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2850A - 양날형 밀대 - Google Patents

양날형 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2850A
KR20040102850A KR1020030034557A KR20030034557A KR20040102850A KR 20040102850 A KR20040102850 A KR 20040102850A KR 1020030034557 A KR1020030034557 A KR 1020030034557A KR 20030034557 A KR20030034557 A KR 20030034557A KR 20040102850 A KR20040102850 A KR 20040102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uticle
nail
push rod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4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식
Original Assignee
한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식 filed Critical 한정식
Priority to KR1020030034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2850A/ko
Publication of KR20040102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85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08Terminals
    • H01G9/012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soli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15Solid electrolytic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톱 미용 기구의 하나로써, 미용을 위해 손톱각피의 제거 작업과 손톱 손질에 있어 사용성과 안전성에 주안점을 둔 양날형 밀대에 관한 것으로, 한 손으로 파지하기에 적당한 길이의 손잡이에 설치되는 밀대 날체로서, 손잡이의 일단에 형성된 결착홈에 결착되는 슴베와, 상기 슴베로부터 연장되는 목부와, 상기 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날 머리는, 그 모양이 V자형의 오목면을 이룬 스푼 형태로 하여 오목면의 하부 중앙으로 각피제거홀을 형성하고, 날 머리의 저면 외부 볼록면을 연삭 및 연마하여 각피제거홀의 둘레로 날을 형성하도록 하고 이로써 특히 V자형으로 대향되는 밀날과 당김날이 형성되며, 외부 볼록면의 밀날과 당김날의 전, 후방 능선에는 손톱과 각피 사이의 골을 따라 밀날과 당김날을 안내하도록 하는 선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날형 밀대 {Double edged cuticle cutter}
본 발명은 손톱 미용 기구의 하나로써, 특히 미용을 위해 손톱각피(큐티클;cuticle)의 제거작업 및 손톱손질에 있어 사용성과 안전성에 주안점을 둔 양날형 밀대에 관한 것이다.
전체 손톱구조는 손톱 그 자체의 부분과 손톱 밑과 손톱주위의 피부로 구성된다. 손톱은 손톱본체(nail body)와 손톱뿌리(nail root) 그리고 손톱끝(free edge)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손톱주름(proximal nail fold)에서 각질화한 세포로 형성된 가느다란 부분을 손톱각피라고 하고, 이 손톱각피에서 딱딱한 손톱이 시작된다.
이와 같이 피부와 손톱의 경계선을 따라 생기는 손톱각피는 위생 및 미용을 위해 밀대(cuticle cutter)를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밀대는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04034호, 제20-0306883호의 손톱각피를 제거하는 V자형 밀대는 끝이 전방을 향하여 V자형으로 예리한 절단날이 형성된 것이다. 이는 전방에 개방형으로 형성된 V자형의 예리한 절단날로 손톱각피를 밀다보면 잘라내고자 하는 손톱각피가 아니라 주변 피부를 다칠 수 있다. 밀어서 손톱각피를 잘라내다 보면 미는 힘에 의해 그대로 밀려나가면서 굳은살이 아닌 맨 살을 다치기 쉽다. 이는 끝이 날카로운 밀대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날의 누름 정도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휴대 시 핸드백에 넣어둔 상태에서 사용하려고 핸드백에 손을 넣어 찾을 때에 밀대의 V자형의 노출된 뾰족한 날끝에 의하여 손이 찔리는 경우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단순히 오직 밀면서 손톱각피만을 제거할 수 있는 단순한 기능을 하고 있는바, 이를 해결하는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1994-0007639호로서, 이는 손톱각피 제거 및 손톱표면 연마 등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도구를 케이스 내에 모아 둔 형태로서, 이는 제조비용을 상승시키고 각피 제거 또는 손톱 연마시 그에 적당한 각각의 도구를 선택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따라서 손톱 부위의 손톱각피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휴대하기 위하여 보다 안전한 구조의 밀대가 요구되며, 또한 하나의 기구로서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는 기구가 필요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형태의 