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6730B1 - 취침유도기 및 수면유도방법 - Google Patents

취침유도기 및 수면유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6730B1
KR100456730B1 KR10-2001-0064339A KR20010064339A KR100456730B1 KR 100456730 B1 KR100456730 B1 KR 100456730B1 KR 20010064339 A KR20010064339 A KR 20010064339A KR 100456730 B1 KR100456730 B1 KR 100456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leep
microprocessor
curren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2529A (ko
Inventor
이동민
Original Assignee
이동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민 filed Critical 이동민
Priority to KR10-2001-0064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6730B1/ko
Publication of KR20030032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2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7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Abstract

본 발명은 취침유도기 및 수면유도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입력받으면서 사용자의 신체상태에 따라 학습기능에 의해 검출한 주파수 대역의 진동 및/또는 초음파를 출력하여 최적의 수면유도가 가능하도록 한다.
종래의 취침유도기는 일반향으로 신호가 전달되는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달라질 경우에도 다양하게 이용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취침유도기는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시킨 선택사양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으면서 수면을 취하기 시작할 때부터 완전한 수면에 도달할 때까지의 상태를 검출하는 수면상태 체크부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으면서 각 사용자들의 선택사양 및 수면상태에 따른 검출결과를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메모리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는 전류조절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작동하면서 1.5 ∼ 2.5 Hz의 진동파를 발생하는 진동모터와,
상기의 진동모터와 함께 베개에 내장되어 1.5 ∼ 2.5 Hz의 델타파를 발생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주파수발생기들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취침유도기 및 수면유도방법{Appratus for inducing sleep and us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취침유도기 및 수면유도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입력받으면서 사용자의 신체의 상태에 따라 반복적인 학습에 의해 검출한 주파수 대역의 진동 및/또는 초음파를 출력하여 최적의 수면유도가 가능하도록 한 취침유도기 및 수면유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파는 사람의 뇌에서 발생하는 주파수와 진폭의 크기를 말하며 뇌파의 주파수로 그 사람의 의식상태를 알 수 있음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러한 뇌파는 일반적으로 감마파(γ), 베타파(β), 알파파(α), 쎄타파(θ), 델타파(δ)로 나뉜다.
감마파(γ)는 흥분도가 강하여 자아를 억제하기 힘든 상태에서 발생되는 뇌파로 30Hz 이상이다.
베타파(β)는 일반적으로 긴장한 상태에서발생되는 뇌파로 사람이 낮에 깨어 있을 때로 14~30Hz 사이이다.
알파파(α)는 건강한 사람이 나타내는 뇌파로 8~14Hz 사이이며, 알파파(α) 상태에서는 집중력, 기억력 등이 증대되고 마음이 안정되며 스트레스가 해소된다.
쎄타파(θ)는 얕은 수면, 내면적인 이완, 의식이 마음의 내면에 향하고 있는 무의식 상태에서 발생되는 뇌파로 4~8Hz 사이이다.
델타파(δ)는 깊은 수면, 깊은 명상, 완전한 몰아(沒我)일 때 나타나는 뇌파로 4Hz 이하이다.
또한, 이러한 뇌파는 외부에서 초저주파(Extremely Low Frequency: ELF)를 발생하면 뇌파가 초저주파와 쉽게 동조되므로, 외부에서 뇌파를 변환시킬 수 있다.
현대 사회는 복잡 다양한 구성으로 인하여 사회를 구성하는 구성원들은 갈수록 외부 영향으로 인하여 스트레스를 더욱 더 받으며, 이러한 스트레스로 사람들은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고 늘 긴장된 삶은 살아감으로써 인체에 여러 가지 질병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베개에서 뇌파의 주파수와 동일한 진동 또는 뇌파(알파파, 쎄타파, 베타파)와 같은 초저주파의 전자파를 발생시켜 사용자의 뇌파를 동조시킴으로써 숙면(熟眠)을 유도하도록 한 초저주파 발생 베개가 제안되어 이용하도록 하였다.
