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643B1 - 디지털 카메라에서 일시(日時) 스템프를 추가하고삭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카메라에서 일시(日時) 스템프를 추가하고삭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643B1
KR100458643B1 KR10-2002-0073036A KR20020073036A KR100458643B1 KR 100458643 B1 KR100458643 B1 KR 100458643B1 KR 20020073036 A KR20020073036 A KR 20020073036A KR 100458643 B1 KR100458643 B1 KR 100458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emporary
stamp
file
addi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3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4841A (ko
Inventor
장근영
박종흠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3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8643B1/ko
Publication of KR20040044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6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에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영상에 일시(日時) 스템프를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추가하고 삭제하는 방법으로서, 추가-영역 설정, 추가-영역 저장, 제1 및 제2 합성-저장 단계들을 포함한다. 추가-영역 설정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새롭게 일시 스템프를 영상에 추가하고자 원하는 경우, 영상의 크기 및 사용자로부터의 추가 조건에 따라 영상에서의 일시 스템프의 추가 영역이 설정된다. 추가-영역 저장 단계에서는, 설정된 추가 영역의 영상이 영상의 파일 안에 별도로 저장된다. 제1 합성-저장 단계에서는, 사용자로부터의 추가 조건에 따른 일시 스템프가 영상에 합성되어 영상의 파일 안에 저장된다. 제2 합성-저장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일시 스템프를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 추가-영역 저장 단계에서 영상 파일 안에 별도로 저장되어 있는 추가 영역의 영상이 상기 영상에 합성되어 상기 영상의 파일 안에 저장된다.

Description

디지털 카메라에서 일시(日時) 스템프를 추가하고 삭제하는 방법{Method for adding and deleting date-time stamp within digital camera}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에서 일시(日時) 스템프를 추가하고 삭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영상에 일시(日時) 스템프를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추가하고 삭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디지털 카메라에 의하면, 사용자가 사진을 촬영할 때에 일시(日時) 스템프의 추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일단 촬영된 영상 즉, 기록 매체에 저장된 영상에 일시 스템프를 추가하고 삭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진을 촬영할 때에 일시 스템프를 추가한 경우, 이 일시 스템프의 영상이 영상과 단순히 합성되어 영상 파일 예를 들어,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구조의 파일에 단순히 저장되기 때문에, 추가된 일시 스템프를 삭제할 수 없다. 이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사진을 촬영할 때에 일시 스템프를 추가하지 않은 경우, 이 영상이 영상 파일에 단순히 저장되기 때문에, 일시 스템프를 추가할 수 없다.
한편, 미국 특허 제6,275,260호의 기술에 의하면, 일단 촬영된 영상에 일시 스템프를 1회 추가할 수는 있지만, 추가된 일시 스템프를 삭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카메라에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영상에 일시(日時) 스템프를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추가하고 삭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입사측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일시(日時) 스템프를 추가하고 삭제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a는, 사용자가 새롭게 일시 스템프를 영상에 추가하고자 원하는 경우에 도 4의 디지털 카메라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 의하여 수행되는 제어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b는, 사용자가 일시 스템프를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 도 4의 디지털 카메라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 의하여 수행되는 제어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c는, 도 6b의 수행 후, 사용자가 영상의 파일 안에 별도로 저장된 일시 스템프를 영상에 다시 추가하고자 원하는 경우, 도 4의 디지털 카메라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 의하여 수행되는 제어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4의 디지털 카메라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 의하여 메모리 카드에 저장되는 영상 파일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영상 파일의 태그 정보 데이터 영역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5...칼라 LCD 패널, m...최종 위치 스텝 수,
