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0088B1 - 이동 통신 단말기의 탈착형 화상통화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탈착형 화상통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0088B1
KR100460088B1 KR10-2001-0072456A KR20010072456A KR100460088B1 KR 100460088 B1 KR100460088 B1 KR 100460088B1 KR 20010072456 A KR20010072456 A KR 20010072456A KR 100460088 B1 KR100460088 B1 KR 100460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ted module
unit
terminal
terminal body
video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1614A (ko
Inventor
강화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2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0088B1/ko
Publication of KR20030041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0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통화를 할 수 있는 통합모듈부를 단말기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사용자가 보기 용이한 곳에 두고 고정한 후 통합모듈부를 보면서 화상통화를 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탈착형 화상통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탈착형 화상통화장치는 문자 및 숫자를 나타내는 액정화면부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와, 수화부인 스피커부로 구성되어 화상통화가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액정화면부와 카메라부 및 스피커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단말기 본체로부터 탈착이 가능한 통합모듈부와, 단말기 본체에 결합된 통합모듈부가 단말기 본체와 상호 정보교환을 하기 위해 형성된 제1연결수단과, 단말기 본체와 분리된 통합모듈부가 단말기 본체와 상호 정보교환을 하기 위해 형성된 제2연결수단과, 단말기 본체와 분리되는 통합모듈부를 임의의 장소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사용자가 운전을 할 때 사용자는 통합모듈부를 단말기 본체에서 분리하여 눈 높이에 맞게 부착하여 전방을 주시하면서 화상통화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탈착형 화상통화장치{Separable camera device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탈착형 화상통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이하, 단말기라 칭함)를 들고 화상통화를 하지 못할 경우 화상통화장치를 분리하여 용이하게 눈으로 볼 수 있는 장소에 위치시켜 놓고 화상통화가 가능한 단말기의 탈착형 화상통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성 전달에만 머물렀던 단말기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어 문자 메시지 및 각종 정보 전송은 물론 인터넷 접속도 가능하게 되었고 화상 통화나 화상 정보의 전송도 가능하게 되어 가는 추세다.
일반인들에게 단말기는 필수요소가 되었고, 자가 운전자도 많이 등장을 하여서 사용자가 운전 중에 통화를 하는 경우가 생기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화상통화용 단말기는 기존의 음성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 본체에 있어서, 피사체를 촬상하기 위한 소형의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부를 단말기 본체의 전면(前面)에 설치하여 단말기 본체(2)의 전면만 향하도록 고정된 형태가 일반적이다.
단말기 본체에 고정된 카메라부는 촬영된 화상정보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압축하는 비디오 코덱부를 거쳐 변환된 신호를 무선 전송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화상용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에 부착되어 고정된 카메라부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 화상이 상대측으로 전송됨과 동시에 상대측의 얼굴 화상이 자신의 단말기 본체의 화면으로 출력이 된다.
최근에는 운전자가 운전 중에 단말기를 들고 통화를 하게 되면 처벌을 받게 되기 때문에 운전자는 단말기 본체를 핸즈프리장치에 고정하고 통화를 해야만 한다.
그러나, 핸즈프리장치가 운전중인 사용자의 눈 위치보다 아래에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화상통화를 하면서 단말기 본체의 액정화면을 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화상통화를 위해 눈 위치보다 낮게 설치된 단말기 본체를 보거나 조작한다면 아주 위험한 일이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단말기 본체의 상단에 설치된 화상통화장치를 단말기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운전중인 사용자가 자신이 용이하게 볼 수 있는 곳에 설치하여 안전하게 화상통화를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단말기의 탈착형 화상통화장치는 문자 및 숫자를 나타내는 액정화면부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와, 수화부인 스피커부로 구성되어 화상통화가 가능한 단말기에 있어서, 액정화면부와 카메라부 및 스피커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단말기 본체로부터 탈착이 가능한 통합모듈부와, 단말기 본체에 결합된 통합모듈부가 단말기 본체와 상호 정보교환을 하기 위해 형성된 제1연결수단과, 단말기 본체와 분리된 통합모듈부가 단말기 본체와 상호 정보교환을 하기 위해 형성된 제2연결수단과, 단말기 본체와 분리되는 통합모듈부를 임의의 장소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말기 본체가 사용자의 눈 높이보다 아래에 설치된 핸즈프리장치에 고정되더라도 통합모듈부는 사용자가 보기에 용이한 위치에 고정되기 때문에 화상통화가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그리고, 사용자가 전방을 주시하면서 화상통화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한 일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인 일체형 화상통화장치가 부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정면도.
