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7306B1 -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7306B1
KR100457306B1 KR10-2002-0001648A KR20020001648A KR100457306B1 KR 100457306 B1 KR100457306 B1 KR 100457306B1 KR 20020001648 A KR20020001648 A KR 20020001648A KR 100457306 B1 KR100457306 B1 KR 100457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st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0621A (ko
Inventor
오스카슈지
가와사키히데지
가슈히로미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0412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20926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83478A external-priority patent/JP3545354B2/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0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3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4Mobility data transfer between corresponding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6Mobility data transfer selectively restricting mobility data tr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계하는 위치정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는, 휴대전화기(A) 및 휴대전화기(B)는 공히 위치정보서비스센터와 접속 가능하며, 휴대전화기(A)는, GPS처리회로(21)에 의한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위치정보를 작성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입력조작에 따라 하나 혹은 복수의 휴대전화기의 전화번호로 이루어지는 리스트를 작성하고, 작성한 위치정보 및 리스트데이터를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 송신한다. 휴대전화기(B)로부터 그 센터에 정보제공 요구신호가 공급되면, 그 센터 내에 설치된 서버는, 상기 리스트데이터에 휴대전화기(B)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한하여 휴대전화기(A)의 위치정보를 휴대전화기(B)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휴대전화기(A) 소지자의 프라이버시를 확실히 보호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정보 제공시스템을 실현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통신기기의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다른 휴대전화기 등의 통신단말장치의 소지자에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으로 실용화되고 있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의 측위(側位)기능을 갖는 휴대전화기가 알려져 있으며, 근년에, 이러한 종류의 휴대전화기의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다른 휴대전화기의 소지자에 제공하는 서비스가 행해지고 있다.
도 20 및 도 21은, 상기 위치정보 제공서비스를 이용한 2개의 위치정보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위치정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는, 휴대전화기(E) 및 휴대전화기(F)는 공히, 기지국(도시생략)을 통하여 위치정보서비스센터(6)와 접속 가능하다.
휴대전화기(E)는 GPS측위기능을 갖고 있으며, 그 휴대전화기(E)에 있어서는, GPS위성(4)으로부터 송신된 GPS위치데이터가 수신되며, 수신된 위치데이터에 기초하여 자기위치의 위도 및 경도로 이루어지는 위치정보가 작성된다.
작성된 위치정보는, 기지국을 통하여 위치정보서비스센터(6)에 공급되며, 위치정보서비스센터(6)에서는, 그 위치정보는, 휴대전화기(E)의 식별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60)에 격납된다.
휴대전화기(F)로부터 휴대전화기(E)의 위치정보의 제공을 요구하는 정보제공요구신호가 기지국을 통하여 위치정보서비스센터(6)에 공급되면, 위치정보서비스센터(6)에서는, 공급된 정보제공요구신호에 포함되는 패스워드가 휴대전화기(E)의 패스워드와 일치하는가의 여부가 판단되며, 양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에, 휴대전화기(E)의 위치정보가 위치정보서비스센터(6)로부터 기지국을 통하여 휴대전화기(F)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하여, 휴대전화기(F)의 소지자는, 휴대전화기(E)의 패스워드를 알고 있는 경우에만, 휴대전화기(E) 소지자의 현재위치를 알 수가 있다.
한편, 도 21에 나타내는 위치정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는, 휴대전화기(G) 및 휴대전화기(H)는 공히, 기지국(도시생략)을 통하여 위치정보서비스센터(7)와 접속 가능하다.
휴대전화기(G)는 GPS측위 기능을 갖고 있으며, 그 휴대전화기(G)에 있어서는, GPS위성(4)으로부터 송신된 GPS위치데이터가 수신되며, 수신된 위치데이터에 기초하여 자기위치의 위도 및 경도로부터 위치정보가 작성된다.
작성된 위치정보는 내장메모리에 격납된다.
휴대전화기(H)로부터 휴대전화기(G) 위치정보의 제공을 요구하는 정보제공요구신호가 기지국을 통하여 위치정보서비스센터(7)에 공급되면, 위치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정보송신요구신호가 위치정보서비스센터(7)로부터 휴대전화기(G)에 공급된다. 휴대전화기(G)에서는, 정보송신요구신호에 포함되는 패스워드가 자기의 패스워드와 일치하는가 아닌가가 판단되며, 양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에, 그 휴대전화기(G)의 위치정보가 휴대전화기(G)로부터 기지국 및 위치정보서비스센터(7)를 통하여 휴대전화기(H)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하여, 휴대전화기(H)의 소지자는, 휴대전화기(G)의 패스워드를 알고 있는 경우에만, 휴대전화기(G) 소지자의 현재위치를 알 수가 있다.
상기 2개의 위치정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의 패스워드를 알고 있는 자에게만 그 휴대전화기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휴대전화기 소지자의 프라이버시 보호가 도모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2개의 위치정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는, 휴대전화기의 소지자가 자기의 패스워드를 가르쳐 준 상대방일지라도, 자기의 현재위치를 알리고 싶지 않은 시간대를 갖는 경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패스워드를 알고 있는 상대가,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 위치정보의 제공을 요구하면, 항시 그 소지자의 현재위치를 알 수 있으므로, 휴대전화기 소지자의 프라이버시를 확실히 보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전화기 등의 휴대통신기기 소지자의 프라이버시를 확실히 보호할 수 있는 위치정보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제 1 및 제 2실시예의 위치정보 제공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상기 휴대통신기의 디스플레이 표시되는 리스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제 1실시예의 휴대전화기(A)의 제어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위치정보 송신제어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5는, 상기 제어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리스트데이터 처리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6은, 제 1실시예의 휴대전화기(B)에 있어서 실행되는 위치정보 취득제어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7은,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의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 설치된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위치정보 제공제어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8은, 제 2실시예의 휴대전화기(A')의 제어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리스트데이터 처리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9는, 제 3실시예의 휴대전화기(A")의 제어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위치정보송신 제어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10은, 상기 제어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측위기능 ON/OFF 제어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11은, 제 3실시예의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 설치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위치정보 제공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12는, 제 4 내지 제 6실시예의 위치정보 제공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3은, 제 4실시예의 휴대전화기(C)의 제어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위치정보 격납제어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14는, 상기 제어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리스트데이터 처리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15는, 상기 제어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위치정보제공 제어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16은, 제 5실시예의 휴대전화기(C')의 제어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리스트데이터 처리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17은, 제 6실시예의 휴대전화기(C")의 제어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위치정보 격납제어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18은, 상기 제어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측위기능 ON/OFF제어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19는, 상기 제어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위치정보 제공제어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20은, 종래의 제 1위치정보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1은, 종래의 제 2위치정보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위치정보 서비스센터 4. GPS위성
10. 제어회로 11. 안테나
12. 듀플렉서 13. 수신회로
14. 송신회로 15. 스피커
17. 메모리, 18. LCD
19. 키입력장치
본 발명의 제 1의 위치정보 제공시스템은, 자기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무선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통신기기와, 휴대통신기기로부터 송신된 위치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그 위치정보를 하나 혹은 복수의 통신단말장치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정보 제공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통신기기는, 사용자에 의한 정보입력조작에 따라, 하나 혹은 복수의 통신단말장치에 대한 위치정보제공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리스트를 작성하는 리스트 작성수단과,
상기 작성된 리스트의 데이터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위치정보 제공장치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 위치정보 제공장치는,
휴대통신기기로부터의 리스트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리스트데이터를 등록하기 위한 리스트 등록수단과,
수신된 리스트데이터를 리스트등록수단에 등록하는 정보처리수단과,
통신단말장치로부터의 위치정보요구지령을 받아, 상기 리스트 등록수단에 등록되어 있는 리스트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통신단말장치에 대한 위치정보의 제공이 인정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위치정보의 제공이 인정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휴대통신기기의 위치정보를 상기 통신단말장치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1의 위치정보 제공시스템의 휴대통신기기에 있어서는, 그 기기의 소지자에 의한 정보입력조작에 따라, 하나 혹은 복수의 통신단말장치에 대한 위치정보제공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리스트가 작성된다. 이와 같이하여 작성된 리스트의 데이터는, 위치정보 제공장치에 송신되며, 위치정보 제공장치의 리스트 등록수단에 등록된다.
그 후, 통신단말장치로부터 위치정보 제공장치에 위치정보 요구지령이 제공되면, 위치정보 제공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등록된 리스트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통신단말장치에 대한 위치정보의 제공이 인정되고 있는가 아닌가가 판단되며, 위치정보의 제공이 인정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한하여, 그 통신단말장치에 상기 휴대통신기기의 위치정보가 송신된다.
상기 위치정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는, 위치정보 요구지령을 발신한 통신단말장치에 대한 위치정보의 제공이 인정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휴대통신기기의 위치정보가 그 통신단말장치에 송신되는 일은 없어, 휴대통신기기 소지자의 현재위치가 그 통신단말장치의 소지자에게 알려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휴대통신기기 소지자의 프라이버시를 확실히 보호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2의 위치정보 제공시스템은, 휴대통신기기와 위치정보 제공장치를 구비하고, 휴대통신기기는,
위성 및/또는 지상에 위치된 복수의 위치기준국으로부터의 위치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된 위치데이터에 기초하여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위치측정수단과,
상기 측정된 위치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위치정보 제공장치에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사용자에 의한 위치측정 정지조작에 따라, 상기 위치측정수단의 정보측정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 위치정보 제공장치는,
휴대통신기기로부터의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휴대통신기기의 위치정보를 격납하기 위한 위치정보격납수단과,
수신된 위치정보를 위치정보격납수단에 격납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정보처리수단과,
통신단말장치로부터의 위치정보 요구지령을 받아, 일정시간전의 시점으로부터 그 지령수신시점까지의 사이에 상기 휴대통신기기의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격납수단에 격납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일정시간전의 시점으로부터 지령수신시점까지의 사이에 상기 휴대통신기기의 위치정보가 격납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 한하여, 그 위치정보를 상기 통신단말장치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휴대통신기기에 있어서는, 복수의 위치기준국으로부터의 위치데이터에 기초하여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동작이 반복하여 실행되며, 위치정보가 판정될 때마다, 그 위치정보는, 위치정보 제공장치에 송신된다. 위치정보 제공장치에 있어서는, 휴대통신기기로부터 송신된 위치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그 위치정보가 위치정보격납수단에 격납된다.
