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2999B1 - 대상물영상의정점위치다중부호화방법및이를이용한mpeg-4vop의정점위치다중부호화방법 - Google Patents

대상물영상의정점위치다중부호화방법및이를이용한mpeg-4vop의정점위치다중부호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2999B1
KR100462999B1 KR1019970004985A KR19970004985A KR100462999B1 KR 100462999 B1 KR100462999 B1 KR 100462999B1 KR 1019970004985 A KR1019970004985 A KR 1019970004985A KR 19970004985 A KR19970004985 A KR 19970004985A KR 100462999 B1 KR100462999 B1 KR 100462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strings
vertex
encoding
vertex position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4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8410A (ko
Inventor
정재원
문주희
권지헌
김재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19970004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2999B1/ko
Publication of KR19980068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2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2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2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object coding
    • H04N19/2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object coding with coding of regions that are present throughout a whole video segment, e.g. sprites, background or mosa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입력장치를 통해 인가되는 동영상을 임의의 모양 정보(SHAPE INFORMATION)를 갖는 각각의 대상물 영상과 배경 영상으로 분리하여 처리하는 모양 정보 부호화 방법(SHAPE INFORMATION CODING METHOD)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 갯수의 화소로 이루어진 단위블럭 내에 포함된 대상물 영상의 이전 정점에 대한 현재 정점의 위치를 검출하여 그 위치에 대한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부호화 하는 방법에 있어서, 정점 위치 부호화 시, 다수개의 정점을 묶어 그 중복성을 제거하여 소정의 방법으로 부호화 함을 그 방법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정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이전 정점에 대한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부호화 할 경우, 인접하는 다수개의 정점을 하나로 묶어 그 중복성을 제거한 후 부호화를 수행하거나, 또는 부호화 된 상기 정점들을 전송할 경우, 인접하는 다수개의 정점을 하나로 묶어 그 중복성을 제거한 후 전송하므로 인해, 필요 이상의 정보량을 줄여 압축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대표도]

Description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MPEG-4 VOP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METHOD FOR MPEG4-VOP}
본발명은 영상 입력장치를 통해 인가되는 동영상을 임의의 모양 정보(SHAPE INFORMATION)를 갖는 각각의 대상물 영상과 배경 영상으로 분리하여 처리하는 모양 정보 부호화 방법(SHAPE INFORMATION CODING METHOD)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상물 영상의 정점(VERTEX)을 추출하여 그 위치에 대한 방향을 부호화(CODING)할 경우, 소정의 방법으로 다수개의 정점을 묶어 그 중복성을 제거한 후 부호화를 행하거나, 또는 다수개의 정점을 묶어 그 중복성을 제거한 후 전송을 행하므로 인해, 인접한 정점 위치 부호화 값 사이의 중복성을 제거하므로써, 압축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최근의 동영상 처리 기술은, 인가되는 한 프레임(FRAME) 분의 영상을 전체적으로 압축 부호화하는 방법에서 탈피하여, 임의의 모양 정보를 갖는 소정의 단위블럭(또는 VOP(VIDEO OBJECT PLANE:이하 VOP라 한다))으로 구분하여 그 각각에 대해 압축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즉, 인가되는 영상을 각각의 대상물 영상과 배경 영상으로 분리하여, 상기 대상물 영상의 변화 여부만을 전송하므로써 압축 효율화 및 부호화 효율을 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국제 표준안을 마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세계 표준화 기구인 ISO/IEC 산하의 WG11에서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미디어 통합계 동영상 압축의 국제표준:이하 MPEG이라 한다)-1, MPEG-2와는 달리 임의의 모양정보를 갖는 물체를 부호화 하는 방식에 대한 표준화작업인 MPEG-4를 진행하고 있으며, 상기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는 MPEG-4는 VOP의 개념을 기초로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VOP는, 인가되는 영상을 배경 영상과 각각의 대상물 영상으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한 배경 영상과 대상물 영상을 포함하는 사각형으로 정의 되는 것으로, MPEG-4에서는, 영상 내에 소정의 물체, 또는 소정의 영역으로 이루어진 대상물의 영역이 존재할 경우, 그 대상물의 영상을 각각의 VOP로 분리하고, 분리한 상기 VOP를 각기 부호화 하는 것을 골격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VOP는 자연 형상, 또는 인공 영상 등을 대상물 영상의 단위로 하여 자유자재로 합성 내지는 분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으로, 컴퓨터 그래픽스 및 멀티미디어 분야 등에서 대상물의 영상을 처리하는 데 기본이 되고 있다.
도 1은 국제표준 산하기구(ISO/IEC JTC1/SC29/WG11 MPEG96/N1172 JANUARY)에서 1차적으로 확정한 VM(VERIFICATION MODEL:검증모델:이하 VM이라 한다)엔코더(ENCODER)(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여기서, VOP형성부(VOP FORMATION)(11)는 전송 또는 저장할 영상 시퀀스(SEQUENCE)가 입력될 경우에 이를 대상물 영상 단위로 나누어 각기 다른 VOP로 형성한다.