1...디지털 카메라, 11...셀프-타이머 램프,
12...플래시, 13...셔터 버튼,
14...모드 다이얼, 15...기능-선택 버튼,
16...촬영-정보 표시부, 17a, 17b...뷰 파인더,
18...기능-블록 버튼, 19...플래시-광량 센서,
20...렌즈부, 21...외부 인터페이스부,
MIC...마이크로폰, SP...스피커,
31...전원 버튼, 32...모니터 버튼,
33...자동-초점 램프, 34...플래시 대기 램프,
36...확인/삭제 버튼, 37...엔터/재생 버튼,
38...메뉴 버튼, 39w...광각-줌 버튼,
39t...망원-줌 버튼, 40up...상향-이동 버튼,
40ri...우향-이동 버튼, 40lo...하향-이동 버튼,
40le...좌향-이동 버튼, OPS...광학계,
41...필터부,
ZL...줌 렌즈, FL...포커스 렌즈,
CL...보상 렌즈, OLPF...광학적 저역통과필터,
IRF...적외선 차단 필터, OEC...광전 변환부,
MZ...줌 모터, MF...포커스 모터,
MA...조리개(aperture) 모터, 501...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502...타이밍 회로, 503...클럭 시계,
504...DRAM, 505...EEPROM,
506...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507...디지털 신호 처리기,
508...RS232C 인터페이스, 509...비데오 필터,
21a...USB 접속부, 21b...RS232C 접속부,
21c...비데오 출력부, 510...렌즈 구동부,
511...플래시 제어기, 512...마이크로제어기,
INP...사용자 입력부, LAMP...발광부,
513...오디오 처리기, 514...LCD 구동부,
35ti...추가 영역의 영상, 35ta, 35tt...일시 스템프의 영상,
D21, ...,D24...일시 스템프 영상 영역.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에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영상에 일시(日時) 스템프를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추가하고 삭제하는 방법으로서, 추가-영역 설정, 추가-영역 저장, 제1 합성-저장, 및 제2 합성-저장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추가-영역 설정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새롭게 일시 스템프를 상기 영상에 추가하고자 원하는 경우, 상기 영상의 크기 및 사용자로부터의 추가 조건에 따라 상기 영상에서의 일시 스템프의 추가 영역이 설정된다. 상기 추가-영역 저장 단계에서는, 상기 설정된 추가 영역의 영상이 상기 영상의 파일 안에 별도로 저장된다. 상기 제1 합성-저장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추가 조건에 따른 일시 스템프가 상기 영상에 합성되어 상기 영상의 파일 안에 저장된다. 상기 제2 합성-저장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일시 스템프를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추가-영역 저장 단계에서 상기 영상 파일 안에 별도로 저장되어 있는 상기 추가 영역의 영상이 상기 영상에 합성되어 상기 영상의 파일 안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상기 일시 스템프의 추가 및 삭제 방법에 의하면, 상기 추가-영역 저장 단계에서 상기 설정된 추가 영역의 영상이 상기 영상의 파일 안에 별도로 저장되고, 이 추가 영역의 영상이 상기 제2 합성-저장 단계에서 상기 영상에 합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추가-영역 설정, 상기 추가-영역 저장, 및 상기 제1 합성-저장 단계들의 수행에 의하여 일시 스템프가 상기 영상에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합성-저장 단계의 수행에 의하여 추가된 일시 스템프가 삭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 합성-저장 단계가 역으로 수행됨에 의하여, 삭제되었던 일시 스템프가 다시 추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상적인 디지털 카메라(1)의 앞쪽에는, 마이크로폰(MIC), 셀프-타이머 램프(11), 플래시(12), 셔터 버튼(13), 모드 다이얼(14), 기능-선택 버튼(15), 촬영-정보 표시부(16), 뷰 파인더(17a), 기능-블록 버튼(18), 플래시-광량 센서(19), 렌즈부(20), 및 외부 인터페이스부(21)가 있다.
셀프-타이머 램프(11)는 셀프-타이머 모드인 경우에 셔터 버튼(13)이 눌려진 시점으로부터 셔터가 동작하는 시점 까지의 설정 시간 동안 동작한다. 모드 다이얼(14)은, 각종 모드들 예를 들어, 정지영상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재생 모드, 컴퓨터 연결 모드, 및 시스템 설정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설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기능-선택 버튼(15)은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1)의 동작 모드들 예를 들어, 정지영상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및 재생 모드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촬영-정보 표시부(16)는 촬영과 관련된 각 기능의 정보가 표시된다. 기능-블록 버튼(18)은 촬영-정보 표시부(16)에 디스플레이된 각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상적인 디지털 카메라(1)의 뒤쪽에는, 스피커(SP), 전원 버튼(31), 모니터 버튼(32), 자동-초점 램프(33), 뷰 파인더(17b), 플래시 대기 램프(34), 디스플레이 패널(35), 확인/삭제 버튼(36), 엔터/재생 버튼(37), 메뉴 버튼(38),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39w), 망원(telephoto)-줌 버튼(39t), 상향-이동 버튼(40up), 우향-이동 버튼(40ri), 하향-이동 버튼(40lo), 및 좌향-이동버튼(40le)이 있다.
