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6755B1 - 잔반을 이용한 사료의 제조방법 및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잔반을 이용한 사료의 제조방법 및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6755B1
KR100456755B1 KR10-2004-0031644A KR20040031644A KR100456755B1 KR 100456755 B1 KR100456755 B1 KR 100456755B1 KR 20040031644 A KR20040031644 A KR 20040031644A KR 100456755 B1 KR100456755 B1 KR 100456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ue
mixture
pipe
stirring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1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완
장준혁
Original Assignee
이동완
장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완, 장준혁 filed Critical 이동완
Priority to KR10-2004-0031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67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7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6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waste material, e.g. feathers, bones or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7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30/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preservation of materials in order to produce animal feeding-stuffs
    • A23K30/20Dehyd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잔반을 기타 부원료와 함께 가공하여 양질의 사료를 제조하기 위한 사료의 제조방법과 위 제조방법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잔반에 대한 이물질 선별", "압착", "파쇄 및 선별", "부원료 투입 및 1차 교반", "건조", "집진", "냉각", "2차 교반 및 보조제 투입" 등과 같은 일련의 공정에 의해 사료가 구현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그 수거 및 처리에 상당한 재정이 소요되는 잔반(음식물 쓰레기)을 이용하여 가축사료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된 사료는 급이하기에 매우 용이한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장기간의 보존이 가능하였을 뿐만 아니라 비육효과 및 출하기 등에 있어서도 일반의 기성사료와 대등한 효과를 보였다.

Description

잔반을 이용한 사료의 제조방법 및 제조 시스템.{fodder's manufacture method and fodder manufacture system}
본 발명은 잔반(음식물 찌꺼기)을 이용한 사료의 제조방법 및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잔반을 기타 부원료와 함께 가공하여 양질의 사료를 제조하기 위한 사료의 제조방법과 위 제조방법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생활이 점차적으로 도시화 및 집단화됨에 따라 각 가정이나 업소 등에서 배출되는 잔반(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처리는 자치단체가 해결해야 할 가장 큰 문제점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실질적으로 잔반 등과 같은 폐기물의 경우 그 침출수로 인해 심각한 환경오염의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으며, 그 처리장소 또한 제한되어 있고 처리양 또한 한계에 다다르고 있는 바, 매일 배출되는 방대한 양의 잔반에 대한 효율적인 처리방안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그와 같은 요구에 따라 잔반을 이용하여 퇴비를 제조하거나 대체연료를 제조하는 방안 등이 제안되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으나 제조과정에서의 대기오염이나 사용과정에서의 부작용 등과 같은 여러가지 현안이 해결되지 못하여 현실화가 어려운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은 잔반의 효율적인 처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잔반을 압착 및 파쇄한 상태에서 부원료를 적절하게 배합한 다음 적절한 온도로 가열하는 공정 등에 의해 양질의 사료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사료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을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사료제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에 기술적 과제의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잔반을 이용한 사료의 제조방법 및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제조 시스템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0: 제조 시스템 20: 잔반 저장조
30: 1차 선별장치 40: 압착장치
50: 파쇄장치 60: 1차 교반장치
70: 건조장치 80: 집진장치
90: 부원료 저장조
도 1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사료 제조방법의 공정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료의 제조는 "잔반에 대한 이물질 선별", "압착", "파쇄 및 선별", "부원료 투입 및 1차 교반", "건조", "집진", "냉각", "2차 교반 및 보조제 투입" 등과 같은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바, 각 공정의 상세한 실시는 하기와 같이 이루어진다.
제 1공정 - 본 공정은 잔반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별도의 잔반 저장조에 수집된 잔반을 이송컨베이어 및 마그네틱 등으로 구성되는 통상의 금속 선별수단으로 이송시키면서 인력에 의한 수작업을 병행시켜 잔반에 포함된 금속 및 기타 이물질 등을 1차 선별한다.