도 2는 대상물의 영상으로 고양이의 영상을 설정하여 하나의 VOP를 형성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VOP의 가로 방향 크기는 VOP폭으로 정의되고, 세로 방향의 크기는 VOP높이로 정의되며, 형성된 VOP는 좌측 상단을 그리드 시작점으로 하고, X축 및 Y축으로 각기 M개 및 N개의 화소를 가지는 MxN 매크로 블럭으로 구획된다. 예를 들면 X축 및 Y축으로 각기 16개의 화소를 가지는 16x16매크로 블럭으로 구획된다.
이때, VOP의 우측과 하단에 형성되는 매크로 블럭의 X축 및 Y축 화소가 각기 M개 및 N개가 아닐 경우에는 VOP의 크기를 확장하여 각각의 매크로 블럭의 X축 및 Y축 화소가 모두 M개 및 N개로 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M 및 N은 후술하는 대상물내부부호화부(TEXTURE CODING)에서 서브 블럭의 단위로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기 짝수로 설정된다.
한편, 상기 VOP형성부(11)에서 형성된 각각의 VOP 는 VOP부호화부(12A, 12B, ‥‥, 12N)에 각기 입력되어 VOP별로 부호화 되고, 멀티플렉서(13)에서 다중화되어 비트열(BIT STREAM)로 전송된다.
도 3은 국제표준 산하기구에서 1차적으로 확정한 VM디코더(DECODER)(20)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상기 VM엔코더(10)를 통해 부호화되고, 비트열로 전송되는 정보인 VOP의 부호화 신호는 VM디코더(20)의 디멀티플렉서(21)에서 VOP별로 각기 분리된다.
또한, 상기 분리된 각각의 VOP 부호화 신호는 VOP디코더(22A, 22B,‥‥, 22N)에 의해 각기 디코딩되며, 상기 VOP디코더(22A, 22B, ‥‥, 22N)에서 출력되는 디코딩신호는 합성부(23)에서 합성되어 원래의 영상으로 출력된다.
도 4는 국제표준 산하기구에서 1차적으로 확정한 VM엔코더(10)의 VOP부호화부(12A, 12B, ‥‥, 12N)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VOP형성부(11)에서 형성된 각각의 대상물 영상에 대한 VOP가 움직임추정부(MOTION ESTIMATION)(31)에 입력되면, 상기 움직임추정부(31)는 인가된 VOP로부터 매크로 블럭 단위의 움직임을 추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움직임추정부(31)에서 추정된 움직임 정보는 움직임보상부(MOTION COMPENSATION)(32)에 입력되어 움직임이 보상된다.
그리고, 상기 움직임보상부(32)에서 움직임이 보상된 VOP는 상기 VOP형성부(11)에서 형성된 VOP와 함께 감산기(33)에 입력되어 차이값이 검출되고, 상기 감산기(33)에서 검출된 차이값은 대상물내부부호화부(34)에 입력되어 매크로 블럭의 서브 블럭 단위로 대상물의 내부정보가 부호화된다.
예를 들면, 매크로 블럭의 X축 및 Y축이 M/2xN/2으로 각기 8개의 화소를 가지는 8×8의 서브 블럭으로 세분화된 후 대상물 내부정보가 부호화된다.
한편, 상기 움직임보상부(32)에서 움직임이 보상된 VOP와, 상기 대상물내부 부호화부(34)에서 부호화된 대상물의 내부정보는 가산기(35)에서 입력되어 가산되고, 상기 가산기(35)의 출력신호는 이전VOP검출부(PREVIOUS RECONSTRUCTED VOP)(36)에 입력되어 현재영상 바로 전 영상의 VOP인 이전VOP가 검출된다.
또한, 상기 이전VOP검출부(36)에서 검출된 상기 이전VOP는 상기 움직임추정부(31) 및 움직임보상부(32)에 입력되어 움직임 추정 및 움직임 보상에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VOP형성부(11)에서 형성된 VOP는 모양부호화부(SHAPE CODING)(37)에 입력되어 모양 정보가 부호화된다.
여기서, 상기 모양부호화부(37)의 출력신호는 상기 VOP부호화부(12A, 12B, ‥‥, 12N)가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그 사용 여부가 가변되는 것을,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양부호화부(37)의 출력신호를 움직임추정부(31), 움직임 보상부(32) 및 대상물내부부호화부(34)에 입력시켜 움직임 추정, 움직임 보상 및 대상물의 내부 정보를 부호화 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움직임추정부(31)에서 추정된 움직임 정보와, 상기 대상물내부부호화부(34)에서 부호화된 대상물 내부 정보 및 상기 모양부호화부(37)에서 부호화 된 모양 정보는 멀티플렉서(38)에 인가되어 다중화 된 후, 버퍼(39)를 통해 도 1의 멀티플렉서(13)로 출력되어 비트열로 전송된다.
이러한 MPEG-4에 있어서, 상기 VOP형성부(11)에서 전송된 각각의 VOP를 부호화하는 상기 모양부호화부(37)에 적용되는 기술로는, NxN 블럭(N=16, 8, 4)을 기반으로 하는 모양 정보를 부호화하는 MMR 모양 정보 부호화 기술(MMR SHAPE CODING TECHNIQUE)과, 정점을 기반으로 하여 모양 정보를 부호화하는 정점 기반 모양 정보 부호화 기술(VERTEX-BASED SHAPE CODING TECHNIQUE)과, 기초선 기반 모양 정보 부호화 기술(BASELINE-BASED SHAPE CODING TECHNIQUE) 및 상황 기반 산술 부호화 기술(CONTEXT-BASED ARITHMETIC CODING) 등이 있다.
