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6467B1 - 협죽도과 식물 추출액 및 이를 이용한 녹조 현상 원인녹조류 방제방법 - Google Patents

협죽도과 식물 추출액 및 이를 이용한 녹조 현상 원인녹조류 방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6467B1
KR100456467B1 KR10-2001-0077963A KR20010077963A KR100456467B1 KR 100456467 B1 KR100456467 B1 KR 100456467B1 KR 20010077963 A KR20010077963 A KR 20010077963A KR 100456467 B1 KR100456467 B1 KR 100456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eander
algae
nerium
plant extract
g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7467A (ko
Inventor
곽영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1-0077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6467B1/ko
Publication of KR20030047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4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02F3/327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characterised by animals and plants

Abstract

본 발명은 협죽도과 식물체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하여 부영양화된 호수나 흐름이 느리거나 정체된 연못에 부유성의 조류(식물 플랑크톤)가 빈번히 발생하는 녹조현상(green tide)의 원인이 되는 조류를 방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카디오액티브 글리코사이드, 올렌드로사이드 및 네리오사이드중 최소 1성분을 주성분하는 담수 조류 방제용 협죽도과 식물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담수 녹조류(green algae)를 방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방제방법은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환경친화적이며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수질관리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협죽도과 식물 추출액 및 이를 이용한 녹조 현상 원인 녹조류 방제방법{Nerium Genus Plant Extract And A Method for Preventing of Water Bloom of Blue-Green Agae}
본 발명은 협죽도과 식물 추출액 및 이를 이용한 녹조 현상의 원인이 되는 조류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카디오액티브 글리코사이드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협죽도과 식물 추출액 및 이를 이용한 조류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영양화된 호수나 흐름이 느리거나 정체된 연못에 부유성 조류(식물 플랑크톤)가 대량 증식하여 수면에 집적하여 물색을 현저하게 녹색으로 변화시키는 녹조 현상으로 인한 1)착색 또는 스컴 형성, 죽은 물고기 등으로 인한 시각적인 불쾌감, 2)남조류 독소에 의한 인체 및 가축에 대한 위생, 3)생태계 파괴로 인한 토종 동물의 사멸 또는 서식처이동, 개체군의 변화, 먹이손실, 4)레크레이션 활동 및 여행의 제한으로 인한 지역 경제적손실, 농업용수, 산업용수 부족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 5) 남조류 독소에 의한 가축이나 야생동물의 폐사, 대량 증식한 조류의 분해도중 수중용존산소의 감소로 인한 물고기 및 수중생물의 폐사 등의 동물계에 미치는 영향, 6) 남조류 독소발생, 이취미(異臭味) 생성, 상수처리과정중의 여과지 폐쇄, 응집침전지저해, 과다염소처리로 인한 THM생성 등의 상수원에 미치는 영향 등이 문제시 되고 있다.
상기 녹조현상에 의해 유발되는 문제점중 최근에 가장 주목이 되는 것은 물 이용상에서 유독 남조류가 생산하는 독소 문제이다.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꼽히는 녹조류를 방제하는 기술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된다. 첫째, 미생물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이는 바다에 서식하는 균에서 녹조류를 제거하는 특이유전자를 추출한 뒤 일반 미생물에 이식하여 활동력이 강한 새로운 종을 만들었다. 코미(KOMI)로 명명된 이 종은 왕성한 식욕으로 녹조류를 잡아먹기 때문에 녹조 오염지역에 1-2 pV살포함으로써 녹조류를 제거할 수 있다. 종래의 녹조 제거 미생물을 사용하여 녹조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2개월 이상이 소요되지만, 코미는 40-50일간 활동하고 나면 생명이 끈어져 다른 미생물이나 어류의 먹이가 되기 때문에 2차 오염의 염려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엄재수, 한국미생물개발연구소). 둘째, 시중에 고시된 황산동, Earthtech 등의 약제로 방제하기도 하는데, 그 효과는 크지만 고가로 방대한 면적에 자주 사용하기에는 부담이 된다. 셋째, 응집, 침전, 여과, 활성탄 흡착법, 염소소독, 오존산화 등의 고도 정수처리기술이 또한 적용된다.
