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5743B1 - 하천의 퇴적물 채취선 - Google Patents

하천의 퇴적물 채취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5743B1
KR100455743B1 KR10-1999-0030654A KR19990030654A KR100455743B1 KR 100455743 B1 KR100455743 B1 KR 100455743B1 KR 19990030654 A KR19990030654 A KR 19990030654A KR 100455743 B1 KR100455743 B1 KR 100455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
hull
deposit
deposit storage
storage cha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1342A (ko
Inventor
윤계용
Original Assignee
윤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계용 filed Critical 윤계용
Priority to KR10-1999-0030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5743B1/ko
Publication of KR20010011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7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onveyers, e.g. of endless-belt or screw-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33Floating installations
    • E02F3/885Floating installations self propelled, e.g. shi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수지등의 담수 또는 하천의 바닥에 쌓여지는 각종 오물, 예를 들어 축분뇨나, 그 이외 각종 이물질등의 퇴적물을 물 흐트림 없이 진공방식에 의해 간단히 흡출해 내어 수거 처리할 수 있도록한 하천의 퇴적물 채취선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채취선은 하천의 퇴적물을 실어 날으기 적합하도록 적당한 크기로 건조되는 선체와; 상기 선체의 내부를 상,하측으로 나누어서, 상측에 적당한 너비로 밀폐되게 구획되어 상기 선체상에 설치된 진공펌프에 의해 감압되도록 독립적으로 건조되는 수개의 퇴적물 저장실과, 하측에는 상기 각 퇴적물 저장실과 병행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퇴적물 저장실 저면에 별도의 차폐판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된 각기의 연결통로에 의해 상기 각 퇴적물 저장실과 연결되고 전후길이방향 전장길이에 걸쳐 리드스크류를 갖춘 집적배출수단과; 상기 선체상에 설치된 제어밸브수단으로 부터 하천의 바닥 퇴적물층에 이르는 사이에 걸쳐 연장 설치되어 퇴적물을 빨아드리는 흡수호스와; 상기 제어밸브수단으로 부터 각 퇴적물 저장실측으로 분지되어 상기 흡수호스를 통하여 빨아드려진 퇴적물을 각 저장실측으로 유입되도록한 분기호스와; 상기 선체상에 설치되어서 상기 각 퇴적물 저장실측으로 연장되는 수개의 흡출관을 갖추어서 상기 퇴적물 저장실내에서 퇴적물이 침적된후 상측으로 분리되어 있는 담수를 선체외부로 흡출해 내는 양수펌프; 및 상기 퇴적물의 집적배출실 끝부분에서 선체외측으로 연장 설치되어서 상기 퇴적물 집적배출실내로 모집되어 밀려나오는 퇴적물을 선체외부로 끌어내는 토출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진공펌프에 의해 상기 퇴적물 저장실들을 각각 감압시킨후, 상기 제어밸브수단에 의해 상기 퇴적물 저장실 어느 하나부터 선택하여 순차적으로 하천 바닥의 퇴적물을 강제흡인해 충진시키고, 이렇게 퇴적물의 충진작업이 완료후 일정시간 경과하여서 물과 퇴적물이 분리되는 시점에서 물은 상기 양수펌프를 이용해 선체외로 배출시키고 퇴적물은 집적배출수단과 토출수단을 통하여 선체외부로 배출해내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퇴적물 채취선

Description

하천의 퇴적물 채취선{A vessel for gathering heaps around rivers}
본 발명은 저수지 등의 담수 또는 하천의 바닥에 쌓여지는 각종 오물, 예를 들어 축분뇨나, 그 이외 각종 이물질등의 퇴적물을 물 흐트림 없이 진공방식에 의해 간단히 흡출해 내어 수거 처리할 수 있도록 한 하천의 퇴적물 채취선에 관한 것이다.
