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3281B1 - 반사형편평관및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사형편평관및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3281B1
KR100463281B1 KR10-1998-0035070A KR19980035070A KR100463281B1 KR 100463281 B1 KR100463281 B1 KR 100463281B1 KR 19980035070 A KR19980035070 A KR 19980035070A KR 100463281 B1 KR100463281 B1 KR 100463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organic material
white inorganic
flat tube
phosphor
materi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5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360A (ko
Inventor
히로시 가토
가쓰토시 오노
준 미우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29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2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05Applying optical coatings or shielding coatings to the vessel of flat panel displays, e.g. applying filter layers,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layers, anti-reflection coatings or anti-glare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8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provided with coatings on the walls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8Coatings
    • H01J2229/882Coatings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resistive or conductive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사형 편평관의 화면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스크린 패널의 내벽면 상의 소정 영역에 형성되는 발광면을, 적어도 백색 무기물질층과 형광체층을 차례로 적층시켜서 구성한다. 백색 무기물질로서는 TiO2 가 통상적이다. 이러한 발광면의 휘도는 형광체층 단독으로 이루어지는 발광면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것은 물론, Al막과 형광체층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발광면에 비하여도 최대 10% 정도 향상한다. 백색 무기물질층은 슬러리법에 의해 간단하면서 저렴한 가격으로 형성할 수 있고, 종래 Al막에 사용되어온 바와 같은 큰 진공 증착 장치는 불필요하다.

Description

반사형 편평관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반사형 편평관의 발광면의 구성의 개량을 통한 표시화면의 휘도의 향상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의 하나로서 편평관이라 칭하는 타입이 알려져 있고, 대각선 크기가 2 ∼3 인치의 것은 예를 들면 초소형 텔레비젼 수상기로서, 또한 4 인치 정도인 것은 예를 들면 인터폰의 모니터로서 이용된다.
대표적인 편평관의 구조를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겠다. 도 1a는 평면도, 도 1b는 그 A-A선 단면도이다.
이 편평관의 관체(10)는 전자총(15)을 수용하는 원통형의 넥(neck)(11)과, 도시되지 않은 외부 자장에 의해 편향되는 전자빔의 발산경로가 되는 깔때기 형상의 펀넬(funnel: 12)과, 화상의 관찰면, 즉 화면(16)을 제공하는 프론트 패널(13)과, 이 프론트 패널(13)에 대향되는 내벽면에 발광면(17)을 갖는 스크린 패널(14)을 주요 구성 요소로 한다. 펀넬(12)의 협소한 쪽의 개방단에는 넥(11)이, 또한 넓은 쪽의 개방단에는 프론트 패널(13)과 스크린 패널(14)의 접합체가 각각 프릿 실(frit seal)로 접합됨으로써, 내부에 편평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편평관은 전자총(15)에서 방출된 전자빔이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편향되면서 발광면(17)에 충돌한 때의 형광체의 발광을 프론트 패널(13)을 통하여 관찰하는 "반사형"으로 칭하는 방식에 속한다. 이후, 이 편평관을 반사형 편평관이라고 칭한다.
도 2에 반사형 편평관의 발광면(17)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발광면(17)에서는 하층측, 즉 스크린 패널(14)측으로부터 차례로 Al막(171)과 형광체층(172)이 소정의 패터닝을 통해 적층되어 있다.
상기 Al막(171)은 도시되지 않은 영역에서 펀넬(12)의 내벽면에 도포 형성된 카본 도전막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 카본막에는 펀넬(12)의 일부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애노드 버튼으로부터 고압의 양극 전압이 공급되고, 따라서 상기 Al막(171)에도 이 전압이 인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Al(171)막은 형광체층(172)에 포함되는 각각의 형광체 입자로부터 모든 방향으로 방사되는 광을 프론트 패널(13)측으로 반사시켜 화면(16)의 휘도를 증대시키는 역할도 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반사형 편평관에서는 통상의 붙박이형 텔레비젼 수상기와 같이 프론트 패널의 내면측에 형광체층이 형성되어 있는 타입의 관에 비해서 보다 높은 화면의 휘도가 요구되며, 현 상황에서도 증가하여 휘도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반사형 편평관에 있어서, 상술한 휘도의 향상에 공헌하고 있는 부재는 Al막(171)이다. 그 Al막(171)이 없으면, 원하는 휘도를 얻기 위해 형광체층(172)을 두껍게 형성할 필요가 생기고, 형광체 입자의 사용량이 증가하게 된다. 형광체 입자의 대부분은 고가의 희토류 산화물이기 때문에, 이것은 비용 및 희소 자원의 유효 이용의 쌍방의 관점에서 불이익이 크다.