도2는 도1의 이동 통신 단말기가 핸즈프리장치에 장착된 사시도.
도3은 도1에서 화상통화장치가 분리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4 내지 도6은 도1의 화상통화장치의 후면에 형성된 고정수단을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단말기 본체 4 : 액정화면부
6 : 카메라부 8 : 스피커부
10 : 핸즈프리장치 20 : 통합모듈부
22 : 제1접전단자부 23 : 제2접전단자부
24 : 삽입홈 26 : 전원공급단자부
27 : 데이터공급단자부 28 : 케이블
30 : 제1잭 32 : 제2잭
34 : 제1리셉터클 36 : 제2리셉터클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인 일체형 화상통화장치가 부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정면도이고, 도2는 도1의 이동 통신 단말기가 핸즈프리장치(10)에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단말기의 탈착형 화상통화장치는 액정화면부(4)와 카메라부(6) 및 스피커부(8)가 일체로 구성되어 단말기 본체(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통합모듈부(20)와, 단말기 본체(2)에 결합된 통합모듈부(20)가 단말기 본체(2)와 상호 정보교환을 하기 위한 제1연결수단과, 단말기 본체(2)와 분리된 통합모듈부(20)가 단말기 본체(2)와 상호 정보교환을 하기 위한 제2연결수단과, 단말기 본체(2)와 분리되는 통합모듈부(20)를 임의의 장소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2에서 단말기 본체(2)의 제1리셉터클과 연결된 충전잭(12)은 단말기 본체(2)를 충전할 때 사용하는 잭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2)의 전면상단부에는 통합모듈부(2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홈(24)이 형성되어 있다.
제1연결수단은 통합모듈부(20)가 단말기 본체(2)에 결합된 후 통합모듈부(20)가 단말기 본체(2)에서 데이터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접전단자부와 공급단자부를 포함한다.
즉, 통합모듈부(20)의 후면에는 하나이상 형성되어 단말기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제1접전단자부(22)와 하나이상 형성되어 단말기 본체로부터 데이터를 공급받기 위한 제2접전단자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삽입홈에는 제1,2접전단자부(22,23)와 각각 대응되게 접촉하면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자부(26)와 데이터를 공급하는 데이터공급단자부(27)로 구성되어 있다.
다시말해, 제1연결수단은 제1,2접전단자부(22,23)와 전원공급단자부(26) 및 데이터공급단자부(27)를 포함하여 이른다.
제2연결수단은 통합모듈부(20)가 단말기 본체(2)와 분리된 후, 상호 정보교환을 할 수 있도록 케이블(28)로 연결이 되어 있다.
케이블(28)의 양단에 형성된 제1잭은 단말기 본체(2)의 일단에 형성된 제1리셉터클(34)에, 제2잭(32)은 통합모듈부(20)의 일단에 형성된 제2리셉터클(36)에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가 통합모듈부(20)를 외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은 여러 가지 실시예들이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하기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수단은 통합모듈부(20)를 벽면의 돌출부에 걸 수 있도록 후면에 걸개(38)가 형성되어 있다.
걸개(38)의 일단은 통합모듈부(20)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후면에 붙어있으며 탄성작용으로 외부의 얇은 돌출물에 끼움될 수 있는 구조이다.
통합모듈부(20)의 후면은 액정화면부(4)가 형성된 면의 뒷면을 칭하고, 걸개(38)는 클립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걸개(38)의 타단은 통합모듈부(20)의 후면에 형성된 접전단자부(22)에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합모듈부(20)를 벽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통합모듈부(20)의 후면에 접착테이프(40)가 부착될 수도 있다.
고정수단의 또다른 실시예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합모듈부(20)를 바닥면에 세워 고정할 수 있도록 통합모듈부(20)의 후면에 절첩(折疊)이 가능한 고정대(42)가 부착될 수 있다.