또한 최근 일본에서는 원생동물과 후생동물 그리고 세균이 혼재하는 생물막접촉산화법을 전처리 단계로 이용하여 정수 처리한 결과 90% 이상의마이크로시스틴(microcystin) 독소제거 효과를 얻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Inamori et al.,1990).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방제하는데 장시일이 요구되며, 또한, 2차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된다.
한편, 협죽도과 식물은 독성이 매우 강한 식물로 동물이 동물체중의 0.005% 정도의 소량으로 섭취하여도 치사량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urner and Szczawinski, 1999). 동물에 있어 협죽도과 식물의 독성징후는 메스꺼움, 심한 구토, 위경련, 현기증, 느린 맥박, 불규칙한 심장박동, 동공의 확장, 설사, 졸음, 혼수상태, 마비등으로 나타나고, 그 징후의 강약은 섭취량의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카디오액티브 글리코사이드(cardioactive glycosides), 올렌드로사이드(oleandroside) 및 네리오사이드(Nerioside)중 최소 1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며 녹조 현상의 원인이 되는 담수 조류의 방제용 협죽도과 식물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카디오액티브 글리코사이드, 올렌드로사이드 및 네리오사이드중 최소 1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협죽도과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녹조현상의 원인이 되는 담수 조류를 효과적으로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의하면,
카디오액티브 글리코사이드(cardioactive glycosides), 올렌드로사이드 (oleandroside) 및 네리오사이드(nerioside)중 최소 1성분을 주성분하는 담수 조류 방제용 협죽도과 식물 추출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카디오액티브 글리코사이드, 올렌드로사이 및 네리오사이드중 최소 1성분을 주성분하는 협죽도과 식물 추출물로 담수 녹조류(green algae)를 방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부영양화된 호수, 물 흐름이 느린 하천, 및 소규모 정체된 조경용 연못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녹조 현상(green tide)의 원인인 담수 조류를 방제하는 새로운 협죽도과 식물 추출물 및 이용한 담수조류 방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협죽도과 식물의 꽃, 잎, 가지 및 뿌리등을 포함하는 각 기관에서 추출한 카디오액티브 글리코사이드, 올렌드로사이 및 네리오사이드중 최소 1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협죽도과 식물 추출물로 담수 녹조류가 단시간내에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담수 녹조류는 협죽도과 식물 추출물의 주성분으로 생명체의 대사를 차단하는 작용을 하는 카디오액티브 글리코사이드, 올렌드로사이드 및 네리오사이드등 작용에 의해 제거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협죽도과 식물 추출액은 식물중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꽃, 잎, 가지, 줄기 및 뿌리를 포함하는 협죽도과 식물의 각 기관에서 추출된다.
물 및 알코올을 이용하는 어떠한 일반적인 추출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알코올의 경우 유효성분의 추출이 빠르나, 비용이 증대된다. 물을 이용하여 추출한 경우 또한 알코올을 이용한 경우와 그 효과면에서는 동일하며,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물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수용성 추출법으로 추출하였다.
꽃, 잎, 가지, 줄기 및 뿌리등 식물의 각 기관에 녹조류 방제 유효성분인 카디오액티브 글리코사이드, 올렌드로사이 및 네리오사이드 성분이 함유되어 있음으로 꽃, 잎, 가지, 줄기 및 뿌리등 협죽도과 식물의 각 기관을 자연건조 시킨다. 그러나, 자연건조된 협죽도과 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함량이 다를 수 있고, 또한, 잔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약 65-70℃에서 48-72시간 건조한다.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한 후, 2mm이하의 분말로 분쇄하고, 협죽도과 식물 분말 100g을 증류수 1500ml(범위로)에 넣고 24시간(범위로) 교반한 다음, 7일 동안 정치 시킨 후 여과하였다. 이 여과한 용액을 원액(추출액)으로 하고, 이를 적절한 비율로희석하여 제거하고자 하는 담수 조류에 적용한다.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협죽도 추출액은 제거하고자 하는 담수 조류에 분무, 살포등 어떠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협죽도 추출액은 녹조류를 방제하고자 하는 어떠한 적용처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예로는 연못, 골프장 연못, 저수지, 상수원댐등을 포함한다.
