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5632B1 - 경정경주 운영시스템 - Google Patents

경정경주 운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5632B1
KR100455632B1 KR10-2002-0078625A KR20020078625A KR100455632B1 KR 100455632 B1 KR100455632 B1 KR 100455632B1 KR 20020078625 A KR20020078625 A KR 20020078625A KR 100455632 B1 KR100455632 B1 KR 100455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e
signal
racing
flying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1675A (ko
Inventor
육상현
유석
송희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솔
Priority to KR10-2002-0078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5632B1/ko
Publication of KR20040051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6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4Betting or bookmaking, e.g. Internet bet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정경주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정에 관련된 장비를 모두 자동화하여 경정경주 운영을 원활하게 진행함과 아울러 경주중에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신속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경정경주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경정경주에 관련된 각 시스템의 제어 및 이의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심판 및 경기 운영시스템(10)과, 상기 심판 및 경기 운영시스템(10)의 제어에 관련된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신호표시시스템(20)과, 상기 심판 및 경기 운영시스템(10)의 제어에 의해 경주관련 카운팅이 이루어지는 발주용대시계운영시스템(30)과, 경주의 플라잉스타트 및 경주결과를 판정하는 판정관련시스템(40)과, 그리고 경주와 관련된 주변기상 여건을 측정하는 기상측정시스템(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경정경주 운영시스템{Automatic Operating System for Boat-Race}
본 발명은 경정경주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정에 관련된 장비를 모두 자동화하여 경정경주 운영을 원활하게 진행함과 아울러 경주중에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신속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경정경주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경정은 최근에 알려진 레저스포츠로서, 경마와 경륜에 이은 제3 의 레이스경주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정은 경마 및 경륜과 마찬가지로 경주시 관객이 우승 예상선수의 경주권을 구입하여 승자를 적중시키는 경우 배당금을 받게 되는 참여형 수상 레저스포츠이다. 일반적인 경정의 진행방식은, 소개항주, 소개항주시간 발표, 경주 실시, 순위확정 발표, 다음경주 순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경정은 경주의묘미를 더하기 위해 독특한 스타트방식인 플라잉스타트 방식을 적용하는데, 이 플라잉스타는 방식은 계류장을 나와서 대기행동을 하다가 대시계가 0초부터 2초를 가리키는 사이에 스타트 라인을 통과하는 방식이다. 플라잉스타트 방식 이외에 스타트 라인에서 동시에 출발이 이루어지는 온라인 스타트 방식도 이용되고 있다.
기존에 경정을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경정경주 운영시스템들의 구성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종래의 경정경주 운영시스템으로는, 판정용사진장비, 신호등제어장비, 심판장, 부심판장조작탁, 대시계제어반, 발주용대시계, 레이스진행조작탁, 타임계측장비, 각 신호등으로 구성된다. 이들 구성장비들은 각기 수동조작방식으로 동작하며, 심판장과 부심판장의 구두명령 전달방식에 따라 운영된다. 즉, 심판조작탁에서 각각의 운영장비에 연결되어 명령이 하달되는 방식으로 제어된다. 모든 명령하달과 실시후에 보고하는 체계는 모두 군대식으로 이루어지며, 대부분의 통신은 유/무선으로 이루어진다. 각 장비의 담당 운영원은 심판장, 부심판장의 구두명령하달로 제어기를 조작한 후에 결과를 보고한다. 그러므로 제어기들은 기계식이 대부분이고, 모든 신호는 제어기조작팀을 통해 스위치 입력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경정을 관람하는 고객의 입장에서는 순위에 관련된 판정이 가장 관심있는 부분이므로 착순판정이나 플라잉판정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를 위해 착순판정이나 플라잉사진판정은 모두 흑백/칼라 필름카메라를 사용하고 있다. 이들 조작 역시 모두 수동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플라잉 사진판정시에만 대시계의 0초와 1초 경과신호를 받아서 사진에 마킹 작업을 수행한다. 플라잉/착순 판정시 촬영한 필름을 인화, 현상, 그리고다시 방송용 카메라로 촬영한 후에 방송으로 내보내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 때, 사진에 시간표시용 선을 긋는 작업은 카메라 슬릿 입구에서 스트로브 방식의 조명을 일정 주파수로 구동하여 얻는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경정경주 운영시스템과 이의 운영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모든 장비가 수동조작방식이므로 필요장비에 훈련된 운영요원이 필요하여 장비 자체의 비용 뿐만 아니라 이의 운영요원의 관리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더구나, 조작이 숙련되지 않으면 오조작의 위험이 있으므로, 숙련되지 못한 운영요원의 경주운영 미숙으로 원활한 경주운영을 진행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운영이 심판장과 부심판장의 구두명령전달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상호확인복창이 필요하고, 경기진행시마다 이를 반복함으로써 심판장 및 부심판장의 입장에서는 번거롭다는 단점을 안고 있었다. 한편, 경주가 시작되는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플라잉 판정은 경주의 계속여부를 결정하므로 신속한 판정결과를 요구하고 있으나, 기존에는 플라잉 판정이 도출되는 과정이 사진판정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판정처리의 신속성에 문제가 있었다. 즉, 플라잉이 잦을 경우에는 관중들의 동요가 예상되고, 결과적으로 사진판정시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1코너 통과 전에 재출발할 것인지를 판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판정장비의 조작미숙으로 촬영을 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었다. 그리고, 경주진행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상황 등에 대해 지시 및 상황을 표시하는 장비가 마련되지 않아 경주운영 중에 운영요원들이 상황을 즉시 공유하는데 어려움이있으므로 인해 장비의 오조작이 발생될 수 있었다. 게다가 운영요원들 간에 항상 상호확인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경주 운영의 제어가 이미 로직화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이용함으로써 경주중에 발생될 수 있는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단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만한 운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모든 운영장비의 자동화를 구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경정경주 운영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1. 경정의 운영시행규정을 고려하여 플라잉 발생시 판정이 도출되는 시간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운영에서 판정상의 시비가 발생할 수 있는 요인을 제거할 수 있도록 플라잉 즉시판정시스템을 도입하고자 한다. 이에 사용되는 플라잉판정장비는 즉시판정 이후에 사진을 제공하여 플라잉 신호를 확인하는 작업으로 사용되게 한다. 또한, 플라잉 발생시 재출발 명령과 경보를 즉시 처리함으로써 고객의 동요까지 고려한 운영을 전반적으로 원활하게 진행하도록 한다.