제 2공정 - 본 공정은 이물질이 1차 선별된 잔반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잔반을 압착스크류 등의 수단을 구비하는 압착조에 투입하여 잔반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이때, 압착의 정도는 잔반에 함유된 수분율이 약 70%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하는데, 그 이유는 잔반의 압착과정에서 지나친 압착을 가할 경우 잔반에 함유된 유익한 성분까지 모두 파괴될 우려가 있으므로 잔반에 대한 압착은 약 70%의 수분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이 바람직하다.(통상의 잔반에는 약 80%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는 상태임.)
제 3공정 - 본 공정은 압착된 잔반을 파쇄하여 주기 위한 공정으로서, 회전커터체 등을 구비하는 통상의 파쇄수단을 이용하여 잔반을 잘게 파쇄함과 아울러 마그네틱 등과 같은 통상의 금속 선별수단을 이용하여 금속성 이물질을 걸러 준다.이때, 파쇄수단에 의해 파쇄되는 잔반은 그 직경이 3㎜ ~ 5㎜의 입자상태를 유지하도록 파쇄한다.
제 4공정 - 본 공정은 파쇄된 잔반에 부원료를 혼합하여 주기 위한 공정으로서, 파쇄된 잔반을 교반조 등의 수단에 투입한 상태에서 입자상으로 분쇄된 밀기울과 대두박 등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부원료를 투입한 다음 교반하여 잔반과 부원료를 고르게 혼합함과 아울러 통상의 자외선 살균수단을 이용하여 살균하고, 이송컨베이어 및 마그네틱 등과 같은 통상의 금속 선별수단을 이용하여 위 혼합물에 잔재하는 금속성 불순물을 재차 선별해낸다.이때, 부원료에 대한 투입량은 잔반과 부원료가 혼합된 혼합물의 수분율을 50%로 유지시킬 수 있는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 5공정 - 본 공정은 잔반과 부원료의 혼합물을 건조시켜 주기 위한 공정으로서, 잔반과 부원료의 혼합물에 300℃ ~ 400℃의 온도를 유지하는 열풍을 가하여 열풍에 의해 잔반과 부원료에 대한 부양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잔반과 부원료에 존재하는 각종 병원균을 살균하며, 열풍에 의한 부양이송과정에서 혼합물에 잔재된 수분율이 13% ~ 15%에 이르도록 한다.
제 6공정 - 본 공정은 부양이송되는 잔반 및 부원료의 혼합물을 집진한 다음 저장조로 이송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부양이송 과정에서 열풍의 이송력을 극복한 무거운 중량의 혼합물은 하방으로 자유낙하시켜 별도로 채집하고 열풍의 이송력을 극복하지 못한 가벼운 중량의 미세 혼합물은 집진메쉬 및 배기팬 등의 수단을 구비하는 집진기로 이송시켜 집진메쉬에 의해 집진되도록 하며, 위 수거된 각각의 혼합물을 강제 흡기가 이루어지는 이송관로로 수집하여 저장조로 강제 부양이송시킨다.위 과정에서 잔반과 부원료의 혼합물에 포함된 불순물 중 중량이 가벼우면서 부피가 큰 불순물(비닐 등)에 대한 어느 정도의 제거가 이루어지며, 저장조로 이송되는 혼합물은 외기에 의한 강제적인 부양이송 과정에서 외기에 의한 냉각이 이루어져 10% 내외의 수분율을 유지하게 된다.