통합모듈부(20)가 단말기 본체(2)에 장착될 때는 고정대(42)를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한다.
또한, 고정대(42)는 탈착이 가능하여 통합모듈부(20)가 단말기 본체(2)에 장착될 때는 분리하여 따로 보관할 수 있다.
상술한 통합모듈부(20)의 고정수단은 제1,2접전단자부(22,23)와 전원공급단자부(26) 및 데이터공급단자부(27)가 접촉하는데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구성되며, 통합모듈부(20)를 단말기 본체(2)에 장착할 때도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단말기 본체(2)의 삽입홈(24)에는 고정수단의 수용을 위한 여분의 공간이 형성됨도 당연하다.
특히, 접착테이프(40)가 단말기 본체(2)의 삽입홈(24)에 닿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운전을 할 때 핸즈프리장치(10)에 단말기 본체(2)를 부착한 후 운전을 하며 통화를 하게 된다.
하지만 사용자가 화상통화를 할 때는 단말기 본체(2)를 눈 가까이 들고 화상통화를 할 수밖에 없었다.
단말기 본체(2)는 핸즈프리장치(10)에 부착하고, 탈착이 가능한 화상통화장치인 통합모듈부(20)를 사용자가 보기 편한 곳에 설치한다.
이때, 단말기 본체(2)의 제1리셉터클(34)과 통합모듈부(20)의 제2리셉터클(36)은 케이블(28)의 제1 및 제2잭(30,32)으로 연결이 되어 있어서 정보의 상호 전송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분리된 통합모듈장치를 자동차의 룸미러 등 보기 용이한 곳에 부착한다.
사용자가 통합모듈장치의 후면에 설치된 걸개(38) 즉 클립을 사용하거나 접착테이프(40)를 이용하여 바람직한 위치에 고정한다.
또는, 사용자는 통합모듈부(20)의 후면에 설치된 고정대(42)를 이용하여 적절한 위치에 세워서 고정시킨다.
화상통화가 끝난 후 사용자는 통합모듈부(20)를 단말기 본체(2)에 원상 복귀시킨다.
통합모듈부(20)가 단말기 본체(2)에 장착되면 통합모듈부(20)의 제1,2접전단자부(22,23)와 삽입홈(24)의 전원공급단자부(26) 및데이터공급단자부(27)가 접촉하면서 화상통화는 가능하다.
통합모듈부(20)의 제1,2접전단자부(22,23)와 단말기 본체(2)의 삽입홈(24)에 형성된 전원공급단자부(26) 및 데이터공급단자부(27)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단말기의 탈착형 화상통화장치는 통합모듈부를 단말기 본체와 분리시켜 사용자가 보기에 용이한 위치에 두고 화상통화를 할 수 있어서 단말기를 들고 화상통화를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가 운전을 할 때 통합모듈부를 사용자의 눈 높이에 두고 화상통화를 할 수 있어서 액정화면부를 보기에 용이할 뿐 아니라 전방을 주시할 수 있기 때문에 통화중 운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7)

  1. 삭제
  2. 액정화면부와, 카메라부와, 스피커부로 구성되어 화상통화가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액정화면부와 카메라부 및 스피커부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에 형성된 삽입홈에 탈착되도록 결합되는 통합모듈부와;
    상기 통합모듈부가 상기 단말기 본체에 결합된 경우에, 상기 통합모듈부가 상기 단말기 본체와 상호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연결수단과;
    상기 통합모듈부가 상기 단말기 본체와 분리된 경우에, 상기 통합모듈부가 상기 단말기 본체와 상호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연결수단과;
    상기 통합모듈부가 상기 단말기 본체와 분리된 경우에, 상기 통합모듈부가 임의의 장소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탈착형 화상통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수단은 상기 통합모듈부에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의 전원과 데이터를 공급받기 위한 접전단자부와;
    상기 삽입홈에 형성되어 상기 접전단자부와 접촉하는 공급단자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탈착형 화상통화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수단은 제1 및 제2잭이 양단에 각각 형성된 케이블과;
    상기 단말기 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잭과 연결되는 제1리셉터클과;
    상기 통합모듈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잭과 연결되는 제2리셉터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탈착형 화상통화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통합모듈부의 후면에 형성된 걸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탈착형 화상통화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통합모듈부의 후면에 형성된 접착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탈착형 화상통화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통합모듈부의 후면에 형성되어 절첩이 가능한 고정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탈착형 화상통화장치.