또한, 휘도 개선을 위한 이러한 Al막(171)은 제조상의 어려움을 문제로 갖고 있다. 즉, Al막(171)은 일반적으로 진공 증착법으로 막이 형성되나, 진공 증착법은 균일하게 고품질의 박막을 정밀도가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는 반면에, 대형의 설비를 필요로 하고, 장치 가격 및 운영비가 높고, 장치의 점유 면적이 크다. 또한, 막 형성실에 대한 스크린 패널의 반출입을 행한 때마다 진공 배기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생산성의 대폭적인 향상도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진공 증착법에 의한 Al막을 구비하지 않고도,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는 반사형 편평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반사형 편평관은 종래의 Al막을 대체하여 백색 무기물질층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도록 한 것이다. 즉, 스크린 패널의 내벽면상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발광면의 구성으로서는 적어도 백색 무기물질층과 형광체층을 차례대로 적층시키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백색 무기물질층은 진공 증착으로 하지 않고도, 슬러리법이나 전사법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도 간편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크린 패널의 내벽면 상의 소정 영역에 형성되는 발광면의 구성으로서, 적어도 백색 무기물질층과 형광체층을 차례로 적층시킨 구성을 갖는 것으로, 종래와 같은 진공 증착법에 의한 Al막이 없어도 매우 휘도가 높은 화면을 갖는 반사형 편평관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백색 무기물질층은, 진공 증착법에 의하지 않고, 형광체층이나 도전층의 형성 방법과 공통성이 있는 방법, 통상적으로는 슬러리법이나 전사법으로 형성할 수 있어, 진공 증착 장치에 비하여 현저히 구성이 간단하며, 가격 및 크기의 면에서도 유리한 장치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생산성도 향상한다.
상기 백색 무기물질층에 있어서의 백색 무기물질의 도포중량을 1.5 ∼ 4 mg/cm2 로 한 경우에는, 실용적인 두께의 형광체층의 휘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는, Al막을 이용한 종래의 반사형 편평관과 동등한 휘도를 보다 적은 형광체 사용량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되며, 경제성이나 희소 자원의 유효 이용의 관점에서 유익하다.
산화티탄은 이러한 휘도의 상승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백색 무기물질층의 구성재료로서 매우 유용하다.
또한, 백색 무기물질의 도포중량이 상술한 범위로 선택되어 있는 경우, 형광체층에 있어서의 형광체의 도포중량을 5∼7 mg/cm2 의 범위로 선택하면, Al막을 갖는 반사형 편평관을 대폭적으로 상회하는 휘도를 달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반사형 편평관에서는 백색 무기물질층이 반사층으로 되고, 화면의 휘도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백색 무기물질층에서 백색 무기물질의 도포중량은 1.5 ∼ 4 mg/cm2 의 범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 도포중량의 값으로부터 환산되는 백색 무기물질층의 막두께는 사용하는 백색 무기물질의 입자 직경이나 비중에 의해 당연히 다르게 되지만, 대략 10∼30 ㎛ 이다. 도포중량이나 막두께가 대략 상기한 범위에 있으면, 우선, 백색 무기물질의 종류에 의하지 않고 휘도 개선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도포중량 또는 막두께가 상기 각각의 범위보다도 낮은 경우에는 실용상 충분한 휘도 개선효과를 얻는 것이 어렵고, 또한 상기의 각각의 범위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휘도 개선효과가 포화하므로 백색 무기물질의 사용량을 헛되게 증가시키게 되어, 경제성이 손실될 염려가 크다.
상기 백색 무기물질에는 전기적인 특성은 특별히 요구되지 않으며, 진공 또는 가열환경 하에서 안정하게 존재 가능한 것이면,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산화티탄(TiO2), 산화알루미늄(Al2O3), 황화아연(ZnS), 황산바륨(BaSO4), 탄산칼슘(CaCO3), 산화마그네슘(MgO) 등을 들 수가 있다. 특히 TiO2 는 입수하기가 비교적 용이하고 순도가 안정하며 취급성이 우수하고 휘도의 개선효과도 큰 유용한 백색 무기물질이다.
상기 형광체층을 구성하는 형광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의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 형광체층에서 형광체의 도포중량은 3 mg/cm2 이상, 9 mg/cm2 이하인 것이 적당하다.