제 7공정 - 본 공정은 출하의 직전 공정으로서, 저장조에 저장된 혼합물을 걸름망으로 선별한 다음 교반임팰러 및 통상의 자외선 살균기 등의 수단을 구비하는 교반조에 투입하여 고르게 교반함과 아울러 자외선 살균하여 최종 완성된 사료를 출하하게 된다.이때,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보조제(약제 및 발육제 등)를 교반조에 투입하면 사용자가 요구하는 보조제가 첨가된 맞춤형의 사료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공정을 거쳐 사료를 구현할 수 있었는 바, 위 구현된 사료는 약 13% 이하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입자 상태로서 농가에서 가축에 자동급이를 하기에 매우 용이한 형태를 취하는 것이며, 위 사료는 복수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자외선 살균과정을 거칠 뿐만 아니라 더욱 중요한 점은 고온의 열풍에 의한 혼합물의 건조 및 부양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병원균에 대한 살균능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조가 완료된 사료는 수분율이 13% 이하인 입자상 건식사료의 형태이기 때문에 밀봉 상태로 보관할 경우 장기간(자체적인 보관시험 결과에 의하면 3개월 이상 최대 6개월까지 보관이 이루어졌음.) 보관이 가능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된 사료를 이용하여 가축(돼지)을 사육한 다음 도출한 자체적인 시험데이터에 의하면 출하시기 및 육질 등에 있어서는 기존하는 기성사료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 바, 아래의 <표 1>은 월별로 수거된 잔반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사료의 월별 분석(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에서 시행)결과와 대조군(기성사료)과의 성분을 대비한 것이다.<표 1>
구 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칼슘 염분
2003. 7. 17.68 3.09 3.82 6.30 1.19 0.39 0.47
2003. 4. 17.07 3.03 3.13 5.05 1.18 0.37 0.38
2003. 1. 17.52 2.95 3.03 4.37 1.02 0.38 0.32
평 균 17.42 3.02 3.32 5.24 1.13 0.38 0.39
대조군 A 16.0 이상 4.0 이상 6.0 이하 8.0 이하 0.6 이상 0.4 1.0 이하
대조군 B 15.0 이상 3.0 이상 6.0 이하 8.0 이하 0.6 이상 0.5 1.0 이하
대주군 C 18.0 이상 5.0 이상 5.0 이하 8.0 이하 0.6 이상 0.5 1.0 이하
또한, 사료에 대한 물성테스트의 결과 납 및 수은과 아플라톡신 B1 등과 같은 유해물질의 검출량이 허용기준 이하로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유해물질이 카드뮴이나 살모넬라 D그룹 등과 같은 유해물질이 검출되지 않았는데, 이는 제조공정에서 반복적인 선별공정을 실시한 결과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는 바, 아래의 <표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사료에 대한 분석결과통지서(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시행)로서 유해물질의 검출이 허용기준 이하이거나 미검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표 2>
구 분 허용기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사료의 분석결과
납(Pb) 20 이하 2.13
카드뮴(Cd) 2.5 이하 미검출
수은(Hg) 0.5 이하 0.004
아플라톡신 B1 50 이하 0.67
살모넬라 D그룹 미검출 미검출
도 2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사료제조 시스템(10)의 구성도가 도시되는데,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등에 의해 공급되는 잔반을 저장하기 위한 잔반 저장조(20)와, 상기 잔반 저장조(20)와 공급배관(S1)에 의해 연계되는 1차 선별장치(30)와, 잔반의 압착 및 파쇄를 위한 압착장치(40) 및 파쇄장치(50)와, 상기 파쇄장치(50)와 이송배관으로 연계되는 분쇄잔반 저장조(200)와, 상기 분쇄잔반 저장조(200)와 이송배관으로 연계되는 1차 교반장치(60)와, 상기 1차 교반장치(60)와 이송컨베이어(C1)에 의해 연계되는 건조장치(70)와, 미세한 잔반 및 부원료의 집진을 위한 집진장치(80)와, 상기 집진장치(80)와 이송배관(P3)에 의해 연계되는 혼합물 저장조(210)와, 혼합물을 재차 교반하여 출하하여 주기 위한 2차 교반장치(600)와, 상기 1차 교반장치(60)와 공급배관(S2)에 의해 연계되는 부원료 저장조(9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1차 선별장치(30)는 잔반에 포함된 불순물을 선별제거하기 위한 구성부로서, 구동모터(M1)에 의해 구동하는 선별컨베이어(31)의 후단에 마그네틱 홀더(32)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잔반 저장조(20)와 1차 선별장치(30)를 연계해주는 잔반 공급배관(S1)의 내부에는 구동모터(미도시됨.)