모니터 버튼(32)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35)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니터 버튼(32)을 첫번째로 누르면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피사체의 영상 및 그 촬영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두번째로 누르면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피사체의 영상만이 디스플레이되며, 세번째로 누르면 디스플레이 패널(35)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자동-초점 램프(33)는 자동 포커싱 동작이 완료된 때에 동작한다. 플래시 대기 램프(34)는 플래시(도 1의 12)가 동작 대기 상태인 경우에 동작한다. 확인/삭제 버튼(36)은 사용자가 각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확인 버튼 또는 삭제 버튼으로 사용된다. 엔터/재생 버튼(37)은 사용자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재생 모드에서의 정지 또는 재생 등의 기능을 위하여 사용된다. 메뉴 버튼(38)은 모드 다이얼(14)에서 선택된 모드의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데에 사용된다. 상향-이동 버튼(40up), 우향-이동 버튼(40ri), 하향-이동 버튼(40lo), 및 좌향-이동 버튼(40le)도 사용자가 각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사용된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입사측 구조를 보여준다. 도 4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준다.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렌즈부(20)와 필터부(41)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20)는 줌 렌즈(ZL), 포커스 렌즈(FL), 및 보상렌즈(CL)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wide angle)-줌 버튼(도 4의 39w) 또는 망원(telephoto)-줌 버튼(도 4의 39t)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가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ZL)가 이동된다. 즉, 광각(wide angle)-줌 버튼(도 4의 39w)이 눌려지면 줌 렌즈(ZL)의 초점 길이(focal length)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telephoto)-줌 버튼(39t)이 눌려지면 줌 렌즈(ZL)의 초점 길이(focal length)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이와 같은 특성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는 광학계(OPS)의 설계 데이터로부터 줌 렌즈(ZL)의 위치에 대한 화각()을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줌 렌즈(ZL)의 위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포커스 렌즈(FL)의 위치가 조정되므로, 화각()은 포커스 렌즈(FL)의 위치에 대하여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한편, 피사체에 대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초점이 맞추어진 경우, 포커스 렌즈(FL)의 현재 위치는 피사체 거리(Dc)에 대하여 변한다. 여기서, 줌 렌즈(ZL)의 위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포커스 렌즈(FL)의 위치가 조정되므로, 피사체 거리(Dc)는 줌 렌즈(ZL)의 위치에 영향을 받는다. 자동 포커싱 모드에 있어서, 마이크로제어기(512)가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의하여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포커스 렌즈(FL)가 맨 앞쪽에서 맨 뒤쪽으로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영상 신호의 고주파 함량이 가장 많아지는 포커스 렌즈(FL)의 위치 예를 들어, 포커스 모터(MF)의 위치 스텝 수가 설정된다.
보상 렌즈(CL)는 전체적인 굴절율을 보상하는 역할을 하므로 별도로 구동되지 않는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여기서, 지정 노출 모드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따라 조리개 구동 모터(MA)의 회전각이 달라진다. 지정 노출 모드란, 피사 영역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일부 영역이 디지털 카메라의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표시된 지정 검출 영역에 일치되면, 이 지정 검출 영역의 평균 휘도에 대한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노광량을 설정하는 모드를 말한다.
광학계(OPS)의 필터부(41)에 있어서,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LPF, Optical Low Pass Filter)는 고주파 함량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적외선 차단 필터(IRF, 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타이밍 회로(5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5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5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11), 자동-초점 램프(도 4의 33) 및 플래시 대기 램프(도 4의 34)가 포함된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버튼(도 3의 13), 모드 다이얼(도 3의 14), 기능-선택 버튼(도 3의 15), 기능-블록 버튼(도 3의 18), 모니터 버튼(도 4의 32), 확인/삭제 버튼(도 4의 36), 엔터/재생 버튼(도 4의 37), 메뉴 버튼(도 4의 38), 광각-줌 버튼(도 4의 39w), 망원-줌 버튼(도 4의 39t), 상향-이동 버튼(도 4의 40up), 우향-이동 버튼(도 4의 40ri), 하향-이동 버튼(도 4의 40lo), 및 좌향-이동 버튼(도 4의 40le)을 포함한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듬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에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LCD 구동부(5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칼라 LCD 패널(35)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도 5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될 일시(日時) 스템프의 추가 및 삭제 방법을 수행한다.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2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508)와 그 접속부(21b)를 통하여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데오 필터(509) 및 비데오 출력부(21c)를 통하여 비데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5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한편, 마이크로제어기(512)는 플래시-광량 센서(19)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5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2)를 구동한다.
