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7290B1 - 커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커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7290B1
KR100457290B1 KR10-2002-0073362A KR20020073362A KR100457290B1 KR 100457290 B1 KR100457290 B1 KR 100457290B1 KR 20020073362 A KR20020073362 A KR 20020073362A KR 100457290 B1 KR100457290 B1 KR 100457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member
main body
opening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3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5551A (ko
Inventor
김종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페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페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페코
Priority to KR10-2002-0073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290B1/ko
Publication of KR20040045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5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2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4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we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2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locking-pins or split-pins thrust into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부(2a)가 형성된 커버(2)를 이와 마주하는 본체(4)에 고정시키기 위한 커버 고정장치(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4)에 부착된 채 상기 커버(2)의 개구부(2a)에 자유롭게 통과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축공(12a)이 형성된 한 쌍의 돌출형 귀부(12)를 자체 말단에 구비하는 브라켓 부재(10)와; 양단이 상기 귀부(12)의 축공(12a) 각각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축부재(20)와; 상기 회축부재(20) 상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롯홈(32)을 자체 내에 구비하여, 상기 브라켓 부재(10)의 중심축선(A)에 대해 직각으로 회동될 때 자체의 장방향 측벽(36)이 상기 커버(2)와 평행을 이루는 플레이트 부재(30)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직각으로 회동된 플레이트 부재(30)가 상하 미끄럼 운동 및 전후 미끄럼 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그리고 미끄럼 운동에 의해 전진된 플레이트 부재(30)가 상기 커버(2)를 본체(4)에 대해 가압하면서 정지되어질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슬롯홈(32)은 장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버 고정장치{COVER FIXING DEVICE}
본 발명은 각종 기계 또는 기기에서 커버를 본체에 마주하도록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커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기기 또는 기계장치에서 본체와 커버를 밀폐된 상태로 고정시켜야 하는 예를 들면, 각종 기기 또는 기계장치의 정검창 고정에 바람직하게 이용되어질 수 있는 커버 고정장치 관한 것이다.
종래에, 커버와 본체를 서로 마주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볼트, 너트 및/ 또는 클립 등으로 이루어진 체결구를 이용하므로, 별도의 공구를 이용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고정 및 해체를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에 대한 커버의 고정 및 해체가 매우 짧은 시간 안에 쉽게 수행되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본체에 부착된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플레이트 부재가 작업자의 간단한 동작에 의해 앞으로 전진 고정되어 브라켓 부재가 통과된 커버를 본체에 대해 가압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커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 고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 고정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커버가 본체에 대해 고정되어지는 동안, 플레이트가 이동된 위치를 각각 도시한 도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개구부가 형성된 커버를 이와 마주하는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커버 고정장치를 제공하되, 상기 커버 고정장치는 상기 본체에 부착된 채 상기 커버의 개구부에 자유롭게 통과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축공이 형성된 한 쌍의 돌출형 귀부를 자체 말단에 구비하는 브라켓 부재와; 양단이 상기 귀부의 측공들 각각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축부재와; 상기 회축부재 상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롯홈을 자체 내에 구비하여 상기 브라켓 부재의 중심축선에 대해 직각으로 회동될 때 자체의 장방향 측벽이 상기 커버와 평행을 이루도록 되어 있는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직각 회동된 플레이트 부재가 상하 미끄럼 운동 및 전후 미끄럼 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그리고 미끄럼 운동에 의해 전진된 플레이트 부재가 상기 커버를 본체에 대해 가압하면서 정지되어질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슬롯홈은 장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도면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 커버 고정장치(1)가 예를 들면, 각종 기계 또는 기기의 정검창 분야에서 밀폐구조를 위해, 패킹(5)을 구비한 본체(4)와 커버(2)를 서로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시된 도면일 뿐, 서로 마주하는 다양한 형태의 본체 및 커버의 다양한 개폐구조에 응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 고정장치(1)가 전체적으로 브라켓 부재(10), 회축부재(20) 및 플레이트 부재(30)를 포함하여, 커버(2)를 이와 마주하는 본체(4)에 대해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함을 알 수 있다.
브라켓 부재는,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c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용접부 또는 나사체결부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용접부(7)에 의해 본체(4)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4)에 마주한 커버(2)의 개구부(2a)를 통과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 때, 브라켓 부재(10),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의 브라켓 부재(10)는 커버(2)의 개구부(2a)를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축공(12a)이 형성된 한 쌍의 돌출형 귀부(12)를 자체 말단에 구비한다.
