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2965B1 - 링거액 감지기 - Google Patents

링거액 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2965B1
KR100462965B1 KR10-2002-0037371A KR20020037371A KR100462965B1 KR 100462965 B1 KR100462965 B1 KR 100462965B1 KR 20020037371 A KR20020037371 A KR 20020037371A KR 100462965 B1 KR100462965 B1 KR 100462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er
case
sensor
leaf spring
contac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7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2029A (ko
Inventor
정유진
Original Assignee
정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유진 filed Critical 정유진
Priority to KR10-2002-0037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2965B1/ko
Publication of KR20040002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2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2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2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61M5/1684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by detecting the amount of infusate remaining, e.g. signalling end of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9Masses, volumes, levels of fluids in reservoirs, flow 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거액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면(下面)에 관통 구멍(2)이 형성된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수납되고, 수평으로 가로질러 배치되며, 일단(一端)이 상기 케이스(1)에 고정설치되고, 내부에는 걸림 구멍(9)이 형성된 판 스프링(3)과; 상기 관통 구멍(2)을 지나 상기 걸림 구멍(9)에 일단이 걸리도록 배치된 링거 연결봉(10)과; 상기 판 스프링(3)의 다른 일단에 설치된 센서 접촉편(4)과; 상기 케이스(1)에 상기 센서 접촉편(4)과 대응되도록 고정 설치된 센서(5)와; 상기 센서 접촉편(4)과 센서(5)와의 접촉에 의해 작동하는 스피커(8)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교체 시점을 육안으로 수시로 확인할 필요가 없어, 환자가 보다 안정을 취할 수 있게 하고, 보호자 및 간호사의 피로와 번거로움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링거액 감지기{A Device for Indicating Exchange Time of Ringer's solution}
본 발명은 링거액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링거병의 교체시기를 자동으로 알려주는 링거액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병원에서는 보통 환자에게 링거액을 주사하게 되는데, 링거병(또는, 링거팩)으로부터 링거액이 배출되는 속도가 매우 느릴 뿐만 아니라, 환자가 움직일 때나 링거병에 충격이 가해질 때, 또는 강제로 조절될 경우에는 배출속도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링거액의 교체시점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따라서, 종래에는 환자나 보호자 또는 간호사가 링거병에 남아있는 링거액의 양을 육안으로 수시로 확인하여야 했으므로 매우 불편하였다. 특히, 환자가 직접 확인해야 할 경우에는 육체적, 심리적으로 불안정하게 될 수 있어 치료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 자칫 교체시기를 놓치게 되면 혈관 내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므로 인체에 커다란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링거액의 교체시점을 소리를 통해 자동으로 알려주는 링거액 감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링거액 감지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링거액 감지기가 거치대에 설치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링거병의 중량에 따라 판 스프링이 변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판 스프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 케이스
2... 관통 구멍
3... 판 스프링
4... 센서 접촉편
5... 센서
6... 전지
8... 스피커
9... 걸림 구멍
10... 링거 연결봉
13... 온-오프 스위치
21... 상부 케이스
22... 하부 케이스
51... 걸림끈
100... 링거액 감지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링거액 감지기는,
하면(下面)에 관통 구멍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고, 수평으로 가로질러 배치되며, 일단(一端)이 상기 케이스에 고정설치되고, 내부에는 걸림 구멍이 형성된 판 스프링과;
상기 관통 구멍을 지나 상기 걸림 구멍에 일단이 걸리도록 배치된 링거 연결봉과;
상기 판 스프링의 다른 일단에 설치된 센서 접촉편과;
상기 케이스에 상기 센서 접촉편과 대응되도록 고정 설치된 센서와;