도 5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일시(日時) 스템프를 추가하고 삭제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새롭게 일시 스템프를 영상에 추가하고자 원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도 2 및 4의 35)상의 영상의 크기 및 사용자로부터의 추가 조건에 따라 영상에서의 일시 스템프의 추가 영역이 설정된다(화면 35a 참조). 다음에, 설정된 추가 영역의 영상(35ti)이 영상의 파일 안에 별도로 저장된다(화면 35a 참조). 다음에, 사용자로부터의 추가 조건에 따른 일시 스템프(35ta)가 영상에 합성되어 영상의 파일 안에 저장된다(화면 35b 참조). 이에 따라, 일시스템프의 추가가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일시 스템프를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 추가-영역 저장 단계에서 영상 파일 안에 별도로 저장되어 있는 추가 영역의 영상(35ti)과 일시 스템프의 영상(35tt)이 교환되어 각각 저장된다(화면 35c 및 35d 참조). 이에 따라, 일시 스템프의 삭제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교환이 수행되지 않고 상기 영상 파일 안에 추가 영역의영상(35ti)이 지속적으로 저장된 상태에서, 일시 스템프의 영상(35tt)이 삭제되고 이 삭제 영역에 추가 영역의 영상(35ti)을 복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또다시 일시 스템프를 영상에 추가하고자 원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새로운 일시 스템프의 영상(35ta)이 상기한 바와 같이 추가될 수 있다.
도 4, 5, 및 6a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새롭게 일시 스템프를 영상에 추가하고자 원하는 경우에 디지털 카메라(1)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 의하여 수행되는 제어 알고리듬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추가될 일시(日時), 일시 스템프가 추가될 위치, 및 일시 스템프의 크기를 사용자 입력부(INP) 및 마이크로제어기(512)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 입력된다(단계 A1). 다음에, 영상의 크기 및 사용자로부터의 추가 조건에 따라 영상에서의 일시 스템프의 추가 영역이 설정된다(단계 A2). 다음에 설정된 추가 영역의 영상(35ti)이 복사된다(단계 A3). 다음에, 입력된 추가 조건에 따라 일시 스템프가 영상에 합성된다(단계 A4). 다음에, 복사된 추가 영역의 영상(35ti), 및 합성된 영상이 압축된다(단계 A5). 여기서, 상기 추가 영역의 영상(35ti)은, 상대적으로 작은 양의 영상 데이터를 가지므로, 압축되지 않고 저장될 수도 있다. 다음에, 압축된 추가 영역의 영상, 및 압축된 합성 영상이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를 통하여 기록 매체로서의 메모리 카드의 영상의 파일에 각각 저장된다(단계 A6).
도 4, 5, 및 6b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일시 스템프를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 디지털 카메라(1)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 의하여 수행되는 제어 알고리듬을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시 스템프의 영상(35tt)이 복사된다(단계 B1). 다음에, 영상의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추가 영역의 압축 영상이 복원된다(단계 B2). 다음에, 복원된 추가 영역의 영상(35ti)이 일시 스템프의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원래의 영상에 합성된다(단계 B3). 다음에, 상기 단계 B1에서 복사된 일시 스템프의 영상(35tt), 및 상기 단계 B3에서 합성된 영상이 압축된다(단계 B4). 다음에, 압축된 일시 스템프의 영상, 및 압축된 합성 영상이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를 통하여 기록 매체로서의 메모리 카드의 영상의 파일에 각각 저장된다(단계 B5). 여기서, 상기 일시 스템프의 영상(35tt)은, 상대적으로 작은 양의 영상 데이터를 가지므로, 압축되지 않고 저장될 수도 있다.