에 의해 구동하는 이송스크류(미도시됨.)를 설치하여 잔반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위 이송스크류는 역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잔반에 섞인 이물질이 이송스크류에 끼어 부하가 걸릴시에는 이송스크류를 역회전 구동시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착장치(40)는 잔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해주기 위한 구성부로서, 압착컨베이어(40a)의 선단에 잔반이 투입되는 투입호퍼(41)를 설치하고, 압착컨베이어(40a)의 후단에 잔반을 압착시켜 주기 위한 압착하우징(42)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파쇄장치(50)는 압착이 이루어진 잔반을 잘게 파쇄하여 주기 위한 구성부로서, 투입호퍼(52)를 구비하는 파쇄하우징(51)의 내부에 구동모터(미도시됨.)에 의해 구동하는 파쇄커터(미도시됨.)를 배열하고, 파쇄하우징(51)에 마련된 배출구(53)의 하방에 이송펌프(54)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분쇄잔반 저장조(200)는 파쇄된 잔반을 한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구성부로서, 저장탱크(201)와 파쇄장치(50)의 이송펌프(54)가 이송배관으로 연계되며, 저장탱크(201)의 하방에는 임의의 개폐조절이 가능한 배출구(202)를 형성하여 배출구(202)에 이송펌프(203)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한편, 상기 분쇄잔반 저장조(200)의 저장탱크(201) 용량은 장비가 설치된 지역에서 1일간 발생하는 양의 잔반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교반장치(60)는 잔반과 부원료를 혼합·교반하여 주기 위한 구성부로서, 부원료 저장조(90)와 공급배관(S2)으로 연계되고 분쇄잔반 저장조(200)의 이송펌프(204)와 이송배관으로 연계되도록 한 구동하우징(61)의 내부에 자외선 살균수단(미도시됨.)과 구동모터(미도시됨.)에 의해 구동하는 교반임팰러(미도시됨.)를 설치하고, 구동하우징(61)의 저부에 임의개폐가 가능한 배출구(62)를 형성하며, 배출구(62)의 하방에 금속성 불순물을 분류해내기 위한 마그네틱 홀더(311)를 구비하는 선별컨베이어(310)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1차 교반장치(60)와 공급컨베이어(320)로 연계되는 건조장치(70)는 잔반과 부원료의 혼합물을 건조함과 동시에 살균처리하기 위한 구성부로서, 혼합물을 적층하기 위한 적층탱크(71)에 배출관(71a)을 설치하고, 적층탱크(71)의 하방에 버너 및 브로우어(미도시됨.)의 조합으로 된 열풍기(72)를 설치하며, 열풍기(72)의 선단에 상부로 신장되었다 하부로 신장되는 " ∩"형태의 건조배관(73)을 설치하여 건조배관(73)의 일측(열풍건조기의 전방)에 배출관(71a)이 연결되도록 하고, 건조배관(73)의 선단부(배출관(71a)의 직하방)에는 불순물 낙하구(76)를 형성하여 그 하방에 채집통(77)을 설치하여 무게가 무거운 불순물을 채집할 수 있도록 하며, 건조배관(73)의 후단부에는 혼합물 낙하구(74) 및 혼합물 수집케이스(75)를 설치한 다음 수집케이스(75)와 급송배관(P3)이 연통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집진장치(80)는 미세한 혼합물(잔반 및 부원료의 혼합물)을 집진하기 위한 구성부로서, 내부가 집진메쉬(미도시됨.)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도록 한 집진실(81)의 일측에 건조장치(70)의 건조배관(73)의 단부에 연통되는 집진배관(82)을 설치함과 아울러 집진실(81)의 타측 상부(집진메쉬의 상부영역)에 구동모터(M2)에 의해 구동하는 배기팬(미도시됨.)을 구비하는 배기관(83)을 연결하며, 집진실(81)의 하방에 임의개폐가 가능한 배출관(84)을 설치한 다음 배출관(84)의 단부가 급송배관(P3)에 연통되도록 하여 구성한다.