저수지나 하천의 바닥에 쌓여지는 퇴적물을 수거 처리하는 것을 보면 대략 버킷컨베이어를 이용한 준설선등을 주로 많이 이용하고 있는데, 그러한 준설선을 이용한 퇴적물의 수거시의 모습을 보면, 하천이나 담수의 바닥에서 부터 그 담수의 수표면상으로 버킷컨베이어를 설치하고, 이 버킷컨베이어를 이용하여서 하천의 바닥에 쌓여져 있는 퇴적물을 버킷으로 퍼올리게 하고 있는 것으로서, 버킷에 실어져퍼올라오는 퇴적물이 수중내에서 흐트려져 담수 또는 하천을 퍼올려지는 퇴적물에의해 다시 오염시키고 있으며, 더욱이 버킷으로 퍼올려지는 퇴적물이 수중내로 흐트러지고 있어 퇴적물의 수거효율이 저조하고, 그 작업성 또한 저조한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채취선으로 부터 담수의 바닥에 이르는 사이에 걸쳐 흡인호스를 설치하고 진공펌프에 의해서 담수 바닥의 퇴적물을 진공흡인방식에 의해 흡출해 내게 함으로써, 물을 흐트리지않고 간편히 흡출해 낼 수 있도록 한 하천의 퇴적물 채취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인호스를 통해 퇴적물을 흡출해내므로써, 수거효율이 우수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천의 퇴적물 채취선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수지 또는 하천의 바닥에 쌓여지는 각종 오물, 예를 들어 축분뇨나, 그 이외 각종 이물질등의 퇴적물을 물 흐트림 없이 진공방식에 의해 간단히 흡출해 내어 수거 처리할 수 있도록한 하천의 퇴적물 채취선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채취선은 하천의 퇴적물을 실어 날으기 적합하도록 적당한 크기로 건조되는 선체와; 상기 선체의 내부를 상,하측으로 나누어서, 상측에 적당한 너비로 밀폐되게 구획되어 상기 선체상에 설치된 진공펌프에 의해 감압되도록 독립적으로 건조되는 수개의 퇴적물 저장실과, 하측에는 상기 각 퇴적물 저장실과 병행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퇴적물 저장실 저면에 별도의 차폐판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된 각기의 연결통로에 의해 상기 각 퇴적물 저장실과 연결되고 전후길이방향 전장길이에 걸쳐 리드스크류를 갖춘 집적배출수단과; 상기 선체상에 설치된 제어밸브수단으로 부터 하천의 바닥 퇴적물층에 이르는 사이에 걸쳐 연장 설치되어 퇴적물을 빨아드리는 흡수호스와; 상기 제어밸브수단으로 부터 각 퇴적물 저장실측으로 분지되어 상기 흡수호스를 통하여 빨아드려진 퇴적물을 각 저장실측으로 유입되도록한 분기호스와; 상기 선체상에 설치되어서 상기 각 퇴적물 저장실측으로 연장되는 수개의 흡출관을 갖추어서 상기 퇴적물 저장실내에서 퇴적물이 침적된후 상측으로 분리되어 있는 담수를 선체외부로 흡출해 내는 양수펌프; 및 상기 퇴적물의 집적배출실 끝부분에서 선체외측으로 연장 설치되어서 상기 퇴적물 집적배출실내로 모집되어 밀려나오는 퇴적물을 선체외부로 끌어내는 토출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진공펌프에 의해 상기 퇴적물 저장실들을 각각 감압시킨후, 상기 제어밸브수단에 의해 상기 퇴적물 저장실 어느 하나부터 선택하여 순차적으로 하천 바닥의 퇴적물을 강제흡인해 충진시키고, 이렇게 퇴적물의 충진작업이 완료후 일정시간 경과하여서 물과 퇴적물이 분리되는 시점에서 물은 상기 양수펌프를 이용해 선체외로 배출시키고 퇴적물은 집적배출수단과 토출수단을 통하여 선체외부로 배출해 내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퇴적물 채취선
도 1은 본 발명 하천의 퇴적물 채취선의 전체적인 내부 구성을 보여 주는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하천의 퇴적물 채취선의 집적배출수단을 보인 측단면도.도 3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차폐판과 편심캠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선체 12 : 퇴적물 저장실
14 : 집적배출수단 16 : 진공펌프
18 : 제어밸브수단 20 : 분기호스
22 : 연결통로 24 : 차폐판
28 : 토출수단 32 : 양수펌프
34 : 흡출관
다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취선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 주는 종단면도로서, 도면에 10은 선체이다. 이 선체(10)는 통상에서와 같이 건조되는데, 본 발명의 선체(10)는 중량의 퇴적물을 실어나기에 적합하도록 적당한 크기로 제작될 것이다.