도 4, 5, 및 6c를 참조하여, 도 6b의 수행 후, 사용자가 영상의 파일 안에 별도로 저장된 일시 스템프를 영상에 다시 추가하고자 원하는 경우, 디지털 카메라(1)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 의하여 수행되는 제어 알고리듬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설정되어 있는 추가 영역의 영상(35ti)이 복사된다(단계 C1). 다음에, 영상의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일시 스템프의 압축 영상이 복원된다(단계 C2). 다음에, 복원된 일시 스템프의 영상(35tt)이 추가 영역의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원래의 영상에 합성된다(단계 C3). 다음에, 상기 단계 C1에서 복사된 추가 영역의 영상(35ti), 및 상기 단계 C3에서 합성된 영상이 압축된다(단계 C4). 다음에, 압축된 추가 영역의 영상(35ti), 및 압축된 합성 영상이 메모리 카드인터페이스(506)를 통하여 기록 매체로서의 메모리 카드의 영상의 파일에 각각 저장된다(단계 C5). 물론, 상기 추가 영역의 영상(35ti)은, 상대적으로 작은 양의 영상 데이터를 가지므로, 압축되지 않고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 6b의 알고리듬에서, 상기 영상 파일 안에 추가 영역의 영상(35ti)이 지속적으로 저장된 상태에서, 일시 스템프의 영상(35tt)이 삭제되고 이 삭제 영역에 추가 영역의 영상(35ti)을 복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 6c의 알고리듬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새로운 일시 스템프의 영상(35ta)이 상기한 바와 같이 추가될 수 있다.
도 7의 영상 파일의 구조는 ISO(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의 제12,234-1호의 디지털 카메라의 권고 영상 포맷을 따른 EXIF(EXchangeable Image File)의 포맷을 이용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도 4의 디지털 카메라(1)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 의하여 메모리 카드에 저장되는 영상 파일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영상 파일의 시작(Start Of Image)을 알리는 데이터의 저장 영역(M1)이 존재한다. 다음에, 응용 영역들(APPlication segments, M2 내지 M10)이 존재한다. 제1 응용 영역(M2)에는 영상 파일의 기본적 정보라 할 수 있는 태그 정보 데이터가 저장된다. 제2 응용 영역(APP2)에는, 컨텐츠 목록 데이터(M3) 및 스트림 데이터(M4 내지 M10)가 저장된다. 그 다음에 존재하는 JPEG 테이블 영역(M11 내지 M15)은 DQT(Define-Quantization-Tables) 영역(M11), DHT(Define-Huffman-Tables) 영역(M12), DRI(Define-Restart-Interval) 영역(M13), SOF(Discrete CosineTransform Frame) 영역(M14), 및 SOS(Start-Of-Scan) 영역(M15)을 포함한다. 다음에 JPEG 압축 데이터 영역(M16)이 존재한다, 끝으로, 영상 파일의 끝(End Of Image)을 알리는 데이터의 저장 영역(M17)이 존재한다.
여기서, 상기 추가 영역의 영상(도 5의 35ti)이 주 영상에 합성된 경우, 합성된 영상 파일 및 상기 일시 스템프의 영상(도 5의 35tt)이 JPEG 포맷에 의하여 각각 압축되어, JPEG 압축 데이터 영역(M16)에 각각 저장된다. 또한, 상기 일시 스템프의 영상(35tt)이 주 영상에 합성된 경우, 합성된 영상 파일 및 상기 추가 영역의 영상(35ti)이 JPEG 포맷에 의하여 각각 압축되어, JPEG 압축 데이터 영역(M16)에 각각 저장된다. 물론, 상기 일시 스템프의 영상(35tt) 또는 상기 추가 영역의 영상(35ti)은, 상대적으로 작은 양의 영상 데이터를 가지므로, 압축되지 않고 저장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일시 스템프의 영상(35tt) 및 추가 영역의 영상(35ti)중의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가 제1 응용 영역(M2) 안의 특정 영역에 저장되는 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아래에 기술된다.
도 5, 7 및 8을 참조하여, 도 7의 영상 파일의 태그 정보 데이터 영역으로서의 제1 응용 영역(M2, APP1)의 데이터 구조를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응용 영역(APP1)의 마커(Marker)(D1), 제1 응용 영역(APP1)의 데이터 크기(D2), 영상 파일(EXIF)의 헤더(D3), 및 TIFF(Tag Image File Format) 헤더(D4)가 존재한다. 다음에, IFD0(Image File Directory 0) 영역(D5 내지 D16), IFD1(Image File Directory 1) 영역(D17 내지 D20), 및 IFD2(Image File Directory2) 영역(D21 내지 D24)이 존재한다.
