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7930B1 - 멀티 블레이드 형 루버 - Google Patents

멀티 블레이드 형 루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7930B1
KR100457930B1 KR10-2002-0042909A KR20020042909A KR100457930B1 KR 100457930 B1 KR100457930 B1 KR 100457930B1 KR 20020042909 A KR20020042909 A KR 20020042909A KR 100457930 B1 KR100457930 B1 KR 100457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air
louver
blades
ai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2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9079A (ko
Inventor
김효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테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테크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테크노
Priority to KR10-2002-0042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930B1/ko
Publication of KR20040009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9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9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멀티 블레이드 형 루버는 블레이드의 조립을 편리하게 하면서 공기 흐름을 최대한 원활하게 하고 먼지 및 워터 파티클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루버(L)의 전, 후방에 대향하는 자세로 평행하게 제공되는 판 상의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1, 3)와, 이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의 대향 내측에 다수로 제공되어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의 높이 방향에 대하여 등 간격으로 각각의 전단과 후단이 세트 스크류(11)에 의하여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1, 3)에 각각 고정 장착되어 수직 공간과 수평 방향으로 신장되며 2번 굴곡되어 뱀 형상으로 공기 통로(b)를 형성하는 상, 하 및 내측 블레이드(5, 6, 7)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멀티 블레이드 형 루버 {multi blade type of louver}
본 발명은 빌딩 또는 공조장치의 공기 흐름으로부터 먼지 및 워터 파티클(water particles)을 분리하는 멀티 블레이드 형 루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흐름에 저항으로 작용하여 공기 흐름으로부터 먼지 및 워터 파티클을 분리해 내는 블레이드의 조립을 편리하게 하고 먼지 및 워터 파티클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키는 멀티 블레이드 형 루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또는 공조장치 안으로 들어오는 공기로부터 먼지 및 워터 파티클을 분리하는 기술로써 루버가 알려져 있다.
이 루버는 전형적으로 굴곡되고 공간을 가진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있다. 이 블레이드들은 이웃한 블레이드와의 사이에서 공간을 가진 복수의 뱀 형상의 공기 통로를 한정하게 된다. 이 블레이드가 형성하는 공기 통로는 빌딩 또는 공조장치의 외부로부터 빌딩 또는 공조장치의 내부로 공기 조절을 위한 공기를 유도하게 된다.
이 공기가 공기 통로를 통하여 빌딩 또는 공조장치 안으로 지나갈 때,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먼지 및 워터 파티클은 공기 내의 기체 분자보다 무겁기 때문에 뱀 형상의 윤곽선을 통하여 돌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 워터 분자는 블레이드 벽을 치면서 방울 덩어리로 되어 중력에 의하여 블레이드 아래로 흘러 루버 밖으로 흐르게 된다.
빌딩 또는 공조장치 내부로의 공기 흐름을 지나치게 방해하지 않으면서 일정하고 바람직한 먼지 및 워터 파티클의 제거 율을 달성하기 위하여, 루버의 블레이들은 균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균일한 공간으로 배치되어야 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97787호의 폐열 회수식 냉방장치에 적합한 가습 겸용 냉난방 장치의 우수방진그릴은 블레이드가 하나의 절곡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먼지 및 워터 파티클의 제거 율이 떨어지고, 다수의 블레이드를 균일한 공간과 형상으로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대향 구조의 블레이드 서포트 프레임을 적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다수의 블레이드를 안정된 구조로 견고하게 설치할 수는 있으나 비용 상승 및 공정 증가 및 블레이드 조립을 불편하게 하는 것과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되며, 블레이드 서포트 프레임이 공기 흐름의 전 후방에 설치되어 공기 흐름에 나쁜 영향을 끼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경향들을 감안한 것으로서, 블레이드의 조립을 편리하게 하면서 공기 흐름을 최대한 원활하게 하고 먼지 및 워터 파티클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키는 멀티 블레이드 형 루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멀티 블레이드 형 루버는 공기 흐름으로부터 먼지 및 워터 파티클을 제거하도록 공기 통로를 형성하여 빌딩이나 공조장치의 흡기 개구에 설치되며, 전방과 후방에서 대향하는 자세로 평행하게 제공되고 다수의 드레인 홀을 구비한 판 상의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의 대향 내측에 다수로 제공되어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의 높이 방향에 대하여 등 간격으로 각각의 전단과 후단이 고정 장착되어 수직 공간과 수평 방향으로 신장되는 뱀 형상으로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블레이드는 루버의 상, 하측에 제공되는 상, 하측 블레이드와 이 상, 하측 블레이드 사이에 복수로 제공되는 내측 블레이드로 구성되어 있다.