2. 경주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순서와 진행방법이 상황에 따라 자동 진행되도록 프로그램화됨과 아울러 경주중에 발생될 수 있는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윈도우운영체제에 의한 경주운영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경주운영장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운영팀의 경주운영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하고, 표시장치를 통해 지시, 전달상황 등이 표시되므로 운영팀의 불필요한 상호확인복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동조작이 최소화되어 오조작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그리고, 운영자가 오조작을 하더라도 경주운영장비가 자동으로 이를 무시하므로 운영자의 오조작으로 인해 발생되는 운영상의 문제점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3. 비트, 모터보트관리동, 그리고 경주에 관련된 모든 장소에서 선수, 관람객, 운영팀 모두가 경주상황에 대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경주운영본부와 동일한 경주진행 모니터링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운영팀에서 지시, 전달, 진행상황을 즉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4. 착순판정등에서 발생될 수 있는 촬영관련사고를 자동화를 통해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착순판정은 자동트리거용 센서를 통해 정확한 시점에서 자동촬영을 개시토록 하여 조작미숙으로 인해 발생되는 촬영시점을 놓치는 일을 미리 방지하고자 한다. 또한, 판정장비들도 중앙의 경주운영장비의 통제를 받게하여 오조작으로 발생될 수 있는 촬영관련사고를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경정경주 운영시스템의 전체구성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잉즉시판정장치의 개략적인 제어회로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잉즉시판정사진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순판정장치의 개략적인 제어회로블록도,
도 5는 도 4 에 따른 착순판정장치의 상세 제어회로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순판정사진의 예시도.
도 7은 경정전체의 운영흐름도.
도 8은 경주로와 개략적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경주운영시스템
112 : 주심판제어기 114 : 부심판제어기
118 : 레이스카운트장비 118a: 주로센서
120 : 모터보트관리동제어기
122 : 경주운영모니터링장비 126 : 사고검사기
130 : 장비상황표시제어기
132 : 장비상황표시장치 134 : 표시제어기
136 : 출주표시장치 138 : 내부표시장치
140 : 진행모니터링장비 150 : 통신장치
210 : 신호등제어기
212 : 체커등 214 : 삼색신호등
216 : 실격/결장보트표시등 218 : 위험신호등
220 : 항주신호등
222 : 정상출발여부표시등 224 : 비트출발표시부
226 : 비트상황표시등 228 : 선수지시표시부
310 : 발주용대시계제어기 312 : 발주용대시계
410 : 착순판정장치
411 : 착순판정카메라
411a: 프리즘 411b: 촬상소자
412 : 영상처리장치
412a : 영상앰프회로 412b : 신호믹싱회로
412c : A/D변환회로 412d : 영상회전저장회로
412e : 인터페이스 412f : 동기신호회로
413 : 착순판정제어기
420 : 소개항주계측장치
430 :플라잉판정장치
431 : 플라잉카메라
432a : 플라잉검지기 432b : 플라임검지제어기
433 : 플라잉판단제어기
510 : 기후측정제어기 512 : 기후표시장치
514 : 풍향풍속계 516 : 파고계
520 : 백엽상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경정경주 운영시스템은 경정경주에 관련된 각 시스템의 제어 및 이의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심판 및 경기 운영시스템(10)과, 상기 심판 및 경기 운영시스템(10)의 제어에 관련된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신호표시시스템(20)과, 상기 심판 및 경기 운영시스템(10)의 제어에 의해 경주관련 카운팅이 이루어지는 발주용대시계운영시스템(30)과, 경주의 플라잉스타트 및 경주결과를 판정하는 판정관련시스템(40)과, 그리고 경주와 관련된 주변기상 여건을 측정하는 기상측정시스템(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심판 및 경기 운영시스템은,
경주운영 진행에 필요한 제어명령과 상황을 전달하는 경주운영장비(110), 심판에게 경주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고 심판의 조작에 따라 경주운영장비(110)로 제어신호를 절단하는 주심판제어기(112)와 부심판제어기(114), 경주 주회수를 관측하고 매 주회의 선두시간을 계측하여 경주운영장비(110)로 전송하는 레이스카운트장비(118), 심판의 명령을 모터보트관리동의 선수에게 전달하고 모터보트관리동의 상황을 심판에 전달할 수 있게 하는 모터보트관리동제어기(120), 경주운영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게 주요진행상황 및 장비별 동작상황을 표시하는 경주운영모니터링장비(122), 경주중 발생되는 안전사고 및 이상 발생보트를 정밀검사하여 결함발생 및 사고유형에 대하여 정밀 분석이 가능하도록 사고자료의 저장 및 분석하는 사고검사기(126), 각 장비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장비상황표시장치(132)를 제어하는 장비상황표시제어기(130), 출주자를 표시하는 출주표표시장치(136)와 자동경주운영 중에 발생되는 지시,전달상황을 표시하는 내부표시장치(138)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표시제어기(134), 경주운영상황을 직접 촬영하여서 모니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레이스진행모니터링장비(140), 경정운영에 참여하는 모든 심판 운영진간의 보안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유선과 무선망으로 이루어진 통신장치(150)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신호표시시스템은,
경주 운영을 위해 설치 운영되는 각 신호 표시등을 제어하고 동작상태를 점검하며 수동 및 자동조작이 가능하게한 신호등제어기(210), 경정경주의 출발과 최종주회를 알리는 체커등(출발/최종주회등, 212), 선수와 고객들에게 경주운영 관련 진행상황을 전달하는 삼색신호등(214), 선수와 관중에게 실격 및 결장보트를 고지하는 실격/결장보트표시등(216), 경주 운영과정에서 발생되는 비상 사태나 위험사태를 선수에게 고지하는 위험신호등(218), 위험신호등(218)과 연동하여 선수에게 경주운영과정의 비상사태와 위험사태를 고지하는 항주신호등(220), 보트의 정상출발여부를 고지하는 정상출발여부표시등(222), 출구 대기중인 선수들에게 출주와 관련된 지시사항을 표시하는 비트출발표시부(224), 각 비트의 현재상태를 표시하는 비트상황표시등(226), 및 대기중인 선수들에게 경주운영과 관련된 지시사항을 표시하는 선수지시표시부(228)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발주용대시계운영시스템은,