IFD0(Image File Directory 0) 영역(D5 내지 D16)은, 주 영상의 디렉토리(D5), 주 영상의 링크 데이터(D6), 주 영상의 위치 데이터(D7), 보조 영상의 디렉토리(D8), 보조 영상의 링크 데이터(D9), 보조 영상의 위치 데이터(D10),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 정보의 디렉토리(D11), 상호운용성의 링크 데이터(D12), 상호운용성 정보의 데이터(D13), 제조회사 정보의 디렉토리(D14), 제조회사 정보의 링크 데이터(D15), 및 제조회사 정보의 데이터(D16)를 포함한다.
IFD1(Image File Directory 1) 영역(D17 내지 D20)은, 주 영상에 대한 썸네일(thumbnail) 영상의 디렉토리(D17), 썸네일 영상의 링크 데이터(D18), 썸네일 영상의 정보 데이터(D19), 및 썸네일 영상의 데이터(D20)를 포함한다.
상기 추가 영역의 영상(도 5의 35ti)이 주 영상에 합성된 경우, IFD2(Image File Directory 2) 영역(D21 내지 D24)에는 JPEG 압축 데이터 영역(M16)에 압축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일시 스템프의 영상(도 5의 35tt)의 정보가 저장된다. 즉, 일시 스템프의 영상(35tt)의 디렉토리(D21), 일시 스템프의 영상(35tt)의 링크 데이터(D22), 일시 스템프의 영상(35tt)의 정보 데이터(D23), 및 일시 스템프의 영상(35tt)의 데이터(D24)가 존재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일시 스템프의 영상(35tt)이 주 영상에 합성된 경우, IFD2(Image File Directory 2) 영역(D21 내지 D24)에는 JPEG 압축 데이터 영역(M16)에 압축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기 추가 영역의 영상(35ti)의 정보가 저장된다. 즉, 추가 영역의 영상(35ti)의 디렉토리(D21), 추가 영역의 영상(35ti)의링크 데이터(D22), 추가 영역의 영상(35ti)의 정보 데이터(D23), 및 추가 영역의 영상(35ti)의 데이터(D24)가 존재한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시 스템프의 추가 및 삭제 방법에 의하면, 상기 추가-영역 저장 단계에서 상기 설정된 추가 영역의 영상이 상기 영상의 파일 안에 별도로 저장되고, 이 추가 영역의 영상이 상기 제2 합성-저장 단계에서 상기 영상에 합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추가-영역 설정, 상기 추가-영역 저장, 및 상기 제1 합성-저장 단계들의 수행에 의하여 일시 스템프가 상기 영상에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합성-저장 단계의 수행에 의하여 추가된 일시 스템프가 삭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 합성-저장 단계가 역으로 수행됨에 의하여, 삭제되었던 일시 스템프가 다시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변형 및 개량될 수 있다.

Claims (5)

  1. 디지털 카메라에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영상에 일시(日時) 스템프를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추가하고 삭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새롭게 일시 스템프를 상기 영상에 추가하고자 원하는 경우, 상기 영상의 크기 및 사용자로부터의 추가 조건에 따라 상기 영상에서의 일시 스템프의 추가 영역을 설정하는 추가-영역 설정 단계;
    상기 설정된 추가 영역의 영상을 상기 영상의 파일 안에 별도로 저장하는 추가-영역 저장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추가 조건에 따른 일시 스템프를 상기 영상에 합성하여 상기 영상의 파일 안에 저장하는 제1 합성-저장 단계; 및
    사용자가 상기 일시 스템프를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추가-영역 저장 단계에서 상기 영상 파일 안에 별도로 저장되어 있는 상기 추가 영역의 영상을 상기 영상에 합성하여 상기 영상의 파일 안에 저장하는 제2 합성-저장 단계를 포함한 일시 스템프의 추가 및 삭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합성-저장 단계에서,
    상기 추가 영역의 영상과 상기 일시 스템프의 영상이 교환되어 각각 저장되는 일시 스템프의 추가 및 삭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합성-저장 단계가,
    상기 제1 합성-저장 단계에서 상기 영상에 합성되어 있는 일시 스템프의 영상을 복사하는 단계;
    상기 영상 파일 안에 별도로 저장되어 있는 상기 추가 영역의 영상을 복원시키는 단계;
    복원된 상기 추가 영역의 영상을 상기 일시 스템프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원래의 영상에 합성시키는 단계;
    복사된 일시 스템프의 영상 상기 합성된 영상을 압축시키는 단계; 및
    압축된 일시 스템프의 영상 및 압축된 합성 영상을 상기 기록 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 일시 스템프의 추가 및 삭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제2 합성-저장 단계에서 상기 영상의 파일 안에 별도로 저장된 상기 일시 스템프를 상기 영상에 다시 추가하고자 원하는 경우, 상기 영상의 파일 안에 별도로 저장된 상기 일시 스템프의 영상과 상기 추가 영역의 영상을 다시 교환하여 각각 저장하는 교환-저장 단계를 더 포함한 일시 스템프의 추가 및 삭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합성-저장 단계들에서,
    상기 합성된 영상이 압축되어 상기 영상의 파일 안에 저장되는 일시 스템프의 추가 및 삭제 방법.
