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2746B1 - 차량의 2차 충돌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2차 충돌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2746B1
KR100462746B1 KR1019970070991A KR19970070991A KR100462746B1 KR 100462746 B1 KR100462746 B1 KR 100462746B1 KR 1019970070991 A KR1019970070991 A KR 1019970070991A KR 19970070991 A KR19970070991 A KR 19970070991A KR 100462746 B1 KR100462746 B1 KR 100462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pressure
inflator
vehicle
cylinder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0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1631A (ko
Inventor
진 문 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70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2746B1/ko
Publication of KR19990051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1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2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2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60T7/2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initiated by contact of vehicle, e.g. bumper, with an external object, e.g. another vehicle, or by means of contactless obstacle detectors mounted on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2차 충돌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충돌시 제동유압을 발생시켜 차량을 완전히 멈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2차 충돌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더 큰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2차
충돌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2차 충돌 방지장치는 에어백장치의 점화판정구동회로
부로부터 출력되는 인플레이터1의 폭발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인플레이터1과 동시에
폭발되는 인플레이터2와, 상기 인플레이터2가 폭발되는 압력에 의해 저장된 유압을
가압하여 마스터실린더의 유압을 증대할 수 있게 하는 증폭용 유압실린더와, 상기
증폭용 유압실린더의 유압이 증대될 경우 평시 차단하는 그 유로를 개방하여 마스
터실린더로 증대된 유압이 보내질 수 있게 하여 마스터실린더의 유압이 증폭되게
하는 차단밸브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2차 충돌 방지 장치{Secondary crash preventive devic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2차 충돌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이 충돌시의 신호에 따라 폭발되는 별도의 인플레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동시켜 줌으로써, 차량이 1차 충돌 후 계속 진행되면서 또 다시 충돌하는 2차 충돌을 방지 할 수 있는 차량의 2차 충돌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충돌시 운전자와 승객의 상해를 저감하기 위한 에어 백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런트G센서(12)와 세핑센서(14)와 센터G센서(16)의 신호를 입력받은 점화판정구동회로의 컨트롤유니트가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인플레이터를 폭발시킴으로써 차량의 충돌과 동시에 전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유압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차량의 제동장치는 브레이크폐달의 조작력을 전달받은 부스터가 물리적인 폐달의 조작력을 유압으로 변경하여 마스터실린더를 통해 힘을 배가하게 되고, 배가된 힘은 유압라인을 따라 각 휠에 설치된 실린더에 전달되므로서 브레이크라이닝 혹은 패드가 직접적인 제동력을 발휘하게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게 되면 3∼6배의 힘으로 마스터실린더에 그 힘이 전달되며, 마스터실린더는 유압의 힘을 파스칼의 원리에 의하여 힘을 배가하여 브레이크라인을 통해 휠실린더에 전달하게 되고, 휠실린더의 피스톤은 유압에 의해 전진하여 브레이크슈 또는 브레이크패드를 드럼 또는 디스크에 밀어붙여 제동작용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부스터의 배가된 힘에 유압력을 발생하는 마스터실린더의 유압을 증폭하게 되면 휠실린더를 통해 발휘되는 제동력을 증대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충돌시 거의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충격에 의해 정신을 잃거나 경
황없이 당황하여 브레이크페달을 조작하지 못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이
계속 진행되면서 2차 충돌로 이어져 더 큰 사고를 일으키게 되는 경우가 많이 있
다.
예를 들면, 2대의 차량이 서로 정면을 충돌하는 경우에는 그 충격의 강도가
상당하고 또 서로의 진행을 방해하는 방향에서 부딪히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 차량
은 멈추게 되지만, 차량의 옆쪽을 부딪힌다거나 가드레일을 비스듬히 부딪히다거나
하는 경우와 같이 차량의 진행방향이 확보되는 상황에서는 1차 충돌 후 계속 진행
되는 차량의 조건때문에 2차 충돌을 회피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차량 충돌시 제동유압을 발생시켜 차량을 완전히 멈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2차 충돌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더 큰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2차 충돌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에어백장치의 점화판정구동회로부로부
터 출력되는 인플레이터 폭발신호를 이용하여 마스터실린더의 제동유압을 증폭하는
증폭용 유압실린더르 설치하되, 상기 증폭용 유압실린더는 폭발되는 인플레이터에
의해 가압되는 피스톤이 저장된 브레이크오일을 가압하여 차단밸브를 개방시켜줌과
동시에 마스터실린더로 유입되는 유압이 휠실린더의 제동유압을 증폭할 수 있게 구
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2차 충돌 방지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제어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2차 충돌 방지장치가 적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용 상태도이
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장치의 점화판정구동회로부(10)로부
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폭발되는 인플레이터2(30)를 구비한다.