즉,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원 변환부(1)는 마이크로 컴퓨터(3)의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에서 입력되는 상용 전원(110/210V)을 진동 모터(2)의 회전수가 조절될 수 있는 크기로 변경시켜 진동 모터(2)로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의 진동 모터(2)는 전원 변환부(1)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무게 중심이 편향된 추가 회전되면서 진동을 발생시켜 뇌파의 알파파(α)의 주파수와 델타파(δ)의주파수의 사이인 1초에 0~20 회의 진동수를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3)는 사용자가 조작 패널(5)을 조작하여 진동 모터(2)의 진동수 및 발생 시간을 조절하면 전원 변환부(1)를 제어하여 진동 모터(2)로 출력되는 전원을 변환시켜 진동 모터(2)의 진동수 및 진동의 발생 시간을 조절하도록 하고,
마이크로 컴퓨터(3)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상기 메모리(4)에는 시간에 따라 진동 모터(2)의 진동수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모드도 저장하여 조작 패널(5)에 의해 모드를 선택하면 해당 모드에 따라 전원 변환부(1)와 진동 모터(2)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3)는 액정표시부(LCD)(6)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조작 패널(5)을 통해 선택한 진동수 및 진동의 발생 시간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의 타이머(7)는 마이크로 컴퓨터(3)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진동의 발생 시간을 카운트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전원을 공급시킨 상태에서 조작 패널(5)의 진동 증가/감소시키는 기능 키를 이용하여 진동수를 조절한 후, 특정 기능 키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컴퓨터(3)로 진동수에 대응되는 신호를 입력하면, 마이크로 컴퓨터(3)는 사용자가 선택한 진동수를 메모리(4)에 저장하고, 다시 진동의 발생 시간을 조절한 후, 특정 기능 키를 조작하여 진동의 발생 시간에 대응되는 신호를 입력시키면 마이크로 컴퓨터(3)는 사용자가 선택한 진동의 발생 시간을 메모리(4)에 저장한다.
사용자가 계속해서 진동수 및 진동의 발생 시간을 입력시키면 마이크로 컴퓨터(3)는 입력되는 내용을 모두 메모리(4)에 저장한다.
사용자가 입력을 종료하면 마이크로 컴퓨터(3)는 사용자가 설정한 진동수에 따른 진동의 발생시간을 액정표시부(6)에 디스플레이시켜 사용자에게 확인시킨다.
진동을 시작하는 기능 키를 조작하면 마이크로 컴퓨터(3)는 전원 변환부(1)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최초로 설정한 진동수가 진동 모터(2)에서 발생되도록 전원 변환부(1)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를 제어하고, 사용자가 최초로 설정한 진동수만큼 진동을 발생시킨다.
동시에 마이크로 컴퓨터(1)는 타이머(7)를 제어하여 진동이 발생된 시점부터 카운트를 시작하여 사용자가 최초로 설정한 진동의 발생 시간이 종료되면 계속해서다음 설정한 진동수와 진동의 발생 시간만큼 진동 모터(2)에서 진동을 발생시키고, 사용자가 설정한 모든 진동이 수행되면 시스템을 종료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초저주파 발생 베개의 취침유도기에 의하여서는 단방향성으로 수면자의 상태를 고려하지 못하고, 각기 다른 수면자의 특성을 감안하지 못하므로 다양하고 민감한 수면자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수면자의 수면 패턴을 알 수 없이 단순한 심장 박동과 같은 리듬을 반복적으로 발생하므로 각기 다른 개성의 수면자를 만족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입력받으면서 사용자의 신체상태에 따라 반복적인 학습의 결과로 검출한 주파수 대역의 진동 및/또는 초음파를 출력하여 최적의 수면유도가 가능하도록 한 취침유도기 및 수면유도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침에 잠에서 깨어날 때에는 수면유도와 반대 개념을 도입하여 일정한 시간 후부터 점차적인 자극을 가하도록 하여 점진적으로 의식이 완전하게 회복하면서 안정감있는 아침을 맞이할 수 있도록 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개나 침구류에 내장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취침을 시작하거나 기상을 원하는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와 동작의 시작을 위한 전원 스위치 및 온 스위치를 구비하여 선택사양을 입력시키기 위한 입력부와,
사용자가 수면을 취하기 시작할 때부터 완전한 수면에 도달할 때까지의 상태를 순환되는 혈액의 양을 체크하면서 검출하는 수면상태 체크부와,
상기 수면상태 체크부로부터의 검출결과를 통하여 사용자가 취침을 시작할 때부터 완전한 취침에 이를 때까지의 상태를 검출하면서 취침이나 기상시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으면서 각 사용자들의 선택사양 및 수면상태에 따른 검출결과를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메모리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으면서 출력되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전류조절부와,
상기 전류조절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작동하는 중에 취침을 도와주는 1.5 ∼ 2.5 Hz의 델타파와 동일한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모터와,