상기 센서 접촉편과 센서와의 접촉에 의해 작동하는 스피커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전지의 전기 공급을 도중에서 단속하는 온-오프 스위치가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 구멍과 걸림 구멍은 상기 판 스프링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개씩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이웃하는 관통 구멍 사이 및 이웃하는걸림 구멍 사이가 연통되도록 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편은 전도성의 나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 스프링의 소재는 탄성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는 상하부가 분리되어 있어, 여기에 장착되는 구성요소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는 걸림고리 또는 걸림끈이 부가적으로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센서는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브라켓에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링거액 감지기의 전체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도 1의 링거액 감지기가 링거병과 함께 거치대에 설치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링거액 감지기(100)는 주요 구성부분이 수납되거나 장착되기 위한 케이스(1)가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케이스(1)의 외형은 원통형, 구형 등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는 상부 케이스(21)와 하부 케이스(22)로 분리되어 있어, 주요 구성요소의 장착 및 교체가 용이하게 되어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22)의 하면(下面)에는 관통 구멍(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 구멍(2)은 후술하는 판 스프링(3)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관통 구멍(2)을 서로 연통되도록 이동통로(11)가 형성될 필요가 있다. 상기 이동통로(11)는 후술하는 링거 연결봉(10)이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22)의 하면보다 위쪽에는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판 스프링(3)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 스프링(3)에는 그 일단부에 고정장착부(31)가 연장되어 있어, 하부 케이스(22)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된 상기 브라켓(40) 면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판 스프링(3)의 내부에는 상기 케이스(1)의 하면에 형성된 관통 구멍(2)과 대응하도록 걸림 구멍(9)과 이동 통로(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통로(12)는, 상기 하부 케이스(22) 하면의 이동통로(11)와 마찬가지로, 링거 연결봉(10)이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판 스프링(3)의 다른 일단부에는 센서(5)가 센서 접촉편(4)이 설치되어 있고, 브라켓(40)에는 상기 센서 접촉편(4)과 마주보는 지점에 센서(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센서 접촉편(40)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나사요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규정된 중량 외의 중량을 가지는 링거병에 대해서 사용할 때 상기 센서(5)와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판 스프링(3)의 소재는 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이 있는 금속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센서(5)와 센서 접촉편(4)은 도전성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링거병(70)이 매달리는 링거 연결봉(10)이 판 스프링(3)에 형성된 걸림 구멍(9)과 상기 케이스(1)의 하면에 형성된 관통 구멍(2)을 통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링거 연결봉(10)의 하단부에는 링거병을 걸어놓을 수 있도록 후크(17) 등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링거 연결봉(10)의 상단부에는, 상기 판 스프링(3)에 형성된 걸림 구멍(9)에 걸리도록 큰 단면의 걸림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링거 연결봉(10)의 상단부와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브라켓(40)의 내부에는 넓은 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부 케이스(21)의 내부에는 전지(6), 스피커(8), 온-오프 스위치(13), 그리고 소형 회로기판(1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지(6)는 상기 센서(4)와 스피커(8)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이며, 상기 케이스(1)에 끼우고 빼기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면 그 형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전지(6)는 스피커(8)와 센서(5) 및 센서 접촉편(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센서(5)와 센서 접촉편(4)이 분리된 상태에서는 스피커(8)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반응이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전지(6)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케이스(1)에 커버 및 하우징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 배선의 도중에는 온-오프 스위치(13)를 설치하여 전지(6)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사전에 차단할 수도 있다.
또한, 회로기판(15)은 저항 및 전선 통로가 포함되어 있는 통상적인 기판이다.
상기 전지(6), 스피커(8), 온-오프 스위치(13), 및 소형 회로기판(15)은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외부에 적절히 장착되어도 상관없다.
한편, 상기 케이스(1)에는 외부의 거치대(80)에 적절히 매달 수 있는 걸림고리 또는 걸림끈(51)이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거치대(80)에는 걸림끈(51)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링거액 감지기가 매달리게 되고, 상기 감지기의 구성요소인 링거 연결봉(10)의 하단에 형성된 후크(17)를 통해 링거병(70)이 매달리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링거액 감지기의 구체적인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링거액 감지기를 위치시킨 후, 링거 연결봉(10)의 하단에 형성된 후크(17)에 링거병(70)을 걸어 놓으면, 링거 연결봉(10)의 상단 걸림부(101)가 판 스프링(3)의 걸림 구멍(9)에 걸려서, 링거병(70)과 링거액의 자중이 판 스프링(3)에 그대로 전달된다.
