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146B1 - 협죽도과 식물의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려잔디갈색퍼짐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갈색퍼짐병을방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협죽도과 식물의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려잔디갈색퍼짐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갈색퍼짐병을방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146B1
KR100478146B1 KR10-2002-0052083A KR20020052083A KR100478146B1 KR 100478146 B1 KR100478146 B1 KR 100478146B1 KR 20020052083 A KR20020052083 A KR 20020052083A KR 100478146 B1 KR100478146 B1 KR 100478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leander
spread disease
brown
brown sp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2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0475A (ko
Inventor
곽영세
이충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52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8146B1/ko
Publication of KR20040020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0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1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Abstract

본 발명은 잔디의 갈색퍼짐병 병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협죽도과 식물의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고려잔디에 발병하는 갈색퍼짐병의 원인균을 제거할 수 있는 갈색퍼짐병 방제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고려잔디에 살포하여 갈색퍼짐병을 방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갈색퍼짐병 병제용 조성물은 환경친화적이며 농약을 사용하지않고도 저렴한 비용으로 효과적으로 고려잔디에 발병하는 갈색퍼짐병의 원인균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협죽도과 식물의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려잔디 갈색퍼짐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갈색퍼짐병을 방제하는 방법{COMPOSITION FOR PREVENTION OF BREEDING OF LARGE PATCH IN ZOYSIA GRASSLANDS CONTAINING OLEANDER LEAF EXTRACT AND BIOLOGICAL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잔디의 갈색퍼짐병 병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협죽도과 식물의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려잔디 갈색퍼짐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갈색퍼짐병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갈색퍼짐병(Large patch)은 조이시아 속(Zoysia sp.) 잔디에 발생하는 가장 무서운 병으로서, 1975년에 일본의 골프코스에서 최초로 발생하여 일본 전역의 골프코스에 확산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1979년경에 제주 및 남부지방에서 발생하기 시작하여 최근에는 경인지역의 골프에서도 심하게 발생해 전국적으로 확산의 기미를 보이고 있다. 갈색퍼짐병은 다른 병에 비하여 병반 및 발생규모가 크며 피해장소가 넓은 페어웨이, 러프, 티그라운드에 걸쳐서 발생되기 때문에 발생규모가 대단히 크며 방제를 위한 약량, 노동력 등 경제적인 부담이 크다. 또한 그 원인균은 토양 전염성균으로서 대취층 밑에서 서식하기때문에 약제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어 방제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이 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리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AG2-2(IV)이며 사탕무 근부병균계에 속한다. 균사생육 최적온도는 25-30℃, 발병온도는 15-30℃, 발병최적온도는 23℃전후이다. 지온이 10-15℃가 되면 급속히 균체 밀도가 높아지고 잔디를 침해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갈색퍼짐병 병원균의 토양중 분포밀도는 대취층(토양중 3cm이내)에서 가장 높으며, 잔디의 감염부위도 대취층에 묻혀있는 지제부줄기이다. 갈색퍼짐병 병원균의 병원성은 한국잔디류(조이시아 자포니카(Zoysia japonica), 조이시아 매트렐라(Zoysia matrella) 및 조이시아 테누이폴리아(Zoysia tenuifolia))에 높은 반면에 한지형 잔디류(아그로스티스 팔러스트리스(Agrostis palustris), 포아 프라텐시스(Poa pratensis), 롤리움 프레네(Lolium prenne), 페스튜카 루브라 아속 루브 라 엘(Festuca rubra subsp. rub ra L.))에는 전혀 없다. 갈색퍼짐병의 병징은 잔디가 휴면에 들어가는 늦은 가을과 휴면에서 깨어나는 이른 봄에 발생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그러나, 한 여름에도 장마기, 습한 지역, 음지 등에서 가끔 발생되기도 한다. 패취의 크기는 직경 약 60cm에서부터 6m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잔디밭에 발생되는 패취병 중에서 가장 크게 형성된다. 가을패취는 원형으로 병반의 가장자리가 밝은 오렌지색으로 변한다. 대취층에 함입되어 있는 엽신의 지제부에 적갈색 내지는 암갈색의 병반을 형성한다. 감염된 잔디의 줄기는 쉽게 뽑히고 엽신의 지제부가 하얗게 쭈그려져 고사하며 줄기의 표면에 갈색의 균사매트가 형성된다. 병반은 일반적으로 대취층위의 지상부 잎 조직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병원균은 관부를 통하여 칩입하고, 지제부를 파괴시켜 영양과 물의 상부이동을 저해하여 결국 잎은 밝은 오렌지색으로 변하기 시작하여 고사한다.