한편, 상기 정점 기본 모양 정보 부호화 기술은, 인가되는 영상을 소정의 단위블럭, 또는 VOP 내에 존재하는 대상물 영상의 윤곽선 및 상기 윤곽선을 이루는 정점 등을 추출하여, 상기 정점의 상대 위치에 대한 방향과 크기 및 기타의 모양 정보를 신호 수신단, 즉 VM디코더부(20)로 전송하는 것으로, 이를 MPEG-4를 예로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상기 정점 기반 모양 정보 부호화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모양부호화부(37)중 정점부호화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로,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VOP형성부(11)에서 전송된 VOP는 영역분할부(REGION LABEL-ING)(37a)에서 대상물 영상과 주변 영상이 분할된 후, 윤곽선추출부(CONTOUR EXTRACTION)(37b)에 의해 윤곽선이 추출되어, 정점선택부(VERTEX SELECTION)(37c)를 통해 정점이 선택되게 된다.
그러면, 이를 정점부호화부(VERTEX ENCODING)(37f)에서 부호화 하여 멀티플렉서(38)를 통해 VM디코더(20)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VM디코더(20)에서는 수신된 비트열을 가지고 정점의 위치를 복호화 한 후에 정점 사이를 직선으로 연결하여 윤곽선을 재현하게 되는 것으로, 정점 위치 부호화는 정점 추출과 함께 영상내 정점 기반 부호화기의 성능을 결정짓는 중요한 부분이다.
여기서, 영상근사화재현부(APPROXIMATED RECONSTRUCTION)(37d)와 에러부호화부(ERROR ENCODING)(37e)는 선택된 정점을 기준으로 영상을 재현하였을 시 발생하는 에러값을 검출하여 이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정점 부호화부를 위해 정점 기반 모양 정보 부호화 기술에서 최근 연구되는 정점부호화 방법으로는 일반적 물체 적응 체인 부호화 방법(OBJECT-ADAPTIVE GENERALIZED CODE METHODE)이 있다.
상기 일반적 물체 적응 체인 부호화 방법은,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정점들의 상대 위치를 크게 8개의 방향으로 나누고, 상기 상대 위치의 방향과 크기로 정보를 분리한다.
예를 들어, k번째 정점을 Vk라 하고, 이전 정점을 Vk-1이라 하며, 그 상대 위치를 R이라 할때, 이전 정점 Vk-1에 대한 Vk의 상대 위치 R=(Rx, Ry)=(Vk, x-Vk-1,x, Vk,y-Vk-1,y)로 나타내어지며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대 위치의 방향이 결정된다.
또한, 정점의 상대 위치가 결정되면 이를, 도 7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숫자로 나타낼 수 있는데, 상대 위치의 전송시에는 상기 상대 위치를 나타내는 숫자 대신 도 7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인접한 상대 위치 숫자와의 차이를 전송하게 된다.
다시말해, 도 7a에서 4번째 숫자 위치에 이전 정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한후, 상기 이전 정점에서 출발한 현재 정점의 방향이 어느 방향인가를 판단하여, 이에 대한 값을 도 7b에서와 같이 인접한 상대 위치 숫자와의 차이값(DIFFERENTIAL OCTANT CODE)으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인접한 상대 위치 숫자와의 차이값을 전송할 경우에는 그 숫자와의 차이가 적은 쪽에 적은 수의 비트를 할당하는 허프만(HUFFMAN) 부호화 방법을 사용한다.
즉 윤곽선을 이루는 정점들을 일정한 방향으로 연속하여 추출할 경우, 이전 정점에 대한 현재 정점의 방향은 변화가 거의 없으므로 상대적으로 그 차이값이 작게 되며, 이로인해 이전 정점을 깃점으로 한 현재 정점의 위치 검출시 상기 인접한 상대 위치 숫자와의 차이값이 작은 쪽이 발생할 확률이 높게 된다.
따라서, 일률적인 비트할당 보다는 인접한 상대 위치 숫자와의 차이값이 작은 쪽에 적은 수의 비트를 할당하는 허프만 부호화 방법이 개발되었다.
아래의 [표 1]은, 도 7b와 같이 정점들의 상대위치를 8개의 방향으로 나눈 후, 각각의 상대 위치 숫자와의 차이값을 정하였을 경우의 허프만 부호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표 1]
Figure pat00013
상기 [표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발생확률이 높은 "0" , "1" , "-1" 등의 방향에는 1비트부터 3비트 까지의 적은 수의 비트를 할당하고, 발생확률이 낮은 "-3" , "4" 에는 7비트라는 많은 비트를 할당하여 정보량을 줄이고 있다.
이하, VOP에 존재하는 정점을 부호화하는 방법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각 정점(V0∼V9)이 추출된 어떤 대상물 영상을 포함하는 VOP를 나타낸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VOP의 정점 위치 부호화는, 이전 정점에 대한 상대 위치의 방향 및 그 거리를 나타내는 비트열로 이루어진다.