이 도포중량의 값으로부터 환산되는 형광체층의 막두께는 사용하는 형광체 입자의 입자 직경이나 비중에 따라 당연히 달라지지만, 대략 12∼38 ㎛ 이다. 도포중량이나 막두께가 대략 이러한 범위에 있다면 우선 형광체 입자의 종류에 의하지 않고, 휘도개선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도포중량 또는 막두께가 상기의 각각의 범위보다 낮아도 높아도 실용상 충분한 휘도를 얻는 것은 어렵다. 낮은 경우의 휘도의 부족은, 단지 형광체 입자의 양적인 부족에 기인하는 것이다. 한편, 높은 경우의 휘도의 부족은, 형광체층의 막두께의 증대에 따라 백색 무기물질층의 반사능력이상으로 각각의 형광체 입자로부터 발하여 형광체막의 내부에서 재흡수되는 산란광의 양이 증가되어버리기 때문이다.
보다 바람직한 형광체의 도포중량은 5 mg/cm2 이상, 7 mg/cm2 이하이다.
본 발명의 반사형 편평관을 제조할 때, 상기 백색 무기물질층은 소위 슬러리법에 의해 형성할 수가 있다.
슬러리법은 형성하고자 하는 층의 주체가 되는 물질을 감광성 수지 중에 분산시킨 슬러리를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하고, 선택 노광과 현상을 거쳐 목적하는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는 감광성 수지 중에 백색 무기물질 입자를 분산시킨 슬러리를 스크린 패널의 내벽면에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하고, 그 도포막에 대해 선택 노광과 현상을 행하고, 발광면 형성 영역에 백색 무기물질층을 형성한다. 상기 감광성 수지는 포지티브형과 네가티브형의 어느 것도 무관하다.
상기 형광체층의 형성은 상술한 백색 무기물질층과 마찬가지로 슬러리법 또는 전사법에 의해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백색 무기물질층이 도전성을 구비한 경우에는, 상기 백색 무기물질층이 형성된 스크린 패널을 음극으로 하고, 그 음극을 형광체 입자를 분산시킨 전착액 중에 양극과 함께 침적하여 상기 전극간에 통전하는 전착법에 의해 형광체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경우, 백색 무기물질 자체가 도전성을 갖고 있지 않더라도, ITO(인듐주석산화물) 등의 도전성 물질이 혼합되는 것에 의해 백색 무기물질층에 도전성이 부여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백색 무기물질층에 도전성이 없는 경우에는 스크린 패널에 고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도전층이 상기 스크린 패널의 내벽면에 형성될 필요가 있다. 그 도전층의 구성재료로서는 ITO가 통상적이고, 시판 중인 ITO 용액을 도포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여기에서는, 도전층의 구성재료를 ITO, 백색 무기물질층의 구성재료를 TiO2, 형광체층의 구성재료를 Y2O2S : Tb(형광체 코드 P45)로 하고,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은 관체 구조를 갖는 반사형 편평관을 제작했다.
도 3은 그 반사형 편평관의 발광면의 일부를 확대한 것이다. 그 발광면(5)은 하층측, 즉 스크린 패널(1) 측으로부터 차례대로 도전층(2), 백색 무기물질층(3), 형광체층(4)이 소정의 패터닝을 통해 적층되어 있다.
상기 도전층(2)은, 도시되지 않은 영역에서 펀넬의 내벽면에 도포되어 형성된 카본 도전막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펀넬의 일부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애노드 버튼으로부터 인가되는 고압의 양극 전압의 공급경로가 되고 있다.
상기 도전층(2)은 세정된 스크린 패널의 내측에 시판 중인 ITO용액(고 순도화학연구소 제: 상품명 GIP-ITOS)을 블러시, 스폰지 롤러 등을 이용하여 도포함으로써 형성되었다. 이 때의 도포범위는, 후공정에서 펀넬 내벽면의 카본막과의 전기적 도통을 위해 카본 패턴을 형성할 필요가 있으므로, 형광체의 도포 범위보다 약간 넓게 설정하였다. ITO 용액의 도포 두께는 소성 후의 도전층(2)의 저항치가 10 MΩ 이하로 되도록 1∼3 ㎛의 범위에서 선택했다.
백색 무기물질층(3) 및 형광체층(4)은 모두 슬러리법으로 형성하였다. 이들 2개의 층의 형성에 이용되는 슬러리 기제(slurry base)는 공통이고, 그 조성은 일례로서 하기와 같았다.