양날형 밀대를 제안하는 것으로, V자형으로 대향하는 밀날과 당김날이 연이어 형성됨으로써 사용 위치에 따라 밀거나 당기면서 손톱각피가 제거되도록 함은 물론, 손톱과 각피 사이의 골을 따라 밀날과 당김날을 안내하도록 하는 선형돌기가 형성되어 날 머리의 진행 방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가 있어 사용상 매우 안전하게 각피를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날 머리의 사용 각도나 누름 정도에 따라 각피 제거 깊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단부 둘레면의 예각부를 이용하여 손톱표면의 평활 작업 또는 매니큐어 제거 기능과 손톱과 손가락 피부 경계면의 라인 형성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손으로 파지하기에 적당한 길이의 손잡이에 설치되는 밀대 날체로서, 손잡이의 일단에 형성된 결착홈에 결착되는 슴베와, 상기 슴베로부터 연장되는 목부와, 상기 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날머리는, 그 모양이 V자형의 오목면을 이룬 스푼 형태로 하여 오목면의 하부 중앙으로 각피제거홀을 형성하고, 날 머리의 저면외부 볼록면을 연삭 및 연마하여 각피제거홀의 둘레로 날을 형성하도록 하고 이로써 특히 V자형으로 대향되는 밀날과 당김날이 형성되며,
외부 볼록면의 밀날과 당김날의 전, 후방 능선에는 손톱과 각피 사이의 골을 따라 밀날과 당김날을 안내하도록 하는 선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슴베는, 손잡이의 결착홈에 안정된 고정력을 갖도록 양측에 결착이빨이 형성되고 중앙의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어 결착이빨과 탄성 장공 사이의 연결부가 탄성 복귀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 머리의 상부는 수평 내지 부드러운 곡면을 이루고, 날 머리의 외측 볼록면과 예각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손톱등을 긁어내거나 손톱밑의 때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날 머리 둘레면에 예각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각피제거홀을 통해 형성된 밀날과 당김날이 대칭되어 근접형성되어 밀대를 밀거나 당기면서 각질을 제거할 수 있고, 이 밀날과 당김날의 전후에 형성된 전, 후 선형돌기가 밀대의 진행 방향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밀날과 당김날의 누름 정도에 따라 안전하게 적당한 깊이로 각피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날 머리의 상단 둘레에 예각으로 형성된 둘레면은 손톱 줄 대신에 손톱표면의 평활 작업이나 매니큐어 제거 작업, 그리고 손톱 라인의 형성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손톱 미용 기구의 일반적인 구성품인 삽, 칼, 창, 줄의 각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따라서 극히 간단한 구성으로 다양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날형 밀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날형 날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양날형 날체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양날형 날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양날형 날체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A-A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B-B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양날형 밀대의 사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양날 밀대 20 : 손잡이
30 : 밀대 날체 40 : 날 머리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1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0은 본 발명의 양날형 밀대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20은 손잡이로서, 한 손으로 파지하기에 적당한 두께와 길이를 갖고 있다.
손잡이(20)의 일단으로 형성된 결착홈(22)을 통해 밀대 날체(30)가 고정 결착된다.
상기 밀대 날체(30)는 상기 결착홈(22)에 결착되는 슴베(32)와, 상기 슴베(32)로부터 목부(34)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목부(34)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손톱각피 및 손톱을 손질하는 날 머리(40)로 구성된다.
상기 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날 머리(40)는, 그 모양이 V자형의 오목면(42)을 이룬 스푼 형태로 하여 오목면의 하부 중앙으로 각피제거홀(44)을 형성하고, 날 머리의 저면 외부에서 각피제거홀(44)의 둘레로 연삭 및 연마하여 날(47)을 형성하도록 하고 이로써 특히 V자형으로 대향되고 예리한 날이 형성되어 손톱각피(100)를 잘라 제거할 수 있는 밀날(46)과 당김날(48)이 형성되며, 외부 볼록면의 밀날(46)과 당김날(48)의 전, 후방 능선에는 손톱과 각피 사이의 골을 따라 밀날(46)과 당김날(48)을 안내하도록 하는 선형돌기(52)(54)가 형성된다.