상기 협죽도과 식물 추출물은 1000배 이하, 바람직하게는 400배 이하로 희석하여 적용처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희석율이 400배 이하와 같이 적을수록 방제효과가 우수하며 방제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러나, 1000배이하와 같이 희석비율이 큰 경우는 또한 방제에는 다소 시간이 걸리지만 경제적이다.
상기 협죽도과 식물로는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들어 협죽도(Nerium indicum), 만첩협죽도(Nerium indicumfor.plenum), 노랑협죽도(Nerium indicumfor.lutescens), 흰협죽도(Nerium indicumfor.leucanthum), 네리움 올렌데르(Nerium oleander) 등을 포함한다.
상기 협죽도과 식물 추출물을 적용하여 방제할 수 있는 녹조류로는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올복스(Olvox), 아나베아나(Anabaena), 시네드라(Synedra), 코스마리움(Cosmarium), 스타우라스트륨(Staurastrum), 골렌키나아(Golenkinia), 에우도리나(Eudorina), 코엘라스트륨(Coelastrum), 스케네데스무스(Scenedesmus), 니크로사이스티스(Microcystis), 트라첼로모나스(Trachelomonas), 페리디니움(Peridinium),페디아스트륨(Pediastrum), 오실라토리아(Oscillatoria),엘라스트륨(Coelastrum),클로스테리움(Closterium)을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이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수질시료는 전남 승주군 골프장 내에 운영하는 6개의 연못에서 수질시료를 채취하였고, 수질시료에 생존하는 담수조류의 동정은 한국담수조류도감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동정 결과 시료에 16여종의 담수조류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조류에 대하여 수질시료 50ml에 협죽도과 식물 추출액을 대조구, 0.5,1,2,5,10ml씩 살포하여 추출액 농도 및 시간경과에 따른 담수 조류의 제거율(%)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협죽도를 다음과 같이 추출하였다. 먼저, 자생지에서 채집한 꽃, 잎, 가지, 줄기 및 뿌리를 포함하는 협죽도의 각 기관을 음지에서 자연건조시킨 후 70℃에서 48시간 건조시켰다. 건조된 각 기관별 협죽도과 식물 동일량을 분쇄기(micromil-K500)로 이용하여 2mm이하의 분말로 분쇄하였다. 그 후, 협죽도과 식물 분말 100g을 증류수 1500ml에 넣어 24시간동안 교반하고, 7일 동안 정치시킨 후 여과(filterpaper No-44)하였다. 이 여과된 추출액 원액을 상기 희석비율로 수질 시료에 적용하였다.