이 상태에서, 통신단말장치로부터 위치정보 제공장치에 위치정보요구지령이 공급되면, 일정시간전의 시점으로부터 그 지령수신시점까지의 사이에 휴대통신기기의 위치정보가 위치정보격납수단에 격납되었다고 판단되어, 그 통신단말장치에 상기 휴대통신기기의 위치정보가 송신된다.
상기 제 2의 위치정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는, 휴대통신기기의 소지자는, 자기의 현재위치를 알리고 싶지 않은 시각이 도래한 때, 그 시점에서 위치측정 정지조작을 행한다. 그 조작이 행해지면, 위치측정수단에 의한 위치정보측정동작이 정지되며, 이 결과, 휴대통신기기로부터 위치정보 제공장치에 대한 위치정보의 송신처리가 정지되어, 위치정보 제공장치에 있어서는, 위치정보격납수단으로의 위치정보의 격납처리가 정지되는 것으로 된다.
이 상태에서, 통신단말장치로부터 위치정보 제공장치에 위치정보 요구지령이 공급되면, 일정시간전의 시점으로부터 그 지령수신시점까지의 사이에 휴대통신기기의 위치정보가 위치정보격납수단에 격납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그 통신단말장치에 상기 휴대통신기기의 위치정보가 송신되는 일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통신기기의 소지자는, 자기의 현재위치를 알리고 싶지 않은 시각이 도래한 시점에서 위치측정 정지조작을 행하지 않고, 그후, 위치정보 제공장치로부터 통신단말장치에 그 휴대통신기기의 위치정보가 통신되는 일은 없어, 휴대통신기기 소지자의 현재위치가 통신단말장치의 소지자에게 알려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휴대통신기기 소지자의 프라이버시를 확실히 보호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3의 위치정보 제공시스템은, 휴대통신기기와 위치정보 제공장치를 구비하고, 휴대통신기기는,
위성 및/또는 지상에 배치된 복수의 위치기준국으로부터의 위치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된 위치데이터에 기초하여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위치측정수단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위치측정 정지시각이 설정되는 시각설정수단과,
시각설정수단에 설정되어 있는 위치측정 정지시각의 도래를 검지하는 시각검지수단과,
상기 측정된 위치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위치정보 제공장치에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시각 검지수단에 의해 위치결정 정지시각의 도래가 검지된 때에, 상기 위치측정수단의 정보측정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 위치정보 제공장치는,
휴대통신기기로부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휴대통신기기의 위치정보를 격납하기 위한 위치정보격납수단과,
수신된 위치정보를 위치정보격납수단에 격납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정보처리수단과,
통신단말장치로부터의 위치정보 요구지령을 받아, 일정시간 전의 시점으로부터 그 지령수신 시점까지의 사이에 상기 휴대통신기기의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격납수단에 격납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일정시간전의 시점으로부터 지령수신시점까지의 사이에 상기 휴대통신기기의 위치정보가 격납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 한하여, 그 위치정보를 상기 통신단말장치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휴대통신기기에 있어서는, 복수의 위치기준국으로부터의 위치데이터에 기초하여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동작이 반복하여 실행되며, 위치정보가 측정될 때마다, 그 위치정보는, 위치정보 제공장치에 송신된다.
위치정보 제공장치에 있어서는, 휴대통신기기로부터 송신된 위치정보가 송신될 때마다, 그 위치정보가 위치정보격납수단에 격납된다.
이 상태에서, 통신단말장치로부터 위치정보 제공장치에 위치정보요구지령이 공급되면, 일정시간전의 시점으로부터 그 지령수신시점까지의 사이에 휴대통신기기의 위치정보가 위치정보격납수단에 격납되었다고 판단되어, 그 통신단말장치에 상기 휴대통신기기의 위치정보가 송신된다.
상기 제 3의 위치정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는, 휴대통신기기의 소지자는, 미리, 자기의 현재위치가 알려지고 싶지 않은 시간대의 개시시각을 위치측정 정지시각으로서 설정해 둔다.
그 후, 위치측정 정지시각이 도래하면, 그 시점에서 위치측정수단에 의한 위치정보측정동작이 정지되며, 이 결과, 휴대통신기기로부터 위치정보 제공장치에 대한 위치정보의 송신처리가 정지되어, 위치정보 제공장치에 있어서는, 위치정보격납수단에 대한 위치정보의 격납처리가 정지되는 것으로 된다.
이 상태에서, 통신단말장치로부터 위치정보 제공장치에 위치정보요구지령이 공급되면, 일정시간 전의 시점으로부터 그 지령수신시점까지의 사이에 휴대통신기기의 위치정보가 위치정보격납수단에 격납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그 통신단말장치에 상기 휴대통신기기의 위치정보가 송신되는 일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통신기기의 소지자는, 자기의 현재위치를 알리고 싶지 않은 시간대의 개시시각을 설정해두면, 그 시각이 도래한 후, 위치정보 제공장치로부터의 통신단말장치에 그 휴대통신기기의 위치정보가 송신되는 일은 없어, 휴대통신기기 소지자의 현재위치가 통신단말장치의 소지자에게 알려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휴대통신기기 소지자의 프라이버시를 확실히 보호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휴대통신기기 소지자의 프라이버시를 확실히 보호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6개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제 1실시예)
본 실시예의 위치정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휴대전화기(A) 및 휴대전화기(B)는 공히, 기지국(도시생략)을 통하여 위치정보서비스센터(3)와 접속 가능하다.
휴대전화기(A)는 GPS측위기능을 갖고 있으며, 그 휴대전화기(A)에 있어서는, GPS위성(4)으로부터 송신된 GPS위치데이터가 수신되며, 수신된 위치데이터에 기초하여 자기위치의 위도 및 경도로 이루어지는 위치정보가 작성된다. 작성된 위치정보는, 기지국(도시생략)을 통하여 위치정보서비스센터(3)에 공급된다.
위치정보서비스센터(3)에는, 서버(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정보서비스센터(3)에 공급된 위치정보는, 휴대전화기(A)의 식별정보, 예를 들면 전화번호와 함께, 서버 내에 구축된 데이터서버(30)에 격납된다.
본 실시예의 위치정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는, 휴대전화기(A)의 소지자는, 그 전화기에 대하여, 자기의 현재위치를 알리고 싶지 않은 상대방 휴대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에 리스트 작성조작을 행한다. 그 조작이 행해지면, 입력된 하나 혹은 복수의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위치확인 불가능 리스트가 작성되며, 그 위치확인 불가능 리스트의 데이터는, 휴대전화기(A)로부터 기지국을 통하여 위치정보서비스센터(3)에 공급된다. 위치정보서비스센터(3)에 있어서는, 그 리스트데이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0)에 등록된다.
휴대전화기(B)로부터 휴대전화기(A)에 대한 위치정보의 제공을 요구하는 정보제공요구신호가 기지국을 통하여 위치정보서비스센터(3)에 공급되면, 위치정보서비스센터(3)에서는, 정보제공요구신호에 포함되는 패스워드가 휴대전화기(A)의 패스워드와 일치하는가 아닌가가 판단되며, 양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에 또한, 휴대전화기(A)의 리스트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30)에 등록되어 있는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휴대전화기(A)의 리스트데이터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휴대전화기(A)의 위치정보가 위치정보서비스센터(3)로부터 휴대전화기(B)에 공급된다.
한편, 휴대전화기(A)의 리스트데이터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또한, 그 리스트데이터에 휴대전화기(B)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는가 아닌가가 판단되며, 휴대전화기(B)의 전화번호가 리스트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휴대전화기(A)의 위치정보가 위치정보서비스센터(3)로부터 휴대전화기(B)에 공급된다. 휴대전화기(B)의 전화번호가 상기 리스트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휴대전화기(A)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위치확인 불가능 메시지가 위치정보서비스센터(3)로부터 휴대전화기(B)에 공급된다.
또, 휴대전화기(A)로부터 위치정보서비스센터(3)에 리스트 취소신호가 공급되면, 위치정보서비스센터(3)에서는, 휴대전화기(A)의 리스트데이터의 등록이 취소된다.
도 2는, 상기 휴대전화기(A)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듀플렉서(12)에 대하여 병렬로 수신회로(13) 및 송신회로(14)가 접속되어 있으며, 전화안테나(11)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듀플렉서(12)를 경유하여 수신회로(13)에 공급되어, 수신신호가 복조된다. 그 수신신호는, 제어회로(10)를 경유하여 스피커(15)로 공급되어 음향을 낸다. 또, 마이크로폰(16)에 입력된 송화(送話)신호는, 제어회로(10)를 경유하여 송신회로(14)로 공급되며, 변조를 받는다. 변조를 받은 송화신호는, 듀플렉서(12)를 경유하여 전화안테나(11)로부터 송신된다.
상기 제어회로(10)에는, 전화번호, 수신메일 등의 각종의 데이터를 격납하기 위한 메모리(17)가 접속됨과 동시에, 이들의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LCD(액정디스플레이)(18) 및 복수의 조작키로 이루어지는 키입력장치(19)가 접속되어 있다.
GPS안테나(20)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GPS처리회로(21)에 공급된다. GPS처리회로(21)에서는, 상기 수신신호에 기초하여 자기위치의 위도 및 경도, 현재일시 등이 측정되고, 그 측정결과가 상기 제어회로(10)에 공급된다. 제어회로(10)에서는, 그 측정결과에 포함되는 위도 및 경도로부터 위치정보가 작성되며, 작성된 위치정보는 송신회로(14)에 공급되고, 변조를 받는다. 변조를 받은 위치정보는, 듀플렉서(12)를 경유하여 전화안테나(11)로부터 송신된다.
