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2766B1 - 양날형 밀대 - Google Patents

양날형 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2766B1
KR100462766B1 KR10-2002-0072569A KR20020072569A KR100462766B1 KR 100462766 B1 KR100462766 B1 KR 100462766B1 KR 20020072569 A KR20020072569 A KR 20020072569A KR 100462766 B1 KR100462766 B1 KR 100462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push rod
remove
keratin
n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4053A (ko
Inventor
한정식
Original Assignee
한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식 filed Critical 한정식
Priority to KR10-2002-0072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2766B1/ko
Publication of KR20040044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2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27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16Cuticle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4Nail files, e.g. manually operated

Landscapes

  • Knive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의 손톱이 시작되는 부위의 굳은살을 제거하는 양날형 V 밀대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손톱등 주위의 굳은살을 잘라내는 V 밀대는 끝이 단지 전방으로 V자형으로 단독으로 형성되어 있어 날의 누름 정도나 방향을 전방에서 가이드 하기가 매우 어려워 사용 도중 다칠 우려가 있으나,
본 발명은 밀대 끝이 숟가락처럼 오목한 부위를 형성하되 오목부 내측의 양끝이 V자형 오목면을 이루며, 외측 볼록면의 하부는 수평으로 연마 등의 방법으로 절삭하여 날을 형성하고 좌우 측면도 일정 각의 연마 면의 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손톱등 주위의 굳은살을 잘라내는데 있어 밀날과 당김날이 상호 가이드로 작용하여 사용상 매우 안전하게 각질을 제거할 수 있다.
밀어서 각질을 제거할 경우, 밀날과 대칭되는 날은 누름 정도나 방향을 가이드 하여 안전하고 적당한 깊이로 각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당기면서 각질을 제거할 경우도, 당김날과 대칭되는 날이 누름 정도나 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안전하고 적당한 깊이로 각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부 외곽 면으로는 손톱등을 긁어내는 평활 작업이나 매니큐어 제거 작업, 그리고 손톱등 라인형성 작업을 하나의 기구로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날 밀대(Double edged cuticle cutter)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날형 밀대 {Double edged cuticle cutter}
본 발명은 손톱 미용 기구의 하나로써, 손톱등이 시작되는 부위의 굳은살을 제거하는 양날 밀대(Double edged cuticle cutter)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손톱등 주위의 굳은살을 잘라내는 V 밀대는 끝에 전방을 향하여 V자형으로 예리한 절단날이 형성된 것으로 손톱등의 손톱 시작 부위에 형성되는 굳은살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전방으로 형성된 V자형의 예리한 절단날로 밀다 보면 잘라내고자 하는 굳은살이 아니라 맨살을 다칠 수 있다. 밀어서 굳은살을 잘라내다 보면 미는 힘에 의해 그대로 밀려나가면서 굳은살이 아닌 맨 살을 다치기 쉽다. 이는 끝이 날카로운 밀대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날의 누름 정도나 진행 방향을 조절 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휴대 시 핸드백에 넣어둔 상태에서 사용하려고 핸드백에 손을 넣어 찾을 때도 밀대의 V자형의 뾰족한 날에 의하여 손이 찔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손톱 부위의 미세한 굳은살을 제거하고, 휴대하는 데는 보다 안전한 구조의 밀대가 요구되며, 또한 하나의 기구로서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는 기구가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형태의 양날형 밀대를 제안하는 것으로, 양날형 밀대는 밀대를 밀어서 굳은살이 제거되도록 한 밀날과, 당겨서 굳은살이 제거되도록 한 당김날이 대칭으로 연이어 형성됨으로써 밀날과 당김날이 상호 가이드로 작용하여 사용시 밀대의 사용 각도나 누름 정도에 따라 각질 제거 깊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진행 방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가 있어 사용상 매우 안전하게 각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단부 둘레의 끝면을 이용하여 손톱 등부위의 평활 작업 또는 매니큐어 제거 기능과 손톱과 손가락 피부 경계면의 라인 형성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 손으로 파지하기에 적당한 길이의 손잡이를 가지고, 손잡이 끝에 양날형 밀대를 형성시킨 것으로, 양날형 밀대는 목부위를 중심으로 한쪽은 손잡이와 연결되고, 다른 한쪽 끝에는 숟가락처럼 오목한 부위를 형성하되 오목부 내측의 양면이 V자형 오목면을 이루며, 외측 볼록면의 하부는 수평으로 연마 등의 방법으로 절삭하여 날을 형성하고 좌우 측면도 일정 각의 연마 면의 날을 형성하여, 손톱등 주위의 굳은살을 잘라낼 수 있도록 구성 한 것으로서,
목부위에 가까운 쪽은 밀어서 각질을 제거할 수 있는 밀날이 되고, 목부위에 먼 쪽은 당기면서 각질을 제거할 수 있는 당김날이 되어 손톱등 주위의 굳은살을 분리하는 역할을 하며, 양측면 날은 굳은살을 잘라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대칭되는 두날이 근접하여 형성됨으로써 밀날과 당김날이 상호 가이드로 작용하며, 밀어서 각질을 제거할 경우, 밀날과 대칭되는 날은 누름 정도나 방향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며, 당기면서 각질을 제거할 경우도, 당김날과 대칭되는 날이 누름 정도나 방향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안전하게 적당한 깊이로 각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날의 상단 둘레에 예각으로 형성된 끝면은 손톱줄 대신에 손톱등의 평활 작업이나 매니큐어 제거 작업, 그리고 손톱 라인의 형성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할 수 있어, 손톱 미용 기구의 일반적인 구성품인 삽, 칼, 창, 줄의 각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따라서 극히 간단한 구성으로 다양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1b는 본 발명의 양날형 밀대의 사시도.