상기 혼합물 저장조(210)는 교반 및 건조가 완료된 혼합물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부로서, 구동모터(미도시됨.)에 의해 구동하는 흡기팬(미도시됨)을 구비하는 흡기장치(211)의 하방에 환기구(213)를 구비하는 저장탱크(212)를 설치하고, 저장탱크(212)의 하단에 임의개폐가 가능한 배출구(214)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2차 교반장치(600)는 교반하우징(601) 내부에 교반임팰러(미도시됨.)를 설치하여 구동모터(미도시됨.)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고, 교반하우징(601) 내부 일측에 자외선 살균수단(미도시됨.)을 설치한 것으로 교반하우징(601) 상단에 개폐가능한 개폐구(미도시됨.)를 설치하여 교반하우징(601)내로 임의의 보조제(각종 약제 및 발육제 등)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혼합물 저장조(210)와 2차 교반장치(600) 사이의 영역에 걸름수단(260) 을 설치하여 혼합물 저장조(210)로부터 배출되는 혼합물을 걸러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부원료 저장조(90)는 잔반에 투입되는 부원료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부로서,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되는 저장탱크(91)로 구성되며, 각각의 저장탱크(91) 하방에는 임의개폐가 가능한 배출구(92)를 형성한 다음 위 배출구(92)와 제1 교반장치(60)를 부원료 공급배관(S2)로 연계시켜 작업자가 선택한 임의의 부원료를 1차 교반장치(60)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1차 선별장치(30), 압착장치(40) 및 파쇄장치(50) 등은 병렬로 설치하여 잔반의 선별과 압착 및 파쇄 등의 작업을 이원화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잔반의 공급체계가 일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휴일에 따른 운반차량 및 수거인력의 공백으로 인한 과잉공급)에 효율적으로 대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의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잔반 저장조(20)에 저장된 잔반이공급배관(S1)에 의해 1차 선별장치(30)로 공급되면 선별컨베이어(31)에 의해 이송되는데, 이때, 작업자가 잔반에 포함된 이물질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분류해내고 육안 식별이 어려운 미세한 금속 등은 선별컨베이어(31)의 후단에 설치된 마그네틱 홀더(32)에 의해 분류되며, 이물질이 선별된 잔반은 압착장치(40)의 투입호퍼(41)를 통해 압착하우징(42)내로 투입되어 수분의 제거가 이루어지는데, 이때 압착장치(40)에 의한 압착의 정도는 잔반에 함유된 수분율이 약 70% 가량 유지될 수 있는 범위내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압착된 잔반은 파쇄장치(50)의 투입호퍼(52)를 통해 파쇄하우징(51)에 투입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파쇄커터에 의해 입자상으로 파쇄되고, 파쇄된 잔반은 이송펌프(54)의 구동에 의해 이송배관을 따라 분쇄잔반 저장조(200)로 이송되어 한시적으로 저장된다.
분쇄잔반 저장조(200)에 저장된 분쇄잔반은 한시적으로 보관되는데, 위 분쇄잔반은 이송펌프(204)의 구동에 의해 이송배관을 따라 1차 교반장치(60)의 구동하우징(61)으로 이송된다.
구동하우징(61)에 투입된 분쇄잔반은 공급배관(S2)을 통해 부원료 저장조(90)로부터 공급된 부원료(입자상의 밀기울 및 대두박 등의 혼합물)와 혼합되는데, 위 혼합물은 구동모터(M3)로 구동하는 교반임팰러에 의해 고르게 교반되면서 자외선 살균수단에 의해 멸균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구동하우징(61)에 투입되는 부원료는 분쇄잔반과 부원료 혼합물의 수분율이 50% 내외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투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1차 교반장치(60)에 의해 교반 및 살균이 이루어진 혼합물은 하방에 설치된 선별컨베이어(310)에 의해 이송되는데, 이때 마그네틱 홀더(311)에 의해 혼합물에 포함된 금속성 불순물의 제거가 이루어지며, 선별컨베이어(31)와 연계된 공급컨베이어(320)에 의해 건조장치(70)의 적층탱크(71)로 공급된다.
적층탱크(71)에 적층된 혼합물은 배출관(71a)에 의해 배출되어 건조배관(73)으로 낙하되고 낙하되는 혼합물은 열풍기(72)에서 송풍되는 열풍과 집진장치(70)의 배기팬의 구동에 의한 강제 배기력에 의해 건조배관(73)을 따라 부양이송되면서 건조 및 살균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혼합물 중에서 비중이 무거운 불순물(금속성 찌꺼기 등)은 부양이송이 이루어지지 않고 건조배관(73)의 불순물 낙하구(76)를 통해 배출되어 수집케이스(77)에 수집된다.