도 4는, 상기 휴대전화기(A)의 제어회로(10)에 의해 실행되는 위치정보 송신제어수순을 나타내고 있다. 전화기본체의 전원이 ON에 설정되면,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스텝 S1에서는, 위치정보서비스 ON모드가 선택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1에서 같은 판단을 반복하는 한편,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2로 이행하여, 위치정보서비스기능을 ON으로 설정한다. 이어서 스텝(S3)에서는, GPS처리회로(21)로부터 얻어지는 측정결과에 포함되는 위도 및 경도로부터 위치정보를 작성한 후, 스텝 S4에서는, 상기 작성한 위치정보를 위치정보서비스센터(3)에 송신하여, 스텝 S3으로 돌아간다.
상기 수순에 의하면, 위치정보가 정기적으로 작성되며, 위치정보가 작성될 때마다, 그 위치정보가 위치정보서비스센터(3)에 송신된다.
도 5는, 상기 휴대전화기(A)의 제어회로(10)에 의해 실행되는 리스트데이터 처리수순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스텝 S5에서는, 리스트 작성조작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휴대전화기(A)의 소지자가 하나 혹은 복수의 휴대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에 리스트 작성조작을 행하면, YES로 판단되어 스텝 S6으로 이행하고, 입력된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위치확인 불가능 리스트를 작성한 후, 스텝 S7에서는, 작성된 위치확인 불가능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리스트화면을 LCD(18)에 표시함과 동시에, 그 리스트의 데이터를 메모리(17)에 격납한다.
이어서 스텝(S8)에서는, 리스트데이터 송신조작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9로 이행하여, 메모리(17)에 격납되어 있는 리스트데이터 및 자기의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번호데이터를 위치정보서비스센터(3)에 송신한 후, 스텝 S10으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8에서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9를 우회하여 스텝 S10으로 이행한다.
스텝 S10에서는, 리스트 취소조작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5로 되돌아가는 한편,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11로 이행하여, 리스트 취소신호 및 자기의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번호데이터를 위치정보서비스센터(3)에 송신한 후, 스텝 S5로 복귀한다.
상기 수순에 의하면, 리스트 작성조작이 행해지면, 위치확인 불가능 리스트가 작성된 후, 작성된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리스트 화면이 LCD(18)에 표시됨과 동시에, 작성된 리스트의 데이터가 메모리(17)에 격납된다.
또, 리스트 송신조작이 행해지면, 리스트데이터 및 휴대전화기(A)의 번호데이터가 위치정보서비스센터(3)에 송신되는 한편, 리스트취소조작이 행해지면, 리스트 취소신호 및 휴대전화기(A)의 번호데이터가 위치정보서비스센터(3)에 송신된다.
도 6은, 상기 휴대전화기(B)에 있어서 실행되는 위치정보 취득제어수순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스텝 S21에서는, 위치정보 요구조작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21에서 같은 판단을 반복한다. 한편, 휴대전화기(B)의 소지자가 1개의 휴대전화기의 전화번호 및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에 위치정보 요구조작을 행하면, 스텝 S21에서 YES로 판단되어 스텝 S22로 이행하고, 정보제공요구신호를 위치정보서비스센터(3)에 송신한다. 여기서, 정보제공요구신호에는,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상대방번호데이터,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를 나타내는 패스워드데이터, 및 자기의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자기번호데이터가 포함된다.
그후, 스텝 S23에서는, 어느것인가의 데이터가 수신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23에서 같은 판단을 반복하는 한편,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24로 이행하여, 수신된 데이터의 판별을 행한다. 수신된 데이터가 위치정보인 경우에는, 스텝 S25에서 그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한편, 수신된 데이터가 위치확인 불가능 메시지인 경우에는, 스텝 S26에서 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다음에 스텝 S27에서는, 표시종료조작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27에서 같은 판단을 반복하는 한편,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28로 이행하여, 상술한 디스플레이 표시를 종료한 후, 스텝 S21로 되돌아간다.
상기 수순에 의하면, 위치정보 요구조작이 행해지면, 정보제공요구신호가 위치정보서비스센터(3)로 송신되는 것으로 된다. 그후,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그 위치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한편, 위치확인 불가능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메시지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위치정보 혹은 위치확인 불가능 메시지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태로 표시종료조작이 행해지면, 디스플레이 표시가 종료한다.
도 7은, 상기 위치정보서비스센터(3)에 설치된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위치정보 제공수순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스텝 S31에서는, 리스트데이터가 수신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35로 이행하는 한편,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32로 이행하여, 리스트데이터와 함께 수신된 번호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리스트데이터의 송신원인 휴대전화기의 리스트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30)에 등록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등록되어 있는 리스트데이터를 수신된 리스트데이터로 변경한 후, 스텝 S35로 이행하는 한편,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수신된 리스트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30)에 새로이 등록한 후, 스텝 S35로 이행한다.
스텝 S35에서는, 리스트 취소신호가 수신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36으로 이행하여, 리스트 취소신호와 함께 수신된 번호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리스트 취소신호의 송신원인 휴대전화기의 리스트데이터의 등록을 취소한 후, 스텝 S37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35에서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36을 우회하여 스텝 S37로 이행한다.
스텝 S37에서는, 정보제공요구신호가 수신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31로 돌아가는 한편,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38로 이행하여, 정보제공요구신호에 포함되는 패스워드데이터가 상대번호데이터가 나타내는 전화번호를 갖는 휴대전화기, 즉 위치정보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는 휴대전화기(이하, 요구선 전화기라 한다)의 패스워드데이터와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정보제공요구신호에 포함되는 자기번호데이터가 나타내는 전화번호를 갖는 휴대전화기, 즉 위치정보를 요구하고 있는 휴대전화기(이하, 요구원 전화기라 한다)에 위치확인 불가능 메시지를 송신한 후, 스텝 S31로 복귀한다.
한편, 스텝 S38에서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39로 이행하여, 정보제공요구신호에 포함되는 상대방 번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요구선 전화기의 리스트데이터가 등록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40으로 이행하여, 요구원 전화기에 요구선 전화기의 위치정보를 송신한 후, 스텝 S31로 복귀한다.
요구선 전화기의 리스트데이터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41로 이행하여, 요구선 전화기의 리스트데이터에 요구원 전화기의 전화번호가 포함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요구원 전화기에 요구선 전화기의 위치정보를 송신한 후, 스텝 S31로 복귀하는 한편,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요구원전화기에 위치확인 불가능 메시지를 송신한 후, 스텝 S31로 복귀한다.
상기 수순에 의하면, 리스트데이터가 송신되면, 그 리스트데이터의 송신원인 휴대전화기의 리스트데이터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등록되어 있는 리스트데이터가 수신된 리스트데이터로 갱신되는 한편, 그 휴대전화기의 리스트데이터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된 리스트데이터가 새로이 등록된다. 그 후, 리스트취소신호가 수신되면, 그 리스트취소신호의 송신원인 휴대전화기의 리스트데이터의 등록이 취소된다.
또, 정보제공요구신호가 수신되면, 그 신호에 포함되는 패스워드가 요구선 전화기의 패스워드와 일치함과 동시에 요구선 전화기의 리스트데이터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혹은 요구선 전화기의 리스트데이터는 등록되어 있지만 그 리스트데이터에 요구원 전화기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요구선 전화기의 위치정보가 요구원 전화기에 송신된다.
이에 대하여, 정보제공요구신호에 포함되는 패스워드가 요구선 전화기의 패스워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혹은 요구선 전화기의 리스트데이터가 등록되어 있으며, 그 리스트데이터에 요구원 전화기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위치확인 불가능 메시지가 요구원 전화기에 송신된다.
본 실시예의 위치정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는, 휴대전화기(A)의 소지자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B)의 소지자에 자기의 현재위치를 알리고 싶지 않은 시간대를 갖는 경우, 휴대전화기(B)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에 리스트작성조작을 행한다. 그 조작이 행해지면, 위치확인 불가능리스트가 작성된 후, 도 3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리스트 화면이 LCD(18)에 표시됨과 동시에, 그 리스트의 데이터가 메모리(17)에 격납된다.
그후, 휴대전화기(A)의 소지자는, 휴대전화기(B)의 소지자에 자기의 현재위치를 알리고 싶지 않은 시각이 도래한 시점에서 리스트 송신조작을 행한다. 그 조작이 행해지면, 휴대전화기(A)로부터 위치정보서비스센터(3)에 상기 격납된 리스트데이터가 송신된다. 위치정보서비스센터(3)에서는, 그 리스트데이터가 수신되어 등록된다.
휴대전화기(B)의 소지자가, 휴대전화기(A) 소지자의 현재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휴대전화기(A)의 전화번호 및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에 위치정보 요구조작을 행하면, 휴대전화기(B)로부터 위치정보서비스센터(3)에 정보제공요구신호가 송신된다.
위치정보서비스센터(3)에서는, 그 정보제공요구신호가 송신되어, 휴대전화기(A)의 리스트데이터에 휴대전화기(B)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는가 아닌가가 판단되며, 휴대전화기(B)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되어, 위치확인 불가능 메시지가 휴대전화기(B)에 송신되는 것으로 된다.
그후, 휴대전화기(A)의 소지자는, 휴대전화기(B)의 소지자에 자기의 현재위치를 알리고 싶지 않은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리스트취소조작을 행한다. 그 조작이 행해지면, 휴대전화기(A)로부터 위치정보서비스센터(3)에 리스트 취소신호가 송신되며, 위치정보서비스센터(3)에서는, 그 리스트취소신호가 수신되어, 휴대전화기(A)의 리스트데이터의 등록이 취소된다. 따라서, 그 후, 휴대전화기(B)의 소지자가 휴대전화기(A) 소지자의 현재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위치정보요구조작을 행한 경우에는, 위치정보서비스센터(3)에서는, 휴대전화기(A)의 리스트데이터는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어, 휴대전화기(A)의 위치정보가 휴대전화기(B)에 송신되는 것으로 된다.