출발시의 플라잉판정과 착순판정을 위한 시간데이터를 제공하고 시간을 표시하는 발주용대시계(312)의 동작을 제어하는 발주용대시계제어기(31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판정관련시스템은,
경주순위를 판정하는 착순판정장치(410), 경주시의 코스 결정을 위하여 2주로 심판탑에 구비된 소개항주측정기로 소개항주타임 계측하여 전송하는 소개항주타임계측장치(420), 출발시의 플라잉유무를 판정하는 플라잉판정장치(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착순판정장치(410)는 결승점을 통과하는 경주대상물을 일정시간 슬릿영상으로 연속 촬영하여 출력하는 착순판정카메라(411)와, 상기 착순판정카메라(411)에서 슬릿촬영되어 제공된 영상을 하나의 착순영상을 이루게 일정시간량을 연속 결합저장한 후 90도 회전출력하는 영상처리장치(412)와, 레이스카운트장비(118)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착순판정카메라(411)의 촬영준비를 하게 하고 발주용대시계(312)의 동작을 제어하는 발주용대시계제어부(310)로부터 시간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주로센서(118a)를 통하여 입력되는 트리거신호에 의하여 착순판정카메라(411)의 촬영을 제어하는 착순판정제어기(413)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착순판정카메라(411)에는 입력된 슬릿영상을 삼원색으로 분광하는 프리즘(411a)을 구비하고, 상기 프리즘(411a)에 의하여 분광된 각각의 빛을 수광하는 촬상소자(411b)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영상처리장치(412)는 착순판정카메라(411)에서 출력된 삼원색의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각각의 영상앰프회로(412a)와, 상기 영상앰프회로(412a)에서 증폭된 영상신호를 독립된 RGB 신호로 믹싱하는 신호믹싱회로(412b)와, 상기 신호믹싱회로(412b)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는 A/D변환회로(412c)와, 상기 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서 동기신호에 따라 일정시간 촬영제공되는 슬릿영상을 순차저장하여 상하로 연속 결합되는 하나의 착순영상으로 저장하였다가 90도 회전출력하는 영상회전저장회로(412d)와, 상기 영상회전저장회로(412d)에서 출력되어 슬릿영상이 수평방향으로 연속되는 착순영상을 착순판정제어기(413)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412e)와 각 회로의 구동을 위한 동기신호를 발생시키는 동기신호회로(412f)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플라잉판정장치(430)는 심판에게 연속 촬영되어서 연결되는 슬릿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일정주기로 슬릿영상을 촬영하여 출력하는 플라잉카메라(431)와, 출발선상의 빛 변화량을 감지하여서 배의 유무를 감지 출력하는 플라잉검지기(432a)와, 상기 플라잉검지기(432a)의 동작을 제어하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디지털신호로 변환시켜서 보트의 유무와 보트의 수를 축출하여 출력하는 플라잉검지제어기(432b)와, 상기 플라잉검지제어기(432b)를 통하여 입력되는 보트의 유무와 보트의 수 신호를 연산하여 즉시플라잉유무를 판단하며 플라잉카메라(431)로부터 제공되는 슬릿영상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심판에게 제공할 수 있게한 플라잉판정제어기(433)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기상측정시스템은,
기후측정제어기(510), 기후표시장치(512), 실계측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실계측장치는 풍향/풍속계(514), 파고계(516), 백엽상(52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한, 경기가 이루어지는 수면의 기상 상황을 심판 운영실에서 원격으로 무선 계측 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한 경정경주 운영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시스템의 구성원의 주요기능 및 특징과, 타 시스템과의 연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한 경정경주 운영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비들은 기본적으로 통상의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비가 기본적으로 장착되고, 각각의 역할에 적합한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1. 심판 및 경기 운영시스템
경주운영장비(110)는,
최첨단 전자동 경정경주운영 및 관리가 이루어지며, 경주운영 진행에 필요한 제어명령과 상황을 전달하고, 운영장비간의 중개역할을 수행하며, 운영장비간의 자료와 전달사항을 실시간으로 중개한다. 또한, 운영장비로부터 승인사항 요청시 주심판에 전달하고, 승인결과 전달시 해당 장비에 중개하며, 연계된 운영장비들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한다. 그리고, 경정경주 운영의 흐름을 가지고 자동으로 운영되며, 자체 기준시간으로 운영장비의 전체를 제어하고, 네트워크 구성으로 자동경주 운영시스템의 제어기 역할을 수행한다.
주심판제어기(112)는,
경정경주 운영전반에 대한 모니터 기능을 수행하며, 각 제어기에서 전달된 결과 처리 및 오류 메시지를 표시하고, 경주운영에서 주요 결정사항에 대한 승인을 수행한다. 즉, 30분전, 5분전, 2분전 기준시간 고시에 대한 승인, 소개항주 개시및 결과 승인, 필요시 재소개항주 시행 및 재소개 결과에 대한 승인, 본 경주을 위한 5분전 승인, 출주를 위한 탑승 및 시동 승인, 2분전 경주 개시 승인, 플라잉 판정 및 착순판정 결과에 대한 승인, 경기 중 발생한 사고 및 예외 처리에 대한 승인 및 명령, 경주 완료에 대한 확인 및 승인 등을 수행한다. 그리고, 자기 진단 기능으로 안정성을 확보하며, 자기진단 수행결과의 확인 및 전달을 수행한다.
부심판제어기(114)는,
경정경주 운영상에 공정성 확보를 위해 주심판제어기(112)와 함께 주요 사항에 대한 심의 의결권을 갖는다. 즉, 주심판 제어기와 동일한 심의 기능을 갖을 수 있으며, 유사시에 주심판제어기(112)의 기능을 대체한다. 또한, 자기진단기능으로 안정성을 확보하며, 자기진단 결과를 전달한다.
레이스카운트장비(118)는,
자동경주운영에서 본 경주시에 매 주회별 상황을 기록하는데, 경주 주회수를 관측하며, 정확한 시간의 계측으로 매 주회의 선두 시간을 기록하고, 매 주회별로 순위를 기록한다. 이와 동시에, 매 주회 상황을 경주운영장비(110)를 통해 주심판에 전달한다. 그리고, 자기진단기능으로 안정성을 확보하며, 자기진단 결과를 전달한다.
모터보트관리동제어기(120)는,
주심판실과 모터보트 관리동 설치 장비와 동기제어를 수행하며, 전체 경주운영 상황을 공유하고 원활한 경주를 운영한다. 심판실로부터 지시사항을 수행함과 아울러 이의 결과를 전달한다. 또한, 심판실로부터의 전달사항을 비트상황 제어기를 통해 표시하고, 비트 출발 표시등을 제어하며, 모터보트 관리동 상황 변화를 실시간으로 심판실에 전달한다. 비트 출발 표시등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며, 계류기 제어 및 보트 출발 제어를 수행하고, 보트 검사기 및 사고 검사기와 네트워크 통신으로 각종 관리 자료 공유 및 명령 전달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자기진단기능으로 안정성을 확보하며, 하부 제어기에 자기진단 명령을 전달하고, 자기진단 결과를 전달한다.
