)의 수구(水口; 33)의 크기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더 설명하면, 연결구체(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된 단부면 중 하나의 단부면이 수구(33)가 있는 단위암거박스(30)의 단부면에 접합되는데, 이때 단위암거박스(30)와 접합된 단부면과 대향되는 다른 요철된 단부면은 외부에 놓이게 된다. 동시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체(10)가 접합된 단위암거박스(30)의 단부면과 대향되는 단부면에도 다른 연결구체(10a)가 접합되는데, 이 연결구체(10a)는 외부에 있는 연결구체(10)의 요철된 단부면과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수구(도시하지 않았음)에 접합된 연결구체(10a)의 단부면과 대향되는 단부면이 외부에 있는 요철된 연결구체(10)의 단부면과 결합되도록 요철된다. 여기에서도, 연결구체(10)와 동일하게 단위암거박스(30)와 접합되는 연결구체(10a)의 단부면이 요철되고, 연결구체(10a)에는 연결구체(10)의 관통구(11)와 동일한 관통구(도시하지 않았음)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연결구체(10)(10a)는 PE재로 제작되며, 바람직하게는 폐비닐수지, 플라이 애쉬 등의 복수의 산업용 부산물로 화합된 화합물일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로 돌아가면,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체(10)에는 복수의 보강부재(20)가 부설 고정된다. 이 보강부재(20)는 연결구체(10)를 단위암거박스(30)에 견고하게 접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PE재로 제작된 연결구체(10)는 그 특성상 구체가 뒤틀리는 문제가 있고, 특히 단위암거박스(30)와의접합시 박리현상을 일으킬 수도 있는데, 보강부재(20)는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게다가 단위암거박스(30)와 접합되는 요철된 연결구체(10)의 단부면 또한 단위암거박스(30)와의 접합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보강부재(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암거박스(30)와 접합되는 연결구체(10)의 단부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특히 보강부재(20)가 연결구체(10)에 더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그리고 연결구체(10)의 뒤틀림을 더 최소화하도록 연결구체(10)의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단위암거박스(30)와 접합되는 연결구체(10a)의 단부면에도 동일한 복수의 보강부재(20a ; 도면에는 점선으로 표시됨)가 부설 고정된다(도 3 및 도 4 참조). 이러한 보강부재(20)(20a)로는 철근, 또는 평철, 또는 철선 등이 될 수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연결구체(10)가 더 견고하게 단위암거박스(30)에 접합되도록 상술한 보강부재(20)(20a)의 돌출된 종단부에 철근, 또는 평철, 또는 철선 등이 더 연설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부재(20)(20a)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암거박스(30)에 연결구체(10)(10a)가 접합된 상태에서 단위암거박스(30)의 내부에 위치되는데, 보강부재(20)(20a)는 연결구체(10)(10a)가 단위암거박스(30)에 견고하게 접합을 유지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단위암거박스(20)의 강성에도 크게 기여한다. 한편, 참조부호 (1a)는 상술한 연결구체(10a)와 보강부재(20a)가 포함된 제1 연결구(1)와 대응되는 제1 연결구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연결구(1)(1a)를 단위암거박스(30)에 접착시키는 접착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우선, 보강부재(20)(20a)와 연결구체(10)(10a)로 구비된 제1 연결구(1)(1a)가 각각 마련되고, 마련된 각각의 제1 연결구(1)(1a)는 단위암거박스(30)를 성형하는 거푸집(즉, 몰드)에 보강부재(20)(20a)가 거푸집 내에 위치도록 견고하게 고정 장착된다. 이와 같이 제1 연결구(1)(1a)가 단위암거박스(30)를 성형하는 거푸집에 고정 장착되면, 거푸집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그 후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된 다음 거푸집이 제거되면, 본 발명의 제1 연결구(1)(1a)가 접합된 단위암거박스(30)가 완성된다.