슬러리 기제의 조성
폴리비닐알코올(8% 수용액) 210g
중크롬산 암모늄(10% 수용액) 6g
순수(純水) 190 g
분산제(分散劑) 1g
상기의 슬러리 기제에, 각각의 층에 특유한 재료를 분산시켜 사용했다. 즉, 백색 무기물질층(3)의 형성용 슬러리에는 TiO2 분말을 180g, 형광체층(4)의 형성용 슬러리에는 Y2O2S : Tb 분말을 220g, 각각 분산시켰다.
백색 무기물질층(3)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이미 도전층(2)이 형성된 스크린 패널(1)의 내측에 백색 무기물질층(3)의 형성용의 슬러리를 주입하고, 백색 무기물질(여기에서는 TiO2)의 도포중량이 3∼9 mg/cm2 으로 되도록 상기 스크린 패널(1)의 회전수 및/또는 회전시간을 조절하여 과잉 슬러리를 제거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슬러리의 도포막을 건조시킨 후에, 81.2 mm x 59. 1 mm(대각선 크기 = 4 인치)의 직사각형의 개구를 갖는 마스크를 통해 자외선 램프를 조사하고, 순수한 현상처리를 행했다. 이것에 의해, 물에 용해되지 않은 노광부가 백색 무기물질층(3)의 직사각형 패턴으로 되고, 발광면(5)의 형성 영역에 남았다.
이어서 형광체층(4)의 형성도 상술한 백색 무기물질층(3)과 마찬가지의 도포, 건조, 노광, 현상공정을 거쳐 형성했다.
여기에서, 백색 무기물질과 형광체의 최적의 도포중량의 조합을 조절하기 위해, 백색 무기물질(여기에서는 TiO2)의 도포중량을 1 mg/cm2, 2 mg/cm2, 3 mg/cm2, 4 mg/cm2 로 4단계로 변화시키고, 이들 4단계의 각각에 대해 형광체의 도포중량을 2.2∼9.3 mg/cm2 의 범위내에서 변화시킨 여러 종류의 발광면(5)을 제작했다.
이러한 발광면(5)이 완성된 스크린 패널(1)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프론트 패널, 펀넬, 넥, 전자총, 외부 자장 회로 등의 필요 부품과 조합시켜서 반사형 편평관을 완성시켰다.
이러한 반상형 편평관의 휘도를 측정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냈다. 이 도면은 횡축이 형광체 도포중량(mg/cm2), 종축이 휘도(cd/m2)를 표시하고, TiO2 의 도포중량을 다르게 하여 4개의 종류로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의하면, TiO2 의 도포중량이 1 mg/cm2 및 2 mg/cm2 에서는 휘도가 아직 부족하다. 그러나, 3 mg/cm2 이상에서는 휘도가 더욱 상승하고, 4 mg/cm2 에서 거의 포화되는 것을 알았다. 특히,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광체 도포중량이 2.2∼6.3 mg/cm2 의 범위에서는, TiO2 도포중량 3∼4 mg/cm2 경우의 휘도의 변화 곡선은 단조증가 경향을 나타내고, 백색 무기물질층(3)의 반사능력이 충분히 발휘되고 있는 것을 알았다. 이에 대해, 예를 들면 1 mg/cm2 의 경우와 같이 휘도의 변화곡선에 피크가 존재하는 것은, 형광체층(4)이 어떤 일정치 이상으로 막이 두꺼워지면, 형광체층의 내부에서 재흡수되는 산란광의 양이 백색 무기물질층(3)에 의한 반사광량을 상회하기 때문이다. 결국, 백색 무기물질층(3)의 반사능력이 이 시점에서 부족하게 된다.
상술한 결과로부터 TiO2 의 도포중량을 3 mg/cm2 으로 한 경우에도 충분히 높은 휘도가 달성되는 것이 판명되었으므로, 다음에 이 백색 무기물질층을 갖는 반사형 편평관과, 진공 증착에 의한 Al막을 갖는 종래의 반사형 편평관과, 형광체층만 갖는 반사형 편평관(3)의 세 가지 경우가 있어서, 그 휘도의 형광체 도포량 의존성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도 5에 나타냈다. 이 도면에서는, 횡축이 형광체 도포량을 도포중량(mg/cm2) 및 막두께(㎛)의 두 가지로 표시하고 있고, 종축이 휘도(cd/cm2)를 표시하고 있다.
형광체층만 형성되고, 반사능력을 갖는 막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형광체 도포량의 증가에 따라 휘도가 현저히 증가한다. 그러나, 형광체의 도포중량이 3 mg/cm2 정도의 경우에는 현저히 휘도가 낮은 화면밖에 얻어지지 않는다.