이때, 이전 정점에 대한 상대 위치의 방향은, 첫번째 부호화를 수행하는 시작 정점에 대한 상대위치를 나타내는 일반적 물체 적응 체인 부호화 방법에 의해 도 6 및 도 7에 의거 결정하여, 정점들 사이의 거리는, 각 정점들간의 거리를 검출하여 가장 긴 거리를 포함할 수 있는 비트수로 결정되어, 각 정점들간의 거리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도시된 VOP에 존재하는 정점들 간의 거리는, 각 정점들 사이의 상대 거리가 가장 긴 정점(V3)와 정점(V4) 사이의 거리를 나타낼 수 있는 비트수로 결정되는 것으로, 상기 거리를 나타내는 비트수를, 거리를 나타내는 비트 앞에 배열하여 전송하므로써, 후속하는 비트열의 몇 비트가 거리를 나타내는 비트인지를 인지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거리를 나타내는 비트수를 할당한 후에는, 첫번째 부호화를 시작하는 시작 정점에 대한 좌표값을 부호화 한 후, 상기 시작 정점에서 부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정점 추출을 수행하여 다시 시작 비트에 도달하기 까지의 각 정점에 대한 상대 방향 및 상대 거리를 부호화 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8의 경우 시작 정점을 (V0)로 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V0)에 대한 좌표값을 부호화 한 후, 반시계방향으로 정점을 추출 시에는, (V0)→(V1)→(V2)→(V3)→(V4)→(V5)→(V6)→(V7)→(V8)→(V9)의 순으로 부호화를 수행하고, 시계방향으로 정점을 추출할 시에는, (V0)→(V9)→(V8)→(V7)→(V6)→(V5)→(V4)→(V3)→(V2)→(V1)의 순으로 부호화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마지막번째 정점인 상기 (V9), 또는 (V1)은, 시작 정점인 (V0)로 부터 그 상대 거리를 알 수 있으므로, 상기 (V0)와의 상대 거리는 부호화 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정점 위치 부호화 방법에 부가하여 최근 연구되고 있는 사항으로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7-4602호 "대상물 영상의 추출방향에 따른 정점 위치 부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MPEG-4 VOP의 정점 위치 부호화 방법" 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정점 위치 부호화 시, 정점, 또는 윤곽선의 추출방향(스캔(SACN))을 고려하는 방법 및, 역시 본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7-4602호 "단위블럭 경계를 고려한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부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MPEG-4 VOP의 정점 위치 부호화 방법" 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정점 위치 부호화 시 경계점에 위치한 정점을 고려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점 위치 부호화 방법들은, 정점 위치에 대한 부호화를 각 정점에 대해 독립적으로 수행하거나, 또는, 부호화된 정점 위치에 대한 비트열을 전송할 시, 각 정점의 대한 위치에 대한 비트열을 각 정점에 대해 독립적으로 전송하므로, 인해, 압축 부호화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어떤 대상물 영상에 대한 정점이 (V11), (V12), (V13), (V14), (V15)이라 하고, 이전 정점에 대한 그 상대 길이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상대 방향이 동일하거나, 또는 그 상대 길이와 방향이 모두 동일하고 할때, 상기 정점들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는 비트열은, 그 상대길이를 나타내는 비트열이 동일하거나, 또는 그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이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상대 길이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이 모두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동일한 비트열을 발생하는 각각의 정점들을 독립적으로 부호화 하거나, 또는 상기 부호화 된 비트열을 독립적으로 전송을 하게 되면, 필요 이상의 비트열이 증가하여 압축 부호화 효율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대상물 영상의 정점을 추출하여 그 위치에 대한 방향을 부호화 할 경우, 소정의 방법으로 다수개의 정점을 묶어 그 중복성을 제거한 후 부호화를 행하거나, 또는 다수개의 정점을 묶어 그 중복성을 제거한 후 전송을 행하므로 인해, 인접한 정점 위치 부호화 값 사이의 중복성을 제거하므로써, 압축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을 MPEG-4에 적용시킨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을 이용한 MPEG-4 VOP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은, 소정 갯수의 화소로 이루어진 단위블럭 내에 포함된 대상물 영상의 이전 정점에 대한 현재 정점의 위치를 검출하여 그 위치에 대한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부호화 하는 방법에 있어서, 정점 위치 부호화 시, 다수개의 정점을 묶어 그 중복성을 제거하여 소정의 방법으로 부호화 함을 그 방법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정점은,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부호화 방법은, 같은 상대 길이를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길이를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부호화 방법은, 같은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부호화 방법은, 같은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한다.