경주운영모니터링장비(120)는,
모터보트관리동에서 모터보트 경주운영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주요진행상황 및 장비별 동작상황을 표시한다. 또한, 지시 및 전달 사항을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모터보트관리동 내에서의 원활한 경주진행을 도모한다. 그리고, 플라잉판정 및 착순판정 등 주요 판정 결과를 표시하고, 경주운영과 관련된 심의 상황 및 결과를 표시한다. 한편, 자기진단 기능으로 안정성을 확보하며, 자기진단 결과를 전달한다.
비트상황제어기(124)는,
경주운영에 있어서 모터보트관리동 내로 전달되는 지시 표시제어 및 경주운영에 있어서 모터보트관리동 내로 전달되는 전달사항 표시제어를 수행한다. 그리고, 자기진단기능으로 안정성을 확보하며, 자기진단 명령 하부 제어기에 전달하고,자기진단 결과를 전달한다.
사고검사기(126)는,
경주중에 발생되는 안전사고 및 이상 발생보트를 정밀검사하고, 결함발생 및 사고유형에 대하여 정밀 분석이 가능하도록 자료로 저장한다. 저장 자료 조회, 분석 출력기능을 수행하고, 분석 자료를 통해 보트안전운전, 성능향상, 개선방안 등을 마련한다. 그리고, 자기진단기능으로 안정성을 확보한다.
보트검사기(128)는,
출정 보트에 대한 사전 검사를 수행하고, 출정 보트사전검사를 통하여 경주중의 보트결함으로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한다. 부정보트 출정을 사전에 방지하고, 안전성검사, 각종결함검사, 자기진단기능 등을 수행한다.
장비상황표시제어기(130)는,
모든 경주운영관련 장비에 대한 동작상황을 실시간 표시제어를 수행하고, 각각의 장비에 대하여 동작상태를 직관적으로 표현한다. 장비의 동작상태별 색상으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경주운영중에 장비의 동작을 파악하여 실시간 대응한다. 한편, 자기진단기능으로 안정성을 확보한다.
표시제어기(134)는,
자동경주운영 중에 발생되는 지시, 전달, 상황 등을 표시기에 전달하며, 표시기와 시리얼 통신으로 통신을 수행하며, 신속, 정확하게 표시기에 표시사항을 전달한다. 또한 내부 표시기를 제어하며, 경주출전 선수명단(출주표) 표시기를 제어하고, 출주표 입력, 수정 삭제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자기진단기능으로 안정성을확보한다.
출주표표시장치(136)는,
당일 출주 선수 명단 및 소속 보트번호 모터 번호 등을 표시하며, 경주정보를 기록하고, 해당 주회 출정 선수 명단을 표시한다. 또한, 경기결과를 표시하고, 상부 제어기와 시리얼 통신을 수행하며, 자기진단기능으로 안정성을 확보한다.
내부표시장치(138)는,
자동경주운영 중에 발생되는 지시/전달/상황 등을 표시하고, 상부 표시제어기(134)와 시리얼 통신이 이루어지며, 신속정확하게 전달 사항을 표시하며, 자기진단기능으로 안정성을 확보한다.
레이스진행모니터링장비(140)는,
자동경주운영 중에 발생되는 상황 등을 모니터용 모니터로 표시한다. 이는 공정한 경주운영 및 판정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8대의 카메라 또는 감시용 카메라에서 신호를 독립적으로 저장 재생하며, 플라잉 및 착순판정 영상의 재생하고, 다기능 멀티리모트에 의한 통합관리가 이루어진다.
통신장치(150)는, 경정운영에 참여하는 모든 심판 운영진의 보완 통신의 기능을 수행하며, 유/무선망으로 구축되고, 보안필요에 따라서 특정 그룹과 통화가 가능한 자가망을 구축한다. 개인별통화(128Ch) 및 넓은광대역폭(138∼147MHz, 403∼470MHz)을 이용하여 소형무전기를 사용하여 이동 및 휴대가 용이하고, 헤드셋을 이용한 자유로운 대화가 가능하다.
2. 판정관련시스템
플라잉판정장치(430)는,
경정경주 고유의 플라잉 출발의 적법성 여부를 결정하는 장치로서, 공정한 경주운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플라잉 출발 결과를 판정(즉시)하는데, 카메라를 이용한 고속촬영 방법으로 영상 취득 후 판정이 이루어진다. 이는 연계 장비를 통한 전자동 촬영이 이루어지고, 정확하고 안정적인 동작을 구현하며, 센서를 이용한 즉시판독 기능도 수행한다. 0초 이전에 통과하는 사전출발(F)과 2초 이후에 통과하는 지연출발(L)을 판정하고, 플라잉 출발 결과를 영상으로 출력한다. 한편, 자기진단 기능도 수행하는 것이다.
착순판정장치(410)는, 경정경주의 결승주회 도착 결과를 고해상도 고속촬영기를 이용하여 정밀 판정하며, 최종 착순판정 결과를 판정한다. 칼라영상 사진으로 판독에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24Bit RGB Full Color를 사용하여, 최고 1천6백만 컬러의 색상을 표현한다. 최고 16초의 연속 영상을 저장하고, 경정의 경주로폭을 고려한 60m 광대역 FOV(Field Of View) 측정 설계가 이루어지고, 최고 1/20000초 단위의 초정밀 착순 판정 해상도를 지원한다. 촬영 후 결과 영상 및 판정 결과표 즉시 재생 및 방송이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르는 편리한 그래픽 환경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자동트리거로 정확한 촬영개시 및 안정성을 확보하며, 편리한 운용을 위한 자동/수동 영상촬영으로 안정성을 확보한다. 또한, 계절 및 일기 변화에 대응하여 자동/수동노출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편리한 조작을 통한 방송 영상 출력 영역의 설정 및 확대비 조절기능을 가지고 있다. 한편, 경정 사업과 관련된 유관 제어시스템과의 호환성을 고려한 자료의 일관성을 확보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 명령에 의한 자동 운영이 이루어지고 자기진단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소개항주타임계측장치(420)는,
본 경주전 출주 선수 및 보트의 상태 및 항주기록을 측정하고, 측정결과를 고객(관중)에게 공지시키고, 2주회 중 소개항주 구간 통과시간을 측정하고, 2주회 중 소개항주 구간 통과속도를 측정하며, 보트의 운행자세(틸트)각을 측정한다. 그리고, 자기진단으로 안전성을 확보한다.