이때, 인플레이터2(30)의 폭발신호는 에어백의 전개를 위한 인플레이터1(10)
의 폭발신호와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플레이터2(30)의 폭발에 의해 가압되는 피스톤(42)이 저장된
브레이크오일(46)을 가압하여 마스터실린더(50)의 제동유압을 증폭되게 하는 증폭
용 유압실린더(40)를 구비한다.
특히, 증폭용 유압실린더(40)에서 마스터실린더(50)로 보내지는 브레이크오
일(46)의 통로에는 차단밸브(44)를 설치한다.
상기 차단밸브(44)는 브레이크오일(46)의 가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차량 충돌시 인플레이터1,2(20,30)의 폭발을 위하여 점화판정구
동회로부(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하여 개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차단밸브(44)는 상기 점화판정구동회로부(10)로부터 출력되는 인플레이터1(20)의 폭발신호를 인가하거나, 그와 동시에 출력되는 인플레이터2(30)의
폭발신호를 인가하여 차단상태를 개방하는 솔레노이드밸브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 충돌시 증폭용 유압실린더(40)는 인플레이터2(30)의 폭발에 의해 유압
을 가압 및 증폭하게 되며, 가압된 유압은 그 유로를 통해 마스터실린더(50)에 전
달되어 마스터실린더(50)의 제동유압을 증폭시키게 된다.
즉, 차량 충돌시 점화판정구동회로부(1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인플레
이터2(30)가 폭발하게 되고, 이때의 폭발력을 받은 피스톤(42)은 저장되어 있던 브
레이크오일(46)을 가압하게 되며, 이렇게 가압된 브레이크오일(46)은 유로를 통해
마스터실린더(50)로 보내지게 된다.
이때, 차단밸브(44)는 평상시에는 증폭용 유압실린더(40)의 유압이 마스터실
린더(50)에 전달되지 않도록 유로를 차단하고 있으며, 차량 충돌시에는 증폭용 유
압실린더(40)의 증대된 유압에 의해 유로를 개방하여 증대된 유압력이 마스터실린
더(50)로 보내질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마스터실린더(50)의 유압이 증대됨에 따라 차량이 완전하게 제동
될 수 있게 되고, 이렇게 1차 충돌 후 차량이 완전히 멈추게 되므로 2차 충돌을 방
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2차 충돌 방지장치는 차량 충돌과 동시에 인플레이터의
폭발력으로 마스터실린더의 제동유압을 최대로 증폭하여 차량을 완전히 제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2차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더 큰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에어 백이 작동되는 점화판정논리회로의 작동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2 는 본 발명의 2차 충돌 방지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제어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의 2차 충돌 방지장치가 적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점화판정구동회로부 12 : 프런트G센서
14 : 세핑센서 16 : 센터G센서
20 : 인플레이터 1 30 : 인플레이터2
40 : 증폭용 유압실린더 42 : 피스톤
44 : 차단밸브 46 : 브레이크오일
50 : 마스터실린더 60 : 부스터
70 : 브레이크페달 80 : 휠실린더
90 : 브레이크라인

Claims (3)

  1. 에어백장치의 점화판정구동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인플레이터1의 폭발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인플레이터1과 동시에 폭발되는 인플레이터2와, 상기 인플레이터2가 폭발되는 압력에 의해 저장된 유압을 가압하여 마스터실린더의 유압을 증대할 수 있게 하는 증폭용 유압실린더와, 상기 증폭용 유압실린더의 유압이 증대될 경우 평시 차단하는 그 유로를 개방하여 마스터실린더로 증대된 유압이 보내질 수 있게 하여 마스터실린더의 유압이 증폭되게 하는 차단밸브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2차 충돌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용 유압실린더는 내부에 저장된 브레이크오일과, 인가하는 신호에 따라 폭발되는 인플레이터2에 의해 상기 저장된 브레이크오일을 가압하는 피스톤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2차 충돌 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밸브는 상기 점화판정구동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인플레이터1의 폭발신호를 인가하거나 그와 동시에 출력되는 인플레이터2의 폭발신호를 인가하여 차단상태를 개방하는 솔레노이드밸브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2차 충돌 방지장치.