한편, 종래의 갈색퍼짐병의 방제법은 갈색퍼짐병의 고유한 특징을 고려하여 토양조건 개선, 관수, 배수, 예초, 시비를 적절한 조건하에서 행하는 방법들이 알려져 있으며, 화학적 방제, 토양개량재를 이용한 방제 및 생물학적 방제에 대하여 다음의 방법들이 이용되고 있다.
화학적 방제: 화학적 방제 예방시약은 발병시기의 10일전에는 실시되어야 한다. 봄철방제는 남부지역의 경우 4월 초순경, 중부이북지역은 4월 하순에 1차 시약하고 2차 시약은 1차 시약 한달 후에 실시한다. 6월 하순부터 7월 중순의 장마기에는 발생의 정도에 따라 부분적으로 시약한다. 가을방제는 남부지방과 중부이북지방 모두 8월 하순에 3차 시약, 9월 중순에 4차 시약을 실시한다. 이 외에도 기상변화에 따라서 시약적기를 설정할 수 있는데 특히 온도가 20~28℃의 장마직후에는 방제시약을 반드시 하여야 한다. 갈색퍼짐병 방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시기는 가을이다. 이 시기에 발생한 패취는 온도가 떨어짐에 따라 잔디의 생육 저하로 회복이 되지 않고 이듬해 봄 잔디 생육기까지 약 8개월 정도 지속된다. 특히 겨울동안에 병반은 답압에 의하여 심하게 마모되어 흙이 완전히 드러나게 된다. 따라서 봄 발생보다는 8월중, 하순이후의 가을발생에 더욱 유의하여야 하며 이 시기에는 반드시 전면적인 방제를 하여야 한다. 방제약제로는 토로스수화제(500배액, 1l/㎡), 펜시쿠론수화제, 터부코나졸유제 등이 있다. 라지패취 병원균은 대취층에서 주로 서식하며 잔디의 지제부를 통하여 침입하므로 물량이 부족하면 균체에 농약이 접촉되지않아 약효가 떨어진다. 적정처리물량은 2l/㎡가 좋다. 과습조건이 되지 않도록 대취의 제거, 통기성 및 배수성이 좋도록 하며 관수도 과습하지 않게 적당히 한다. 살균제 살포는 보통 3월하순~4월중순경에 1회, 9월중순~10월초에 1회 살포한다. 갈색퍼짐병 병원균은 대취층에 주로 서식하며 잔디의 지제부를 통하여 침입하므로 농약처리시 물량이 부족하면 약제의 접촉이 어려우므로 약량을 증가시키기 보다 물량을 증가시켜서 대취층의 병원균에 농약이 접촉될 수 있도록 살포하여야 한다. 라지패취방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시기는 가을이다. 이 시기에 발생한 패취는 온도가 떨어짐에 따라 잔디의 생육저하로 회복이 되지 않고 이듬해 봄 잔디생육기까지 약 8개월 정도 지속된다. 따라서 봄 발생보다는 8월 하순이후의 가을발생에 더욱 유의하여야 하며 이 시기에는 기상상태와 토양의 병원균밀도 등을 고려하여 전면적인 방제를 하여야 한다. 사용약제로는 리조렉스, 몬세렌, 몬카트, 늘푸른 등이 추천되며 사용시 전착제를 혼용해서는 안된다. 라지패취의 발생이 격심한 골프장에서는 특히 가을 전면방제 살포가 중요한데, 9월 중순경 새포아풀 토양처리제 살포시 혼용해서 처리하면 경비를 줄일 수 있다.
토양개량재 시용: 일본에서 고려잔디에 토양개량재(상품명 Progreen, 성분조성:식초 유기산 3%+ 키토산분해물 2.5%+ 알팔파 잎용해추출물 0.3%)를 9월2일부터 5월9일까지 1주간격으로 시용한 결과, 잔디의 생육이 촉진되었고 토양중 유용미생물로 생각되는 키티나제 생산세균, 방선균 및 형광성 슈도모나스(pseudomonas)의 균수가 무살포구에 비해 증가하였다. 반대로 리족토니아(Rhizoctonia)균의 밀도는 억제되어 병해발생이 억제되었다. 또, 발병부에서 형태, 핵수, 표준균주와의 균사융합 유무 등에 의해 리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AG-2-2, IV))로 동정되었으며, 발생한 병해는 고려잔디 갈색퍼짐병이었다.