3. 발주용대시계운영시스템
발주용대시계제어기(310)는, 경정 경주의 플라잉 출발 방식에서 출발 기준 시각을 선수들에게 고지하며, 대시계의 정확하고 안정된 동작을 유도한다. 120초전 고시로 대시계 타임데스크 점등을 유도하고, 0초∼2초전 신호 감시로 동작 상태 및 연계 장비에 신호를 제공하며, 1초전에 플라잉판정기 작동개시 신호로 이용을 유도하고, 0초∼2초경과 스타트라인 통과로 플라잉 판정 기준 시간을 제공한다. 0초로 착순판정 장치의 착순시간측정 개시 신호와 레이스카운트 개시 신호를 제공하고, 대시계 승강 장치 제어 및 대시계 방향 전환 제어를 수행하며, 자기진단 기능으로 안전성을 확보한다.
발주용대시계(312)는,
경정 경주의 플라잉출발 방식에서 출발 기준 시각을 선수들에게 고지하며, 상부 제어기를 통한 정확하고 안정된 동작을 수행하고, 120초전 고시로 대시계타임데스크 점등으로 출주신호의 기준을 고지한다. 1분침, 즉 1회전을 60 초간 진행하고, 초반1/4 구간인 45초동안만 게시 후 차폐판에 가려진다. 정밀제어 모터로 구동, 최고 10/100의 시간정밀도를 갖는다. 12초침, 즉 1회전을 12초간 진행하고, 60초침이 차폐되는 270도 지점에서 출발하며, 이후 720도를 회전하여 총 24초간 진행한다. 한편, 회전속도는 60초침의 5배 1/100의 시간 정밀도를 갖는다. 신호출력은 1/2000초 이내이며, 시계침을 통해 시각적으로 전달하고, 50초∼30초전 신호로 대기항주를 유도한다. 그리고, 30초 전부터 2초 경과까지 지정된 시각에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1초전에 플라잉판정기 작동개시 신호로 이용하며, 0초∼2초경과 스타트라인 통과로 플라잉판정 기준시간을 제공하고, 0초로 레이스카운트 개시 신호를 제공한다. 한편, 자기진단 기능으로 안전성을 확보한다.
4. 신호표시시스템
신호등제어기(210)는, 경주 운영을 위해 설치 운영되는 각 신호 표시등의 제어가 이루어지고, 각 신호등의 동작 상태를 점검하며, 각 신호등을 수동/자동 원격제어가 가능하고, 경주 운영용 신호등의 동작 상태의 확인 및 표시가 이루어지며, 자동경주 시스템의 제어에 의한 신호등 자동 제어가 이루어지고, 수동조작에 의한 신호등 수동 제어가 이루어진다.
체커등(출발/최종주회등, 212)은,
경정경주의 출발과 최종 주회를 알리는 역할을 수행하고, 스타트와 골인 시에 청색등과 백색등을 점멸시켜 선수에게 고지하며, 전광 점멸식으로 제2턴 마크 부근에서 식별될 수 있으며, 직선으로 300m에서 식별이 가능하다. 그리고, 프로세서 탑재로 신속 정확한 동작 구현이 이루어지며, 상부 제어기와 시리얼 통신이 이루어지며, 자기진단 기능을 갖는다.
삼색신호등(214)은,
선수와 고객들에게 경주운영 관련 진행상황을 전달한다. 녹색등은 최종주회를 알리는 신호이고, 적색등은 실격, 결장, 사고 보트 발생시 실격/결장 표시등과 함께 연계 동작하며, 황색등은 경주중에 대형 사고, 기타 중대사항에 의한 경주 중지신호이다. 프로세서 탑재로 신속 정확하게 동작하며, 상부 제어기와 시리얼 통신이 이루어지고, 자기진단 기능을 갖는다.
실격/결장보트표시등(216)은,
선수 및 관중(고객)에 실격 및 결정을 전달하기 위한 표시로서, 실격/결장 사고보트 번호를 표시한다. 삼색 신호등과 함께 점등되며, 해당되는 보트의 번호가 점등된다. 필요시 다양한 표시등으로 사용 가능하며, 프로세서 탑제로 신속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지고, 자기진단 기능을 갖는다.
위험신호등(218)은,
경주 운영과정에서 발생되는 비상 사태나 위험사태를 선수에게 고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경주수면에 부유물 및 위험물이 발생한 경우에도 선수에게 고지가 이루어지며, 항주지시등을 통해 내/외측 통행을 지시로 연계 동작하며, 전면의 동시점멸 방식을 이용하고, 프로세서 탑제로 신속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지고, 자기진단 기능을 갖는다.
항주신호등(220)은,
선수의 안전 항주를 유도하기 위한 표시로서, 경주 운영과정에서 발생되는 비상사태나 위험사태를 선수에게 고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주로의 내측 또는 외측 주행을 안내하며, 위험신호등(218)과 연계 동작이 가능하고, 프로세서 탑제로 신속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지며, 자기진단 기능을 갖는다.
정상출발여부표시등(222)은,
플라잉 발생여부를 선수들에게 고지하고, 플라잉 즉시판정과 동시에 점등이 이루어진다. 제1턴마크 주변에 위치시키고, 경주수면 결승선 상에서 가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다. 정상 출발시 청색 O 마크를 점등하고, 플라잉 발생시 적색 X마크를 점등하며, 필요시 점등 방법의 변경이 가능하다.
비트출발표시부(224)는,
출주 대기중인 선수들에게 출주와 관련된 지시사항을 표시하고, 시동/출주/정지를 구분하여 표시하며, 출주시 예비신호를 1초간격으로 3회 출력하고, 프로세서 탑제로 신속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지고, 자기진단 기능을 갖는다.
비트상황표시등(226)은,
출발비트 및 각종 예비비트의 현재 상태를 알리고, 사용 가능한 비트를 지정하여 표시하고, 대기 선수들에게 다음 경주를 대비한 사전 준비가 가능하도록 배려한다. 그리고, 프로세서 탑제로 신속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지고, 자기진단 기능을 갖는다.
선수지시표시부(228)는,
대기중인 선수들에게 경주 운영과 관련된 지시사항을 통보하여 표시하고, 시간별/조별 행동 지침을 표시하며, 긴급발생 상황을 전달한다. 그리고, 프로세서 탑재로 신속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지며, 자기진단 기능을 갖는다.
5. 기후측정시스템
기후측정제어기(510)는,
발주대에서는 풍향/풍속/기온의 측정, 모터보트관리동에서는 풍향/풍속/기온/수온/수위/파고의 측정 제어가 이루어지고, 각 설치 장소별 측정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며, 각 측정 데이터별 비교자료를 출력한다. 이는 모터보트관리동내 설치되며, 프로세서 탑제로 신속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지고, 자기진단 기능을 갖는다.