상기 슴베(32)는, 손잡이(20)의 결착홈(22)에 안정된 고정력을 갖도록 양측에 복수의 결착이빨(32a)이 형성되고 중앙의 길이방향으로 장공(32b)이 형성되어 결착이빨(32a)과 장공(32b) 사이의 연결부(32c)가 탄성복귀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슴베(32)를 결착홈(22)에 삽입하게 되면 장공(32b)에 의해 양 연결부(32c)가 장공(32b) 쪽으로 탄성 변형이 일어나면서 억지끼움 형태가 되고, 이후 연결부(32c)가 탄성 복귀되면서 결착이빨(32a)이 결착홈(22)의 내벽에 타이트한 고정력을 발휘하게 된다.
한편 상기 날 머리(40)의 상부(56)는 수평 내지 부드러운 곡면을 이루고 날 머리(40)의 외측 볼록면(50)과 예각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손톱등을 긁어내거나 손톱밑의 때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날 머리 둘레면(56) 에 예각부(58)가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도면 중 미 설명부호 70은 손잡이(20)의 일단으로 착탈 가능한 날 머리(40)를 보호하는 뚜껑을 도시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1실시 예에서는 밀대 날체(30)를 별도 제조된 손잡이(20)에 결착시켜 양날형 밀대(10)를 구성한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상기 양날형 날체(30)의 목부(34)를 적당한 두께 및 길이로 연장되어 손잡이가 일체인 양날형 밀대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에는 슴베(32)가 필요하지 않다.
상기 밀대 날체(30)는 금속재로서 다단계 프레스 공정 및 연삭 및 연마 공정으로 제조되며, 상기 날 머리(40)에 형성되는 밀날과 당김날(46)(48)은 날 머리의 저면 외부에서 각질제거홀(44)둘레로 연삭 및 연마 공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1실시 예에 따른 양날형 밀대(1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와 같이 뚜껑(70)을 손잡이(20)에서 벗긴 다음 손잡이(20)를 한 손으로 파지하고 손의 손톱각피(100)를 제거할 부분에 날 머리(40)의 저부를 위치시킨다.
이에 따라 날 머리(40)의 저부 중앙에 형성된 각피제거홀(44)을 통해 대칭 형성된 밀날과 당김날(46)(48)이 손톱각피(100) 위에 위치하게 되며, 날 머리(40)를 약간 누르면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앞으로 밀면서 손톱각피(100)를 베어 제거시킨다. 이때에는 후측의 선형돌기(54)가 손톱과 각피 사이의 골을 따라 밀날(48)을 안내하므로 손톱각피(100)를 안전하고 적당한 깊이로 제거하게 된다.
도 8b는 도 8a와 반대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위로 당기면서 손톱각피(100)를 베어 제거시킨다. 이때에는 전방측의 선형돌기(52)가 손톱과 각피 사이의 골을 따라 당김날(46)을 안내하여 손톱각피(100)를 안전하고 적당한 길이로 제거하게 된다.
도 8a 및 도 8b와 같이 상황에 따라 손톱각피(100)를 밀거나 당기면서 안전하게 각피를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날 머리(40)의 누름 정도에 따라 안전하고 적당한 깊이로 각피를 제거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8c는 날 머리(40)를 거꾸로 뒤집어 손톱표면(110)의 평활 작업을 하는 것으로, 이는 날 머리(40) 둘레에 형성된 예각부(58)를 이용하여 화살표와 같이 앞뒤로 움직여 손톱표면(110)을 긁어내는 것이다. 또한 이 예각부(58)를 이용하여 손톱표면(110)에 도포된 매니큐어를 제거하는 등 기존의 손톱 줄 대신 사용할 수 있는것이다.