생물학적 방제: 트리코더마(Trichoderma)균은 토양내 경쟁력이 높아 리족토니아 균에 대하여 좋은 길항균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길항기작은 이 균이 분비하는 β-(1-3) 글루카나제와 키티나제에 의한 병원균 용해현상과 관련이 있으며, 그 외에도 코일링(coiling) 혹은 기생 또는 항생물질 분비에 의한 길항작용 등이 밝혀져 있다. 갈색퍼짐병균에 대한 길항력을 가지는 미생물은 진균으로서 트리코더마, 세균으로서 슈도모나스, 바실러스(Bacillus spp.)가 대표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길항균은 처리코자 하는 현장에서 내생력이 있는 균을 선발하는 절차를 거칠 필요가 있다. 한국잔디연구소 심 등은 메프로닐(mepronil), 리조렉스 등의 살균제에 내성을 갖는 트리코더마(Trichoderma spp.)와 슈도모나스, 바실러스를 살균제와 조합하여 라지패취를 방제한 결과 길항균 단독 처리효과에 비하여 상승효과가 있었다. 트리코더마의 경우 잔디밭 토양 1~3cm층에서 밀도변화를 관찰한 결과 8월 처리후 5개월까지도 밀도가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나, 슈도모나스는 처리후 밀도가 현저히 줄어들어 안정적으로 근권에 정착하지 못한다. 그러나 슈도모나스는 봄철에 처리효과가 높으며, 바실러스는 가을 건조기에 효과가 있었는데, 이는 내성포자를 형성하면서도 부생력이 뛰어나서 가을 건조조건하에도 잘 정착할 수 있는 특성을 가졌기 때문이다. 라지패취방제농약과 길항균을 혼합살포시 길항균의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리조렉스, 메프로닐, 포리옥신디치람, 몬세렌, 로브동, 몬카트 등의 경우 80% 이상의 생존율을 보여 혼합살포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메프로닐은 트리코더마의 균사생육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병원균에는 강한 억제효과가 인정되어 길항균과의 혼용가능성을 제고해 볼 수 있다. 메프로닐과 트리코더마의 조합처리 농도는 47~187ppm 사이이며 현재 농약품목고시 추천농도는 752ppm과 비교하면 1/7 낮은 농도로서 길항균과 조합처리시 농약사용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갈색퍼짐병은 다른 병에 비하여 병반 및 발생규모가 대단히 크며 방제를 위한 약량, 노동력 등 경제적인 부담이 크고, 그 원인균은 토양 전염성균으로서 대취층 밑에서 서식하기때문에 약제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어 방제에 어려움이 많아, 따라서 방제를 위한 약량, 노동력 등 경제적인 부담이 적으며 자연분해됨으로써 2차 환경 오염을 저감할 수 있는 생물소재를 이용한 갈색퍼짐병 퇴치기술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친화적이며 농약을 사용하지않고도 저렴한 비용으로 효과적으로 고려잔디에 발병하는 갈색퍼짐병의 원인균을 제거할 수 있는 갈색퍼짐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고려잔디에 발병하는 갈색퍼짐병 방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견지에 의하면, 협죽도과 식물의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고려잔디에 발병하는 갈색퍼짐병의 원인균을 제거할 수 있는 갈색퍼짐병 방제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을 고려잔디에 살포하여 갈색퍼짐병을 방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갈색퍼짐병 방제용 조성물은 협죽도과에 속하는 협죽도 식물체의 잎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은 협죽도과 식물의 잎 추출물이 고려잔디의 갈색퍼짐병(Large patch)을 방제하는데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예기치않게 발견하였다.
상기 협죽도 식물체의 잎 추출물은 갈색퍼짐병의 원인균인 리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AG2-2에 강한 항균성을 나타내어 결국 갈색퍼짐병을 방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협죽도 식물체의 잎 추출물은 협죽도(네리움 인디컴(Nerium indicum)), 만첩협죽도(네리움 인디컴 포. 플레넘(Nerium indicum for. plenum)), 노랑협죽도(네리움 인디컴 포. 루테센(Nerium indicum for. lutescens)), 흰협죽도(네리움 인디컴 포. 루칸텀(Nerium indicum for. leucanthum)) 또는 올렌더협죽도((네리움 올렌더(Nerium oleander))로 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식물 추출물 분리 방법으로 획득될 수 있다. 예를들어, 협죽도 식물체의 잎을 자생지에서 채집하여 건조시킨다음, 분쇄하고 에탄올에 담그고 하루정도 방치시킨 후 이를 여과하여 준비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적용시 물로 희석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물로 희석하여 사용하는 경우, 협죽도 식물체의 잎 추출물은 조성물내에 5,000-50,000ppm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협죽도과 식물의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갈색퍼짐병 방제용 조성물은 잔디, 특히 고려잔디에 살포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갈색퍼짐병을 방제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 협죽도과 식물 잎 추출물의 준비
협죽도(네리움 인디컴(Nerium indicum))의 잎을 자생지에서 채집한 후, 70℃에서 48시간동안 건조시켰다. 그 다음, 건조된 잎을 분쇄기(micromil-K500)를 이용하여 2mm 이하의 분말로 만들었다. 에탄올 250ml에 건조된 유도화 잎 가루 50g을 혼합하고 실온에서 하루 방치시킨 후, 이를 여과지(Whatman 1)가 장착된 분별깔때기를 통해 여러번 걸러내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협죽도과 식물의 잎 추출물을 이용한 시간경과에 따른 갈색퍼짐병 원인균의 항균시험
항균 시험은 일반적으로 균이 퍼져나가는 시간과 거리를 계산하여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다음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다.