상기 판 스프링(3)은 케이스(1) 내에 설치된 브라켓(40)에 일단부가 고정설치된 일종의 캔틸레버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링거병(70)의 하중에 의해 판 스프링(3)은 고정된 일단부에 대하여 도 3의 점선과 같이 휘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판 스프링(3)의 다른 일단부에 설치된 센서 접촉편(4)이 브라켓(40)에 설치된 센서(5)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온-오프 스위치(13)가 켜져 있더라도 전기적 연결은 차단되어 어떠한 반응도 발생되지 않는다.
다음, 링거액이 인체에 흡수됨에 따라서 링거병(70)의 중량은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링거병의 중량을 부담하고 있는 판 스프링(3)이 도 3의 점선으로부터 점차로 위쪽으로 탄성회복하게 된다. 결국, 남아 있는 링거액이 거의 다 소진되어 기준 중량에 도달하는 순간, 판 스프링(3)의 일단부에 설치된 센서 접촉편(4)이 브라켓(40)에 설치된 센서(5)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지(6)로부터 스피커(8)로 전원이 공급되어 벨이 울리게 되어, 환자나 보호자 또는 간호사가 쉽게 교체시기를 알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판 스프링(3)과 하부 케이스(22)의 하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관통 구멍(2)과 걸림 구멍(9)이 각각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이웃하는 구멍 사이에는 이동통로(11)가 형성되어 있어, 링거병의 종류(중량)에 따라 링거 연결봉(10)의 위치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무거운 링거병일 경우에는 고정부에 가깝게 이동시켜 놓고, 가벼울 링거병일 경우에는 센서 접촉편(4)에 까깝게 이동시키면 된다. 상기 관통 구멍(2)과 걸림 구멍(9)의 위치는 자주 사용되는 몇 가지 종류의 링거병의 중량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등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각각 100g, 500g, 1000g의 3종류의 링거병을 사용하고자 할 경에는, 관통 구멍(2)과 걸림 구멍(9)을 각각 3개씩 형성하면 된다. 이 때, 100g 짜리를 사용할 경우에는 센서 접촉편(4) 쪽의 구멍으로 링거 연결봉(10)을 이동시켜 놓고, 1000g 짜리를 사용할 경우에는 판 스프링의 고정부 쪽의 구멍으로 이동시켜 놓으면 된다.
그러나, 그 이외의 중량을 가지는 링거병에 대해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는, 판 스프링(3)의 일단부에 설치된 센서 접촉편(4)을 나사와 같이 상하 이동이 가능한 요소로 구성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3 종류의 링거병을 사용하는 예로부터, 100g 링거병을 사용할 경우의 구멍에 링거 연결봉(1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200g 링거병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나사를 소정량 위쪽으로 돌려놓으면 된다. 반대로, 500g 링거병을 사용하기 위한 구멍에 링거 연결봉(1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300g 링거병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나사를 소정량 돌려서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놓으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링거액이 모두 소진되었을 때 자동으로 벨소리가 발생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교체 시점을 육안으로 수시로 확인할 필요가 없어, 환자가 육체적, 정신적으로 보다 안정을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호자 및 간호사의 피로와 번거로움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상하 분리되는 상부케이스(21)와 하부케이스(22)로 이루어지고, 하면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멍(2)과,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2)을 서로 연통시키는 이동통로(11)를 구비한 케이스(1);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된 브라켓(40);
    상기 케이스(1)의 하면과 상기 브라켓(40) 사이에 수평으로 가로질러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브라켓(40)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2)과 대응하는 복수개의 걸림구멍(9)과, 상기 복수개의 걸림구멍(9)을 연통시키는 이동통로(12)를 구비한 구조로 된 판스프링(3);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2)중 어느 하나의 관통구멍을 지나 그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걸림구멍(9)에 일단이 걸리도록 배치된 링거연결봉(10);
    상기 판스프링(3)의 다른 일단에 설치되고 전도성의 나사로 이루어진 센서접촉편(4);
    상기 센서접촉편(4)과 대응하도록 상기 브라켓(40)의 다른 일단에 고정설치된 센서(5);
    상기 센서 접촉편(4)과 센서(5)와의 접촉에의해 작동하는 스피커(8);
    상기 센서(5)와 스피커(8)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감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에는 상기 전지(6)의 전기 공급을 도중에서 단속하는 온-오프 스위치(13)가 부가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감지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3)은 탄성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감지기.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의 외부에는 걸림고리 또는 걸림끈(51)이 부가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감지기.