본 실시예의 위치정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는, 휴대전화기(A)의 소지자는, 패스워드를 알려준 상대방이라도 자기의 현재위치를 알리고 싶지 않은 시간대를 갖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의 현재위치를 알리고 싶지 않은 상대방 휴대전화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리스트데이터를 그 시간대에 위치정보서비스센터(3)에 등록하면, 관계하는 상대방이 위치정보서비스센터(3)에 휴대전화기(A) 위치정보의 제공을 요구하였다 하여도, 그 상대방의 휴대전화기에는 휴대전화기(A)의 위치정보가 송신되지 않아, 휴대전화기(A) 소지자의 현재위치가 그 상대방에 알려지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하여, 휴대전화기(A) 소지자의 프라이버시를 확실히 보호할 수가 있다.
그후, 휴대전화기(A)의 소지자는, 자기의 현재위치를 알리고 싶지 않은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리스트 취소조작을 행하여 리스트데이터의 등록을 취소하지 않고, 상기 상대방이 위치정보서비스센터(3)에 휴대전화기(A) 위치정보의 제공을 요구한 경우에는, 휴대전화기(A)의 위치정보가 관계하는 상대방의 통신단말장치에 송신되는 것으로 되어, 관계하는 상대방은 휴대전화기(A) 소지자의 현재위치를 알 수가 있다.
또, 종래의 휴대전화기의 소지자는, 자기의 현재위치를 알리고 싶지 않은 시간대를 갖는 경우, 자기의 현재위치가 알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화기본체의 전원을 OFF로 설정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휴대전화기에 의하면, 전화기본체의 전원을 OFF로 설정할 필요는 없어, 그러한 시간대에 있어서도 전화기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제 2실시예)
제 1실시예의 전화기(A)는, 리스트송신조작에 따라 리스트데이터가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 송신됨과 동시에 리스트취소조작에 따라 리스트취소신호가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 송신되는 것으로 있는 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휴대전화기(A')는, 타이머정보로서 리스트송신시각 및 리스트 취소시각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서, 리스트송신시각이 도래한 시점에서 자동적으로 리스트데이터가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 송신됨과 동시에 리스트취소시각이 도래한 시점에서 자동적으로 리스트 취소신호가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 송신된다.
본 실시예의 휴대전화기(A')의 제어회로는, 도 4에 나타내는 제 1실시예와 동일의 위치정보 송신제어수순을 실행한다. 이에 의해, 휴대전화기(A')의 위치정보가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 정기적으로 송신된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휴대전화기(A')의 제어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리스트데이터 처리수순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스텝 S51에서는, 타이머설정조작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휴대전화기(A')의 소지자가 리스트송신시각 및 리스트취소시각을 입력하는 조작을 행하면, YES로 판단되어 스텝 S52로 이행하고, 상기 입력된 리스트송신시각 및 리스트취소시각을 타이머정보로서 메모리에 격납한다.
다음에 스텝 S53에서는, 리스트작성조작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휴대전화기(A')의 소지자가 하나 혹은 복수의 휴대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에 리스트 작성조작을 행하면, YES로 판단되어 스텝 S54로 이행하고, 입력된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위치확인 불가능 리스트를 작성한 후, 스텝 S55에서는, 작성된 위치확인 불가능 리스트를 나타내는 리스트 화면을 LCD에 표시함과 동시에, 그 리스트의 데이터를 메모리에 격납한다.
이어서 스텝 S56에서는, 메모리에 타이머 정보가 격납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51로 돌아가는 한편,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57로 이행하여, 현재시각과 상기 타이머정보에 포함되는 리스트송신시각이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58에서,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리스트데이터를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 송신한 후, 스텝 S51로 돌아간다.
스텝 S57에서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59로 이행하여, 현재 시각과 상기 타이머정보에 포함되는 리스트 취소시각이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51로 복귀하는 한편,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60으로 이행하여, 리스트 취소신호 및 자기의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번호데이터를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 송신한 후 스텝 S51로 복귀한다.
상기 수순에 의하면, 타이머 설정조작이 행해지면, 입력된 리스트송신시각 및 리스트취소시각이 타이머정보로서 메모리에 격납된다. 또, 리스트작성조작이 행해지면, 위치확인 불가능 리스트가 작성된 후, 리스트화면이 LCD에 표시됨과 동시에, 작성된 리스트의 데이터가 메모리에 격납된다.
또, 리스트송신시각이 도래하면, 그 시점에서, 리스트데이터 및 휴대전화기(A')의 번호데이터가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 송신됨과 동시에, 리스트취소시각이 도래하면, 그 시점에서, 리스트취소신호 및 휴대전화기(A')의 번호데이터가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 송신된다.
본 실시예의 위치정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는, 휴대전화기(A')의 소지자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B)의 소지자에 자기의 현재위치를 알리고 싶지 않은 시간대를 갖는 경우, 그 시간대의 개시시각을 리스트 송신시각, 그 시간대의 종료시각을 리스트 취소시각으로서 입력한다. 이와 같이하여 입력된 리스트 송신시각 및 리스트 취소시각은 타이머정보로서 메모리에 격납된다.
또, 휴대전화기(A')의 소지자는,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휴대전화기(B)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에 리스트작성조작을 행한다. 그 조작이 행해지면, 위치확인 불가능 리스트가 작성된 후, 리스트 화면이 LCD에 표시됨과 동시에 그 리스트의 데이터가 메모리에 격납된다.
그 후, 리스트 송신시각이 도래한 시점에서 휴대전화기(A')로부터 위치정보서비스센서에 상기 격납된 리스트데이터가 송신되며,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서는, 그 리스트데이터가 수신되어 등록된다. 따라서, 휴대전화기(B)의 소지자가 휴대전화기(A') 소지자의 현재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위치정보 요구조작을 행하였다 하여도,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서는, 휴대전화기(A')의 리스트데이터에 휴대전화기(B)의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어, 위치확인 불가능 메시지가 휴대전화기(B)에 송신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그 후, 리스트 취소시각이 도래한 시점에서 휴대전화기(A')로부터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 리스트 취소신호가 송신되며,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서는, 그 신호가 수신되어, 휴대전화기(A') 리스트데이터의 등록이 취소된다. 따라서, 그 후, 휴대전화기(B)의 소지자가 휴대전화기(A') 소지자의 현재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위치정보 요구조작을 행한 경우에는,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서는, 휴대전화기(A')의 리스트데이터는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어, 휴대전화기(A')의 위치정보가 휴대전화기(B)에 송신되는 것으로 된다.
(제 3실시예)
휴대전화기의 위치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전화기로부터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 정기적으로 송신되며,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서는, 위치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데이터베이스에 격납되어 있는 위치정보가 갱신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위치정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는, 위치정보서비스센터의 데이터베이스에 격납되어 있는 위치정보가 과거 일정시간 이내에 경신되었는가 아닌가의 판단결과에 따라, 요구선 전화기의 위치정보 및 위치확인불가능 메시지의 어디인가의 정보가 요구원 전화기에 송신된다.
본 실시예의 휴대전화기(A")는, GPS 측위기능의 ON/OFF상태를 전환설정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타이머 정보로서 측위기능 OFF 시각 및 측위기능 ON 시각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서, 측위기능 OFF 시각이 도래한 때에 GPS측위기능이OFF로 설정됨과 동시에 측위기능 ON시각이 도래한 때에 GPS측위기능이 ON으로 설정된다.
도 9는, 본 실시예의 휴대전화기(A")의 제어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위치정보 송신제어수순을 나타내고 있다. 전화기 본체의 전원이 ON으로 설정되면,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스텝 S61에서는, 위치정보 서비스 ON모드가 선택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61에서 같은 판단을 반복하는 한편,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62로 이행하여, 위치정보 서비스 기능을 ON으로 설정한다. 이어서 스텝 S63에서는, GPS측위기능이 ON으로 설정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63에서 같은 판단을 반복하는 한편,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63으로 이행하여, GPS처리회로로부터 얻어지는 측정결과에 포함되는 위도 및 경도로부터 위치정보를 작성한 후, 스텝 S65에서는, 상기 작성한 위치정보를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 송신하여, 스텝 S63으로 돌아온다.
상기 수순에 의하면, GPS측위기능이 ON으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위치정보가 정기적으로 작성되며, 위치정보가 작성될 때마다, 그 위치정보가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 송신된다.
도 10은, 휴대전화기(A")의 제어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GPS측위기능 ON/OFF제어수순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스텝 S66에서는, 타이머설정조작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휴대전화기(A")의 소지자가 측위기능 OFF시각 및 측위기능 ON시각을 입력하는 조작을 행하면, YES로 판단되어 스텝 S67로 이행하고, 상기 입력된 측위기능 OFF시각 및 측위기능 ON시각을 타이머 정보로서 메모리에 격납한다.
이어서 스텝 S68에서는, 메모리에 타이머 정보가 격납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66으로 돌아가는 한편,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69로 이행하여, 현재시각이 상기 타이머 정보에 포함되는 측위기능 OFF시각이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70으로 이행하여, GPS측위기능을 OFF로 설정한 후, 스텝 S66으로 복귀한다.
스텝 S69에서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71로 이행하여, 현재 시각과 상기 타이머정보에 포함되는 측위기능 ON시각이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66으로 돌아가는 한편,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72에서 GPS측위기능을 ON으로 설정한 후, 스텝 S66으로 돌아간다.
상기 수순에 의하면, 타이머 설정조작이 행해지면, 입력된 측위기능 OFF시각 및 측위기능 ON시각이 타이머 정보로서 메모리에 격납된다.
그후, 측위기능 OFF시각이 도래하면, 그 시점에서 GPS측위기능이 OFF로 설정되는 한편, 측위기능 ON시각이 도래하면, 그 시점에서 GPS측위기능이 ON으로 설정된다.