1) 페트리디쉬에 PDA(Potato Dextrose Agar) 배지를 제조하여 굳힌다.
2) 실시예 1의 추출액 2ml을 배지에 균일하게 첨가한 후 스프레더로 밀면서 건조시킨다.
3) 처리구에는 코어 보어(core borer)를 이용하여 배지 가운데에 구멍을 낸 후, 구멍에 맞게 종이(paper disk)를 깔고 갈색퍼짐병의 원인균인 리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AG2-2(IV)(KACC 40132)를 종이위에 올려 놓아 접종한다.
4) 대조구에는 상기 추출액을 첨가하지않고 3)과 같이 행한다.
5) 1-6일동안 균이 자라는 것을 관찰한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협죽도과 식물 잎 추출물의 리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AG2-2(IV)(KACC 40132)에 대한 항균효과
균의 생장길이(cm)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대조구 0.5 1.8 3.8 3.8 3.8 3.8
처리구 0 0 0 0 0 0
상기 표 1 및 도 1에서 보듯이, 협죽도 식물체의 잎 추출물을 함유하지않은 무처리구에서는 접종 후 1일부터 균이 생장하여 3일부터는 전면적으로 균이 퍼져있는 것을 나타낸 것에 비하여, 처리구에서는 리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AG2-2(IV)의 생장전개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미국자리공(Phytolacca americana)과 산수유(Cornus officinalis)의 잎 추출물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갈색퍼짐병 원인균의 항균시험을 수행하였으나,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항균성이 미약하거나 전혀 나타내지 못하였다.
따라서, 협죽도의 잎 추출물을 사용하여 고려잔디에 발병하는 리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AG2-2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갈색퍼짐병 방제용 조성물은 환경친화적이며 농약을 사용하지않고도 저렴한 비용으로 효과적으로 고려잔디에 발병하는 갈색퍼짐병의 원인균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협죽도과 식물 잎 추출물의 리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AG2-2(IV)(KACC 40132)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며(접종 후 3일),
도 2는 미국자리공 식물 잎 추출물의 리족토니아 솔라니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며(접종 후 3일), 그리고
도 3은 산수유 식물 잎 추출물의 리족토니아 솔라니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접종 후 3일).

Claims (5)

  1. 협죽도과 식물의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고려잔디에 발병하는 갈색퍼짐병의 원인균을 제거할 수 있는 갈색퍼짐병 방제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협죽도(네리움 인디컴(Nerium indicum)), 만첩협죽도(네리움 인디컴 포. 플레넘(Nerium indicum for. plenum)), 노랑협죽도(네리움 인디컴 포. 루테센(Nerium indicum for. lutescens)), 흰협죽도(네리움 인디컴 포. 루칸텀(Nerium indicum for. leucanthum)) 및 올렌도협죽도((네리움 올렌더(Nerium oleander))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협죽도과 식물로 부터 분리됨을 특징으로 갈색퍼짐병 방제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갈색퍼짐병의 원인균은 리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AG2-2임을 특징으로 하는 갈색퍼짐병 방제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에 5,000-50,000ppm으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갈색퍼짐병 방제용 조성물.
  5. 상기 청구항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갈색퍼짐병 방제용 조성물을 고려잔디에 살포하여 갈색퍼짐병을 방제하는 방법.