도 2a, 2b는 양날형 밀대의 정면도 및 배면도.
도 2c는 양날형 밀대의 단면도.
도 3a는 밀날의 사용 상태도.
도 3b는 밀날의 사용 상태도.
도 3c는 손톱등 평활 작업도.
도 3d는 손톱 라인 작업도.
도 4는 양날형 V밀대와 일체로 형성된 손톱줄.
도 5은 종래의 밀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30: 양날형 밀대 (Double edged cuticle cutter),
33-1: 밀날
33-2: 당김날
34-1,35-1: 측면날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의 양날형 밀대의 사시도 이고, 도 1b는 배면 사시도 이고,
도 2a, 도 2b는 양날형 밀대의 정면도 및 배면도 이고, 도 2c는 단면도이다.
한 손으로 파지하기에 적당한 길이의 손잡이(11)를 가지고, 손잡이 한쪽 끝에 금속으로 된 양날형 밀대(30)를 고정시킨 것으로, 양날형 밀대는 목부위(37)를 중심으로 한쪽 끝은 손잡이(11)에 결합되는 고정부(38)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 끝에는 숟가락처럼 오목한 부위(31)를 형성하되 오목부 내측의 양면이 V자형으로 오목한 면(31-1)(31-2)을 이루며 외측 볼록면(32)의 하부는 수평의 절삭 또는 연마에 의한 개구부를 이루면서 연마면(33)을 형성하여 자연스럽게 양날(33-1) (33-2)을 형성하도록 하며, 목부위(37)에 가까운 쪽은 밀어서 각질을 제거할 수 있는 밀날(33-1)이 되고, 목부위(37)에 먼 쪽은 당기면서 각질을 제거할 수 있는 당김날(33-2)이 되어 손톱등으로부터 각질을 분리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며, 볼록면(32)의 좌우 측면도 일정 각으로 연마면(34)(35)의 날을 형성하면 자연스럽게 곡면의 날카로운 측면날면(34-1)(35-1)이 형성되어, 굳은살을 거의 수직방향에서 잘라내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형태로 양날형 밀대를 구성함으로써 대칭되는 밀날(33-1)과당김날(33-2)이 근접하여 형성됨으로써 밀날(33-1)과 당김날(33-2)이 상호 가이드로 작용하여, 사용시 미래(10)의 사용 각도나 누름 정도에 따라 각질 제거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상 매우 안전하게 각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3a 에서와 같이 밀어서 각질을 제거할 경우, 밀날(33-1)과 대칭되는 당김날(33-2)을 진행 방향의 전방에서 적당히 누르면서 기준 역할을 하도록 하면서 누름 정도나 각도, 또는 진행 방향을 유도하면서 밀날(33-1)과 측면날 (35-1)을 이용하여 각질을 자를 수 있어 안전하고 적당한 깊이로 각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도 3b에서와 같이 당기면서 각질을 제거할 경우도, 당김날(33-2)과 대칭되는 밀날(33-1)을 진행 방향의 전방에서 적당히 누르면서 기준 역할을 하도록 하면서 누름 정도나 각도, 또는 진행 방향을 유도하면서 당김날(33-2)과 측면날(34-1)을 이용하여 각질을 자를 수 있어 매우 안전하고 적당한 깊이로 각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 3c에서와 같이 날의 상단 둘레에 예각으로 형성된 둘레면(36)을 이용하여 손톱등을 긁어내는 손톱칼 대신에 손톱등의 평활 작업이나 매니큐어 제거 작업은 물론, 도 3d에서와 같이 그 곡면을 이용하여 손톱 라인의 형성 작업이나 손톱에 밀착된 각질을 들어올리는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극히 간단한 구성으로 다양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양날형 V밀대와 일체로 형성된 손톱줄로서, 본 발명의 양날형 밀대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손잡이 결합부를 없애고 하나의 몸체로 길이를 연장하여, 일부분에 손톱줄을 형성하므로 양날형 밀대와 손톱줄이 하나의기구로 제공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 한 것이다.
도 5는 종래의 V밀대 사시도로서, 단지 V자 형의 양날개(52)(53)사이에 날(51)(52-1)(53-1)이 형성되어있다. 전방으로 형성된 V자형의 예리한 날로 밀어서 사용하다 보면 미는 힘에 의해 그대로 밀려나가면서 굳은살이 아닌 맨 살을 다치기 쉽다. 이는 끝이 날카로운 밀대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날의 누름 정도나 진행 방향을 조절 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휴대 시 핸드백에 넣어둔 상태에서 사용하려고 핸드백에 손을 넣어 찾을 때도 밀대의 V자형의 뾰족한 날에 의하여 손이 찔리는 경우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밀대의 날이 대칭 구조로 마주보고 형성되어있어, 상황에 따라 밀거나 당기면서 안전하게 각질을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밀어서 각질을 제거할 경우, 밀날과 대칭되는 날은 누름 정도나 방향을 가이드 하여 안전하고 적당한 깊이로 각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당기면서 각질을 제거할 경우도, 당김날과 대칭되는 날이 누름 정도나 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안전하고 적당한 깊이로 각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부 외곽 면으로는 손톱등을 긁어내는 평활 작업이나 매니큐어 제거 작업, 그리고 손톱등 라인형성 작업을 하나의 기구로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안전성과 사용상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한 손으로 파지하기에 적당한 길이의 손잡이를 가지고, 손잡이 한쪽 끝에 금속으로 된 양날형 밀대를 고정시킨 것으로, 양날형 밀대는 목부위를 중심으로 한쪽 끝은 손잡이 결합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 끝에는 숟가락 형태의 오목부를 형성하고, 오목부 내측의 양면이 V자형으로 오목한 면을 이루며 외측 볼록면의 하부는 수평의 절삭 또는 연마에 의한 개구부를 이루면서 밀날과 당김날이 형성되고, 볼록면의 좌우 측면도 일정 각으로 연마면의 날을 형성하면서 곡면의 측면날이 형성되어 손톱등의 굳은살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잘라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날형 밀대.
  2. 제 1항에 있어서, 목부위를 중심으로 한 양날형 밀대의 반대측에 하나의 몸체로 길이를 연장하여 손잡이로 하되, 그 일부분에 손톱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날형 밀대.
KR10-2002-0072569A 2002-11-20 2002-11-20 양날형 밀대 KR100462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569A KR100462766B1 (ko) 2002-11-20 2002-11-20 양날형 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569A KR100462766B1 (ko) 2002-11-20 2002-11-20 양날형 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053A KR20040044053A (ko) 2004-05-27
KR100462766B1 true KR100462766B1 (ko) 2004-12-23