KR10-2001-0072456A 2001-11-20 2001-11-20 이동 통신 단말기의 탈착형 화상통화장치 KR100460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456A KR100460088B1 (ko) 2001-11-20 2001-11-20 이동 통신 단말기의 탈착형 화상통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456A KR100460088B1 (ko) 2001-11-20 2001-11-20 이동 통신 단말기의 탈착형 화상통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614A KR20030041614A (ko) 2003-05-27
KR100460088B1 true KR100460088B1 (ko) 2004-12-04

Family

ID=29570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456A KR100460088B1 (ko) 2001-11-20 2001-11-20 이동 통신 단말기의 탈착형 화상통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00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727B1 (ko) 2003-12-09 200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통화용 분리형 휴대 단말기 및 그 통신 방법
KR100677303B1 (ko) 2003-12-26 2007-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0600750B1 (ko) 2004-07-27 200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95260B1 (ko) * 2004-10-04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710677B1 (ko) * 2005-06-30 2007-04-24 주식회사 팬택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7007A (ja) * 1996-06-06 1997-12-16 Sharp Corp 携帯型テレビ電話
KR19990033208U (ko) * 1999-03-18 1999-08-05 김해원 액정화면 착탈이 자유로운 휴대용 무선호출기
JP2000253118A (ja) * 1999-03-01 2000-09-14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情報端末
KR200214730Y1 (ko) * 2000-09-08 2001-02-15 나준채 카메라 및 송신기 인출장치를 갖는 화상핸드폰
KR20010061330A (ko) * 1999-12-28 2001-07-07 서평원 분리형 휴대폰 및 분리형 휴대폰의 통신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7007A (ja) * 1996-06-06 1997-12-16 Sharp Corp 携帯型テレビ電話
JP2000253118A (ja) * 1999-03-01 2000-09-14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情報端末
KR19990033208U (ko) * 1999-03-18 1999-08-05 김해원 액정화면 착탈이 자유로운 휴대용 무선호출기
KR20010061330A (ko) * 1999-12-28 2001-07-07 서평원 분리형 휴대폰 및 분리형 휴대폰의 통신 방법
KR200214730Y1 (ko) * 2000-09-08 2001-02-15 나준채 카메라 및 송신기 인출장치를 갖는 화상핸드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614A (ko) 200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8727B1 (ko) 화상 통화용 분리형 휴대 단말기 및 그 통신 방법
US7792552B2 (en) Eyeglasse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JP3944506B2 (ja) スライド型携帯端末機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スライド装置
US20020043545A1 (en)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1998048548A3 (en) Multi-function telecommunication device
KR10046008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탈착형 화상통화장치
JP2001221974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CN110865461A (zh) 一种可内视化显示的智能眼镜
US20050063697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wivel accessorial module
CN211123489U (zh) 一种可内视化显示的智能眼镜
JPH09505960A (ja) 置換による付属機器の交換を可能にする送受話器付き電話機のための交換装置
CN208299834U (zh) 一种拍照手机
JPH01300786A (ja) テレビ電話器
KR20020095983A (ko)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3410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받침장치
CN216285995U (zh) 一种双目ar无线眼镜
KR100264827B1 (ko) 휴대용 전화기의 플렉시블 피씨비 구조
JP2005269594A (ja) 折畳式携帯電話端末
KR20050074769A (ko) 휴대용 단말기의 삼각대
JPH0453340A (ja) テレビ電話機
KR100313146B1 (ko)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KR200187686Y1 (ko) 휴대용 화상 이동무선통신기기의 뒷면표시창(Display)
JP4026839B1 (ja) 携帯電話機用のアタッチメント式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30019773A (ko) 액정모니터를 갖는 핸즈프리
JP3074466U (ja) 仮想対面型通信装置及び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