건조배관(73)을 따라 부양이송되는 혼합물이 건조배관(73)의 후단부위에 다다르게 되면 집진장치(70)의 배기팬의 구동에 의해 내기가 외부로 강제 배기되므로 건조배관(73)을 통해 이송된 혼합물이 건조배관(73)과 연통된 집진배관(82)을 따라 집진실(81)로 빨려들어가는데, 이때, 비중이 무거운 순수한 혼합물(강제 배기를 이길 수 있는 무게의 혼합물)은 혼합물 낙하구(74)를 통해 수집케이스(75)로 배출되어 급송배관(P3)으로 이송되며 집진실(81)로 이송된 다소 가벼운 중량의 혼합물은 집진실(81)에 설치된 집진메쉬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집진실(81)의 하방으로 낙하수집되어 배출관(84)을 통해 급송배관(P3)으로 이송된다.
급송배관(P3)으로 이송된 혼합물은 흡기장치(211)에 마련되는 흡기팬의 구동에 의해 강제적인 부양이송이 이루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혼합물에 대한 자연냉각이 이루어져 잔유 수분의 제거가 이루어지며 흡기장치(211)로 이송된 혼합물은 저장탱크(212)로 공급된다.
이때, 저장탱크(212)에 형성된 환기구(213)는 혼합물에 잔재된 미열을 냉각시켜 홉합물의 온도를 하강시킴과 아울러 실내,외의 온도차로 인해 저장탱크(212)의 내벽에 나타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여 주게 된다.
혼합물 저장탱크(212)에 저장된 혼합물은 배출구(213)를 통해 배출되어 2차 교반장치(600)로 공급되는데, 이때, 혼합물은 2차 교방장치(600)로 공급되는 혼합물은 걸름수단(260)에 의해 걸러지며, 교반하우징(601)에 투입된 혼합물은 교반임팰러에 의해 고르게 교반됨과 아울러 자외선 살균수단에 의한 멸균처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혼합물의 교반과정에서 교반하우징(601)에 마련된 개폐구를 통해 임의의 약제나 보조제(발육제 등)를 투입하여 교반할 경우 사용자가 요구하는 맞춤형의 사료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사료의 제조방법은 그 수거 및 처리에 상당한 재정이 소요되는 잔반(음식물 쓰레기)을 이용하여 가축사료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된 사료는 급이하기에 매우 용이한 입자상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수분율 13% 이하의 건식상태이기 때문에 장기간의 보존이 가능하였을 뿐만 아니라 영양원이 풍부하기 때문에 가축에 급이하였을 시에 비육효과 및 출하기 등에 있어서도 일반의 기성사료와 대등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사료제조 시스템은 잔반의 압착 및 파쇄, 잔반과 부원료의 혼합 및 건조, 집진 및 저장 등과 같은 일련의 공정을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다수의 저장조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잔반에 대한 저장과 처리를 인위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불규칙적인 잔반의 공급에 대하여도 탄력적인 대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료의 제조과정에서 복수과정의 자외선 살균과정을 가하고 고온의 열풍에 의한 건조 및 부양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병원균에 대한 살균능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어 우수한 품질의 사료를 제조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이송컨베이어 및 마그네틱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잔반을 이송시키면서 인력에 의한 수작업을 병행시켜 잔반에 포함된 금속 및 기타 이물질 등을 선별하기 위한 1차 선별공정과;
    1차 선별된 잔반을 압착스크류 등의 수단을 구비하는 압착조에 투입하여 잔반에 함유된 수분율이 70%에 이르도록 압착하는 압착공정과;
    회전커터체를 구비하는 통상의 파쇄수단에 압착된 잔반을 투입한 다음 입자상으로 파쇄하여 주는 파쇄공정과;
    파쇄된 잔반을 교반조 등의 수단에 투입한 상태에서 입자상의 밀기울과 대두박 등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부원료를 투입하여 고르게 혼합함과 아울러 자외선 살균수단을 이용하여 살균하되, 잔반과 부원료 혼합비는 잔반 및 부원료가 혼합된 혼합물의 수분율을 50% 내외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원료 투입 및 교반공정과;
    이송컨베이어 및 마그네틱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위 혼합물에 잔재하는 금속성 불순물을 재차 선별하기 위한 2차 선별공정과;