Family

ID=37340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569A KR100462766B1 (ko) 2002-11-20 2002-11-20 양날형 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27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2902U (ko) * 1985-02-05 1986-08-19
KR880008782A (ko) * 1986-10-01 1988-09-13 요시지카 히라이 메니큐어 용구
KR19980068923U (ko) * 1998-09-23 1998-12-05 박삼웅 홍보구획란을 보유한 손톱손질용 밀대
KR200306883Y1 (ko) * 2002-09-23 2003-03-10 정갑선 손톱 소제용 트리머
KR20040011890A (ko) * 2002-07-31 2004-02-11 이동수 손톱 각질제거용 밀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2902U (ko) * 1985-02-05 1986-08-19
KR880008782A (ko) * 1986-10-01 1988-09-13 요시지카 히라이 메니큐어 용구
KR19980068923U (ko) * 1998-09-23 1998-12-05 박삼웅 홍보구획란을 보유한 손톱손질용 밀대
KR20040011890A (ko) * 2002-07-31 2004-02-11 이동수 손톱 각질제거용 밀대
KR200306883Y1 (ko) * 2002-09-23 2003-03-10 정갑선 손톱 소제용 트리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053A (ko) 200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8790B2 (en) Device for the removal of unsightly skin
KR100613586B1 (ko) 양측날을 가진 직선형 수동안전면도기
US5755239A (en) Pterygium spade manicuring appliance
US20130327348A1 (en) Safe trimming apparatus
US20060277760A1 (en) Razor blades and assemblies therefor
JP5960924B2 (ja) 保護手段を備えた刃物及びはさみ
KR100462766B1 (ko) 양날형 밀대
US3052023A (en) Disposable razor with blade spacing means
CN213290336U (zh) 一种备皮刀
KR101955032B1 (ko) 각질 제거기
WO2007092069A3 (en) Hair removal device
KR200409119Y1 (ko) 손톱 굳은살 제거구
KR20200043090A (ko) 마이크로 커터를 갖는 각질제거판 및 이를 채용한 각질제거기
KR200424100Y1 (ko) 피부 각질제거기
KR20040102850A (ko) 양날형 밀대
CN209755280U (zh) 一种美容用的多功能修眉刀
JP2012223485A (ja) むだ毛切り
CN216089324U (zh) 一种修剪器
JP3091326U (ja) 甘皮切り用具
KR102569557B1 (ko) 기능성 안전 손톱깎이
KR200433593Y1 (ko) 슬라이딩 커버를 구비하는 각질제거기
KR200202768Y1 (ko) 유아용 및 덧살 제거용 손톱깎기
KR101717741B1 (ko) 다목적 각질 정리기
KR200263473Y1 (ko) 굳은살 제거기
KR200313461Y1 (ko) 신체의 굳은살 제거 겸용 일회용 면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