소정 갯수의 화소로 이루어진 단위블럭 내에 포함된 대상물 영상의 이전 정점에 대한 현재 정점의 위치를 검출하여 그 위치에 대한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부호화 하는 방법에 있어서, 정점 위치 부호화 시, 다수개의 정점을 묶어 그 중복성을 제거하여 소정의 방법으로 부호화 한 후, 상기 부호화 방법을 소정의 방법으로 수신단으로 전송함을 그 방법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정점은,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부호화 방법은, 같은 상대 길이를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길이를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부호화 방법은, 같은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부호화 방법은, 같은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호화 방법을 전송하는 소정의 방법은, 전송되는 비트열 중 소정 갯수의 비트를 사용하여 하나로 묶은 정점에 대한 부호화 방법을 나타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호화 방법을 전송하는 소정의 방법은, 각 육곽선 마다 상기 윤곽선을 이루는 정점에 대한 부호화 방법을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호화 방법을 전송하는 소정의 방법은, 각 단위블럭 마다 상기 단위블럭을 이루는 정점에 대한 부호화 방법을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호화 방법을 전송하는 소정의 방법은, 각 영상 프레임 마다 상기 영상 프레임을 이루는 정점에 대한 부호화 방법을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소정 갯수로 화소로 이루어진 단위블럭 내에 포함된 대상물 영상의 이전 정점에 대한 현재 정점의 위치를 검출하여 그 위치에 대한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부호화 하는 방법에 있어서, 부호화된 정점 위치에 대한 비트열을 전송시, 다수개의 정점을 묶어 그 중복성을 소정의 방법으로 제거한 후, 소정의 방법으로 전송함을 그 방법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정점은,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중복성 제거 방법은, 같은 상대 길이를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길이를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중복성 제거 방법은, 같은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중복성 제거 방법은, 같은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복성 제거 방법을 전송하는 소정의 방법은, 전송되는 비트열 중 소정 갯수의 비트를 사용하여 하나로 묶은 정점에 대한 부호화 방법을 나타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복성 제거 방법을 전송하는 소정의 방법은, 각 윤곽선 마다 상기 윤곽선을 이루는 정점에 대한 부호화 방법을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복성 제거 방법을 전송하는 소정의 방법은, 각 단위블럭 마다 상기 단위블럭을 이루는 정점에 대한 부호화 방법을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복성 제거 방법을 전송하는 소정의 방법은, 각 영상 프레임 마다 상기 영상 프레임을 이루는 정점에 대한 부호화 방법을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을 이용한 MPEG-4 VOP에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은, 소정 갯수의 매크로블럭으로 이루어진 VOP내에 포함된 대상물 영상의 이전 정점에 대한 현재 정점의 위치를 검출하여 그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부호화 하는 MPEG-4의 정점 위치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정점 위치 부호화시, 다수개의 정점을 묶어 그 중복성을 제거하여 소정의 방법으로 부호화 함을 그 방법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정점은,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부호화 방법은, 같은 상대 길이를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길이를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부호화 방법은, 같은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부호화 방법은, 같은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한다.
소정 갯수의 매크로블럭으로 이루어진 VOP 내에 포함된 대상물 영상의 이전 정점에 대한 현재 정점의 위치를 검출하여 그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부호화 하는 MPEG-4의 정점 위치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정점 위치 부호화 시, 다수개의 정점을 묶어 그 중복성을 제거하여 소정의 방법으로 부호화 한 후, 상기 부호화 방법을 소정의 방법으로 수신단으로 전송함을 그 방법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정점은,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부호화 방법은, 같은 상대 길이를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길이를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부호화 방법은, 같은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부호화 방법은, 같은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호화 방법을 전송하는 소정의 방법은, 전송되는 비트열 중 소정 갯수의 비트를 사용하여 하나로 묶은 정점에 대한 부호화 방법을 나타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호화 방법을 전송하는 소정의 방법은, 각 윤곽선 마다 상기 윤곽선을 이루는 정점에 대한 부호화 방법을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호화 방법을 전송하는 소정의 방법은, 각 VOP 마다 상기 VOP를 이루는 정점에 대한 부호화 방법을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호화 방법을 전송하는 소정의 방법은, 각 영상 프레임 마다 상기 영상 프레임을 이루는 정점에 대한 부호화 방법을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소정 갯수의 매크로블럭으로 이루어진 VOP 내에 포함된 대상물 영상의 이전 정점에 대한 현재 정점의 위치를 검출하여 그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부호화 하는 MPEG-4의 정점 위치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부호화된 정점 위치에 대한 비트열을 전송시, 다수개의 정점을 묶어 그 중복성을 소정의 방법으로 제거한 후, 소정의 방법으로 전송함을 그 방법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정점은,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중복성 제거 방법은, 같은 상대 길이를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길이를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중복성 제거 방법은, 같은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중복성 제거 방법은, 같은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복성 제거 방법을 전송하는 소정의 방법은, 전송되는 비트열 중 소정 갯수의 비트를 사용하여 하나로 묶은 정점에 대한 부호화 방법을 나타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복성 제거 방법을 전송하는 소정의 방법은, 각 윤곽선 마다 상기 윤곽선을 이루는 정점에 대한 부호화 방법을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복성 제거 방법을 전송하는 소정의 방법은, 각 VOP 마다 상기 VOP를 이루는 정점에 대한 부호화 방법을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복성 제거 방법을 전송하는 소정의 방법은, 각 영상 프레임 마다 상기 영상 프레임을 이루는 정점에 대한 부호화 방법을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MPEG-4 VOP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은, 정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이전 정점에 대한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부호화 할 경우, 인접하는 다수개의 정점을 하나로 묶어 그 중복성을 제거한 후 부호화를 수행하거나, 또는 부호화 된 상기 정점들을 전송할 경우, 인접하는 다수개의 정점을 하나로 묶어 그 중복성을 제거한 후 전송하므로 인해, 필요 이상의 정보량을 줄여 압축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MPEG-4 VOP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예를 들어 그 구성 및 동작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MPEG-4에 적용한 것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몇개의 정점을 하나의 단위로 묶어서 부호화 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이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또는, 매 전송시마다 하나의 단위로 묶여진 정점의 갯수를 나타내는 기호표를 작성하여 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매 전송시마다 하나로 묶여진 정점의 갯수를 전송하는 방법은, 하나로 묶는 정점의 갯수를 가변적으로 선택하였을 경우에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예를 들어, 이번 비트열의 전송시에는 3개의 정점을 하나로 하였음을 나타내도록 하고, 다음번에는 5개의 정점을 하나로, 또는 그 이외 갯수의 정점을 하나로 묶어 부호화 하였음을 나타내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몇 비트의 정점을 하나로 하였는가를 나타내는 기호표는, 소정 갯수의 비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매 VOP마다 전송하거나, 또는 윤곽선 단위로 전송하거나, 또는 매 프레임마다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호표, 또는 저장되는 메모리에는, 중복되는 정점을 하나로 묶어 부호화 할 시, 중복되는 정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요소가 이전 정점에 대한 상대 길이인지, 또는 상대 방향인지, 아니면, 상대 길이와 상대 방향을 모두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도록 한다.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는, 각 정점의 중복성 여부에 따라 하나로 묶어 부호화 할 정점의 갯수를 가변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정점에 대한 중복성을 부호화 한 후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VM엔코더(10)의 VOP형성부(11)에 현재 영상의 시퀀스가 입력이 되면, 상기 VOP형성부(11)는 인가된 영상 시퀀스의 각 영상을 각각의 VOP로 나누어 이를 VOP부호화부(12A, 12B, ‥‥, 12N)에 인가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VOP형성부(12A, 12B, ‥‥, 12N)에 있는 모양부호화부(37)에서는, 도 1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메모리에 저장된 기호표 값을 독출하는 기호화 표값독출단계(S1)를 수행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기호표값을 독출하게 된다.