돌출형 귀부(12)에 형성된 한 쌍의 축공(12a)에는 이하 기술될 플레이트 부재(30)의 회동을 허용하기 위한 회축부재(20), 바람직하게는 핀 형태의 회축부재(20)가 양단부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삽입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부재(30)는 회축부재(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회동설치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2)의 바람직한 고정 구조를 위해, 장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기다란 슬롯홈(32)이 상기 회축부재(30) 상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달성된다. 이 때, 플레이트 부재(30)의 회동축선(B)은 슬롯홈(32) 일단의 반원형상부(32a) 근처에 형성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브라켓 부재(10)의 귀부 사이(12)를 잇는 걸림면(14; 도 1 참조)과 플레이트 부재(30) 간의 간섭이 피해질 수 있게 된다.
도 2a 내지 도 2c는 플레이트 부재(30)를 회축부재(20)를 중심으로 회동시킨 후, 회동된 플레이트 부재(10)를 아래로 가압함으로써 커버(2)를 본체(4)에 대해 고정시키는 작동을 순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부재(30)는, 브라켓 부재(10)의 중심축선(A)과 동일 직선상에 위치되어 있을 때, 자체 기단부에는 경사면(34)이 형성되며, 그 경사면(34)의 하측부(34a) 만이 상기 브라켓 부재(10)의 걸림면(14; 도 1 참조)과 접하게 되어, 아래쪽으로 더 이상 회동되어지는 것을 막아주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플레이트 부재(30)는 상기 커버(2)의 개구부(2a)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회축부재(20)의 길이는 상기 커버(2)의 개구부(2a)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완전 분리된 상태의 본체(4)와 커버(2)를 고정시키는 작업에 있어서, 개구부(2a)보다 작게 미리 정해진 회축부재(20)의 길이 및 플레이트 부재(30)의 크기는, 회축부재(20)를 분리하지 않고도, 커버(2)를 본체(4)에 고정 또는 해체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반면,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커버(2)가 본체(4)에 대해 회동가능하게연결된 경우에는, 본체(4)로부터 커버(2)의 고정을 해제시킬 때, 회축부재(20)를 분리해야 하므로, 상기 플레이트 부재(30)의 크기 및 회축부재(20)의 길이가 상기 개구부(2a)의 크기 또는 직경에 비해 커도 무관하며, 이러한 구성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도 2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 고정장치(1)의 플레이트 부재(30)가 직각으로 회동된 상태를 도시된 도면이며, 이 상태에서, 플레이트 부재(30)가 커버(2)와 평행하게 멀리 떨어져 있게 된다.
또한, 도 2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 고정장치(1)의 플레이트 부재(30)가 하향이동 및 전진이동되어 커버(2)를 본체(4)에 대해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플레이트 부재(30)는 자체 내에 형성된 경사진 슬롯홈(32)에 의해 도 2b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2c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되어질 수 있다.
즉, 슬롯홈(32)이 플레이트 부재(30)의 장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플레이트 부재(30)는 슬롯홈(32)의 측벽이 회축부재(20)을 따라 미끄러짐에 따라 하강과 전진 미끄럼 운동을 동시에 하게 된다.
따라서, 플레이트 부재(30)가 도 2c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될 때, 즉, 플레이트 부재(30)가 커버(2)와 접촉하게 되어 더 이상 아래로 이동하지 못하게 될 때, 커버(2)는 플레이트 부재(30)에 의해 강하게 가압되어져서 본체(4)에 대해 고정되어진다.
이 때, 플레이트 부재(30)의 고정 상태는, 커버(2)로부터 가해지는 힘과 회축부재(20)로부터 가해지는 힘이 서로 평형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특별한 외력이 작용되지 않고서는 쉽게 해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슬롯홈(3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축부재(20)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복수의 원호형 오목부로 이루어진 요철(33)을 일 측벽에 구비한다.
그 요철(33)의 오목부 각각은 회축부재(20)의 외주면과 맞물려 커버(2) 또는 본체(4)에 가해질 수 있는 외력에 견디면서 커버(2)가 본체(4)에 대해 고정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더욱 높는 기능을 한다.
여기에서, 슬롯홈(32)의 일측벽에 형성된 요철(33)은 단지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요철(33)이 없는 경우에도, 플레이트 부재(30)는 커버(2)로부터 받는 힘과 회축부재(4)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 고정 유지되어질 수 있다.