선체(10)는 대략 그 내부를 상부측과 하부측으로 나누어서 건조되는데, 상부측에는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구획벽(11)에 의해 적당한 너비로 밀폐되게 구획되는 수 개의 독립된 퇴적물 저장실(12)들이 건조되어 있고, 하부측으로는 퇴적물 저장실(12)에 충진되어 있는 퇴적물들을 모집하여 밀어내도록 구성된 집적배출수단(14)이 건조되어 있다.
퇴적물 저장실(12)들은 선체(10) 상에 설치된 진공펌프(16)에 의해 적당한 압력내에서 감압될 것이다. 이러한 퇴적물 저장실(12)들은 각 실을 따로 따로 진공을 이루게 하거나 공통적으로 진공을 이루게 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그 하나의 방법으로서 퇴적물 저장실들을 독립적으로 진공시키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또 이렇게 건조되는 퇴적물 저장실(12)들 각각에는 선체(10) 상에서 하천의 바닥 퇴적물층(17) 까지 연장되는 흡수호스(19)가 연결된 제어밸브수단(18)으로 부터 분기되어 연장설치되는 분기호스(20)들이 각기 연결되어 있다.즉 일정압력으로 감압되어 있는 퇴적물 저장실(12) 들 중 그 어느하나부터 제어밸브수단(18)이 선택하여서 퇴적물을 흡수호스(19)을 통해 흡인되는 퇴적물을 어느 하나의 분기호스(20)를 통해 퇴적물 저장실(12)로 충진시키고, 충진이 완료되면 제어밸브수단(18)이 다른 하나의 분기호스들(20)을 선택하면서 순차적으로 다음 퇴적물 저장실(12)들을 충진시키게 된다.이때 흡수호스(19)의 끝단에는 퇴적물의 흡입시 입자가 큰 덩어리진 이물질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19a)를 갖추고 있다. 또 이 흡수호스(19)의 끝 부분이 슬라이드식으로 신장,수축가능하게 하여서 물밑바닥의 높낮이에 따라서 그 호스의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집적배출수단(14)은 수평면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퇴적물 저장실들(12)의 직하부에서 인접되어 병행하게 설치되어서 각기의 퇴적물 저장실(12)들과 연결통로(22)에 의해 서로 통하게 하는데, 퇴적물 저장실(12)의 감압을 위해서 그 연결통로(12) 각각을 별도의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되게 한 차폐판(24)으로 가로막히게 구성하고 있다.이러한 차폐판(24)은 도 2에서와 같이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하는 편심캠(24a)에 의해서 그 개폐작용을 이루게 하고 있다.즉, 차폐판(24)은 도 3a에서와 같이 편심캠(24a)의 편심부분이 상향되는 경우 상승하면서 연결통로(12)를 폐쇄시키는 반면, 도 3b에서와 같이 편심캠(24a)의 편심부분이 하향되는 경우 하강하면서 연결통로(12)를 개방시키는 것이다.또한, 집적배출수단(14)은 적당한 구경을 가지고 퇴적물 저장실(12)에서 충진되어 있던 퇴적물을 받아드리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너비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그 내부에 모아진 퇴적물을 밀어내기 위한 리드스크류(15)가 설치되어 있다.