상기의 진동모터가 내장되어 사용자가 베고 자는 취침을 하거나 기상하는 중에 안정감을 느끼도록 하는 베개와,
상기 전류조절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전류치에 의하여 1.5 ∼ 2.5 Hz의 델타파를 발생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주파수발생기들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의 수면상태 검출부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적외선을 발생하는 적외선 발광기와,
상기 적외선 발광기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이 사용자의 피부 속을 흐르는 혈액의 상태를 체크하는 적외선 수광기와,
상기 적외선 수광기로부터의 신호가 저역통과필터를 거치고 증폭기에서 증폭되어 입력되면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경유한 디지털값을 전달받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에 의하여 사용자의 흐르는 혈액양을 측정하면서 수면의 여부를 인식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초저주파 발생 베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동작을 위한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 수면상태 체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입력부 14 : 수면상태 체크부
15 : 마이크로 프로세서 16 : 메모리
18 : 전류조절부 19 : 진동모터
20 : 주파수 발생기 23 : 적외선 발광기
24 : 적외선 수광기 27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취침유도기는 베개나 침구류에 내장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취침을 시작하거나 기상을 원하는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 스위치(11)와 동작의 시작을 위한 전원 스위치(12) 및 온 스위치(13)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선택사양을 입력시키기 위한 입력부(10)와,
사용자가 수면을 취하기 시작할 때부터 완전한 수면에 도달할 때까지의 상태를 순환되는 혈액의 양을 체크하면서 검출하는 수면상태 체크부(14)와,
상기 수면상태 체크부(14)로부터의 검출결과를 통하여 사용자가 취침을 시작할 때부터 완전한 취침에 이를 때까지의 상태를 검출하면서 취침이나 기상시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5)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5)의 제어를 받으면서 각 사용자들의 선택사양 및 수면상태에 따른 검출결과를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메모리(16)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5)의 제어를 받으면서 시간을 계시하면서 시간정보를 출력하는 타이머(17)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5)의 제어를 받으면서 출력되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전류조절부(18)와,
상기 전류조절부(18)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작동하는 중에 취침을 도와주는 1.5 ∼ 2.5 Hz의 델타파와 동일한 진동을 발생하며 베개에 내장되는 진동모터(19)와,
상기 전류조절부(18)를 통하여 전달되는 전류치에 의하여 1.5 ∼ 2.5 Hz의 델타파를 발생하여 스피커(21)를 통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주파수발생기(20)들로 구성한 것이다.
도 3은 상기의 수면상태 검출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5)의 제어에 의해 적외선을 발생하는 적외선 발광기(23)와,
상기 적외선 발광기(23)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이 사용자의 피부를 투사되었다가 되돌아오는 상태에 의하여 혈관 속을 흐르는 혈액의 상태를 체크하는 적외선 수광기(24)와,
상기 적외선 수광기(24)로부터의 전달되는 신호 중 낮은 대역의 신호만 통과시키는 저역통과필터(25)와,
상기 저역통과필터(25)를 경유한 신호를 증폭하여 다음의 신호처리 및 신호인식이 용이하도록 하는 증폭기(26)와,
상기 증폭기(26)에서 증폭되어 입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5)에 전달하여 내부의 메모리(16)에 저장된 데이터에 의하여 사용자의 흐르는 혈액양을 측정하면서 수면의 여부를 인식하도록 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7)들로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취침유도기 및 수면유도방법은 사용자가 취침하고자 하는 시간과 기상하고자 하는 시간을 설정한 상태에서 베개를 베거나 침구류를 이용하여 잠을 청하게 되면, 사용자의 취침 여부를 측정하면서 사용자가 빨리 최적의 수면상태에 이르도록 전류조절부(18)를 제어하고 그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하여 기상시와 다음의 취침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먼저, 사용자가 입력부(10)의 전원 스위치(12)를 온시키면(단계 31) 내부에 내장된 배터리의 전원이나 외부로부터의 AC전원 전원공급부를 통하여 DC전원으로 변환된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단계32).