도 5는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연결구가 접합된 단위암거박스가 접합 연설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구(1)(1a)가 접합된 단위암거박스(30)가 마련되고, 이에 연설될 동일한 다른 단위암거박스(30')가 마련된다. 이어서 단위암거박스(30)의 제1 연결구(1a)에 단위암거박스(30')의 제1 연결구(1')를 요철있는 단부면끼리 서로 치합되게 접합시키면, 단위암거박스(30)와 단위암거박스(30')의 접합 연설작업이 완료되는데, 접합단계에서, 접합부분의 수밀성을 위해 제1 연결구(1a)와 제1 연결구(1')는 용융압착 또는 공업용 PE접착제로 접착된다. 특히, 여기에서 용융압착이 가능한 것은, 제1 연결구(1,1a)(1',1a')가 상술한 바와 같이 용융가능의 PE재 또는 폐비닐수지, 플라이 애쉬 등의 산업용 부산물로 화합된 용융가능의 화합물로 제작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복수의 단위암거박스가 연설되면, 지하에 매설되는 암거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연결구(1)(1a)에 의해서 단위암거박스가 접합되면, 제1 연결구(1)(1a)가 접합된 단위암거박스(30)는 서로 견고하게 접합 연설된상태가 장기간 지속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위암거박스(30)를 연설시킬 때에 각각의 단위암거박스(30)에 접합된 제1 연결구(1)(1a)의 요철된 일단부면이 접착제 또는 용융압착방식으로 서로 치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접합 연설된 단위암거박스(30)는 그 접합부분에서의 접합성이 증대되어 지반의 침하 또는 지반의 부등침하 등의 환경변화로 인한 그 부분의 손상이 최소화되고, 이로 인해 단위암거박스(30)는 접합상태가 장기간 유지될 수 있고, 수밀성 또한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제1 연결구(1)(1a)는 그에 구비된 보강부재(20)(20a)가 단위암거박스(30)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단위암거박스(30)에 접합되고 또한 단위암거박스(30)와 접합된 연결구체(10)(10a)가 요철되어 있기 때문에, 지반침하 등의 외압에 의해 제1 연결구(1)(1a)가 단위암거박스(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크게 방지된다. 한편, 보강부재(20)(20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구체(10)(10a)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연결구(1)(1a)가 접합된 각각의 단위암거박스(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매우 용이하게 접합 연설된다. 이로 인해, 제1 연결구(1)(1a)가 접합된 단위암거박스(30)는 그 각각이 접합 연설될 때에 별도의 접합연설기법을 선택하거나, 또는 선택된 접합연설기법에 따른 별도의 수단을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며, 이로 인해 단위암거박스(30)의 접합 연설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연결구(1)(1a)는 PE재 또는 폐비닐수지, 플라이 애쉬등의 복수의 산업용 부산물로 화합된 화합물로 제작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제작단가를 크게 줄일 수 있고, 특히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연결구에서 파생될 수 있는 변형예 및 다른 사용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연결구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변형예의 연결구가 단위수로관에 접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변형예의 연결구가 접합된 단위수로관이 접합 연설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연결구(1)(1a)의 변형예(이하, "제2 연결구"라 약칭한다)(100)(100a)는 U자형이다. 이 U자형의 제2 연결구(100)(100a)는 상부가 개구된 단위수로관(130)에 사용되도록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제2 연결구(100)(100a)는 제1 연결구(1)(1a)의 구조와 동일하게 단위수로관(130)에 접합되는 연결구체(110)(110a)의 단부면이 요철되고 그 요철된 단부면과 대향되는 단부면 또한 요철되며, 단위수로관(130)과 접합되는 요철된 연결구체(110)(110a)의 단부면에는 단위수로관(130)의 내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보강부재(120)(120a)(여기에서, 보강부재(120a)는 도 7에서 점선으로 표시됨)가 부설 고정된다. 여기에서 제1 연결구(1)(1a)와 동일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있는 각각의 연결구체(110)(110a)의 요철된 단부면은 서로 결합되게 요철된다.
또한, 제2 연결구(100)(100a)는 제1 연결구(1)(1a)와 동일하게 PE재 또는 폐비닐수지, 플라이 애쉬 등의 복수의 산업용 부산물로 화합된 화합물로 제작되며,제2 연결구(100)(100a)를 단위수로관(130)에 접합시키는 접합방식 또한 제1 연결구(1)(1a)를 단위암거박스(30)에 접합시키는 방식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제2 연결구(100)(100a)는 단위수로관(130)에서 사용되도록 단지 구체의 형상만 변형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2 연결구(100)(100a)가 접합된 복수의 단위수로관(130)을 접합 연설시키는 방식 또한 제1 연결구(1)(1a)가 접합된 복수의 단위암거박스(30)를 접합 연설시키는 방식과 동일하며, 제2 연결구(100)(100a)에서 도출되는 효과 또한 제1 연결구(1)(1a)에서 도출되는 효과와 동일하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연결구의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구(1)(1a)는 맨홀(200)에서도 사용될 수도 있다.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맨홀(230a)과 하부 맨홀(230)로 이 분할된 맨홀(200)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될 경우, 상부 맨홀(230a)과 하부 맨홀(230)이 서로 접합되는 각각의 단부면에는 상술한 제1 연결구(1)(1a)가 각각 접합된다. 한편,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부 맨홀(230a)의 상부에는 제1 연결구(1)(1a)에서 변형된 새로운 연결구(300)가 접합되어 있는데, 이는 요철되지 않고 표면이 매끄러운 연결구(300)로서 상부 맨홀(230a)의 파손을 방지하거나, 심미감을 주기 위해서 특별하게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연결구(1)(1a)가 맨홀에 설치될 경우, 맨홀의 시공이 편리하며, 특히 대형 맨홀에서 사용되면,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용 연결구에 있어서, 콘크리트구조물용 연결구의 각 하나의 단부면에 형성된 요철의 형상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된 것이 아니고, 그것은 단지 예시된 것임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용 연결구가 접합될 콘크리트 구조물의 특성, 또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용 연결구가 접합된 콘크리트 구조물이 설치될 환경여건 등에 따라 다양하게 요철의 형상 및 크기 등은 예컨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용 연결구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 그리고 재질로 제작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합된 것은 각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부분에서의 수밀성의 증대와 지반의 침하 또는 지반의 부등침하 등의 환경변화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각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부분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부분에 별도의 콘크리트 구조물용 연결구가 마련되고, 그 콘크리트 구조물용 연결구의 접합부분을 콘크리트 구조물용 연결구 끼리 서로 치합되도록 형성된다면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는 것은 명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한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당업자는 이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이해할 것이고, 이에 따라, 첨부된 청구범위는 모든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을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내에서 벗어남 없이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용 연결구는 지하에 매설되는콘크리트 구조물이 접합 연설될 때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성을 증대시켜 수밀성을 증대시키는 한편, 지반 침하 또는 지반의 부등침하 등의 환경변화로 인한 접합부분의 손상을 최소화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용 연결구가 접합된 콘크리트 구조물은 그 접합 연설작업이 용이하고, 더욱이 저렴한 비용으로 접합 연설작업을 행할 수 있다.