즉, 정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의 중복성에 따라 적용된 방법이 어떠한 방법이며, 그 특성을 나타내는 기 설정되어 저장된 기호표값을 독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부호화표값독출단계(S1)를 수행한 후에는 이전 정점들과 현재 정점 및 다음번째 정점들의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인접하는 정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요소(상대 길이, 상대 방향))중 어느 요소가 얼마만큼(몇개의 정점에 걸쳐) 중복되었는지의 검출하는 중복성여부검출단계(S2)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복성여부검출단계(S2)를 수행한 후에는, 상기 기호표값검출단계(S1)를 수행하여 독출한 기호표값을 참조하여, 상기 중복성을 나타내는 기호를 설정하여 부호화 한 후 이를 VM디코더(20)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즉, 인접하는 정점과의 중복성 여부 및 하나의 묶음으로 하여 부호화한 정점의 갯수를 나타내는 기호를 함께 부호화 하여 수신단인 VM디코더(20)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대 길이가 중복될 경우 나타내는 기호와, 상대 방향이 중복되었을 경우 나타내는 기호와, 상기 상대 길이와 방향 모두가 중복되었을 경우 나타내는 기호 및, 중복된 정점의 갯수를 나타내는 기호값을 독출하여 상기의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과정은 허프만 표를 가변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임의의 작성 가능하므로 그 상세한 예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모양부호화부(37)에서 부호화된 각 정점은 멀트플렉서(13)에서 다중화되어 비트열로 VM디코더(20)에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VM디코더(20)는, 디멀티플렉서(21)를 통해 VOP별로 각기 분리된 후, VOP디코더(22A, 22B, ‥‥, 22N)에 의해 각기 디코딩되며, 상기 VOP디코더(22A, 22B, ‥‥, 22N)에서 출력되는 디코딩신호는 합성부(23)에서 합성되어 원래의 영상으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VOP디코더(22A, 22B, ‥‥, 22N)는, 상기 VM엔코더(10)에서 전송되는 비트열 중, 중복된 정점의 요소및 그 중복된 정점의 갯수(몇개의 정점을 하나로 묶어 전송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수)를 나타내는 비트열의 상태를 검출하여, 해당되는 부호화 표 값에 의한 디코딩 과정을 수행하여 전송된 영상을 복원하게 되는 것이다.
즉, 아래의 [식 1]을 사용하여 각 정점을 부호화 할 수 있다.
[식 1]
또한, 상기 [식 1]에 의해 부호화된 각 비트열은 Pair_differential_octant, Triple_differential_ocatant 또는 (n-tuple)_differential_octant 값을 각각의 가능한 범위를 길이로 갖는 Huffman 부호화 방식이나 산술부호화 방식등을 사용하여 수신단에 전송한다.
수신단에서는 Pair 경우에는
first_differential_octant=Pair_differential_octant/8
second_differential_octant=Pair_differential_octant%8
Triple 경우에는
first_differential_octant=Triple_differential_octant/64
second_differential_octant=Triple_differential_octant%64)/8
third_differential_octant=Triple_differential_octant%64)%8
로서 수신단에서 값을 복호화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n-tuple)_differential_octant_code의 경우에는
first_differential_octant=(n-tuple)_differential_octant/2(n-1)
second_differential_octant=(n-tuple)_differential_octant%2(n-1)/2(n-2)······
(n-th)_differential_octant=(n-tuple)_differential_octant/‥‥
위의 수식에서 기호 '/'는 나눗셈 후의 몫을, 기호 '%'는 나눗셈 후의 나머지를 말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단위블럭의 경계를 고려한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부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MPEG-4 VOP의 정점 위치 부호화 방법" 은, 정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이전 정점에 대한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부호화 할 경우, 인접하는 다수개의 정점을 하나로 묶어 그 중복성을 제거한 후 부호화를 수행하거나, 또는 부호화 된 상기 정점들을 전송할 경우, 인접하는 다수개의 정점을 하나로 묶어 그 중복성을 제거한 후 전송하므로 인해, 필요 이상의 정보량을 줄여 압축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국제표준 산하기구에서 1차적으로 확정한 VM 엔코더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모양 정보를 가지는 VOP를 매크로 블럭으로 구획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국제표준 산하기구에서 1차적으로 확정한 VM 디코더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국제표준 산하기구에서 1차적으로 확정한 VOP 부호화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모양부호화부 중 정점 위치 부호화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6은 정점의 상대 위치 결정을 위해 나눈 8개의 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7a는 상대위치를 나타내는 숫자를 나타낸 도면,
도 7b는 인접한 상대 위치 숫자와의 차이를 나타낸 도면,
도 8a는 윤곽선 추출방향이 반시계방향인 것을 나타낸 도면.