상기의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중에 사용자가 타이머 스위치(11)를 이용하여 취침을 원하는 시간과 기상하기를 원하는 시간을 설정하면(단계 33) 이를 인식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5)에서 시간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16)에 저장하고 타이머(17)를 통하여 현재의 시간에서부터 계시를 시작하도록 한다(단계 34).
그 상태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5)는 사용자가 온스위치(13)를 온시켜 작동을 시작하도록 하거나(단계 35) 타이머(17)에서의 계시결과에 의하여 취침을 시작하고자 하는 시간이 된 상태를 인식하면(단계 36), 메모리(16)의 저장 데이터에 현 사용자의 학습에 의한 취침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가를 확인하여(단계 37) 있으면,이를 읽어내어 전류조절부(18)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면서 제어하도록 한다(단계 38).
한편, 상기의 단계 37에서 저장된 데이터 중 사용자의 학습에 의한 취침정보가 없으면, 정격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를 메모리(16)에서 읽어내어(단계 39)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전류조절부(18)에 출력한다(단계 40).
이 상태에서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5)는 수면상태 체크부(14)를 통하여 사용자의 취침정보를 검출하도록 하는 바, 이는 제어신호를 전류조절부(18)로 출력되도록 하여 정격의 동작을 위한 전류치를 진동모터(19)에 전달하도록 하여(단계 41) 2 Hz의 델타파와 동일한 진동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베개(20)를 베고 취침하는 사용자가 진동에 의한 물리적인 자극이 머리에 전달되도록 한다(단계 42).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5)에서는 취침을 위한 동작이 시작된 상태를 인식하면, 내부의 전원이 수면상태 체크부(14)의 적외선 발광기(23)에 공급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적외선을 발생하도록 한다(단계 43).
상기의 적외선 발광기(23)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이 사용자의 피부를 투사되었다가 적외선 수광기(24)에 되돌아오는 상태에 의하여 혈관 속을 흐르는 혈액의 상태에 따른 신호를 체크하도록 하여 이 신호가 저역통과필터(25)를 경유하는 중에 낮은 대역의 신호만 통과되고 증폭기(26)에서 증폭된 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7)에 의해 디지털신호만 마이크로 프로세서(15)에 전달되면(단계 44), 이를 인식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5)에서 내부의 메모리(16)에 저장된 데이터에 의하여 사용자의 흐르는 혈액양을 측정하면서 수면의 여부를 인식한다(단계 45).
상기의 측정결과에 의해 사용자가 숙면을 쉽게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단계 46) 전류조절부(18)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통하여 진동이 1.5 ∼ 2.5 Hz의 범위에서 작아지거나 커지도록 조절하여 최적의 상태를 검출하도록 한다(단계 47).
만약 상기의 진동을 조절하는 물리적인 자극에 의해 쉽게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에는(단계 48) 마이크로 프로세서(15)에서 전류조절부(18)에서 주파수발생기(20)로 전류가 공급되도록 하면서 1.5 ∼ 2.5 Hz의 델타파에 해당하는 주파수의 음이 스피커(21)를 통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물리적인 자극이 동시에 전달되어 보다 안정된 취침이 가능하도록 한다(단계 49).