도 11은, 본 실시예의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 설치된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위치정보제공 제어수순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스텝 S81에서는, 정보제공요구신호가 수신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81에서 같은 판단을 반복하는 한편,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82로 이행하여, 정보제공요구신호에 포함되는 패스워드 데이터가 요구선 전화기의 패스워드 데이터와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요구원 전화기에 위치확인 불가능 메시지를 송신한 후, 스텝 S81로 돌아간다.
한편, 스텝 S82에서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83으로 이행하여, 요구선 전화기의 위치정보가 과거 일정시간, 예를 들면 5분 이내에 갱신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84로 이행하여, 요구원 전화기에 요구선 전화기의 위치정보를 송신한 후, 스텝 S81로 돌아가는 한편,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85로 이행하여, 요구원 전화기에 위치확인 불가능 메시지를 송신한 후, 스텝 S81로 돌아간다.
상기 수순에 의하면, 정보제공요구신호가 송신되면, 그 신호에 포함되는 패스워드가 요구선 전화기의 패스워드와 일치함과 동시에 요구선 전화기의 위치정보가 과거 일정시간 이내에 갱신되어 있는 경우에는, 요구선 전화기의 위치정보가 요구원 전화기에 송신된다.
이에 대하여, 정보제공요구신호에 포함되는 패스워드가 요구선 전화기의 패스워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혹은 요구선 전화기의 위치정보가 과거 일정시간 이내에 갱신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위치확인 불가능 메시지가 요구원 전화기에 송신된다.
본 실시예의 위치정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는, 휴대전화기(A")의 소지자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B)의 소지자에 자기의 현재위치를 알리고 싶지 않은 시간대를 갖는 경우, 그 시간대의 개시시각을 측위기능 OFF시각, 그 시간대의 종료시각을 측위기능 ON시각으로서 입력한다.
그후, 측위기능 OFF시각이 도래한 시점에서 휴대전화기(A")의 GPS측위기능이 OFF로 설정되어, 휴대전화기(A")로부터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 대한 위치정보의 송신이 정지된다. 따라서, 그 후, 휴대전화기(B)의 소지자가 휴대전화기(A") 소지자의 현재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위치정보요구조작을 행하였다 하여도,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서는, 휴대전화기(A')의 위치정보는 과거 일정시간 이내에 경신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어, 위치확인 불가능 메시지가 휴대전화기(B)에 송신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그 후, 측위기능 ON 시각이 도래한 시점에서 휴대전화기(A")의 GPS측위기능이 ON으로 설정되어, 휴대전화기(A")로부터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 대한 위치정보의 송신이 재개된다. 따라서, 그후, 휴대전화기(B)의 소지자가 휴대전화기(A") 소지자의 현재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위치정보 요구조작을 행한 경우에는,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서는, 휴대전화기(A")의 위치정보는 과거 일정시간 이내에 갱신되었다고 판단되어, 휴대전화기(A")치정보가 휴대전화기(B)에 송신되는 것으로 된다.
(제 4실시예)
본 실시예의 위치정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C) 및 휴대전화기(D)는 공히, 기지국(도시생략)을 통하여위치정보서비스센터(5)와 접속가능하다.
휴대전화기(C)는, GPS측위기능을 갖고 있으며, 그 휴대전화기(C)에 있어서는, GPS위성으로부터 송신된 GPS데이터가 수신되며, 수신된 위치데이터에 기초하여 자기위치의 위도 및 경도로 이루어지는 위치정보가 작성된다. 작성된 위치정보는,내장메모리(도시생략)에 격납된다.
본 실시예의 위치정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는, 휴대전화기(C)의 소지자는, 그 전화기에 대하여, 자기의 현재위치를 알리고 싶지 않은 상대방 휴대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조작을 행한다. 이와 같이하여 하나 혹은 복수의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위치확인 불가능 리스트가 작성되며, 그 위치확인 불가능 리스트의 데이터는 내장메모리에 격납된다.
휴대전화기(D)로부터 휴대전화기(C)의 위치정보의 제공을 요구하는 정보제공요구신호가 기지국을 통하여 위치정보서비스센터(5)에 공급되면, 위치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정보송신요구신호가 위치정보서비스센터(5)로부터 휴대전화기(C)에 공급된다. 휴대전화기(C)에서는, 상기 공급된 정보제공요구신호에 포함되는 패스워드가 자기의 패스워드와 일치하는가 아닌가가 판단되고, 양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또한, 내장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리스트데이터가 유효한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리스트데이터가 무효인 경우에는, 휴대전화기(C)로부터 그 전화기의 위치정보가 기지국 및 위치정보서비스센터(5)를 통하여 휴대전화기(D)에 공급된다. 한편, 리스트데이터가 유효한 경우에는 또한, 그 리스트데이터에 휴대전화기(D)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는가 아닌가가 판단되며, 휴대전화기(D)의 전화번호가 그 리스트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휴대전화기(C)로부터 그 전화기의 위치정보가 기지국 및 위치정보서비스센터(5)를 통하여 휴대전화기(D)에 공급된다.
휴대전화기(D)의 전화번호가 상기 리스트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휴대전화기(C)로부터 그 전화기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가 없다는 취지를 나타내는위치확인 불가능 메시지가 기지국 및 위치정보서비스센터(5)를 통하여 휴대전화기(D)에 공급된다.
도 13은, 상기 휴대전화기(C)의 제어회로에 따라 실행되는 위치정보 격납제어수속을 나타내고 있다. 전화기본체의 전원이 ON으로 설정되면,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스테이지 S91에서는, 위치정보서비스 ON모드가 선택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91에서 같은 판단을 반복하는 한편,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92로 이행하여, 위치정보 서비스기능을 ON으로 설정한다. 이어서 스테이지 S93에서는, GPS처리회로로부터 얻어지는 측정결과에 포함되는 위도 및 경도로부터 위치정보를 작성한 후, 스테이지 S94에서는, 상기 작성한 위치정보메모리에 격납하여, 스테이지 S93으로 돌아온다.
상기 수속에 의하면, 위치정보가 정기적으로 작성되며, 위치정보가 작성될 때마다, 그 위치정보가 메모리에 격납된다.
도 14는, 상기 휴대전화기(C)의 제어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리스트데이터 처리수속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스테이지 S94에서는, 리스트작성 조작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휴대전화기(C)의 소지자가 하나 혹은 복수의 휴대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에 리스트작성조작을 행하면, YES로 판단되어 스테이지 S95로 이행하고, 입력된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위치확인 불가능 리스트를 작성한 후, 스테이지 S96에서는, 작성한 위치확인 불가능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리스트 화면을 LCD에 나타냄과 동시에, 그 리스트의 데이터를 메모리에 격납한다.
이어서 스테이지 S97에서는, 리스트 유효조작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98로 이행하여,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리스트 데이터가 유효인 것을 나타내는 리스트 유효 플래그를 1로 설정한 후, 스테이지 S99로 이행한다. 한편, 스테이지 S97에서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98을 우회하여 스테이지 S99로 이행한다.
스테이지 S99에서는, 리스트 무효조작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94로 돌아가는 한편,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100으로 이행하여, 리스트 유효플래그를 0으로 설정한 후, 스테이지 S94로 돌아간다.
상기 수속에 의하면, 리스트 작성조작이 행해지면, 위치확인 불가능리스트가 작성된 후, 작성된 리스트를 나타내는 리스트 화면이 LCD에 표시됨과 동시에, 작성된 리스트의 데이터가 메모리에 격납된다.
그 후, 리스트 유효조작이 행해지면, 리스트 유효플래그가 1로 설정되는 한편, 리스트 유효조작이 행해지면, 리스트 유효플래그가 0으로 설정된다.
도 15는, 상기 휴대전화기(C)의 제어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위치정보 제공제어수속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스테이지 S101에서는, 정보송신요구신호가 수신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101에서 같은 판단을 반복하는 한편,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102로 이행하여, 정보송신요구신호에 포함되는 패스워드 데이터가 자기의 패스워드 데이터와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106으로 이행하여, 위치확인 불가능 메시지를 위치정보서비스센터(5)로 송신한 후, 스테이지 S101로 돌아간다.
한편, 스테이지 S102에서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103으로 이행하여, 리스트 유효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104로 이행하여,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위치정보서비스센터(5)로 송신한 후, 스테이지 S101로 돌아간다.
리스트 유효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테이지 S105로 이행하여, 그 리스트데이터에 요구원 전화기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104로 이행하여,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위치정보서비스센터(5)로 송신한 후, 스테이지 S101로 돌아가는 한편,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106으로 이행하여, 위치확인 불가능 메시지를 위치정보서비스센터(5)로 송신한 후, 스테이지 S101로 돌아간다.
상기 수속에 의하면, 정보송신요구신호가 송신되면, 그 신호에 포함되는 패스워드가 자기의 패스워드와 일치함과 동시에 리스트 유효플래그가 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혹은 리스트 유효플래그는 1로 설정되어 있지만 그 리스트데이터에 요구원 전화기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위치정보가 위치정보서비스센터(5)에 송신된다.
이에 대하여, 정보송신요구신호에 포함되는 패스워드가 자기의 패스워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혹은 리스트 유효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으며, 그 리스트 데이터에 요구원 전화기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위치확인 불가능메시지가 위치정보서비스센터(5)에 송신된다.
본 실시예의 위치정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는, 휴대전화기(C)의 소지자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D)의 소지자에 자기의 현재위치를 알리고 싶지 않은 시간대를 갖는 경우, 휴대전화기(D)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에 리스트작성조작을 행한다. 그 조작이 행해지면, 위치확인 불가능 리스트가 작성된 후,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스트화면이 LCD에 표시됨과 동시에, 그 리스트의 데이터가 메모리에 격납된다.
그 후, 휴대전화기(C)의 소지자는, 휴대전화기(D)의 소지자에 자기의 현재위치를 알리고 싶지 않은 시각이 도래한 시점에서 리스트 유효조작을 행한다. 그 조작이 행해지면, 리스트 유효플래그가 1로 설정된다.