상, 하측 블레이드는 루버의 상, 하측에서 공기 통로의 일측을 각각 형성하며, 상측 블레이드는 공기 통로로 흐르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또는 워터 파티클을 충돌시켜 방울로 형성시키도록 블레이드의 굴곡된 내면과 경사면의 상측에 공기 흐름에 대하여 수직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신장되는 다수의 돌출 주름을 구비하고, 이 돌출 주름에 의하여 방울로 형성된 물을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의 드레인 홀로 드레인시키도록 블레이드의 경사면 하측에 상기 돌출 주름과 평행하게 신장되는 드레인 채널을 구비하며,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에 세트 스크류로 체결되도록 상기 돌출 주름 및 드레인 채널과 평행하게 신장되는 스크류 체결부를 다수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내측 블레이드는 상, 하측 블레이드의 대향 측에서는 상, 하측 블레이드와 같이 공기 통로의 다른 일측을 형성하고, 연속되는 내측 블레이드 측에서는 굴곡된 내, 외측으로 다른 공기 통로의 각 측을 형성하게 되며, 굴곡된 내면에는 상기 상측 블레이드와 동일한 구조의 돌출 주름과 드레인 채널을 구비하고, 굴곡된 외면에는 공기 통로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또는 워터 파티클을 충돌시키는 수직 공간 돌출부와 공기 통로의 상측에서 떨어지는 물을 드레인시키는 드레인 채널을 더 구비하며, 이 수직 공간 돌출부에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와 세트 스크류로 체결되는 스크류 체결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멀티 블레이드형 루버는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를 판 상으로 구비하여 대향 배치하여 루버의 전, 후방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 상, 하 및 내측 블레이드를 수평 상태로 위치시키고 세트 스크류로 다수의 블레이드를 고정 설치하여 2번 굴곡되는 뱀 형상의 공기 통로를 다층으로 형성하며 상, 하 및 내측 블레이드에 돌출 주름과 드레인 채널 및 수직 공간 돌출부를 구비함으로서, 블레이드의 설치를 편리하게 하고 공기 통로 내에서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면서 공기에 포함된 먼지 및 워터 파티클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블레이드 형 루버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블레이드 형 루버에서 상측 블레이드의 도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블레이드 형 루버에서 내측 블레이드의 도립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블레이드 형 루버에서 공기로부터 먼지 및 워터 파티클을 분리하는 과정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블레이드 형 루버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상태의 간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 :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 5, 6, 7 : 상, 하, 내측 블레이드
9 : 드레인 홀 11 : 세트 스크류
13 : 체결구 15, 21 : 돌출 주름
17, 23, 27 : 드레인 채널 19, 29 : 스크류 체결부
25 : 수직 공간 돌출부 a : 공기 흐름
b : 공기 통로 L : 루버
본 발명의 이점과 장점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함으로서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블레이드 형 루버의 분해 사시도로서, 빌딩이나 공조장치의 흡기 개구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공기 통로를 형성하여 이 공기 통로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a)으로부터 먼지 및 워터 파티클을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멀티 블레이드 형 루버는 그 외곽의 전방과 후방을 형성하는 판 상의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1, 3)와, 이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1, 3) 사이에 수평 상태로 설치되어 다층의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상, 하 및 내측 블레이드(5, 6, 7)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1, 3)는 상, 하 및 내측 블레이드(5, 6, 7)에 의하여 루버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기 통로의 폭 방향 양측을 한정하게 되고, 먼지 및워터 파티클에 의하여 형성되는 물방울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드레인 홀(9)을 구비하고 있다. 