Claims (8)

  1. 지하에 매설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동일한 다른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이 연설되기 위해서 서로 연접되는 각각의 단부면에 접합되며 각각의 상기 단부면과 동일한 단부면 형상을 갖는 연결구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연결구체로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합된 상기 연결구체는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합된 연결구체와 결합되기 위해서 상기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합된 연결구체의 단부과 연접되는 단부면이 요철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구체는 PE재 또는 폐비닐수지, 플라이 애쉬 등의 복수의 산업용 부산물로 화합된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체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접합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구체의 단부면 중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합되는 단부면에 돌출되게 고정 부설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연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체의 단부면 중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합되는 단부면은 요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연결구.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연결구체가 서로 접합될 때에 각각의 상기 연결구체는 접착제 또는 용융압착으로 접합 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연결구.
  7. 삭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철근 또는 평철 또는 철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연결구.
KR10-2002-0009197A 2002-02-21 2002-02-21 산업용 부산물을 이용한 지하 매설용 콘크리트 구조물용연결구 KR100463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197A KR100463660B1 (ko) 2002-02-21 2002-02-21 산업용 부산물을 이용한 지하 매설용 콘크리트 구조물용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197A KR100463660B1 (ko) 2002-02-21 2002-02-21 산업용 부산물을 이용한 지하 매설용 콘크리트 구조물용연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397U Division KR200275390Y1 (ko) 2002-02-23 2002-02-23 산업용 부산물을 이용한 지하 매설용 콘크리트 구조물용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174A KR20030070174A (ko) 2003-08-29
KR100463660B1 true KR100463660B1 (ko) 2004-12-30

Family

ID=32222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197A KR100463660B1 (ko) 2002-02-21 2002-02-21 산업용 부산물을 이용한 지하 매설용 콘크리트 구조물용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36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0056A (ko) * 1999-08-31 2001-03-15 박병무 조립식 암거설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0056A (ko) * 1999-08-31 2001-03-15 박병무 조립식 암거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174A (ko) 200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7045601A1 (fr) Procede d&#39;assemblage d&#39;elements en beton, structure assemblee et outil de moulage
US20040208704A1 (en) Manhole structure constructing method, manhole structure water-stop flexible joint and manhole structure
JP2634381B2 (ja) 分割型ボックスカルバート及びその組立方法
KR100463660B1 (ko) 산업용 부산물을 이용한 지하 매설용 콘크리트 구조물용연결구
KR200275390Y1 (ko) 산업용 부산물을 이용한 지하 매설용 콘크리트 구조물용연결구
KR100765360B1 (ko) 프리캐스트 구조물 연결부 접합장치
KR100359294B1 (ko) 조립식 암거
KR200258946Y1 (ko) 브이 블록형 지하 구조물의 이음구조
KR200381324Y1 (ko) 파형관 이음용 거푸집
JP3049147U (ja) 成型体の接合部の構造
KR100445112B1 (ko)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장치
CN215104730U (zh) 节段拼装梁预应力孔道连接节点构造
KR200260045Y1 (ko) 콘크리트 하수 박스 조립식 구조
JPS6116817B2 (ko)
KR200306649Y1 (ko) 조립식 맨홀의 관로 접합 보강구조
KR100470531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용 급,배수관의 연결장치
KR100316849B1 (ko) 방수 지퍼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멘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 구조
JPS5918832Y2 (ja) マンホ_ル用プレハブダクトブロツク
KR200223131Y1 (ko) 맨홀암거
JPH09221768A (ja) 地下配線用コンクリート製構造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791758B2 (ja) ボックスカルバートの連結工法及び同工法に用いる可撓連結体
JPH0458254B2 (ko)
KR200341994Y1 (ko) 조립식 관로구 취부용 지상기기 기초대
JP2920111B2 (ja) 地下ケーブル設置用共同溝の連結構造
KR100345805B1 (ko) 합성수지재배수로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