KR10-2002-0073036A 2002-11-22 2002-11-22 디지털 카메라에서 일시(日時) 스템프를 추가하고삭제하는 방법 KR100458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036A KR100458643B1 (ko) 2002-11-22 2002-11-22 디지털 카메라에서 일시(日時) 스템프를 추가하고삭제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036A KR100458643B1 (ko) 2002-11-22 2002-11-22 디지털 카메라에서 일시(日時) 스템프를 추가하고삭제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841A KR20040044841A (ko) 2004-05-31
KR100458643B1 true KR100458643B1 (ko) 2004-12-03

Family

ID=37340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3036A KR100458643B1 (ko) 2002-11-22 2002-11-22 디지털 카메라에서 일시(日時) 스템프를 추가하고삭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864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8168A (ja) * 1992-12-04 1994-06-24 Hitachi Ltd 日付表示装置
JPH06268897A (ja) * 1993-03-12 1994-09-22 Hitachi Ltd 日付表示装置
KR20000041302A (ko) * 1998-12-22 2000-07-15 윤종용 촬영정보의 선택적 표시방법 및 그 장치
US6275260B1 (en) * 1997-09-17 2001-08-14 Flashpoint Technology, Inc. Positioning stamps in images captured with an image capture unit
JP2002174864A (ja) * 2000-12-08 2002-06-21 Konica Corp 写真プリント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8168A (ja) * 1992-12-04 1994-06-24 Hitachi Ltd 日付表示装置
JPH06268897A (ja) * 1993-03-12 1994-09-22 Hitachi Ltd 日付表示装置
US6275260B1 (en) * 1997-09-17 2001-08-14 Flashpoint Technology, Inc. Positioning stamps in images captured with an image capture unit
KR20000041302A (ko) * 1998-12-22 2000-07-15 윤종용 촬영정보의 선택적 표시방법 및 그 장치
JP2002174864A (ja) * 2000-12-08 2002-06-21 Konica Corp 写真プリント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841A (ko) 2004-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526B1 (ko) 찾아가기 기능을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0503039B1 (ko) 사용자가 쉽게 증명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디지털카메라의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US75454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using duplex thumbnail mode
US7456883B2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portable digital apparatus and portable digital apparatus using the method
KR101022469B1 (ko) 디지털 카메라 및 그 파일관리방법
US20050254793A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US20110074964A1 (en)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of
JP4693651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456893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efficient reproduction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US20050117030A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file management method thereof
KR100515961B1 (ko) 재압축을 수행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 방법
KR20050068808A (ko)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관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카메라
KR100458643B1 (ko) 디지털 카메라에서 일시(日時) 스템프를 추가하고삭제하는 방법
KR100515959B1 (ko) 저시력자를 위한 카메라의 제어 방법
KR101080404B1 (ko) 동영상을 정지 영상화하여 트리밍 하는 방법
KR101255205B1 (ko) 디지털 촬영장치의 애니메이션 지아이에프 파일 생성 방법
KR101304466B1 (ko) 연속 촬영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KR101298210B1 (ko) 얼굴 영역이 검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345291B1 (ko)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이 효율적으로 검색되는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0651811B1 (ko) 페이지 단위 이미지 삭제를 위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0673959B1 (ko) 신속한 파일 관리를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070295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이미지에 강조 부분을표시하는 방법
KR20050036252A (ko)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서 날짜 데이터를 사용하여데이터-파일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휴대용 디지털 장치
KR20060082188A (ko) 정확한 인쇄를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JP2004171461A (ja) プログラムアップデート方法および電子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