상, 하 및 내측 블레이드(5, 6, 7)는 그 자체의 2번 굴곡된 상태로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1, 3) 사이에 설치되어 뱀 형상으로 굴곡되는 다층의 공기 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이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1, 3)는 루버에서 전방과 후방의 외곽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 하 및 내측 블레이드(5, 6, 7)를 고정 설치케 하는 것으로서, 상, 하 및 내측 블레이드(5, 6, 7)의 설치를 위하여 요구될 수 있는 별도의 구성요소를 불필요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1, 3)는 세트 스크류(11)에 의하여 상, 하 및 내측 블레이드(5, 6, 7)를 체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구(1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체결구(13)는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1, 3) 사이에 설치되는 상, 하 및 내측 블레이드(5, 6, 7)의 배치 간격에 상응하는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1, 3)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1, 3) 사이에 설치되는 상, 하 및 내측 블레이드(5, 6, 7)는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1, 3)의 높이 방향에 대하여 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각각의 전단과 후단으로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1, 3)에 고정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이웃하는 상, 하 및 내측 블레이드(5, 6, 7)는 수직 공간을 형성하면서 수평 방향으로는 자체 2번 굴곡에 의한 뱀 형상의 공기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상, 하측 블레이드(5, 6)는 내측 블레이드(7)로 대체되어 부품의 공용화를 꾀할 수도 있으나, 루버 전체의 외관이나 취급의 편리를위하여 본 실시 예에서는 상, 하측 블레이드(5, 6) 상호간 및 내측 블레이드(7)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즉 상, 하측 블레이드(5, 6)는 루버(L)에서 상, 하측 공기 통로를 형성하고, 복수의 내측 블레이드(7)는 상, 하측 블레이드(5, 6) 사이에서 복수의 공기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상, 하측 블레이드(5, 6)는 루버의 상, 하측에 제공되어 루버의 상, 하측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여기서는 다르게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측 블레이드(5)는 그 내면으로 동일한 구조의 공기 통로의 일측, 즉 최상측 공기 통로의 상측을 형성하고, 하측 블레이드(6)는 그 외면으로 동일한 구조의 공기 통로의 일측, 즉 최하측 공기 통로의 하측을 각각 형성한다.
이 상측 블레이드(5)는 공기 통로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또는 워터 파티클을 제거하기 위하여 굴곡된 내면과 경사면 상측에 돌출 주름(15)을 다수로 구비하고 있다. 상측 블레이드(5)는 굴곡된 내면을 공기 흐름(a) 방향에 대하여 2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가 한번 통과하더라도 공기로부터 먼지 또는 워터 파티클을 제거하는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돌출 주름(15)은 먼지 및 워터 파티클을 충돌시켜 물방울로 형성시키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흐름(a)에 대하여 수직하면서 수평 방향(도 1, 2에서는 루버의 전후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블레이드(5)는 경사면 하측에 돌출 주름(15)과 같은 방향으로 드레인 채널(17)을 구비하고 있다. 이 드레인 채널(17)은 돌출 주름(15)에 충돌된 먼지 및 워터 파티클에 의하여 형성되어 경사면을 타고 내려오는 물방울을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1, 3)의 드레인 홀(9)로 안내하여 배출되게 한다.
그리고, 상측 블레이드(5)는 스크류 체결부(19)를 다수로 구비하고 있다. 이 스크류 체결부(19)는 상측 블레이드(5)를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3, 5) 사이에 세트 스크류(11)로 체결하도록 돌출 주름(15) 및 드레인 채널(17)과 마찬가지로 공기 흐름(a)에 대하여 수직하면서 수평 방향(도 1, 2에서는 루버의 전후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출 주름(15), 드레인 패널(17) 그리고 스크류 체결부(19)들이 상측 블레이드(5)의 길이 방향, 즉 공기 흐름(a)에 대한 수직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측 블레이드(5)는 사출로 성형된 긴 부재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루버의 상측에 적용할 수 있게 한다. 이 상측 블레이드(5)의 절단되는 길이는 루버에 형성되는 공기 통로의 폭 크기를 한정하게 된다.