휴대전화기(D)의 소지자가, 휴대전화기(C) 소지자의 현재위치를 확인 하기 위해, 휴대전화기(C)의 전화번호 및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에 위치정보 요구조작을 행하면, 휴대전화기(D)로부터 위치정보서비스센터(5)에 정보제공요구신호가 송신되며, 위치정보서비스센터(5)로부터 휴대전화기(C)에 정보송신요구신호가 송신된다.
휴대전화기(C)에 있어서는, 상기 정보송신요구신호가 수신되고, 리스트데이터에 휴대전화기(D)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는가 아닌가가 판단되며, 휴대전화기(D)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되어, 위치확인 불가능 메시지가 휴대전화기(C)로부터 위치정보서비스센터(5)를 통하여 휴대전화기(D)에 송신되는 것으로 된다.
그 후, 휴대전화기(C)의 소지자는, 휴대전화기(D)의 소지자에 자기의 현재위치를 알리고 싶지 않은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리스트 무효조작을 행한다. 그 조작이 행해지면, 리스트 유효플래그가 0에 설정된다. 그 후, 휴대전화기(D)의 소지자가 휴대전화기(C) 소지자의 현재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위치정보요구조작을 행한 경우에는, 휴대전화기(C)에 있어서는, 리스트유효플래그는 0인 것으로 판단되어, 위치정보가 휴대전화기(C)로부터 위치정보서비스센터를 통하여 휴대전화기(D)에 송신되는 것으로 된다.
(제 5실시예)
제 4실시예의 휴대전화기(C)는, 리스트 유효조작에 따라 리스트유효 플래그가 1로 설정됨과 동시에 리스트 무효조작에 따라 리스트유효플래그가 0에 설정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휴대전화기(C')는, 타이머 정보로서 리스트유효시각 및 리스트 무효시각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리스트 유효시각이 도래한 시점에서 자동적으로 리스트 유효플래그가 1로 설정됨과 동시에 리스트 무효시각이 도래한 시점에서 자동적으로 리스트 유효플래그가 0에 설정된다.
본 실시예의 휴대전화기(C')의 제어회로는, 도 13에 나타내는 제 4실시예와 동일의 위치정보 격납제어수속을 실행한다. 이에 의해, 위치정보가 정기적으로 작성되며, 위치정보가 작성될 때마다, 그 위치정보가 메모리에 격납된다.
도 16은, 본 실시예의 휴대전화기(C')의 제어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리스트데이터 처리수속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스테이지 S111에서는, 타이머 설정조작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휴대전화기(C')의 소지자가 리스트유효시각 및 리스트 무효시각을 입력하는 조작을 행하면, YES로 판단되어스테이지 S112로 이행하고, 상기 입력된 리스트 유효시각 및 리스트 무효시각을 타이머 정보로서 메모리에 격납한다.
다음에 스테이지 S113에서는, 리스트 작성조작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휴대전화기(C')의 소지자가 하나 혹은 복수의 통신단말장치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리스트 작성조작을 행하면, YES로 판단되어 스테이지 S114로 이행하고, 입력된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위치확인 불가능 리스트를 작성한 후, 스테이지 S155에서는, 작성된 위치확인 불가능 리스트를 나타내는 리스트 화면을 LCD에 표시함과 동시에, 그 리스트의 데이터를 메모리에 격납한다.
이어서 스테이지 S116에서는, 메모리에 타이머 정보가 격납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111로 돌아가는 한편,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117로 이행하여, 현재시각과 상기 타이머 정보에 포함되는 리스트 유효시각이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118에서, 리스트 유효플래그를 1로 설정한 후, 스테이지 S111로 돌아간다.
스테이지 S117에서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119로 이행하여, 현재시각과 상기 타이머 정보에 포함되는 리스트 무효시각이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111로 돌아가는 한편,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120으로 이행하여, 리스트 유효플래그를 0으로 설정한 후, 스테이지 S111로 돌아간다.
상기 수속에 의하면, 타이머 설정조작이 행해지면, 입력된 리스트 유효시각 및 리스트 무효시각이 타이머 정보로서 메모리에 격납된다. 또, 리스트 작성 조작이 행해지면, 위치확인 불가능 리스트가 작성된 후, 작성된 리스트를 나타내는 리스트화면이 LCD에 표시됨과 동시에, 작성된 리스트의 테이터가 메모리에 격납된다.
또, 리스트 유효시각이 도래하면, 그 시점에서 리스트 유효플래그가 1로 설정되는 한편, 리스트 무효시각이 도래하면, 그 시점에서 리스트 유효플래그가 0으로 설정된다.
상기 휴대전화기(C')의 제어회로는, 도 15에 나타내는 제 4실시예와 동일의 위치정보제공수속을 실행한다. 따라서, 정보송신요구신호가 수신되면, 그 신호에 포함되는 패스워드가 자기의 패스워드와 일치함과 동시에 유효플래그가 0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혹은 리스트 유효플래그는 1에 설정되어 있지만 그 리스트데이터에 요구원 전화기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위치정보가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 송신되는 것으로 된다.
이에 대하여, 정보송신요구신호에 포함되는 패스워드가 자기의 패스워드와 일치하지 않은 경우, 혹은 리스트 유효플래그가 1에 설정되어 있으며, 그 리스트데이터에 요구원 전화기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위치확인 불가능 메시지가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 송신되는 것으로 된다.
본 실시예의 위치정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는, 휴대전화기(C')의 소지자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D)의 소지자에 자기의 현재위치를 알리고 싶지 않은 시간대를 갖는 경우, 그 시간대의 개시시각을 리스트 유효시각, 그 시간대의 종료시각을 리스트 무효시각으로서 입력한다. 이와 같이하여 입력된 리스트 유효시각 및 리스트 무효시각은 타이머 정보로서 메모리에 격납된다.
또, 휴대전화기(C')의 소지자는, 휴대전화기(D)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에 리스트 작성조작을 행한다. 그 조작이 행해지면, 위치확인 불가능 리스트가 작성된 후,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스트화면이 LCD에 표시됨과 동시에, 그 리스트가 메모리에 격납된다.
그 후, 리스트 유효시각이 도래한 시점에서 휴대전화기(A')의 리스트유효플래그가 1로 설정된다. 따라서, 휴대전화기(D)의 소지자가 휴대전화기(C') 소지자의 현재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위치정보 요구조작을 행하였다 하여도, 리스트 유효플래그가 1로서 리스트데이터에 휴대전화기(D)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되어, 위치확인 불가능 메시지가 휴대전화기(C')로부터 위치정보서비스센터를 통하여 휴대전화기(D)에 송신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그 후, 리스트 무효시각이 도래한 시점에서 휴대전화기(C')의 리스트 유효플래그가 0에 설정된다. 따라서, 그후, 휴대전화기(D)의 소지자가 휴대전화기(A') 소지자의 현재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위치정보요구조작을 행한 경우에는, 리스트유효플래그가 0으로서 판단되어, 위치정보가 휴대전화기(C')로부터 위치정보서비스센터를 통하여 휴대전화기(D)에 송신되는 것으로 된다.
(제 6실시예)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기적으로 위치정보가 작성되며, 위치정보가 작성될 때마다,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위치정보가 작성된 위치정보로 갱신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휴대전화기(C")에 있어서는,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위치정보가 과거에 일정시간 이내에 갱신되었는가 아닌가의 판단결과에 따라, 위치정보 및 위치확인 불가능 메시지의 어느 것인가의 정보가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 송신된다.
본 실시예의 휴대전화기(C")는, GPS측위기능의 ON/OFF상태를 전환설정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타이머정보로서 측위기능 OFF시각 및 측위기능 ON시각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서, 측위기능 OFF시각이 도래한 시점에서 자동적으로 GPS측위기능이 OFF로 설정됨과 동시에 측위기능 ON시각이 도래한 시점에서 자동적으로 GPS측위기능이 ON으로 설정된다.
도 17은, 본 실시예의 휴대전화기(C")의 제어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위치정보 격납제어수속을 나타내고 있다. 전화기본체의 전원이 ON으로 설정되면,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스테이지 S121에서는, 위치정보 서비스 ON모드가 선택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121에서 동일한 판단을 반복하는 한편,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122로 이행하여, 위치정보 서비스기능을 ON으로 설정한다. 이어서 스테이지 S123에서는, GPS측위기능이 ON으로 설정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123에서 동일한 판단을 반복하는 한편,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124로 이행하여, GPS처리회로로부터 얻어지는 측정결과에 포함되는 위도 및 경도로부터 위치정보를 작성한 후, 스테이지 S125에서는, 상기 작성한 위치정보를 메모리에 격납하여, 스테이지 S123으로 돌아간다.
상기 수속에 의하면, GPS측위기능이 ON에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위치정보가 정기적으로 작성되며, 위치정보가 작성될 때마다,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위치정보가 갱신된다.
도 18은, 휴대전화기(C")의 제어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GPS측위기능 ON/OFF제어수속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스테이지 s126에서는, 타이머설정조작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휴대전화기(C")의 소지자가 측위기능 OFF시각 및 측위기능 ON시각을 입력하는 조작을 행하면, YES로 판단되어 스테이지 S127로 이행하여, 상기 입력된 측위기능 OFF시각 및 측위기능 ON시각을 타이머 정보로서 메모리에 격납한다.
이어서 스테이지 S128에서는, 메모리에 타이머정보가 격납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126으로 돌아가는 한편,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129로 이행하여, 현재시각과 상기 타이머 정보에 포함되는 측위기능 OFF시각이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130으로 이행하여, GPS측위기능을 OFF로 설정한 후, 스테이지 S126으로 돌아간다.
스테이지 S129에서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131로 이행하여, 현재시각과 상기 타이머 정보에 포함되는 측위기능 ON시각이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126으로 돌아가는 한편,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132에서 GPS측위기능을 ON으로 설정한 후, 스테이지 S126으로 돌아간다.