수질시료에 출현한 담수 조류 및 제거율
구분 담수 조류(16종)
수질시료 Volvox, Anabaena, Synedra, Cosmarium, Staurastrum, Golenkinia, Eudorina, Coelastrum, Scenedesmus, Microcystis, Trachelomonas, Peridinium, Pediastrum, Oscillatoria, Coelastrum, Closterium
살포량시간 규준 0.5ml(1,500X) 1ml(750X) 2ml(375X) 5ml(150X) 10ml(75X)
1 min. 후제거율 0% 0% 0% 30% 95% 100%
30 min. 후제거율 0% 0% 10% 80% 100% 100%
1 hr. 후제거율 0% 0% 15% 90% 100% 100%
2 hr. 후제거율 0% 0% 20% 100% 100% 100%
{0.5~10ml(살포량)/50ml(수질시료)}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디오액티브 글리코사이드, 올렌드로사이 및 네리오사이드중 최소 1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협죽도과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농도와 시간대별 담수 녹조류(green algae) 제거율을 보면 협죽도과 식물 추출물을 375배 이하로 희석하여 적용하는 경우, 16종의 담수조류가 100% 제거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으로 담수에 수화(water blooming)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담수조류를 빠른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협죽도과 추출물은 생분해성이므로 종래 약품처리에 의한 방제시 나타내는 난분해성 물질의 생물내 농충 및 이에 의한 토양 오염등의 2차 오염 문제가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의 협죽도과 식물 추출액을 이용한 담수조류를 제거방법은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환경친화적이며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수질관리에 효과적이다.

Claims (7)

  1. 카디오액티브 글리코사이드(cardioactive glycosides), 올렌드로사이드 (oleandroside) 및 네리오사이드(nerioside)중 최소 1성분을 주성분하는 담수 조류 방제용 협죽도과 식물 추출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협죽도과 식물은협죽도(Nerium indicum), 만첩협죽도(Nerium indicum for. plenum), 노랑협죽도(Nerium indicum for. lutescens), 흰협죽도(Nerium indicum for. leucanthum),네리움 올렌데르(Nerium oleander)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3. 카디오액티브 글리코사이드, 올렌드로사이드 및 네리오사이드중 최소 1성분을 주성분하는 협죽도과 식물 추출물로 녹조류를 방제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협죽도과 식물은 협죽도(Nerium indicum), 만첩협죽도(Nerium indicumfor.plenum), 노랑협죽도(Nerium indicumfor.lutescens), 흰협죽도(Nerium indicumfor.leucanthum), 및 네리움 올렌데르(Nerium oleander)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녹조류는올복스(Olvox), 아나베아나(Anabaena), 시네드라(Synedra), 코스마리움(Cosmarium), 스타우라스트륨(Staurastrum), 골렌키나아(Golenkinia), 에우도리나(Eudorina), 코엘라스트륨(Coelastrum), 스케네데스무스(Scenedesmus), 니크로사이스티스(Microcystis), 트라첼로모나스(Trachelomonas), 페리디니움(Peridinium),페디아스트륨(Pediastrum), 오실라토리아(Oscillatoria),엘라스트륨(Coelastrum),클로스테리움(Closterium)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3항 내지 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협죽도과 식물 추출물을 1000배 이하로 희석하여 조류에 적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협죽도과 식물 추출물을 400배 이하로 희석하여 조류에 적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0077963A 2001-12-10 2001-12-10 협죽도과 식물 추출액 및 이를 이용한 녹조 현상 원인녹조류 방제방법 KR100456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963A KR100456467B1 (ko) 2001-12-10 2001-12-10 협죽도과 식물 추출액 및 이를 이용한 녹조 현상 원인녹조류 방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963A KR100456467B1 (ko) 2001-12-10 2001-12-10 협죽도과 식물 추출액 및 이를 이용한 녹조 현상 원인녹조류 방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467A KR20030047467A (ko) 2003-06-18
KR100456467B1 true KR100456467B1 (ko) 2004-11-10

Family

ID=29574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963A KR100456467B1 (ko) 2001-12-10 2001-12-10 협죽도과 식물 추출액 및 이를 이용한 녹조 현상 원인녹조류 방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64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146B1 (ko) * 2002-08-30 2005-03-2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협죽도과 식물의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려잔디갈색퍼짐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갈색퍼짐병을방제하는 방법
KR100621917B1 (ko) * 2004-06-03 2006-09-14 한국화학연구원 둥굴레속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유해조류 및개구리밥 방제 조성물