그리고, 하측 블레이드(6)는 그 외면을 후술하게 될 내측 블레이드(7)의 외면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측 블레이드(5)와 같이 사출로 성형된 긴 부재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루버의 하측에 적용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상, 하측 블레이드(5, 6)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내측 블레이드(7)는 외측 블레이드(5)의 굴곡된 형상과 동일하게 굴곡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 하측 블레이드(5, 6) 대향 측에서는 상, 하측 블레이드(5, 6)와 함께 공기 통로의 다른 일측을 형성하게 되고, 연속되는 다른 내측 블레이드(7)의 대향 측에서는 다른 내측 블레이드(7)와 함께 다른 공기 통로의 일측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내측 블레이드(7)를 상, 하측 블레이드(5, 6) 사이에 높이 방향으로 균등하게 설치하게 되면 루버에는 동일한 간격의 공기 통로가 다층으로 형성된다.
이 내측 블레이드(7)의 굴곡된 내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상측 블레이드(5)의 굴곡된 내면과 동일한 구조의 돌출 주름(21)과 드레인 채널(23)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돌출 주름(21)과 드레인 채널(23)은 상측 블레이드(5)의 굴곡된 내면에 형성된 돌출 주름(15)과 드레인 채널(17)의 작용 효과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 내측 블레이드(7)는 상, 하측 블레이드(5, 6)가 루버의 외측을 형성하는 것과는 달리 인접하는 공기 통로의 양측을 형성하기 때문에 굴곡된 내면뿐만 아니라 굴곡된 외면에 수직 공간 돌출부(25)와 드레인 채널(27)을 더 구비하고 있다.
이 수직 공간 돌출부(25)는 루버 내에 형성되는 공기 통로를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먼지 또는 워터 파티클을 제거하도록 굴곡된 외면에 돌출되어 공기 흐름에 상당한 저항으로 작용하도록 공기 흐름(a) 방향의 유입측이 개방되어 있고 유출측이 폐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내측 블레이드(7)의 외면에 구비된 드레인 채널(27)은 수직 공간 돌출부(25)와 동일한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어 공기 통로의 상측에서 떨어지는 물방울을 모아서 드레인 홀(9)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 내측 블레이드(7)는 상, 하측 블레이드(5, 6)와 같이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1, 3)의 체결구(13)에 세트 스크류(11)로 체결 고정시키도록 수직 공간 돌출부(25)에 스크류 체결부(29)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상, 하 및 내측 블레이드(5, 6, 7)를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1, 3) 사이에 설치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기 통로(b)가 루버(L) 내에 다층으로 형성된다. 여기서는 이웃하는 2개의 내측 블레이드(5, 5)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기 통로(b)를 예시하고 있다.
먼지 및 워터 파티클을 포함하고 있는 공기가 루버(L)로 유입되면 뱀 형상으로 굴곡된 공기 통로(b)를 통과하게 된다. 이 공기 통로(b)를 통과하는 공기는 인접한 2개의 내측 블레이드(5, 5)의 경사면과 굴곡된 내면에 형성된 돌출 주름(21)에 부딪히게 된다. 이때 공기에 포함된 먼지 및 워터 파티클(p)은 공기보다 무거워서 물방울로 응축되어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이 물방울은 내측 블레이드(5)의 드레인 채널(23, 27)에 모여져서 전, 후 플레이트(1, 3)의 드레인 홀(9)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이 공기 통로(b)를 통과하는 공기는 인접한 2개의 내측 블레이드(5, 5)의 굴곡된 외면에 형성된 수직 공간 돌출부(25)에 부딪히게 된다. 이때 공기에 포함된 먼지 및 워터 파티클(p)은 공기보다 무거워서 수직 공간 돌출부(25)를 돌아 나가지 못하고 물방울로 응축되어 드레인 채널(23, 27)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루버(L)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빌딩이나 공조장치의 흡기 개구가 넓은 경우 수직 방향으로 여러 개를 쌓아진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블레이드형 루버는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를 판 상으로 구비하여 대향 배치하여 루버의 전, 후방을 형성하고, 이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상, 하 및 내측 블레이드를 수평 상태로 위치시키고 세트 스크류로 이들 블레이드를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하여 루버 내에 2번 굴곡되는 뱀 형상의 공기 통로를 다층으로 형성하면서 상, 하 및 내측 블레이드에 돌출 주름과 드레인 채널 및 수직 공간 돌출부를 구비함으로서 공기에 포함된 먼지 및 워터 파티클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공기 흐름을 형성하면서 아울러 상, 하 및 내측 블레이드를 설치하기 위하여 별도의 블레이드 서포트 프레임을 사용하던 종래기술에 비하여 블레이드의 조립 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공기 흐름을 양호하게 한다.