Al막을 형성한 경우에는, 형광체 도포량에 대한 현저한 의존성은 인정되지 않으나. 형광체층만 갖는 반사형 편평관이 도포중량 9 mg/cm2 이상의 형광체를 소모하여 겨우 달성한 휘도가 그 1/5 이하, 불과 1.8 mg/cm2 에서 달성된다.
그러나, 백색 무기물질층을 갖는 본 발명의 반사형 편평관의 휘도는 Al막을 갖는 반사형 편평관에 비해 더욱 우수하다. 단, 휘도 변화의 경향은 형광체 도포량에 대해 단조 증가는 아니고, 형광체 도포중량 6 mg/cm2 (형광체층의 막두께 25㎛) 부근에서 피크를 갖는다. 특히, 우수한 고휘도가 달성되는 것은 형광체의 도포중량이 5∼7 mg/cm2 의 범위에 있을 때로서, Al막을 갖는 종래의 반사형 편평관과 비교한 휘도의 증가율은 약 10%에 이른다. 이것은 바꿔 말하면, Al막을 갖는 종래의 반사형 편평관과 동일한 정도의 휘도를 형광체의 사용량을 억제하여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반사형 편평관이 특히 우수한 고휘도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은, 백색 무기물질층에 있어서 백색 무기물질의 도포중량이 1.5∼4 mg/cm2 , 형광체층에 있어서 형광체의 도포중량이 5∼7 mg/cm2 의 경우인 것이 명백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사형 편평관의 구성이나 크기, 발광면의 구성이나 각각의 층의 구성재료 및 그 형성방법 등의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적절한 변경, 선택, 조합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듯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크린 패널의 내벽면 상의 소정 영역에 형성되는 발광면의 구성으로서, 적어도 백색 무기물질층과 형광체증을 차례로 적층시킨 구성을 갖는 것으로, 종래와 같은 진공 증착법에 의한 Al막이 없어도 매우 휘도가 높은 화면을 갖는 반사형 편평관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백색 무기물질층은, 진공 증착법에 의하지 않고, 형광체층이 나 도전층의 형성 방법과 공통성이 있는 방법, 통상적으로는 슬러리법이나 전사법으로 형성할 수 있어, 진공 증착 장치에 비하여 현저히 구성이 간단하여, 가격 및 크기의 면에서도 유리한 장치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생산성도 향상한다.
상기 백색 무기물질층에 있어서의 백색 무기물질의 도포중량을 1.5 ∼ 4 mg/Cm2 로 한 경우에는, 실용적인 두께의 형광체충의 휘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는, Al막을 이용한 종래의 반사형 편평관과 동등한 휘도를보다 적은 형광체 사용량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되며, 경제성이나 희소 자원의 유효이용의 관점에서 유익하다.
산화티탄은 이러한 휘도의 상승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백색 무기물질층의 구성재료로서 매우 유용하다.
또한, 백색 무기물질의 도포중량이 상술한 범위로 선택되어 있는 경우, 형광체층에 있어서의 형광체의 도포중량을 5∼7 mg/cm2 의 범위로 선택하면, Al막을 갖는 반사형 편평관을 대폭적으로 상회하는 휘도를 달성할 수가 있다.
도 1a는 반사형 편평관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반사형 편평관의 발광면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모식적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반사형 편평관의 발광면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모식적 단면도.
도 4는 백색 무기물질(TiO2)과 형광체의 도포중량에 대한 본 발명의 반사형
편평관의 휘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과 종래의 반사형 편평관의 휘도의 형광체 도포량 의존성을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도전층 3: 백색 무기물질층
4: 형광체층 5: 발광면
10: 관체 11: 넥
12: 펀넬(funnel) 13: 프론트 패널(front panel)
15: 전자총 17: 발광면

Claims (6)

  1. 전자빔 조사 수단을 구비한 넥; 내벽면 상의 소정 영역에 발광면을 구비한 스크린 패널; 및 상기 스크린 패널과 대향 배치되는 프론트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발광면으로부터의 전자빔 조사에 의한 발광을 상기 프론트 패널을 통하여 관찰하도록 된 반사형 편평관에 있어서,
    상기 발광면은 알루미늄 증착막을 대체하여 백색 무기물질층을 사용하고, 적어도 백색 무기물질층과 형광체층이 차례로 적층된 구성을 가지며, 상기 백색 무기물질층이 반사층으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편평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무기물질층에서 백색 무기물질의 도포중량이 1.5 mg/cm2 이상, 4 mg/cm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편평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무기물질층이 산화티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편평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층에서 형광체의 도포중량이 3 mg/cm2 이상, 9 mg/cm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편평관.