기후표시장치(512)는,
경기장 주요 장소에 설치된 기상측정기의 데이터를 표시하고, 경기장 환경 및 경기 관련 변수를 관측하여 경주 운영에 반영하며, 각 설치 장소별 측정 데이터를 표시하고, 출발선의 수온/수위/파고를 표시하고, 각 설치 장소별 측정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각 측정 데이터별 비교자료를 출력한다. 심판실내 설치하며, 프로세서 탑제로 신속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지고, 자기진단 기능을 갖는다.
실계측장치는,
풍향/풍속계(514), 파고계(516), 백엽상(520)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의 표시가 이루어지는 풍향/풍속표시장치는, 경기장 주요 장소에 설치된 풍향/풍속 기후측정 데이터를 표시하고, 경기장 환경 및 경기 관련 변수를 관측하여 경주운영에 반영하며, 각 설치 장소별 측정 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한 구성을 하고 있는 경정경주 운영시스템의 전체 운영흐름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1. 먼저, 자동운영 네트워크 점검, 각 제어기 동작상태 확인, 및 세부장비 동작상태 확인 등의 장비점검이 이루어진다.
2. 선수지시표시부(228) 및 비트상황표시등(226)에 의해 선수의 집합, 출전 선수의 이동 및 탑승, 시동등 점등에 따른 시동, 및 출주등 점등에 따른 출주가 이루어지는 출발준비과정이 이루어진다.
3. 선수별타임 기록측정, 심의요청 및 확정, 결과통보 등의 소개항주가 이루어진다.
4. 자동운영 네트워크 점검, 각 제어기 동작상태 확인, 및 세부장비 동작상태 확인 등의 본경주 장비점검이 이루어진다.
5. 선수지시표시부(228) 및 비트상황표시등(226)에 의해 선수의 집합, 이동 및 탑승, 시동등 점등에 따른 시동, 출발2분전, 대시계타임 데스크점등에 따른 경주개시알림, 출주등점등에 따른 출주 등의 본경주 출주준비가 이루어진다.
6. 선수별 코스확보, 출발 1분전 대시계 타임데스크 소등(대시계 1분전 가동), 30초전 체커등 내시, 15초전 체커등 점등, 및 대시계 경보(30초전, 15초전, 10초전, 5초전, 2초전, 1초전, 0, 2초경과) 등의 대기항주가 이루어진다.
7. 30초전 플라잉 판정장비 가동준비, 1초전 플라잉 판정장비 가동, 0 ∼ 2초 플라잉 즉시판정, 3초 플라잉 판정장비 촬영완료, 결과심의, 및 결과표출 등의 플라잉계측(판정)이 이루어진다.
8. 체커등 소등, 1주회 완료, 최종주회등(녹색) 점등, 2주회 완료, 및 최종주회등(녹색) 점등의 항주가 이루어진다.
9. 결승주회 Back시 체커등 점등, 착순 판정장비 가동준비(자동 및 수동 촬영준비, 조명장치 점등), 자동촬영 트리거 센서 대기, 촬영(촬영개시(8초간 결승선 촬영)), 촬영완료(조명장치 소등, 체커등 소등, 심의중 점등), 착순판정(결승시 선수기록 및 순위입력), 및 판정 심의 및 확정 등의 결승완료 및 착순판정이 이루어진다.
10. 심의등 소등, 착순판정 결과 표출(출주표, 방송실/전광판, 영상 및 판정표, 전산실 통보), 경기중 문제점 확인 및 통보(선수 예비 비트 귀환, 사고시 사고검사, 보트검사, 선수퇴장), 및 경기종료 등의 결과 표출 및 종료가 이루어진다.
상기한 개략적인 운영과정을 실제경주과정과 함께 설명한다.
먼저 경정운영자는 경주운영장비(110)를 통해 장비점검 제어신호를 모든 각 제어기에 전송한다. 이에 모든 각 제어기는 상기 장비점검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관리장치 및 구성시스템에 점검시작신호를 출력한다. 이 점검시작신호에 의해 해당 관리장치 및 구성시스템은 상기 점검시작신호에 대응한 장비점검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해당 관리장치 및 구성시스템은 점검시작신호에 대응한 구동이 이루어지거나 자체적인 회로접속상태 등을 점검하여 점검결과신호를 해당제어기로 전송한다. 이에 모든 각 제어기에서는 해당 관리장치 및 구성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점검결과신호를 조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경주운영장비(110)에 점검결과신호로 전달한다. 이에 경주운영장비(110)에서는 이들 신호를 각각 분석하여 장비들의 고장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장 발생시는 즉시 복구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운영자의 해당 각 분야의 운영진으로의 복구작업지시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고장이 없을 경우에는 다음으로 소개항주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럼, 여기서 각 제어기와 해당 관리장치 및 구성시스템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자.
장비상황표시제어기(130)는 각 제어기로부터 전송된 점검결과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장비상황표시장치(132)와 연계된다. 발주용대시계제어기(310)는 출발시각을 포함한 레이스에 관련된 타이밍을 선수에게 제공하는 발주용대시계(312)와 연계된다. 표시제어기(134)는 출주상황을 외부의 대형전광판에 디스플레이하는 출주표표시장치(136) 및 건물내부의 경정관람객을 위해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지는 내부표시장치(138)와 연계된다. 기후측정제어기(510)는 풍향/풍속계(514), 파고계(516), 백엽상(520)으로 이루어진 실계측장치와, 이 실계측장치와 연결되어 이들 계측값을 디스플레이하는 기후표시장치(512)와 연계된다. 소개항주타임계측장치(420), 플라잉판정장치(430), 착순판정장치(410)는 판정관련장비들로서, 이들 판정관련장비는소개항주측정기, 플라잉즉시판정센서, 출력장치, 주로센서(118a), 및 고속판정카메라를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신호등제어기(210)는 실격/결장보트표시등(216), 삼색신호등(214), 체커등(출발/최종주회), 위험신호등(218), 항주지시등, 정상출발표시등과 연계된다. 모터보트관리동제어기(120), 비트상황제어기(124), 보트검사기(128), 사고검사기(126)는 상기한 출주표표시장치(136)를 포함하여 선수지시등, 비트상황표시등(226), 비트출발표시부(224) 등의 해당 지시등 및 표시등과 연계된다.