Claims (1)

  1. 공기 흐름으로부터 먼지 및 워터 파티클을 제거하도록 공기 통로를 형성하여 빌딩이나 공조장치의 흡기 개구에 설치되는 멀티 블레이드형 루버에 있어서,
    상기 루버(L)의 전, 후방에 대향하는 자세로 평행하게 제공되고 다수의 드레인 홀(13)을 구비한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1, 3)와, 이 전, 후 베이스 플레이트(1, 3)의 대향 내측에 등 간격 높이로 각각의 전, 후단이 고정 장착되어 수직 공간과 수평 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공기 통로(b)를 형성하는 상, 하 및 내측 블레이드(5, 6, 7)를 포함하며,
    상기 상, 하측 블레이드(5, 6)는 상, 하측에서 공기 통로(b)의 각 일측을 형성하며, 상측 블레이드(5)는 굴곡된 내면과 경사면의 상측에 공기 흐름(a)에 대하여 수직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신장되는 다수의 돌출 주름(15)을 구비하고, 경사면 하측에 상기 돌출 주름(15)과 평행하게 신장되는 드레인 채널(17)을 구비하며, 상기 돌출 주름(15) 및 드레인 채널(17)과 평행하게 신장되는 스크류 체결부(19)를 다수로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내측 블레이드(7)는 굴곡된 내면에 상기 상측 블레이드(5)와 동일한 구조의 돌출 주름(21)과 드레인 채널(23)을 구비하고, 굴곡된 외면에 공기 통로(b)로 돌출되어 공기 유입측이 개방된 수직 공간 돌출부(25)와 이 수직 공간 돌출부(25)와 동일한 방향으로 신장된 드레인 채널(27)을 더 구비하며, 이 수직 공간 돌출부(25)에 세트 스크류(11)가 체결되는 스크류 체결부(29)를 구비하고 있는 멀티 블레이드 형 루버.
KR10-2002-0042909A 2002-07-22 2002-07-22 멀티 블레이드 형 루버 KR100457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909A KR100457930B1 (ko) 2002-07-22 2002-07-22 멀티 블레이드 형 루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909A KR100457930B1 (ko) 2002-07-22 2002-07-22 멀티 블레이드 형 루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790U Division KR200293299Y1 (ko) 2002-07-22 2002-07-22 멀티 블레이드 형 루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079A KR20040009079A (ko) 2004-01-31
KR100457930B1 true KR100457930B1 (ko) 2004-12-03

Family

ID=37318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2909A KR100457930B1 (ko) 2002-07-22 2002-07-22 멀티 블레이드 형 루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79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079A (ko) 200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05482C2 (ru) Фильтрова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вытяжного колпака и вытяжной колпак
US20030164093A1 (en) Two stage air filter
JP5027904B2 (ja) ルーバー構造の通気口を備えたエンジン駆動作業機
US20080202083A1 (en) Grease filter
US3413905A (en) Air intake
EP1813877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6435268B1 (en) Evaporator with improved condensate drainage
US20100193165A1 (en) Highly efficient environment-friendly air type heat exchanger
EP0769664B1 (en) Filter casing
KR100457930B1 (ko) 멀티 블레이드 형 루버
KR200293299Y1 (ko) 멀티 블레이드 형 루버
JPH08334277A (ja) ルームエアコン用エバポレータ
KR200307257Y1 (ko) 공기조화 시스템
JP4920618B2 (ja) 空気調和機
JP3608385B2 (ja) 空気調和機
CN113137743A (zh) 挡水板组件及具有其的组合式空调
JPH08332331A (ja) 暖房・換気・冷房用の局域型空調装置
US6151906A (en) Condensate collection system for a room air conditioner
JP2000161705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6090694A (ja) 空気調和機
EP0132872B1 (en) Ventilation appliance
JP3055436B2 (ja) 空気調和装置
JPH0334569Y2 (ko)
KR200312184Y1 (ko) 팬코일 유닛
JPH069643B2 (ja) 換気装置用フイ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