또 집적배출수단(14)의 끝부분에 연이어서 집적배출수단(14)로 부터 밀려나오는 침적물을 선체(10) 외부로 배출해내는 토출수단(28)을 설치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집적배출수단(14)의 끝부분에다 리드스크류(15)에 의해 밀려나오는 퇴적물을 일시적으로 머무르게 하는 쳄버(26)를 구비하고, 이 쳄버(26)로 부터 일정길이 연장하여 토출수단(28)이 설치된다.
토출수단(28)은 관체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리드스크류(30)를 설치하여서 쳄버(26)내의 침적물을 끌어내어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토출수단(28)은 리드스크류방식 이외 버킷컨베이어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퇴적물 저장실들(12) 각각에는 그 퇴적물 저장실(12)에서 일정시간 머물러서 침적물이 가라 앉아 침적물과 물이 분리된 물을 선체(10)상에 설치되어 있는 양수펌프(32)에 의해서 선체(10)의 외부로 흡출해 내는 흡출관(34)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므로써, 본 발명은 담수의 저수지 또는 하천등의 바닥에 가라앉은 퇴적물들을 그 퇴적물층내에서 부터 흡수호스를 통해 빨아내어 선체의 퇴적물 저장실에 충진방식으로 수거하고, 이렇게 수거된 침적물을 퇴적물 저장실에서 일정시간 머무르게 하면서 물과 퇴적물을 분리한 후, 퇴적물만을 저장실의 연결통로를 통하여 집적배출수단측으로 모집하고, 이렇게 집적배출수단에 모집된 퇴적물을 리드스크류를 이용해 토출수단을 통하여 선체외부로 배출되게 하고 있으며, 퇴적물이 분리된 퇴적물 저장실내의 물은 양수펌프로 구동하는 흡출관을 통해서 선체외부로 배출되게 하였다. 따라서, 담수나 하천의 물을 흐트리지 않고 퇴적물만을 간편히 수거 처리할 수 있어 하천의 오염을 방지하고, 퇴적물의 수거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하천의 퇴적물을 실어 날으기 적합하도록 적당한 크기로 건조되는 선체;
    상기 선체의 내부를 상,하측으로 나누어서, 상측에 적당한 너비로 밀폐되게 구획되어 상기 선체상에 설치된 진공펌프에 의해 감압되도록 독립적으로 건조되는 수개의 퇴적물 저장실과, 하측에는 상기 각 퇴적물 저장실과 병행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퇴적물 저장실 저면에 별도의 차폐판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된 각기의 연결통로에 의해 상기 각 퇴적물 저장실과 연결되고 전후길이방향 전장길이에 걸쳐 리드스크류를 갖춘 집적배출수단;
    상기 선체상에 설치된 제어밸브수단으로 부터 하천의 바닥 퇴적물층에 이르는 사이에 걸쳐 연장 설치되어 퇴적물을 빨아드리는 흡수호스;
    상기 제어밸브수단으로 부터 각 퇴적물 저장실측으로 분지되어 상기 흡수호스를 통하여 빨아드려진 퇴적물을 각 저장실측으로 유입되도록한 분기호스;
    상기 선체상에 설치되어서 상기 각 퇴적물 저장실측으로 연장되는 수개의 흡출관을 갖추어서 상기 퇴적물 저장실내에서 퇴적물이 침적된후 상측으로 분리되어 있는 담수를 선체외부로 흡출해 내는 양수펌프; 및
    상기 퇴적물의 집적배출실 끝부분에서 선체외측으로 연장 설치되어서 상기 퇴적물 집적배출실내로 모집되어 밀려나오는 퇴적물을 선체외부로 끌어내는 토출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진공펌프에 의해 상기 퇴적물 저장실들을 각각 감압시킨후, 상기 제어밸브수단에 의해 상기 퇴적물 저장실 어느 하나부터 선택하여 순차적으로 하천 바닥의 퇴적물을 강제흡인해 충진시키고, 이렇게 퇴적물의 충진작업이 완료후 일정시간 경과하여서 물과 퇴적물이 분리되는 시점에서 물은 상기 양수펌프를 이용해 선체외로 배출시키고 퇴적물은 집적배출수단과 토출수단을 통하여 선체외부로 배출해내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퇴적물 채취선.