상기 수속에 의하면, 타이머 설정조작이 행해지면, 입력된 측위기능 OFF시각 및 측위기능 ON시각이 타이머 정보로서 메모리에 격납된다.
그 후, 측위기능 OFF시각이 도래하면, 그 시점에서 GP측위기능이 OFF로 설정되는 한편, 측위기능 ON시각이 도래하면, 그 시점에서 GPS측위기능이 ON으로 설정된다.
도 19는, 휴대전화기(C")의 제어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측위정보제공제어수속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스테이지 S141에서는, 정보송신요구신호가 수신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141에서 같은 판단을 반복하는 한편,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142로 이행하여, 정보송신요구신호에 포함되는 패스워드데이터가 자기의 패스워드 데이터와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145로 이행하여,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 위치확인 불가능 메시지를 송신한 후, 스테이지 S141로 돌아간다.
한편, 스테이지 S142에서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143으로 이행하여,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위치정보가 과거의 일정시간, 예를 들면 5분 이내에 갱신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YES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144로 이행하여,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 송신한 후, 스테이지 S141로 돌아가는 한편, 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테이지 S145로 이행하여, 위치확인 불가능 메시지를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 송신한 후, 스테이지 S141로 돌아간다.
상기 수속에 의하면, 정보송신요구신호가 수신되면, 그 신호에 포함되는 패스워드가 자기의 패스워드와 일치함과 동시에 위치정보가 과거의 일정시간 이내로갱신되어 있는 경우에, 위치정보가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 송신된다.
이에 대하여, 정보송신요구신호에 포함되는 패스워드가 자기의 패스워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혹은 위치정보가 과거의 일정시간 이내로 갱신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위치확인 불가능 메시지가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 송신된다.
본 실시예의 위치정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는, 휴대전화기(C")의 소지자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D)의 소지자에 자기의 현재위치를 알리고 싶지 않은 경우, 그 시각대의 개시시각을 측위기능 OFF시각, 그 시간대의 종료시각을 측위기능 ON시각으로서 입력한다.
그 후, 측위기능 OFF시각이 도래한 시점에서 휴대전화기(C")의 GPS측위기능이 OFF로 설정되어,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위치정보의 갱신처리가 정지된다. 따라서, 그 후, 휴대전화기(D)의 소지자가 휴대전화기(C") 소지자의 현재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위치정보 요구조작을 행하였다 하여도, 위치정보는 과거 일정시간 이내에 갱신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어, 위치확인 불가능 메시지가 휴대전화기(C")로부터 위치정보서비스센터를 통하여 휴대전화기(D)에 송신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그 후, 측위기능 ON시각이 도래한 시점에서 휴대전화기(C")의 GPS측위기능이 ON으로 설정되어,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위치정보의 갱신처리가 재개된다. 따라서, 그후, 휴대전화기(D)의 소지자가 휴대전화기(C") 소지자의 현재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위치정보요구조작을 행한 경우에는, 위치정보는 과거의 일정시간 이내에 갱신되어 있다고 판단되어, 위치정보가 휴대전화기(C")로부터 위치정보서비스센터를 통하여 휴대전화기(B)에 송신되는 것으로 된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고, 혹은 범위를 감축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안된다. 또,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의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위치정보의 제공이 인정되는 하나 혹은 복수의 휴대전화기의 전화번호로 이루어지는 리스트를 작성하는 구성이나, 하나 혹은 복수의 휴대전화기에 대하여 전화번호와 위치정보제공의 인정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로 이루어지는 리스트를 작성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리스트 송신시각 보다도 일정시간 전의 시점에서 리스트데이터를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 송신함과 동시에 리스트 취소시각 보다도 일정시간 전의 시점에서 리스트 취소신호를 위치정보서비스센터에 송신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GPS측위기능 OFF조작에 따라 GPS측위기능을 OFF로 설정함과 동시에 GPS측위기능 ON조작에 따라 GPS측위기능을 ON으로 설정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전화안테나(11) 및 GPS안테나(20)에 대신하여, 전화안테나로서 기능함과 동시에 GPS안테나로서 기능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휴대통신기기를 휴대전화기에 실시하고 있지만, 그 외의 주지의 휴대통신기기에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3)

  1. 자기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무선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통신기기와, 휴대통신기기로부터 송신된 위치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그 위치정보를 하나 혹은 복수의 통신단말장치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정보 제공장치를 구비한 위치정보 제공시스템의 위치 정보제공 방법에 있어서,
    휴대통신기기가, 사용자에 의한 정보입력조작에 따라 하나 혹은 복수의 통신단말장치에 대한 위치정보 제공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리스트를 작성하는 스텝과,
    휴대통신기기가 상기 작성한 리스트의 데이터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위치정보 제공장치에 송신하고, 위치정보 제공장치가 그 리스트데이터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스텝과,
    위치정보 제공장치가, 통신단말장치로부터의 위치정보요구지령을 받아, 상기 등록된 리스트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통신단말장치에 대한 위치정보의 제공이 인정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위치정보의 제공이 인정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휴대통신기기의 위치정보를 상기 통신단말장치에 송신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제공방법.
  2. 삭제
  3. 자기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무선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통신기기와, 휴대통신기기로부터 송신된 위치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그 위치정보를 하나 혹은 복수의 통신단말장치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정보 제공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통신기기는,
    사용자에 의한 정보입력조작에 따라, 하나 혹은 복수의 통신단말장치에 대한 위치정보 제공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리스트를 작성하는 리스트 작성수단과,
    상기 작성된 리스트의 데이터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위치정보 제공장치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정보 제공장치는,
    휴대통신기기로부터의 리스트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리스트데이터를 등록하기 위한 리스트등록수단과,
    수신된 리스트데이터를 리스트등록수단에 등록하는 정보처리수단과,
    통신단말장치로부터의 위치정보 요구지령을 받아, 상기 리스트등록수단에 등록되어 있는 리스트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통신단말장치에 대한 위치정보의 제공이 인정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위치정보의 제공이 인정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휴대통신기기의 위치정보를 상기 통신단말장치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위치정보 제공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는, 위치정보의 제공이 인정되지 않는 하나 혹은 복수의 통신단말장치만의 식별정보로 구성되며, 위치정보 제공장치의 판단수단은, 통신단말장치의 식별정보가 리스트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가 아닌가에 기초하여 그 통신단말장치에 대한 위치정보의 제공이 인정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위치정보 제공장치의 송신수단은, 위치정보의 제공이 인정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 그 취지를 나타내는 알림정보를 상기 통신단말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휴대통신기기의 송신수단은, 사용자에 의한 리스트송신조작에 따라, 상기 작성된 리스트의 데이터를 위치정보 제공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시스템.
  7. 제 3항에 있어서,
    휴대통신기기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리스트 송신시각이 설정되는 시각설정수단과, 시각설정수단에 설정되어 있는 리스트 송신시각의 도래를 검지하는 시각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송신수단은, 시각검지수단에 의해 리스트 송신시각의 도래가 검지된 때에, 상기 작성된 리스트의 데이터를 위치정보 제공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시스템.
  8. 제 3항에 있어서,
    휴대통신기기의 송신수단은, 사용자에 의한 리스트 무효조작에 따라, 리스트무효지령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위치정보 제공장치에 송신하고, 위치정보 제공장치는, 수신수단에 의해 리스트 무효지령신호가 수신된 때에, 리스트 등록수단에 등록되어 있는 리스트 데이터의 등록을 무효로 하는 무효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시스템.
  9. 제 3항에 있어서,
    휴대통신기기의 시각설정수단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리스트 무효시각이 설정되며, 시각 검지수단은, 시각검지수단에 설정되어 있는 리스트 무효시각의 도래를 검지하고, 상기 송신수단은, 시각검지수단에 의해 리스트 무효시각의 도래가 검지된 때에, 리스트 무효지령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위치정보 제공장치에 송신하고, 위치정보 제공장치는, 수신수단에 의해 리스트 무효지령신호가 수신된 때에, 리스트 등록수단에 등록되어 있는 리스트 데이터의 등록을 무효로 하는 무효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자신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관리하고, 하나 혹은 복수의 통신단말장치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위치정보 제공 여부를 관리하는 위치정보 제공장치에 상기 위치정보 제공 여부의 판단 기준을 등록할 수 있는 휴대통신기기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정보입력조작에 따라 상기 하나 혹은 복수의 통신단말장치에 대한 위치정보 제공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판단 기준으로서, 위치 정보 제공 불가 대상자의 리스트를 작성하는 리스트 작성수단과,
    상기 작성된 리스트의 데이터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위치정보 제공장치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16. 삭제
  17. 삭제
  18. 휴대통신기기로부터 그 기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그 위치정보를 하나 혹은 복수의 통신단말장치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정보 제공장치에 있어서,
    휴대통신기기로부터 송신된 리스트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리스트데이터를 등록하기 위한 리스트 등록수단과,
    수신된 리스트데이터를 리스트등록수단에 등록하는 정보처리수단과,
    통신단말장치로부터의 위치정보 요구지령을 받아, 상기 리스트 등록수단에 등록되어 있는 리스트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통신단말장치에 대한 위치정보의 제공이 인정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위치정보의 제공이 인정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휴대통신기기의 위치정보를 상기 통신단말장치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장치.
  19. 삭제
  20. 자기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무선통신에 의해 하나 혹은 복수의 통신단말장치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통신기기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정보입력조작에 따라, 하나 혹은 복수의 통신단말장치에 대한 위치정보 제공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리스트를 작성하고, 상기 리스트에 자기의 위치를 알리고 싶지 않는 상대의 ID를 등록하는 스텝과,
    통신단말장치로부터의 위치정보 요구지령에 응답하여, 허용된 패스워드 및 상대의 ID를 입력하도록 요청하고, 만약 패스워드가 올바르며 상기 상대 ID가 등록된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만 위치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신단말장치에 송신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방법.