그리고 사용자가 최적의 취침조건을 검출하는 중에 취침에 이르게 된 후 타이머(17)의 계시 결과에 의한 기상시간이 되면(단계 50), 이를 인식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5)에서 메모리(16)에 저장된 사용자의 취침정보를 읽어내고(단계 51)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역순으로 전류조절부(18)에 출력하여(단계 52) 진동모터(19)를 통한 물리적인 자극이나 주파수 음에 의한 비물리적인 자극을 각각 받거나 동시에 받게 되는 사용자가 취침에 이르는 조건의 반대상황에서 점진적으로 잠에서 깨어나게 되므로 뇌가 전체적으로 잠에서 온전히 깨어나면서 상쾌한 아침을 맞을 수 있도록 한다(단계 53).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5)는 동일한 사용자에 대하여 수 회 이상 반복적으로 검출하면서 학습과정에 의한 취침정보를 검출하여 이를 메모리(16)에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장 최적으로 수면에 이르도록 하는 방법을 찾아서 그에 따라 지속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한편, 특별한 경우에는 그에 대응하는 최적의 방법을 찾아서 수면에 도달하도록 유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면을 위해 임의의 주파수를 선택하는 조작을 하지 않으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취침유도기 및 수면유도방법에 의하여서는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시킨 선택사양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으면서 수면을 취하기 시작할 때부터 완전한 수면에 도달할 때까지의 상태를 검출하는 수면상태 체크부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으면서 각 사용자들의 선택사양 및 수면상태에 따른 검출결과를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메모리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는 전류조절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작동하면서 1.5 ∼ 2.5 Hz의 진동파를 발생하는 진동모터와,
상기의 진동모터와 함께 베개에 내장되어 1.5 ∼ 2.5 Hz의 델타파를 발생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주파수발생기들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입력받으면서 신체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주파수 대역의 리듬을 출력하여 최적의 수면유도 및 기상이 가능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취침이나 기상을 원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 스위치(11), 동작의 시작을 위한 전원 스위치(12) 및 온 스위치(13)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선택사양을 입력시키기 위한 입력부(10)와,
    사용자가 수면을 취하기 시작할 때부터 완전한 수면에 도달할 때까지의 상태를 순환되는 혈액의 양을 체크하면서 검출하는 수면상태 체크부(14)와,
    상기 수면상태 체크부(14)로부터의 검출결과를 통하여 사용자의 취침이나 기상시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5)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5)의 제어를 받으면서 사용자의 선택사양이나 검출결과를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메모리(16)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5)의 제어를 받으면서 시간정보를 출력하는 타이머(17)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5)의 제어를 받으면서 출력되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전류조절부(18)와,
    상기 전류조절부(18)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작동하며 1.5 ∼ 2.5 Hz의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모터(19)와,
    상기 전류조절부(18)를 통하여 전달되는 전류에 의하여 1.5 ∼ 2.5 Hz의 델타파를 발생하여 스피커(21)를 통하여 출력하는 주파수발생기(20)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취침유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수면상태 검출부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5)의 제어에 의해 적외선을 발생하는 적외선 발광기(23)와,
    상기 적외선 발광기(23)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이 사용자의 피부를 투사되었다가 되돌아오는 상태를 검출하는 적외선 수광기(24)와,
    상기 적외선 수광기(24)로부터의 전달되는 신호 중 낮은 대역의 신호만 통과시키는 저역통과필터(25)와,
    상기 저역통과필터(25)를 경유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26)와,
    상기 증폭기(26)에서 증폭되어 입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5)에 전달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7)로 구성한 취침유도기.