KR10-2002-0052083A 2002-08-30 2002-08-30 협죽도과 식물의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려잔디갈색퍼짐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갈색퍼짐병을방제하는 방법 KR100478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083A KR100478146B1 (ko) 2002-08-30 2002-08-30 협죽도과 식물의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려잔디갈색퍼짐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갈색퍼짐병을방제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083A KR100478146B1 (ko) 2002-08-30 2002-08-30 협죽도과 식물의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려잔디갈색퍼짐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갈색퍼짐병을방제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475A KR20040020475A (ko) 2004-03-09
KR100478146B1 true KR100478146B1 (ko) 2005-03-22

Family

ID=37324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083A KR100478146B1 (ko) 2002-08-30 2002-08-30 협죽도과 식물의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려잔디갈색퍼짐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갈색퍼짐병을방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81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088B1 (ko) * 2005-07-01 2007-05-1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냉각수내 세균 증식 억제용 협죽도과 식물 추출물 및 이를이용한 냉각수내 세균 증식 억제 방법
CN110477037B (zh) * 2019-07-15 2021-03-23 淮阴工学院 一种植物源农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506763A (zh) * 2019-09-18 2019-11-29 浙江省农业科学院 一种新型环保农药试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3565A (ko) * 1986-05-13 1988-12-21 지야 오젤 후세인 네리움(Nerium)종의 추출물 및 그것을 이용한 세포-분열 증식 질병의 치료방법
KR20010007786A (ko) * 2000-09-09 2001-02-05 박경삼 잔디 병해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잔디 병해방제방법
KR20020047394A (ko) * 2000-12-13 2002-06-22 허 태 학 유황을 포함하는 잔디병 억제제
KR20030047467A (ko) * 2001-12-10 2003-06-1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협죽도과 식물 추출액 및 이를 이용한 녹조 현상 원인녹조류 방제방법
KR101203027B1 (ko) * 2003-03-26 2012-11-21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결함검사장치, 결함검사방법 및 홀 패턴 검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3565A (ko) * 1986-05-13 1988-12-21 지야 오젤 후세인 네리움(Nerium)종의 추출물 및 그것을 이용한 세포-분열 증식 질병의 치료방법
KR20010007786A (ko) * 2000-09-09 2001-02-05 박경삼 잔디 병해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잔디 병해방제방법
KR20020047394A (ko) * 2000-12-13 2002-06-22 허 태 학 유황을 포함하는 잔디병 억제제
KR20030047467A (ko) * 2001-12-10 2003-06-1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협죽도과 식물 추출액 및 이를 이용한 녹조 현상 원인녹조류 방제방법
KR101203027B1 (ko) * 2003-03-26 2012-11-21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결함검사장치, 결함검사방법 및 홀 패턴 검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475A (ko) 2004-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ndhawa et al. Decaying wood in tree trunk hollows as a natural substrate for Cryptococcus neoformans and other yeast-like fungi of clinical interest
KR101079491B1 (ko) 과수 병해 방제용 미생물 살균제
US10104896B2 (en) Combination of biological pesticides
Barbetti et al. Root rot of subterranean clover in the irrigation areas of south-western Western Australia
Hanum et al. Plant resources of South-East Asia.
CN106490028A (zh) 一种防治农作物地下害虫的农药及其制备方法
KR100478146B1 (ko) 협죽도과 식물의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려잔디갈색퍼짐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갈색퍼짐병을방제하는 방법
Hlokwe et al. Application of plant extracts and Trichoderma harzianum for the management of tomato seedling damping-off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CN106212471A (zh) 一种含有吲唑磺菌胺和氟啶胺的杀菌组合物及其应用
JP2003531603A (ja) 新規のトリコデルマ属微生物菌株を利用した生物学的防除用微生物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646899A (zh) 一种绿色高效水稻拌种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Bailey et al. An alginate prill formulation of Fusarium oxysporum Schlechtend: Fr. f. sp. erythroxyli for biocontrol of Erythroxylum coca var. coca
Mbong et al. Inhibitory activities of sole cow urine and combined cow dung/cow urine against the blight disease of ribwort (Plantago lanceolata) at the cistercian monastery in Mbengwi, Cameroon.
KR101735258B1 (ko)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옥상녹화용 인공토양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 생육 촉진방법
US20030078164A1 (en) Method for control of bacterial spot
Kaminski et al. Geographic distribution, cultivar susceptibility, and field observations on bentgrass dead spot
Kumar et al. Major diseases of betelvine and their management
Rajamani et al. Medicinal and aromatic crops
JP4501006B2 (ja) 根茎腐敗病防除剤
Van Toor Development of biocontrol methods for camellia flower blight caused by Ciborinia camelliae Kohn
Hanum et al. PROSEA: Plant Resources of South-East Asia 11, Auxiliary Plants
Rudolph Soil Quality and Management Alternatives in Red Raspberry (Rubus Idaeus L.) in the Pacific Northwest
Singh et al. Diseases of Maize Crops and Their Integrated Management
Srivastava et al. Present Scenario of Betelvine or Paan (Piper Betle L.) Diseases and Their Management
Sprague Root and crown rots of the gra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