  8. 삭제
KR10-2002-0037371A 2002-06-29 2002-06-29 링거액 감지기 KR100462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371A KR100462965B1 (ko) 2002-06-29 2002-06-29 링거액 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371A KR100462965B1 (ko) 2002-06-29 2002-06-29 링거액 감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2029A KR20040002029A (ko) 2004-01-07
KR100462965B1 true KR100462965B1 (ko) 2004-12-23

Family

ID=37313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7371A KR100462965B1 (ko) 2002-06-29 2002-06-29 링거액 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296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3517U (ko) * 1986-01-30 1987-08-05
JPS6316047U (ko) * 1986-07-17 1988-02-02
KR970073612A (ko) * 1996-05-25 1997-12-10 윤병규 수액 잔량 경보장치
KR980000481A (ko) * 1996-06-04 1998-03-30 윤병규 링겔병 용액 자동감지장치
KR19980013986A (ko) * 1996-08-06 1998-05-15 이상헌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An alarm apparatus for completing of prscription of a flood disaster)
JPH10295809A (ja) * 1997-04-21 1998-11-10 Masaki Suzumori 点滴施療の残量予告装置
JPH11221276A (ja) * 1998-02-09 1999-08-17 Masaki Suzumori 輸液残量監視装置
KR200297177Y1 (ko) * 2002-09-14 2002-12-11 장종범 링거액의 잔류여부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3517U (ko) * 1986-01-30 1987-08-05
JPS6316047U (ko) * 1986-07-17 1988-02-02
KR970073612A (ko) * 1996-05-25 1997-12-10 윤병규 수액 잔량 경보장치
KR980000481A (ko) * 1996-06-04 1998-03-30 윤병규 링겔병 용액 자동감지장치
KR19980013986A (ko) * 1996-08-06 1998-05-15 이상헌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An alarm apparatus for completing of prscription of a flood disaster)
JPH10295809A (ja) * 1997-04-21 1998-11-10 Masaki Suzumori 点滴施療の残量予告装置
JPH11221276A (ja) * 1998-02-09 1999-08-17 Masaki Suzumori 輸液残量監視装置
KR200297177Y1 (ko) * 2002-09-14 2002-12-11 장종범 링거액의 잔류여부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2029A (ko)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6206A (en) Patient ambulation motion detector with multiple switch motion detection
US6549423B1 (en) Medical device having a side loading battery compartment
US5008654A (en) Patient ambulation motion detector
US20140094676A1 (en) Flexible, lightweight physiological monitor
EP3589924A1 (en) Drinking apparatus,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20020047783A1 (en) Vertical sump alarm
KR100462965B1 (ko) 링거액 감지기
RU2006130806A (ru) Источник питания для маломощных переключающих датчиков модульной системы
EP1008971A3 (de) Überwachungssystem, basierend auf einer Hängevorrichtung für elektrisch zu kontaktierende Gegenstände
WO2019221429A1 (ko) 소형 세척기
RU2005107320A (ru)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вывода для съемного крепления на электронном приборе
US5307054A (en) Motion sensor circuit controller
KR200355579Y1 (ko) 의료용 링거 주사기 거치대
CN216294014U (zh) 移动监护设备及移动监护系统
US4794379A (en) Automatic alarm device for dripping injection fluid bottle
CN117083011A (zh) 颈带型医疗用头灯系统
GB2314162A (en) Monitor for drip feed and catheter bags
TWI317267B (ko)
KR20120118338A (ko) 링거 수액의 수위 감지장치
KR100197545B1 (ko)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
KR100464237B1 (ko)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
CN216385740U (zh) 一种用于vte预防的控制设备的警示结构
CN212657618U (zh) 多功能楼道消防应急装置
GB2140570A (en) Weight monitoring apparatus
CN218833093U (zh) 一种病床呼叫感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