  3. 삭제
  4. 사용자가 입력부(10)의 전원 스위치(12)를 온시키면 배터리의 전원이나 외부로부터 전원공급부를 통한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타이머 스위치(11)로 취침시간과 기상시간을 설정하면 이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16)에 저장하고 타이머(17)를 통하여 계시하도록 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온스위치(13)를 온시키거나 타이머(17)에 의한 취침시간이 되면 메모리(16)의 저장 데이터에 학습에 의한 사용자의 취침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가를 확인하여 읽어내고 이에 의하여 전류조절부(18)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의 메모리(16)에 학습에 의한 사용자의 취침정보가 없으면, 정격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를 메모리(16)에서 읽어내어 제어신호를 전류조절부(18)에 출력하는 단계와,
    이 상태에서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5)는 전류조절부(18)에서 정격의 동작을 위한 전류치가 진동모터(19)에 전달되도록 하여 2 Hz의 진동이 발생하도록 하여 물리적인 자극이 머리에 전달되도록 하는 단계와,
    동시에 전원이 수면상태 체크부(14)의 적외선 발광기(23)에 공급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적외선을 발생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의 적외선 발광기(23)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이 사용자의 피부를 투사되었다가 적외선 수광기(24)에 되돌아오는 상태에 의하여 혈관 속을 흐르는 혈액의 상태에 따른 신호를 체크하도록 하여 이 신호가 저역통과필터(25)와 증폭기(26)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7)를 거쳐 디지털신호로 마이크로 프로세서(15)에 전달되면, 이를 인식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5)에서 내부의 메모리(16)에 저장된 데이터에 의하여 사용자의 흐르는 혈액양에 의해 수면의 여부를 인식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의 측정결과에 의해 사용자가 숙면을 쉽게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전류조절부(18)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통하여 진동이 1.5 ∼ 2.5 Hz의 범위에서 작아지거나 커지도록 조절하여 최적의 상태를 검출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의 물리적인 자극에 의해 쉽게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5)에서 전류조절부(18)에서 주파수발생기(20)로 전류가 공급되도록 하면서 1.5 ∼ 2.5 Hz의 델타파에 해당하는 주파수의 음이 스피커(21)를 통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하여 비물리적인 자극이 동시에 전달되도록 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최적의 취침정보를 얻도록 하면서 취침한 후 기상시간이 되면 이를 인식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5)에서 메모리(16)에 저장된 상기의 취침정보를 읽어내어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역순으로 전류조절부(18)에 출력하여 진동모터(19)를 통한 물리적인 자극이나 주파수 음에 의한 비물리적인 자극을 각각 또는 동시에 받으면서 사용자가 점진적으로 잠에서 깨어나도록 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사용하는 사용자의 학습에 의한 취침정보가 메모리(16)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정격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를 메모리(16)에서 읽어내어 제어신호를 전류조절부(18)에 출력하면서 사용자의 수면 여부를 판단하면서 최적의 취침정보를 검출하도록 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숙면에 이루지 못하면 전류를 높이거나 낮추면서 사용자의 수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계속 사용자가 숙면에 이루지 못하는 경우에는 전류조절부(18)에서 주파수발생기(20)로 전류가 공급되도록 하면서 1.5 ∼ 2.5 Hz의 델타파에 해당하는 주파수의 초음파가 순차적으로 스피커(21)를 통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하면서 최적의 취침정보를 검출하도록 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중에 학습에 의한 취침정보를 메모리(16)에 저장하도록 한 수면유도방법.
KR10-2001-0064339A 2001-10-18 2001-10-18 취침유도기 및 수면유도방법 KR100456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339A KR100456730B1 (ko) 2001-10-18 2001-10-18 취침유도기 및 수면유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339A KR100456730B1 (ko) 2001-10-18 2001-10-18 취침유도기 및 수면유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529A KR20030032529A (ko) 2003-04-26
KR100456730B1 true KR100456730B1 (ko) 2004-11-10

Family

ID=29565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339A KR100456730B1 (ko) 2001-10-18 2001-10-18 취침유도기 및 수면유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67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371B1 (ko) * 2005-10-07 2008-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숙면 및 기상 유도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387B1 (ko) * 2002-10-28 2005-10-10 이승재 뇌파에 따라 경사 조절이 가능한 침대장치 및 조절방법