한 편, 플레이트 부재(30)의 장방향 길이는 브라켓 부재(10)의 축공(12a) 위치, 더 상세하게는 회축부재(20)의 설치 위치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데, 특히, 축공(12a)이 브라켓 부재(10)의 중심축선 상 또는 그 아래쪽에 위치되거나 걸림면 가까운 곳에 위치할 경우, 플레이트 부재(30)는 간섭없이 회동되어질 있도록 짧은 길이로 만들어져야 하며, 짧게 만들어진 플레이트 부재는 길게 만들어진 플레이트 부재에 비해 약한 가압력을 커버에 제공할 수 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플레이트 부재(30)는 길게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 귀부(12)에 형성된 축공(12a)은 귀부(12)의 말단 근처 그리고 상기 브라켓 부재(10)의 중심축선(A)의 위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버 고정장치는 별도의 공구 없이, 그리고 짧은 시간 안에 커버를 본체에 대해 고정 및 해체시키는 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플레이트 부재가 강한 가압력으로 커버를 가압하면서 본체와 커버를 고정하므로 정검창 등의 밀폐구조에 응용되기에 적합하며, 그 구조가 매우 단순하여 제조비용이 매우 저렴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레이트 부재의 슬롯홈 및 경사면 구조에 의해, 플레이트 부재가 한 쪽 방향으로만 회동될 수 있게 함으로써, 회축부재를 삽입 및 해체시키는 별도의 조작없이,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완전 분리된 상태의 커버를 서로 용이하게 고정 및 해체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개구부(2a)가 형성된 커버(2)를 이와 마주하는 본체(4)에 고정시키기 위한 커버 고정장치(1)에 있어서,
    상기 본체(4)에 부착된 채 상기 커버(2)의 개구부(2a)에 자유롭게 통과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축공(12a)이 형성된 한 쌍의 돌출형 귀부(12)를 자체 말단에 구비하는 브라켓 부재(10)와;
    양단이 상기 귀부(12)의 측공(12a) 각각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축부재(20)와;
    상기 회축부재(20) 상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롯홈(32)을 자체 내에 구비하여, 상기 브라켓 부재(10)의 중심축선(A)에 대해 직각으로 회동될 때 자체의 장방향 측벽(36)이 상기 커버(2)와 평행을 이루는 플레이트 부재(30)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직각으로 회동된 플레이트 부재(30)가 상하 미끄럼 운동 및 전후 미끄럼 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그리고 미끄럼 운동에 의해 전진된 플레이트 부재(30)가 상기 커버(2)를 본체(4)에 대해 가압하면서 정지되어질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슬롯홈(32)은 장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홈(32)의 일측벽에는 상기 회축부재(20)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복수의 원호형 오목부로 이루어진 요철(3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커버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귀부(12)에 형성된 축공(12a)은 상기 귀부(12)의 말단 근처 그리고 상기 브라켓 부재(10)의 중심축선(A)의 위쪽에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부재(30)는 자체 기단부에 경사면(34)을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 부재(30)가 상기 브라켓 부재(10)와 동일 직선 상에 있을 때, 상기 경사면(34)의 하측부(34a) 만이 상기 귀부 사이의 걸림면(14)에 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고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축부재(20)의 길이는 상기 커버(2)의 개구부(2a)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플레이트 부재(30)는 상기 개구부(2a)를 통과할 수 있도록 그 크기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고정장치.
KR10-2002-0073362A 2002-11-25 2002-11-25 커버 고정장치 KR100457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362A KR100457290B1 (ko) 2002-11-25 2002-11-25 커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362A KR100457290B1 (ko) 2002-11-25 2002-11-25 커버 고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186U Division KR200304004Y1 (ko) 2002-11-25 2002-11-25 커버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551A KR20040045551A (ko) 2004-06-02
KR100457290B1 true KR100457290B1 (ko) 2004-11-16

Family

ID=37341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3362A KR100457290B1 (ko) 2002-11-25 2002-11-25 커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729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551A (ko) 2004-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21891A (ko) 기기설치용 프레임부재에 대한 유체관련기구의 설치기구
JP2010284795A (ja) クランプ装置
JP6267325B2 (ja) 仮組み付け具用の治具
JP2002317807A (ja) 回転ナット
CN105291036A (zh) 一种航空插头快速装卸装置
JP2009008156A (ja) クランプ
KR100457290B1 (ko) 커버 고정장치
KR200304004Y1 (ko) 커버 고정장치
KR101583004B1 (ko) 스위치 버튼의 성능시험 장치
KR101828945B1 (ko) 블라인드 볼트
KR20150117046A (ko) 센서 프로브 고정장치
CN111590496A (zh) 一种安装在螺丝刀上的螺丝钉夹紧装置
JP4912043B2 (ja) ヒンジピン抜き取り装置
KR100329248B1 (ko) 롤유닛캐리어를롤스탠드에견고하게고정시키는장치
JP2004066359A (ja) シリンダヘッド用スパナ装置
JP4234876B2 (ja) 金属板の穴明け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穴明け工具
KR101158754B1 (ko) 회전 차단형 가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력 테스트용 블라인드 플랜지 체결 장치
JP2009090431A (ja) 取り外し装置および方法
CN219962772U (zh) 一种易拆装端部支撑组件及清洁装置
US2580680A (en) Safety guard for power-driven pipe tongs
KR20080030148A (ko) 모터의 과부하 방지방법 및 그 장치
JPS5837560Y2 (ja) 小ねじ等の締弛工具
KR200184468Y1 (ko) 스크류드라이버
KR200249724Y1 (ko) 코어드릴에 장착되는 중심고정체
JP4441290B2 (ja) シャシとユニット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