    잔반과 부원료의 혼합물에 300℃ ~ 400℃의 온도를 유지하는 열풍을 가하여 열풍에 의해 잔반과 부원료에 대한 부양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잔반과 부원료의 혼합물에 존재하는 각종 병원균을 살균하며, 열풍에 의한 부양이송과정에서 혼합물에 잔재된 수분율이 13% ~ 15%에 이르도록 하는 건조공정과;
    부양이송 과정에서 열풍의 이송력을 극복한 무거운 중량의 혼합물은 하방으로 자유낙하시켜 별도로 채집하고 열풍의 이송력을 극복하지 못한 가벼운 중량의 미세 혼합물은 집진메쉬 및 배기팬 등의 수단을 구비하는 집진기로 이송시켜 집진메쉬에 의해 집진되도록 하며, 위 수거된 각각의 혼합물을 강제 흡기가 이루어지는 이송관로로 수집하여 저장조로 강제 부양이송시켜 이송과정에서 자연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한 집진 및 냉각공정과;
    저장조에 저장된 혼합물을 걸름망으로 선별한 다음 교반임팰러 및 자외선 살균기 등의 수단을 구비하는 교반조에 투입하여 고르게 교반함과 아울러 자외선 살균하는 교반 및 출하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반을 이용한 사료의 제조방법.
  2. 구동모터(M1)에 의해 구동하는 선별컨베이어(31)의 후단에 마그네틱 홀더(32)를 설치하여서 된 1차 선별장치(30)와;
    압착컨베이어(40a)의 선단에 잔반이 투입되는 투입호퍼(41)를 설치하고, 압착컨베이어(40a)의 후단에 잔반을 압착시켜 주기 위한 압착하우징(42)을 설치하여서 된 압착장치(40)와;
    파쇄하우징(51)의 내부에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파쇄커터를 배열하여서 된 파쇄장치(50)와;
    파쇄된 잔반을 한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분쇄잔반 저장조(200)와;
    부원료 저장조(90)와 공급배관(S2)으로 연계된 구동하우징(61) 내부에 자외선 살균수단과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교반임팰러를 설치하고, 구동하우징(61)의 저부에 임의개폐가 가능한 배출구(62)를 형성하며, 배출구의 하방에 금속성 불순물을 분류해내기 위한 선별컨베이어(310)를 설치하여서 된 1차 교반장치(60)와;
    혼합물을 적층하기 위한 적층탱크(71)에 배출관(71a)을 설치하고, 적층탱크(71)의 하방에 버너 및 브로우어의 조합으로 된 열풍기(72)를 설치하며, 열풍기(72)의 선단에 상부로 신장되었다 다시 하부로 신장되는 " ∩"형태의 건조배관(73)을 설치하여 건조배관(73)의 일측(열풍건조기의 선단부)에 배출관(71a)이 연통되도록 하고, 건조배관(73)의 단부에는 낙하구(74)를 형성하며, 낙하구(74)의 하방에 혼합물 수집케이스(75)를 설치한 다음 수집케이스(75)가 급송배관(P3)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건조장치(70)와;
    내부가 집진메쉬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도록 한 집진실(81)의 일측에 건조장치(70)의 건조배관(73) 단부에 연통되는 집진배관(82)을 설치함과 아울러 집진실(81)의 타측 상부(집진메쉬의 상부영역)에 배기팬을 구비하는 배기관(83)을 연결하며, 집진실(81)의 하방에 임의개폐가 가능한 배출관(84)을 설치한 다음 배출관(84)의 단부가 급송배관(P3)에 연통되도록 하여서 된 집진장치(80)와;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흡기팬을 구비하는 흡기장치(211)의 하방에 환기구(213)를 구비하는 저장탱크(212)를 설치하고, 저장탱크(212)의 하단에 임의개폐가 가능한 배출구(214)를 설치하여서 된 혼합물 저장조(210)와;
    교반하우징(601) 내부에 교반임팰러를 설치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일측에 자외선 살균수단을 설치하고, 교반하우징(601)에 개폐가능한 개폐구를 설치하여 임의의 약제 및 보조제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한 2차 교반장치(600)와;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되는 저장탱크(91)의 하방에 임의개폐가 가능한 배출구(92)를 형성한 다음 위 배출구(92)와 제1 교반장치(60)를 공급배관(S2)로 연계되도록 한 부원료 저장조(9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제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1차 선별장치(30), 압착장치(40) 및 파쇄장치(50) 등은 병렬로 설치하여 잔반의 선별로부터 압착 및 파쇄에 이르는 공정을 이원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제조 시스템.