장비점검이 완료되면 소개항주타임계측장비로부터 승인요청신호를 전달한다. 이에 주/부심판제어기(112)는 승인신호를 소개항주타임계측장비로 전달한다. 이 승인신호를 받아 다음으로 출발요청신호를 모터보터관리동제어기로 전달한다. 이에 모터보터관리제어기는 계류기를 동작시키고 이에 비트출발이 이루어진다. 이 비트출발에 의해 각 보트가 순차적인 출발이 이루어진다. 이와 아울러, 소개항주타임 계측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그 계측구간에서의 계측은 상기한 소개항주타임계측장치(420)와 2주로심판탑에 마련된 소개항주측정기로 이루어진다. 즉, 소개항주타임계측장치(420)에서 계측이 시작되며 소개항주측정기에서 계측이 완료된다. 이 계측데이터는 소개항주타임계측장치(420)로 전송되고, 이후 소개항주타임계측장치(420)에서 표시제어기(134)로 계측데이터를 전송하여 이를 출주표표시장치(136) 및 내부표시장치(138)에 디스플레이시키게 된다.
소개항주가 완료되면 출발준비 상태로 진입하는데, 출발 5분전에 집합/대기, 탑승, 시동 순으로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 때, 선수지시표시부(228), 비트상황표시등(226), 시동등 점등을 통해 이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후, 플라잉스타트경주가 이루어지는데, 타임데이크 점등에 의해 경주가 개시된다. 이를 위해 출발 1분 45초전에 계류기가 오픈되면서 각 보트는 비트를 출발하여 수면에 대기하게 된다. 이 때, 비트를 출발하여 제2턴마크를 회전하여 수면에 대기하게 되고, 이어서 출발 30초전에 소개항주의 결과에 따라 정해진 자신의 코스를 확보하는 진입항주가 이루어진다. 이후, 타임데스크가 소등되고 대시계 1분침이 가동된다. 이 때, 보트는 가속을 준비하게 되고, 이후 대략 15초전에 출발등이 점멸된다. 이 출발등이 점등됨과 동시에 보트는 가속을 시작하게 되고, 보트의 전속항주가 이루어진다. 이 전속항주는 플라잉스타트라는 방식을 고려하여 대시계가 0초를 지시하는 순간 스타트라인을 통과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 플라잉스타트의 방식에 위반되지 않을 경우에는 레이스가 계속진행되게 된다. 한편, 스타트라인의 일정거리 뒤에는 후방라인이 가상으로 형성되는데 이 후방라인을 0초가 지난 2초 뒤에 통과할 경우에 플라잉판정을 피하게 된다. 즉, 스타트라인을 0초가 되기 전에 진입하게 되거나, 2초 뒤에 후방라인에 진입하게 되면 재스타트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플라잉의 판정은 판정관련장비가 동원되는데, 구체적으로 플라잉판정장치(430)가 이용된다.
플라잉판정장치(430)는 대시계가 0초를 지시하기 1초전에 작동하여 0초에서부터 2초까지 동작한다. 이 때, 판정용카메라, 즉시판정센서 등이 입력되고, 2가지 판정이 이루어진다. 즉, 플라잉 정밀판정과 플라잉 즉시판정이다. 대시계가 0초를 지시하기 1초전부터 시작한 플라잉판정은 대시계가 0초를 지시한 이후 2초까지 판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먼저 즉시판정이 이루어지는데, 스타트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사전출발로 정의되는 0초 이전에 보트를 감지한 신호가 있었는가의 유무와, 후방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지체출발로 정의되는 2초 이후에 보트를 감지한 신호가 있었는가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전출발이나 지체출발이 있을 경우에는 결과승인을 얻어 재출발을 고지한다. 이와 동시에 정상출발여부표시등(222)이 점등되는데 부정출발을 알리는 "X"가 점등되게 된다. 이 때, 사전출발이나 지체출발의 판정이 정밀하지 못하여 모호할 경우에는 결과승인을 얻어 정밀판정을 요청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즉시판정을 위한 센싱과 정밀판정을 위한 촬영이 대시계가 0초를 지시하기 1초전에 작동하여 0초에서부터 2초까지 동시에 이루어지는데, 촬영종료후 10초 이내 즉, 대시계가 0초를 가리킨 이후 12초 이내에 촬영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플라잉 판정을 수행하게 된다. 판정결과를 확인하여 부정출발 대상자를 통보하는데, 삼색신호등(214)에 적색등을 점등하고, 실격/결장보트표시등(216)에 해당 보트번호를 표출시킨다. 물론 2차플라잉 발생시에는 해당 보트는 실격과 동시에 해당보트를 반납해야만 한다. 한편, 플라잉 판정결과 정상 주행이었다고 판정되면 결과승인을 얻어 정상항주를 고지한다. 이에 따라 정상출발여부표시등(222)에는 "O"가 점등된다.
정상출발이 이루어져 계속항주가 이루어지는 순간부터 레이스카운트장비(118)가 동작하여 출발시간을 기록 및 입력하게 된다. 이후, 보트들이 제1턴마크를 회전하면 정상출발여부표시등(222)을 소등하고, 이어서 보트들이 제2턴마크를 회전하면 상기 레이스카운트장비(118)는 1주회 통과기록을 입력하게 된다. 보트의 계속항주가 이루어져 2주회 항주가 이루어지고 제1턴마크를 회전하면신호등제어기(210)에서는 삼색신호등(214)을 제어하여 최종 1주회가 남았음을 알리는 녹색등을 점등한다. 이후 보트들이 제2턴마크를 회전하면 레이스카운트장비(118)는 2주회 통과기록을 입력하게 되고 삼색신호등(214)의 녹색등을 소등한다. 이어서 나머지 1주회인 결승주회 항주가 진행되는데, 제1턴마크를 회전하면 최종주회등인 체커등을 점등하여 최종주회임을 경주자에게 고지한다. 이와 동시에 착순판정을 위해 착순판정장치(410)의 구동을 준비한다. 보트들이 제2턴마크를 회전하여 결승점에 진입하면 정밀판정을 위한 영상촬영이 이루어진다. 또한, 레이스카운트장비(118)는 결승통과 기록을 입력하고 신호등제어기(210)는 체커등을 소등하고, 이어서 착순판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영상촬영에서부터 착순판정까지의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최종주회를 항주하여 제2턴마크를 회전하게 되면 자동촬영을 준비하게 되는데, 주로센서(118a)와 카메라의 상태를 확인한다. 상기 주로센서(118a)와 카메라가 정상적인 상태라고 확인되면 촬영준비가 완료되고, 주로센서(118a)로부터 보트를 감지하는 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기다리게 된다. 이 때, 주로센서(118a)로부터 보트를 감지하는 신호가 고속촬영카메라로 입력되면 촬영이 시작된다. 촬영은 8초 동안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촬영이 완료됨과 동시에 최종주회등인 체커등도 소등한다. 착순판정장비에서는 고속촬영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해석함과 동시에 영상의 저장이 이루어진다. 저장된 영상을 저속재생하여 순위판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착순판정장비에서 각 보트의 시간선을 표시하여 순위표를 작성하고, 판정결과를 주/부심판제어기(112)로 통보한다. 이에 주/부심판제어기(112)를 통해 출력되는 판정결과를 주심판 및 부심판이 검토하게 되고, 이에 대한 심의를 확정하여 이의 심의 결과를 출주표표시장치(136) 및 내부표시장치(138)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정경주 운영시스템은, 플라잉 발생시 판정이 도출되는 시간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운영에서 판정상의 시비가 발생할 수 있는 요인을 제거할 수 있도록 플라잉 즉시판정시스템을 도입하여 재출발 명령과 경보를 즉시 처리함으로써 경주운영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고, 경주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순서와 진행방법이 상황에 따라 자동 진행되도록 프로그램화됨과 아울러 경주중에 발생될 수 있는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윈도우운영체제에 의한 경주운영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운영팀의 최소화, 수동조작에 따른 오조작의 최소화 등을 실현할 수 있어 관리비용 및 경주운영상의 문제점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할 것이다.