도 8b는 윤곽선 추출방향이 시계방향인 것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정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의 중복성을 나타낸 도면,
도 10는 본 발명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MPEG-4 VOP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VM 엔코더 11:VOP형성부
12A, 12B,‥‥, 12N:VOP부호화부 13, 38:멀티플렉서
20:VM엔코더 21:디멀티플렉서
22A, 22B,‥‥, 22N:VOP 디코더 23:합성부
31:움직임추정부 32:움직임보상부
33:감산기 34:대상물내부부호화부
35:가산기 36:이전VOP검출부
37:모양부호화부 37a:영역분할부
37b:윤곽선추출부 37c:정점선택부
37d:영상근사화재현부 37e:에러부호하부
37f:정점부호화부 39:버퍼
S1:기호표값독출단계 S2:중복성여부검출단계
S3:부호화전송단계

Claims (30)

  1. 소정 갯수의 화소로 이루어진 단위블럭 내에 포함된 대상물 영상의 이전 정점에 대한 현재 정점의 위치를 검출하여 그 위치에 대한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부호화 하는 방법에 있어서,
    정점 위치 부호화 시, 다수개의 정점을 묶어 그 중복성을 제거하여 소정의 방법으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정점은,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부호화 방법은, 같은 상대 길이를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길이를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부호화 방법은, 같은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방향으로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부호화 방법은, 같은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6. 소정 갯수의 화소로 이루어진 단위블럭 내에 포함된 대상물 영상의 이전 정점에 대한 현재 정점의 위치를 검출하여 그 위치에 대한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부호화 하는 방법에 있어서,
    정점 위치 부호화 시, 다수개의 정점을 묶어 그 중복성을 제거하여 소정의 방법으로 부호화 한 후, 상기 부호화 방법을 소정의 방법으로 수신단으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정점은,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부호화 방법은, 같은 상대 길이를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길이를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부호화 방법은, 같은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부호화 방법은, 같은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11. 소정 갯수로 화소로 이루어진 단위블럭 내에 포함된 대상물 영상의 이전 정점에 대한 현재 정점의 위치를 검출하여 그 위치에 대한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부호화 하는 방법에 있어서,
    부호화된 정점 위치에 대한 비트열을 전송시, 다수개의 정점을 묶어 그 중복성을 조성의 방법으로 제거한 후, 소정의 방법으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정점은,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중복성 제거 방법은, 같은 상대 길이를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길이를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중복성 제거 방법은, 같은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중복성 제거 방법은, 같은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16. 소정 갯수의 매크로블럭으로 이루어진 VOP 내에 포함된 대상물 영상의 이전 정점에 대한 현재 정점의 위치를 검출하여 그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부호화하는 MPEG-4의 정점 위치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정점 위치 부호화시, 다수개의 정점을 묶어 그 중복성을 제거하여 소정의 방법으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을 이용한 MPEG-4 VOP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정점은,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을 이용한 MPEG-4 VOP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부호화 방법은, 같은 상대 길이를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길이를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을 이용한 MPEG-4 VOP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부호화 방법은, 같은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을 이용한 MPEG-4 VOP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부호화 방법은, 같은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을 이용한 MPEG-4 VOP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21. 소정 갯수의 매크로블럭으로 이루어진 VOP 내에 포함된 대상물 영상의 이전 정점에 대한 현재 정점의 위치를 검출하여 그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부호화 하는 MPEG-4의 정점 위치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정점 위치 부호화 시, 다수개의 정점을 묶어 그 중복성을 제거하여 소정의 방법으로 부호화 한 후, 상기 부호화 방법을 소정의 방법으로 수신단으로 전송함을 그 방법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을 이용한 MPEG-4 VOP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정점은,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을 이용한 MPEG-4 VOP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부호화 방법은, 같은 상대 길이를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길이를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을 이용한 MPEG-4 VOP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부호화 방법은, 같은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을 이용한 MPEG-4 VOP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부호화 방법은, 같은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을 이용한 MPEG-4 VOP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26. 소정 갯수의 매크로블럭으로 이루어진 VOP 내에 포함된 대상물 영상의 이전 정점에 대한 현재 정점의 위치를 검출하여 그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부호화 하는 MPEG-4의 정점 위치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부호화된 정점 위치에 대한 비트열을 전송시, 다수개의 정점을 묶어 그 중복성을 소정의 방법으로 제거한 후, 소정의 방법으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을 이용한 MPEG-4 VOP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정점은,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을 이용한 MPEG-4 VOP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중복성 제거 방법은, 같은 상대 길이를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길이를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을 이용한 MPEG-4 VOP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중복성 제거 방법은, 같은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을 이용한 MPEG-4 VOP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중복성 제거 방법은, 같은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이 연속될 때, 상기 연속된 비트열의 갯수를 상대 길이 및 상대 방향을 나타내는 비트열 앞에 위치시켜 부호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을 이용한 MPEG-4 VOP의 정점 위치 다중 부호화 방법.