KR1019970070991A 1997-12-19 1997-12-19 차량의 2차 충돌 방지장치 KR100462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991A KR100462746B1 (ko) 1997-12-19 1997-12-19 차량의 2차 충돌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991A KR100462746B1 (ko) 1997-12-19 1997-12-19 차량의 2차 충돌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631A KR19990051631A (ko) 1999-07-05
KR100462746B1 true KR100462746B1 (ko) 2005-04-20

Family

ID=37301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0991A KR100462746B1 (ko) 1997-12-19 1997-12-19 차량의 2차 충돌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27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20840B2 (en) 2015-12-22 2019-03-05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9060A (ko) * 1994-04-09 1995-11-22 장동관 자동 제어 장치
WO1997001137A1 (en) * 1995-06-20 1997-01-09 Solar Communications, Inc. System for using article of commerce to access remote computer
KR970026641A (ko) * 1995-11-15 1997-06-24 전성원 에어브레이크식 차량의 정지거리 감소장치
KR970040578A (ko) * 1995-12-18 1997-07-24 김주용 주차 브레이크 자동 작동장치
KR970069712A (ko) * 1996-04-26 1997-11-07 김영귀 오토 브레이킹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9060A (ko) * 1994-04-09 1995-11-22 장동관 자동 제어 장치
WO1997001137A1 (en) * 1995-06-20 1997-01-09 Solar Communications, Inc. System for using article of commerce to access remote computer
KR970026641A (ko) * 1995-11-15 1997-06-24 전성원 에어브레이크식 차량의 정지거리 감소장치
KR970040578A (ko) * 1995-12-18 1997-07-24 김주용 주차 브레이크 자동 작동장치
KR970069712A (ko) * 1996-04-26 1997-11-07 김영귀 오토 브레이킹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20840B2 (en) 2015-12-22 2019-03-05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631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10400B1 (en) An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Apparatus
US4964652A (en) Inflatable restraint
US5791750A (en) Arrangement for preventing a vehicle from rolling away
US3838746A (en) Retaining installation for the passengers of vehicles, especially motor vehicles
KR100462746B1 (ko) 차량의 2차 충돌 방지장치
EP1839961A1 (en)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US6659572B2 (en) System for exerting an amplified braking force
MY120731A (en) Control appratus for passenger restraining safety devices
US6672682B2 (en) Pressure releasable vehicle pedal assembly
SE9603521D0 (sv) Krockenergiabsorberande anordning för fordon
JP2007506608A (ja) 車両の急減速装置
US6712168B2 (en) Vehicle impact force limiting system
KR20100121393A (ko) 네거티브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의 안전장치
JPH04166465A (ja) 自動車事故用安全装置
KR20020052271A (ko) 차량의 자동 브레이크시스템
GB2345107A (en) Motor vehicle hydraulic braking systems
KR100335954B1 (ko) 옵셋 충돌시의 차량 제동 장치
KR100387788B1 (ko) 자동차 후면 추돌에 대응한 브레이크 오일압 조절 장치
KR20050046341A (ko) 차량용 캘리퍼의 충돌안전 장치
KR970069712A (ko) 오토 브레이킹 시스템
KR0167917B1 (ko) 자동차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
KR20030095649A (ko) 차량의 비상 브레이크장치
KR19980035964U (ko) 에어 백 작동시 브레이크 위치 고정장치
KR0140583B1 (ko) 차량충돌시 2차충돌 방지장치
KR100428145B1 (ko) 전방차체하부 충격시험시 사용되는 차량의 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