도 8d는 날 머리(40)의 둘레면(56)의 예각부(58)를 이용하여 손톱각피(100)를 잘라내기 전에 각피를 손톱으로부터 들뜨게 하여 쉽게 잘라낼 수 있도록 준비작업을 할 수 있으며, 피부와 손톱의 경계면 라인 형성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도 8e는 첨단부(59)를 이용하여 손톱 밑을 청결히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손톱각피 제거 및 손톱 줄 대신에 손톱표면의 평활 작업이나 매니큐어 제거 작업, 그리고 손톱 라인의 형성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손톱 미용 기구의 일반적인 구성품인 삽, 칼, 창, 줄의 각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따라서 극히 간단한 구성으로 다양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양날형 밀대가 밀날과 당김날이 대칭으로 연이어 형성됨으로써 사용 위치에 따라 밀거나 당기면서 손톱각피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손톱과 각피 사이의 골을 따라 밀날과 당김날을 안내하도록 하는 선형돌기가 형성되어 날 머리의 진행 방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가 있어 사용상 매우 안전하게 각피를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날 머리의 사용 각도나 누름 정도에 따라 각피 제거 깊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단부 둘레면의 예각부를 이용하여 손톱표면의 평활 작업 또는 매니큐어 제거 기능과, 손톱각피를 잘라내기 전에 각피를 손톱으로부터 들뜨게 하여 쉽게잘라낼 수 있도록 준비작업과 손톱과 손가락 피부 경계면의 라인 형성, 그리고 손톱 밑을 청결히 하는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다용도 기능의 효과를 갖고, 특히 대향되는 양날이 폐쇄형으로 연이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상 안전성과 편의성이 극대화 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한 손으로 파지하기에 적당한 길이의 손잡이에 설치되는 밀대 날체로서, 손잡이의 일단에 형성된 결착홈에 결착되는 슴베와,
    상기 슴베로부터 연장되는 목부와,
    상기 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날 머리는, 그 모양이 V자형의 오목면을 이룬 스푼 형태로 하여 오목면의 하부 중앙으로 각피제거홀을 형성하고, 날 머리의 저면 외부에서 각피제거홀의 둘레로 연삭 및 연마하여 날이 형성되면서 V자형으로 대향되는 예리한 밀날과 당김날이 형성되며, 밀날과 당김날의 전, 후방 능선에는 손톱과 각피 사이의 골을 따라 밀날과 당김날을 안내하도록 하는 선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날형 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슴베는, 손잡이의 결착홈에 안정된 고정력을 갖도록 양측에 결착이빨이 형성되고 중앙의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어 결착이빨과 탄성장공 사이의 연결부가 탄성 복귀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날형 밀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 머리의 상부는 수평 내지 부드러운 곡면을 이루고 날 머리의 외측 볼록면과 예각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손톱등을 긁어 내거나 손톱밑의 때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날 머리 둘레면에 예각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날형 밀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일단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착되어 날 머리를 보호하는 뚜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날형 밀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날형 날체의 목부를 적당한 두께 및 길이로 연장시켜 손잡이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날형 밀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 머리에 형성되는 밀날과 당김날은 저면에서 수평 연삭공정에 의해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날형 밀대
KR1020030034557A 2003-05-29 2003-05-29 양날형 밀대 KR200401028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557A KR20040102850A (ko) 2003-05-29 2003-05-29 양날형 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557A KR20040102850A (ko) 2003-05-29 2003-05-29 양날형 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850A true KR20040102850A (ko) 2004-12-08

Family

ID=37379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4557A KR20040102850A (ko) 2003-05-29 2003-05-29 양날형 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28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95637B2 (en) Skin treating device
CA2697242C (en) Multi-function nipper device
US4643207A (en) Cuticle manicuring device
US8888790B2 (en) Device for the removal of unsightly skin
US20180310687A1 (en) Efficient nail tool
US20080078085A1 (en) Nail-treatment device
US5755239A (en) Pterygium spade manicuring appliance
US5479950A (en) Finger tip mustache shaving device with cover
US20070209214A1 (en) Hybrid scissor and razor
KR20080003214U (ko) 개량 각질제거기
KR100582029B1 (ko) 미용가위
KR20040102850A (ko) 양날형 밀대
KR20160075270A (ko) 네일 아트를 위한 드릴용 컷팅비트
KR101318722B1 (ko) 손톱 손질용 미용구
KR101955032B1 (ko) 각질 제거기
US7284555B1 (en) Manicuring implement and instruments including same
KR200399432Y1 (ko) 손톱 소제 용구
US20030111089A1 (en) Composite handle for grooming implements
JP3805924B2 (ja) 化粧芯用削り器
KR200382300Y1 (ko) 손톱깎이
CN212788661U (zh) 一种多功能修脚器
KR100462766B1 (ko) 양날형 밀대
KR200184311Y1 (ko) 손톱소제용가위
KR100755208B1 (ko) 3면 절단날 손톱깎이
JP2000350616A (ja) 甘皮カッ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