KR100672088B1 (ko) * 2005-07-01 2007-05-1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냉각수내 세균 증식 억제용 협죽도과 식물 추출물 및 이를이용한 냉각수내 세균 증식 억제 방법
KR100800122B1 (ko) * 2006-09-06 2008-02-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은행잎 추출물과 밤 껍질 추출물을 이용한 조류 제거 방법
KR101396593B1 (ko) * 2013-01-04 2014-05-20 구례군 산수유 종자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녹조류 방제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3472A (en) * 1971-10-03 1974-09-03 Hisamitsu Pharmaceutical Co Process for isolating oleandrin from nerium odorum
US5356881A (en) * 1992-09-28 1994-10-18 Verbiscar Anthony J Plant-derived wildlife repellents
JPH09323910A (ja) * 1996-06-03 1997-12-16 Baasu Kk 水質・土質改良作用を併有する殺藻剤
KR101203027B1 (ko) * 2003-03-26 2012-11-21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결함검사장치, 결함검사방법 및 홀 패턴 검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3472A (en) * 1971-10-03 1974-09-03 Hisamitsu Pharmaceutical Co Process for isolating oleandrin from nerium odorum
US5356881A (en) * 1992-09-28 1994-10-18 Verbiscar Anthony J Plant-derived wildlife repellents
JPH09323910A (ja) * 1996-06-03 1997-12-16 Baasu Kk 水質・土質改良作用を併有する殺藻剤
KR101203027B1 (ko) * 2003-03-26 2012-11-21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결함검사장치, 결함검사방법 및 홀 패턴 검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467A (k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ium-Andersen et al. Allelopathic effects on phytoplankton by substances isolated from aquatic macrophytes (Charales)
Saunders Interrelation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and phytoplankton
Fukami et al. Stimulative and inhibitory effects of bacteria on the growth of microalgae
KR100964351B1 (ko) 동물 및 해양 식물의 성장 제어방법
Ye et al. Allelopathic inhibition of photosynthesis in the red tide-causing marine alga, Scrippsiella trochoidea (Pyrrophyta), by the dried macroalga, Gracilaria lemaneiformis (Rhodophyta)
Lim et al. Control of ichthyotoxic Cochlodinium polykrikoides using the mixotrophic dinoflagellate Alexandrium pohangense: a potential effective sustainable method
CA3093589A1 (fr) Traitement algicide, algistatique, herbicide et herbistatique de l&#39;eau
KR100456467B1 (ko) 협죽도과 식물 추출액 및 이를 이용한 녹조 현상 원인녹조류 방제방법
Islami et al. Use of barley straw to control nuisance freshwater algae
WO2000056140A1 (en) A novel method for treating aquatic pests
Hootsmans et al. Allelopathic limitation of algal growth by macrophytes
US10010076B2 (en) Plant control composition containing peptide enhancing agent
KR101888360B1 (ko) 유해 조류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해 조류 방제방법
KR100906625B1 (ko) 적조균 또는 녹조균의 생육 억제제
Cheng et al. Mechanism of growth inhibition effect of aquatic plants on water cyanobacteria
KR100454096B1 (ko) 육상식물체 추출물로 제조된 타감작용 물질을 함유한남조류의 성장 억제 조성물
KR101977222B1 (ko) 달걀껍질 분말을 포함하는 녹조 제거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99746B1 (ko) 개구리밥과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0800122B1 (ko) 은행잎 추출물과 밤 껍질 추출물을 이용한 조류 제거 방법
KR0180468B1 (ko) 피틴산으로 된 살균살조제
KR100621917B1 (ko) 둥굴레속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유해조류 및개구리밥 방제 조성물
アハメドサエドアシューラ et al. Water quality as affected by waterhyacinth decomposition after cutting or 2, 4-D application.
KR101270255B1 (ko) 아나카딕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해조류 방제방법
KR101396593B1 (ko) 산수유 종자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녹조류 방제방법
Gowda et al. In situ Phytoremediation of azo dyes (methylene blue) by the plant Azolla Pinn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