KR10-2004-0031644A 2004-05-06 2004-05-06 잔반을 이용한 사료의 제조방법 및 제조 시스템. KR100456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644A KR100456755B1 (ko) 2004-05-06 2004-05-06 잔반을 이용한 사료의 제조방법 및 제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644A KR100456755B1 (ko) 2004-05-06 2004-05-06 잔반을 이용한 사료의 제조방법 및 제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6755B1 true KR100456755B1 (ko) 2004-11-10

Family

ID=49516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1644A KR100456755B1 (ko) 2004-05-06 2004-05-06 잔반을 이용한 사료의 제조방법 및 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67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014B1 (ko) * 2008-06-19 2009-03-25 이동완 잔반을 가공하여 사료를 제조하기 위한 사료제조 시스템
KR101507895B1 (ko) 2014-02-03 2015-04-07 (주)금강생활환경 남은 음식물을 이용한 사료 제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014B1 (ko) * 2008-06-19 2009-03-25 이동완 잔반을 가공하여 사료를 제조하기 위한 사료제조 시스템
KR101507895B1 (ko) 2014-02-03 2015-04-07 (주)금강생활환경 남은 음식물을 이용한 사료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15966B (zh) 餐厨垃圾处理系统及方法
ES2237680T3 (es) Procedimiento e instalacion para la elaboracion de residuos de extraccion de simiente de girasol para la alimentacion animal.
KR100853758B1 (ko) 음식물 폐기물을 이용한 액상 가축 사료 제조 시설
JP2009172457A (ja) 生ゴミ分別処理システム
KR100315172B1 (ko)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방법및 그 설비장치
KR101273490B1 (ko) 음식물 찌꺼기를 이용한 사료 제조설비
KR20130013445A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사료화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60192695A1 (en) Equip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fiber feed by using palm-processing by-products
CN207042297U (zh) 一种养殖业蛋鸡饲料搅拌装置
CN106858687A (zh) 一种富硒饲料生产系统、方法及富硒饲料
KR100456755B1 (ko) 잔반을 이용한 사료의 제조방법 및 제조 시스템.
KR100532535B1 (ko) 사료제조 시스템.
CN115301708B (zh) 好氧发酵罐式餐厨垃圾分类处理设备及使用方法
CN209238128U (zh) 一种提高粉碎效果的饲料粉碎机
KR980008016A (ko) 음식물 찌꺼기를 이용한 사료제조 방법 및 장치
CN203159493U (zh) 一种有机废弃物自然好氧堆肥设备
KR10042766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와 갈탄 제조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갈탄의 제조방법
CN213866007U (zh) 有机肥菌种发酵装置
CN210632618U (zh) 一种通过昆虫养殖进行有机垃圾处理的垃圾预处理系统
CN211832380U (zh) 养殖鸡鸭用喂料斗
CN204474541U (zh) 利用餐厨和农业废弃物快速发酵制备有机肥的装置
KR20140137884A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사료 및 퇴비 제조 시스템 및 제조방법
KR20020035682A (ko) 음식물쓰레기 사료화 시스템
CN210959894U (zh) 一种黄牛养殖用自动加料装置
CN112121947A (zh) 一种鸡饲料自动化加工装置及鸡饲料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