KR1019970004985A 1997-02-17 1997-02-17 대상물영상의정점위치다중부호화방법및이를이용한mpeg-4vop의정점위치다중부호화방법 KR100462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4985A KR100462999B1 (ko) 1997-02-17 1997-02-17 대상물영상의정점위치다중부호화방법및이를이용한mpeg-4vop의정점위치다중부호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4985A KR100462999B1 (ko) 1997-02-17 1997-02-17 대상물영상의정점위치다중부호화방법및이를이용한mpeg-4vop의정점위치다중부호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410A KR19980068410A (ko) 1998-10-15
KR100462999B1 true KR100462999B1 (ko) 2005-06-27

Family

ID=37303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4985A KR100462999B1 (ko) 1997-02-17 1997-02-17 대상물영상의정점위치다중부호화방법및이를이용한mpeg-4vop의정점위치다중부호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29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5201A (en) * 1992-01-21 1994-03-15 Nec Corporation Arrangement of encoding motion image signals using motion compensation and orthogonal transformation
KR970078639A (ko) * 1996-05-14 1997-12-12 배순훈 물체 윤곽 부호화를 위한 버텍스 부호화 장치
KR19980065442A (ko) * 1997-01-10 1998-10-15 배순훈 윤곽선 영상 부호화기
KR19980068137A (ko) * 1997-02-15 1998-10-15 김영환 대상물 영상의 추출방향에 따른 정점 위치 부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mpeg-4 vop의 정점 위치 부호화 방법
KR19980068138A (ko) * 1997-02-15 1998-10-15 김영환 단위블럭의 경계를 고려한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부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mpeg-4 vop의 정점 위치 부호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5201A (en) * 1992-01-21 1994-03-15 Nec Corporation Arrangement of encoding motion image signals using motion compensation and orthogonal transformation
KR970078639A (ko) * 1996-05-14 1997-12-12 배순훈 물체 윤곽 부호화를 위한 버텍스 부호화 장치
KR19980065442A (ko) * 1997-01-10 1998-10-15 배순훈 윤곽선 영상 부호화기
KR19980068137A (ko) * 1997-02-15 1998-10-15 김영환 대상물 영상의 추출방향에 따른 정점 위치 부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mpeg-4 vop의 정점 위치 부호화 방법
KR19980068138A (ko) * 1997-02-15 1998-10-15 김영환 단위블럭의 경계를 고려한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부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mpeg-4 vop의 정점 위치 부호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410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0681B1 (ko) 부호화된비디오화상의송신및수신방법
EP0818930B1 (en) Video coding method
US6754269B1 (en) Video encoding apparatus and video decoding apparatus
KR100257614B1 (ko) 화상 신호의 보전 방법, 화상 신호 부호화 장치, 및 화상 신호복호화 장치
US8285064B2 (en) Method for processing images and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
EP0711078A2 (en) Picture coding apparatus and decoding apparatus
KR19980024924A (ko) 그레이 스케일 모양정보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23695A (ko) 값들의 블록들을 인코딩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0463004B1 (ko) Mpeg-4vop부호화방법
JP2003087572A (ja) 画像圧縮方法および装置、画像圧縮プログラムならびに画像処理装置
KR100462999B1 (ko) 대상물영상의정점위치다중부호화방법및이를이용한mpeg-4vop의정점위치다중부호화방법
JP4165752B2 (ja) 画像データへの秘匿データ挿入方式および秘匿データ検出方式
JPH11313211A (ja) 2値形状信号符号化/復号化装置
KR100463001B1 (ko) 발생위치가무작위인점들의위치정보부호화방법
JPH09326024A (ja) 画像符号及び復号化方法とその装置
KR100235354B1 (ko) 샘플링된 이진 형상 신호를 복원하기 위한 인터폴레이션 방법
CN1177252A (zh) 用于编码轮廓图象的基于基线的形状编码方法和装置
KR19980068137A (ko) 대상물 영상의 추출방향에 따른 정점 위치 부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mpeg-4 vop의 정점 위치 부호화 방법
KR100205850B1 (ko) 물체의 모양적응 영역 분할방법
KR100476386B1 (ko) 신축형대상물영상의스캔인터리빙방법및이를이용한mpeg-4의신축형모양정보부호화방법
KR100483676B1 (ko) 신축형 모양정보 부호화 장치 및 방법
KR100477795B1 (ko) 이진모양정보의신축형모양정보부호화시부가정보부호화방법
KR19980068138A (ko) 단위블럭의 경계를 고려한 대상물 영상의 정점 위치 부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mpeg-4 vop의 정점 위치 부호화 방법
KR100483674B1 (ko) 신축형모양정보부호화시손실부호화방법
KR100483675B1 (ko) 신축형모양정보부호화시손실부호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