KR10-1999-0030654A 1999-07-27 1999-07-27 하천의 퇴적물 채취선 KR100455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654A KR100455743B1 (ko) 1999-07-27 1999-07-27 하천의 퇴적물 채취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654A KR100455743B1 (ko) 1999-07-27 1999-07-27 하천의 퇴적물 채취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342A KR20010011342A (ko) 2001-02-15
KR100455743B1 true KR100455743B1 (ko) 2004-11-06

Family

ID=1960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654A KR100455743B1 (ko) 1999-07-27 1999-07-27 하천의 퇴적물 채취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57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106255A1 (en) * 2002-06-15 2003-12-24 Sun Soon Park Removing device for removing floating matter
CN112064609B (zh) * 2020-09-16 2022-01-04 深圳市明正建设有限公司 一种河道水面清理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9694U (ko) * 1976-03-08 1977-09-10
US4053181A (en) * 1976-01-20 1977-10-11 Nakaji Saito Seabed mining utilizing circulating current based on water level differences
JPH01176500A (ja) * 1987-12-31 1989-07-12 Kayaba Ind Co Ltd 汚泥等の回収車
JPH04310494A (ja) * 1991-04-08 1992-11-02 Mitsubishi Materials Corp 粒状水底資源の採取船
JPH05293495A (ja) * 1992-04-20 1993-11-09 Kayaba Ind Co Ltd 汚泥回収車
KR970010684A (ko) * 1995-08-30 1997-03-27 이순용 토사 및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KR20000061304A (ko) * 1999-03-25 2000-10-16 이종경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3181A (en) * 1976-01-20 1977-10-11 Nakaji Saito Seabed mining utilizing circulating current based on water level differences
JPS52119694U (ko) * 1976-03-08 1977-09-10
JPH01176500A (ja) * 1987-12-31 1989-07-12 Kayaba Ind Co Ltd 汚泥等の回収車
JPH04310494A (ja) * 1991-04-08 1992-11-02 Mitsubishi Materials Corp 粒状水底資源の採取船
JPH05293495A (ja) * 1992-04-20 1993-11-09 Kayaba Ind Co Ltd 汚泥回収車
KR970010684A (ko) * 1995-08-30 1997-03-27 이순용 토사 및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KR20000061304A (ko) * 1999-03-25 2000-10-16 이종경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342A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950884B (zh) 一种基于负压的加速土壤洗盐排水的系统
JP2002538334A (ja) 液体を含有する地盤区域を部分的に乾燥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106894466A (zh) 一种无动力雨水分流装置
JP2823095B2 (ja) 吸込み圧力容器
CN209989162U (zh) 一种高效的污水处理沉淀池
KR100455743B1 (ko) 하천의 퇴적물 채취선
CN208563544U (zh) 一种净水储水装置
CN208791219U (zh) 储气罐除水用过滤网式排污集成桶
CN218466622U (zh) 一种智能化市政雨水调蓄系统
KR200427026Y1 (ko) 진공식 저류조 세척장치
CN217582227U (zh) 循环水箱
CN216041035U (zh) 水电站滤污型自流排水洞
CN217537113U (zh) 一种水利施工用河道清淤装置
KR100964741B1 (ko) 오염방지용 지하수 취수구조
CN108222237A (zh) 一种净水储水装置
KR100719496B1 (ko) 진공식 저류조 세척장치
RU2066360C1 (ru) Машина для очистки дренажных колодцев
CN106480974B (zh) 前置网孔箱式分离器的调蓄池
KR101151090B1 (ko) 저류조를 이용한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CN109811872A (zh) 水池自动液压底阀清淤装置及其方法
KR100801679B1 (ko) 하수도용 진공식 저류조 세척장치
JP4283304B2 (ja) 液体貯留構造体
CN216092408U (zh) 一种土木工程隧道用排水装置
CN220012386U (zh) 一种隧道施工污水处理装置
CN210786514U (zh) 水渣收集分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