KR20120092249A (ko) * 2011-02-11 2012-08-21 우효준 수면 유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627130B2 (en) 2017-01-25 2020-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ing system, 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859237B2 (ja) * 2017-09-15 2021-04-14 京セラ株式会社 寝具及び通信システム
CN109965846A (zh) * 2019-03-14 2019-07-05 深圳市弘楚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具有睡眠管理功能的智能床垫
CN110215592A (zh) * 2019-04-30 2019-09-10 金脑元(武汉)医学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脑波反馈的失眠治疗仪
KR102298119B1 (ko) 2020-12-10 2021-09-03 주식회사 에이슬립 수면에 관련한 분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팅 장치
KR20220082720A (ko) 2020-12-10 2022-06-17 주식회사 에이슬립 수면에 관련한 분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팅 장치
KR102387735B1 (ko) 2021-08-30 2022-04-18 주식회사 에이슬립 수면 분석 모델을 이용한 수면 분석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4080647A1 (ko) 2022-10-13 2024-04-18 주식회사 에이슬립 사용자 수면 정보 기반의 수면 콘텐츠 생성 및 제공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240052740A (ko) 2022-10-13 2024-04-23 주식회사 에이슬립 심상 유도 정보 제공 및 수면 상태 정보 획득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7516A (en) * 1978-12-13 1980-10-14 Meland Bruce C Apparatus for electrophysiological stimulation
KR860003027A (ko) * 1984-10-19 1986-05-19 하야시바라겡 수면도달 시간을 짧게하는 장치
JPH0370573A (ja) * 1989-08-09 1991-03-26 Hayashibara Takeshi 脈拍同期振動誘眠装置
KR970000133A (ko) * 1995-06-21 1997-01-21 박희선 펄스상 전자계 자극에 의하여 뇌세포를 이완시켜 수면을 유도하는 베개
KR19990078828A (ko) * 1999-08-11 1999-11-05 여흥수 수면유도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0106998A (ja) * 1998-10-02 2000-04-18 Sanki Denshi Kogyo Kk 催眠枕
KR20020037579A (ko) * 2000-11-14 2002-05-22 석문성 뇌파 발생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7516A (en) * 1978-12-13 1980-10-14 Meland Bruce C Apparatus for electrophysiological stimulation
KR860003027A (ko) * 1984-10-19 1986-05-19 하야시바라겡 수면도달 시간을 짧게하는 장치
JPH0370573A (ja) * 1989-08-09 1991-03-26 Hayashibara Takeshi 脈拍同期振動誘眠装置
KR970000133A (ko) * 1995-06-21 1997-01-21 박희선 펄스상 전자계 자극에 의하여 뇌세포를 이완시켜 수면을 유도하는 베개
JP2000106998A (ja) * 1998-10-02 2000-04-18 Sanki Denshi Kogyo Kk 催眠枕
KR19990078828A (ko) * 1999-08-11 1999-11-05 여흥수 수면유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37579A (ko) * 2000-11-14 2002-05-22 석문성 뇌파 발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371B1 (ko) * 2005-10-07 2008-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숙면 및 기상 유도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529A (ko) 200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6730B1 (ko) 취침유도기 및 수면유도방법
US5507716A (en) Equipment and methods used to induce lucid dreams in sleeping persons
US10610153B2 (en) System and method to monitor and assist individual's sleep
US5167610A (en) Sleep inducing system
JP4663611B2 (ja) 熟睡及び覚醒誘導装置、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561349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ding human mind and body
WO2016136450A1 (ja) 音源制御装置、音源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MXPA06005751A (es) Sistema para guiar el sueno y metodos relacionados.
KR20120108491A (ko) 수면 보조 장치 및 방법
US20060042010A1 (en) Bed to adjust the slope of the bed according to brain waves and a method thereby
WO2014165021A1 (en) System and method providing all-night sleep management
JPH04347140A (ja) 睡眠状態判定装置
KR20120108488A (ko) 수면 보조 장치 및 방법
JP4107848B2 (ja) 入浴情報システム
CN112932225B (zh) 智能唤醒枕头以及基于智能唤醒枕头的唤醒方法
JPH0673537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RU2061406C1 (ru) Способ пробуждения человека в фиксированную фазу сн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044096B1 (ko) 꿈 기록 장치 및 그 기록 방법
JP2001231864A (ja) 快適目覚まし装置
JPS5923284A (ja) 睡眠モニタ−機構を有する目覚し時計
JP2000116785A (ja) 携帯形健康器具
CN111345650A (zh) 一种电子睡眠枕电磁波共振控制方法
CN113577498A (zh) 一种复合脑电波诱导助眠枕及诱导脑电波调制方法
JP2012112664A (ja) 目覚まし装置
CN110882466B (zh) 睡眠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