  5. 전자빔 조사 수단을 구비한 넥; 내벽면 상의 소정 영역에 발광면을 구비한 스크린 패널; 및 상기 스크린 패널과 대향 배치되는 프론트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발광면으로부터의 전자빔 조사에 의한 발광을 상기 프론트 패널을 통하여 관찰하도록 된 반사형 편평관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패널상에 적어도 알루미늄 증착막을 대체한 백색 무기물질층과형광체층을 차례로 적층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백색 무기물질층이 반사층으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편평관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을 전사법에 의해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사형 편평관의 제조방법.
KR10-1998-0035070A 1997-09-18 1998-08-28 반사형편평관및그제조방법 KR1004632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53571 1997-09-18
JP25357197A JP3587339B2 (ja) 1997-09-18 1997-09-18 反射型扁平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360A KR19990029360A (ko) 1999-04-26
KR100463281B1 true KR100463281B1 (ko) 2005-04-20

Family

ID=17253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5070A KR100463281B1 (ko) 1997-09-18 1998-08-28 반사형편평관및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587339B2 (ko)
KR (1) KR1004632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2360B2 (en) 2001-02-26 2004-06-01 Sony Corporation Frit coating method, a frit coating apparatus, a sealing apparatus, and a sealing method for a flat-type cathode-ray tube
US6906455B2 (en) 2001-02-26 2005-06-14 Sony Corporation Transfer foil, transfer method, transfer apparatus, flat cathode-ray tub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801A (ko) * 1987-09-01 1989-05-17 미따 가쯔시게 블랙매트릭스 컬러브라운관 및 그 제조방법
JPH0417237A (ja) * 1990-05-09 1992-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投写型陰極線管
KR930011084A (ko) * 1991-11-20 1993-06-23 김정배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내장된 음극선관용 스크린막 및 그 제조방법
KR950015504A (ko) * 1993-11-30 1995-06-17 엄길용 음극선관의 형광막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801A (ko) * 1987-09-01 1989-05-17 미따 가쯔시게 블랙매트릭스 컬러브라운관 및 그 제조방법
JPH0417237A (ja) * 1990-05-09 1992-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投写型陰極線管
KR930011084A (ko) * 1991-11-20 1993-06-23 김정배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내장된 음극선관용 스크린막 및 그 제조방법
KR950015504A (ko) * 1993-11-30 1995-06-17 엄길용 음극선관의 형광막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87339B2 (ja) 2004-11-10
JPH1196948A (ja) 1999-04-09
KR19990029360A (ko) 199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4493B2 (en) Cold cathode electric field electron emission display device
RU2020637C1 (ru) Способ электрофотографическо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нструкции люминесцентного экрана на подложке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электронно-лучевой трубке
US7365482B2 (en) Field emission display including electron emission source formed in multi-layer structure
US671394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02230631A (ja) カラー陰極線管の基板上に発光スクリン構体を電子写真的に形成する方法
DE2855090C2 (de) Leuchtschirm für flache Bildanzeigegeräte
JP2005514727A (ja) カラー・ファイバー・ベース・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
KR19980050947A (ko) 전계방출 디스플레이용 발광입자 및 그를 이용한 발광층 형성방법
US5595519A (en) Perforated screen for brightness enhancement
US6051928A (en) Plasma display device with ferroelectric dielectric layer
CN1029892C (zh) 电子照相法制造彩色阴极射线管荧光屏的方法
KR100463281B1 (ko) 반사형편평관및그제조방법
US20020105262A1 (en) Slim cathode ray tub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010062703A (ko) 전계 방출형 캐소드, 전자 방출 장치, 및 전자 방출장치의 제조 방법
US20050280349A1 (en) Display device
US6204600B1 (en) Field emission device having floating electrode and conductive particle layer
KR10081303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2005158634A (ja) 表示装置
JP3095876B2 (ja) 平面型カラーディスプレ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S58152350A (ja) 蛍光面を備えた陰極線管
JPH0220749Y2 (ko)
KR100202870B1 (ko) 음극선관의전자사진식스크린제조에있어라커막형성방법
JPH10302667A (ja) カラー陰極線管とその製造方法
GB2099212A (en) Manufacturing CRT screens
WO2009048232A1 (en) Microplasma current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