  21. 삭제
  22. 자기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무선통신에 의해 하나 혹은 복수의 통신단말장치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통신기기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정보입력조작에 따라, 하나 혹은 복수의 통신단말장치에 대한 위치정보 제공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상대 ID 리스트를 작성하는 리스트 작성수단과,
    상기 상대 ID 리스트를 등록하기 위한 리스트등록수단과,
    상기 작성된 리스트데이터를 리스트 등록수단에 등록하는 정보처리수단과,
    상기 통신단말장치로부터의 위치정보 요구지령에 응답하여, 허용된 패스워드 및 상대의 ID를 입력하도록 요청하고, 입력된 패스워드가 올바른지 여부 및 상기 상대 ID가 상기 리스트 등록수단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가 올바르며, 상기 상대 ID가 상기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만, 위치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신단말장치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는, 위치정보의 제공이 인정되지 않는 하나 혹은 복수의 통신단말장치 만의 식별정보로 구성되며, 판단수단은, 통신단말장치의 식별정보가 리스트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가 아닌가에 기초하여 그 통신단말장치에 대한 위치정보의 제공이 인정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24. 제 22항에 있어서,
    송신수단은, 위치정보의 제공이 인정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 그 취지를 나타내는 알림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신단말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은, 사용자에 의한 리스트 유효조작에 따라, 리스트 등록수단에 등록되어 있는 리스트데이터를 유효로 하고, 상기 판단수단은, 리스트데이터가 유효인 경우에, 그 리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판단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26. 제 22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리스트 유효시각이 설정되는 시각설정수단과, 시각설정수단에 설정되어 있는 리스트 유효시각의 도래를 검지하는 시각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정보처리수단은, 시각 검지수단에 의해 리스트 유효시각의 도래가 검지된 때에, 리스트 등록수단에 등록되어 있는 리스트 데이터를 유효로 하고, 상기 판단수단은, 리스트데이터가 유효인 경우에, 그 리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판단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27. 제 25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은, 사용자에 의한 리스트 무효조작에 따라, 리스트등록수단에 등록되어 있는 리스트데이터를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28. 제 26항에 있어서,
    시각설정수단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리스트 무효시각이 설정되며, 시각검지수단은, 시각설정수단에 설정되어 있는 리스트 무효시각의 도래를 검지하고, 상기 정보처리수단은, 시각 검지수단에 의해 리스트 무효시각의 도래가 검지된 때에, 리스트 등록수단에 등록되어 있는 리스트데이터를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KR10-2002-0001648A 2001-01-11 2002-01-11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4573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04121A JP2002209267A (ja) 2001-01-11 2001-01-11 プライバシー保護方法とシステム及びその携帯通信機器と固定局
JPJP-P-2001-00004121 2001-01-11
JPJP-P-2001-00083478 2001-03-22
JP2001083478A JP3545354B2 (ja) 2001-03-22 2001-03-22 プライバシー保護方法とシステム及びその携帯通信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621A KR20020060621A (ko) 2002-07-18
KR100457306B1 true KR100457306B1 (ko) 2004-11-16

Family

ID=26607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648A KR100457306B1 (ko) 2001-01-11 2002-01-11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006835B2 (ko)
KR (1) KR1004573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777B1 (ko) 2009-08-28 2015-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0461B1 (en) 1997-08-04 2003-05-06 Mundi Fomukong Authorized location reporting paging system
US20030179735A1 (en) * 2002-03-23 2003-09-25 Ramachandran Suresh System and method of portable data management
JP3954899B2 (ja) * 2002-05-23 2007-08-08 三洋電機株式会社 携帯電話装置
KR20040031983A (ko) * 2002-10-08 2004-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의 위치정보 차단 방법
US7171220B2 (en) * 2003-03-14 2007-01-30 Mesh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the precision of geo-location services in a wireless network terminal
US7046782B2 (en) * 2003-04-18 2006-05-16 Larry Miller Telephone call control system and methods
US20090014897A1 (en) * 2003-05-15 2009-01-15 Kumamoto Technology & Industry Foundation Semiconductor chip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10345511B4 (de) * 2003-09-30 2005-11-17 Siemens Ag Verfahren zur Ermittlung der Ortsposition mindestens eines mobilen Funkkommunikationsgeräts, zugehöriges Funkkommunikationsgerät sowie Funkkommunikationssystem
US9392406B2 (en) 2005-02-03 2016-07-12 Trueposit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based monitoring of a mobile device
JP4624294B2 (ja) * 2006-03-31 2011-02-02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移動通信端末及びコンテンツ情報サーバ及びコンテンツリスト提供方法
US8489110B2 (en) * 2006-05-12 2013-07-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rivacy control of location information
US9251521B2 (en) 2006-05-12 2016-02-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Location-based alerting
US8116787B1 (en) * 2006-06-30 2012-02-14 At&T Mobility Ii Llc Wireless network coverage based on quality of service
US20080129487A1 (en) * 2006-11-30 2008-06-05 Crucs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haracteristics of a domain occupied by individuals
US8121620B2 (en) * 2007-03-22 2012-02-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cation tracking of mobile phone using GPS function
US20100024045A1 (en) * 2007-06-30 2010-01-28 Sastry Manoj R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ivacy in location-aware systems
US7979470B2 (en) * 2008-03-19 2011-07-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manipulation process method and system
US10237679B2 (en) * 2008-06-27 2019-03-19 Here Global B.V.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location sharing
US8332535B2 (en) 2008-07-09 2012-12-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ivacy and limited exposure services for location based services
US8447322B2 (en) * 2008-12-17 2013-05-21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carrier tracking of wireless devices during an emergency
US8627484B2 (en) * 2010-12-22 2014-01-07 Trueposition, Inc. Unauthorized location detection and countermeasures
CN103414998A (zh) * 2013-07-18 2013-11-27 江苏中科天安智联科技有限公司 基于车辆位置的实时天气信息推送系统
CN105809041A (zh) * 2014-12-29 2016-07-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US10601931B2 (en) * 2016-10-03 2020-03-24 J2B2,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information and using coordinating identifiers
CN108566373B (zh) * 2018-03-06 2020-06-12 清华大学 保护用户隐私的位置信息发布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8243A (ja) * 1996-09-30 1998-04-24 Nec Eng Ltd 簡易型携帯電話システム
KR19980072840A (ko) * 1997-03-08 1998-11-05 김광호 특정 전화 수신 거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9504A (en) * 1990-07-19 1992-06-02 Motorola, Inc. Position aided subscriber unit for a satellite cellular system
US6748318B1 (en) * 1993-05-18 2004-06-08 Arrivalstar, Inc. Advanced not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a computer network
US5519403A (en) * 1993-11-29 1996-05-21 Motorola, Inc. Global positioning system communications multi-interface
US5517199A (en) * 1995-05-11 1996-05-14 Aerodata Corporation Emergency locator device
FI980351A (fi) * 1997-02-19 1998-08-2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Solukkoradioaccessverkko sekä sijainninpäivitys langattomassa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SE509435C2 (sv) * 1997-05-16 1999-01-25 Ericsson Telefon Ab L M Integritetsskydd i ett telekommunikationssystem
US6085090A (en) * 1997-10-20 2000-07-04 Motorola, Inc. Autonomous interrogatable information and position device
US6138003A (en) * 1997-11-26 2000-10-24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zation of location services
US6327471B1 (en) * 1998-02-19 2001-12-04 Conexant Systems, Inc.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ositioning system assisted cellular radiotelephone handoff and dropoff
US6360102B1 (en) * 1998-09-10 2002-03-19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defining a subscriber location privacy profile
US6184829B1 (en) * 1999-01-08 2001-02-06 Trueposition, Inc. Calibration for wireless location system
US6453237B1 (en) * 1999-04-23 2002-09-17 Global Locat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nd providing services to mobile devices
US20020016173A1 (en) * 2000-06-21 2002-02-07 Hunzinger Jason F. Communic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687504B1 (en) * 2000-07-28 2004-02-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eas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6600928B1 (en) * 2000-11-06 2003-07-29 Motorola, Inc. Method for establishing a temporary simplex call group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30028621A1 (en) * 2001-05-23 2003-02-06 Evolving Systems, Incorporated Presence, location and availabilit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6885874B2 (en) * 2001-11-27 2005-04-26 Motorola, Inc. Group location and route sharing system for communication units in a trunked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8243A (ja) * 1996-09-30 1998-04-24 Nec Eng Ltd 簡易型携帯電話システム
KR19980072840A (ko) * 1997-03-08 1998-11-05 김광호 특정 전화 수신 거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777B1 (ko) 2009-08-28 2015-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621A (ko) 2002-07-18
US7006835B2 (en) 2006-02-28
US20020090956A1 (en) 200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7306B1 (ko)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JP4188690B2 (ja) 捜索支援装置及び捜索支援システム
US7570960B2 (en) Mobile terminal, position search system, position search method, and program therefor
US8099772B2 (en)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US20090099766A1 (en) Map data update system
EP1251476B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privacy protection method
JP2009049502A (ja) 位置通知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JP2004007194A (ja) 携帯情報端末検索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携帯情報端末
EP1515154B1 (en) Two-way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an existing wireless network
KR20010047166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방법
KR100382472B1 (ko) 이동 단말기의 위치 알림 방법
JP2005337998A (ja) 位置検出機能付マイクロ波検出器のデータ更新システム
JP3545354B2 (ja) プライバシー保護方法とシステム及びその携帯通信機器
JPH10200943A (ja) 携帯型無線端末装置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KR1005305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가능 지역 등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02368876A (ja) 車載情報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9239524A (ja) 登録装置および無線通信端末
JP3827134B2 (ja)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移動体位置検索システム及び移動体位置検索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2003329478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100598052B1 (ko) Gps 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관련 정보 제공방법
KR19990055669A (ko) 분실 차량 위치 감지 장치 및 방법
JP2003319439A (ja) 移動通信端末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H10285632A (ja) Phs等の簡易型携帯電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