Claims (6)

  1. 경정경주에 관련된 각 시스템의 제어 및 이의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심판 및 경기 운영시스템(10)과, 상기 심판 및 경기 운영시스템(10)의 제어에 관련된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신호표시시스템(20)과, 상기 심판 및 경기 운영시스템(10)의 제어에 의해 경주관련 카운팅이 이루어지는 발주용대시계운영시스템(30)과, 경주의 플라잉스타트 및 경주결과를 판정하는 판정관련시스템(40)과, 그리고 경주와 관련된 주변기상 여건을 측정하는 기상측정시스템(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정경주 운영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판 및 경기 운영시스템은,
    경주운영 진행에 필요한 제어명령과 상황을 전달하는 경주운영장비(110), 심판에게 경주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고 심판의 조작에 따라 경주운영장비(110)로 제어신호를 절단하는 주심판제어기(112)와 부심판제어기(114), 경주 주회수를 관측하고 매 주회의 선두시간을 계측하여 경주운영장비(110)로 전송하는 레이스카운트장비(118), 심판의 명령을 모터보트관리동의 선수에게 전달하고 모터보트관리동의 상황을 심판에 전달할 수 있게하는 모터보트관리동제어기(120), 경주운영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게 주요진행상황 및 장비별 동작상황을 표시하는 경주운영모니터링장비(122), 경주중 발생되는 안전사고 및 이상 발생보트를 정밀검사하여 결함발생 및 사고유형에 대하여 정밀 분석이 가능하도록 사고자료의 저장 및 분석하는 사고검사기(126), 각 장비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장비상황표시장치(132)를 제어하는 장비상황표시제어기(130), 출주자를 표시하는 출주표표시장치(136)와 자동경주운영 중에 발생되는 지시,전달상황을 표시하는 내부표시장치(138)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표시제어기(134), 경주운영상황을 직접 촬영하여서 모니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이하는 레이스진행모니터링장비(140), 경정운영에 참여하는 모든 심판 운영진간의 보안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유선과 무선망으로 이루어진 통신장치(1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정경주 운영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표시시스템은,
    경주 운영을 위해 설치 운영되는 각 신호 표시등을 제어하고 동작상태를 점검하며 수동 및 자동조작이 가능하게한 신호등제어기(210), 경정경주의 출발과 최종주회를 알리는 체커등(출발/최종주회등, 212), 선수와 고객들에게 경주운영 관련 진행상황을 전달하는 삼색신호등(214), 선수와 관중에게 실격 및 결장보트를 고지하는 실격/결장보트표시등(216), 경주 운영과정에서 발생되는 비상 사태나 위험사태를 선수에게 고지하는 위험신호등(218), 위험신호등(218)과 연동하여 선수에게 경주운영과정의 비상사태와 위험사태를 고지하는 항주신호등(220), 보트의 정상출발여부를 고지하는 정상출발여부표시등(222), 출구 대기중인 선수들에게 출주와 관련된 지시사항을 표시하는 비트출발표시부(224), 각 비트의 현재상태를 표시하는 비트상황표시등(226), 및 대기중인 선수들에게 경주운영과 관련된 지시사항을 표시하는 선수지시표시부(2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정경주 운영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주용대시계운영시스템은, 출발시의 플라잉판정과 착순판정을 위한 시간데이터를 제공하고 시간을 표시하는 발주용대시계(312)의 동작을 제어하는 발주용대시계제어기(310)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상측정시스템은, 기후측정제어기(510), 기후표시장치(512), 실계측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실계측장치는 풍향/풍속계(514), 파고계(516), 백엽상(5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정경주 운영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관련시스템은, 경주순위를 판정하는 착순판정장치(410), 경주시의 코스 결정을 위하여 2주로 심판탑에 구비된 소개항주측정기로 소개항주타임 계측하여 전송하는 소개항주타임계측장치(420), 출발시의 플라잉유무를 판정하는 플라잉판정장치(43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착순판정장치(410)는 결승점을 통과하는 경주대상물을 일정시간 슬릿영상으로 연속 촬영하여 출력하는 착순판정카메라(411)와, 상기 착순판정카메라(411)에서 슬릿촬영되어 제공된 영상을 하나의 착순영상을 이루게 일정시간동안의 슬릿영상을 연속 결합저장한 후 90도 회전출력하는 영상처리장치(412)와, 레이스카운트장비(118)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착순판정카메라(411)의 촬영준비를 하게 하고 발주용대시계(312)의 동작을 제어하는 발주용대시계제어부(310)로부터 시간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주로센서(118a)를 통하여 입력되는 트리거신호에 의하여 착순판정카메라(411)의 촬영을 제어하는 착순판정제어기(413)로 구성하고,
    상기 플라잉판정장치(430)는 심판에게 연속 촬영되어서 연결되는 슬릿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일정주기로 슬릿영상을 촬영하여 출력하는 플라잉카메라(431)와, 출발선상의 빛 변화량을 감지하여서 배의 유무를 감지 출력하는 플라잉검지기(432a)와, 상기 플라잉검지기(432a)의 동작을 제어하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디지털신호로 변환시켜서 보트의 유무와 보트의 수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플라잉검지제어기(432b)와, 상기 플라잉검지제어기(432b)를 통하여 입력되는 보트의 유무와 보트의 수 신호를 연산하여 즉시플라잉유무를 판단하며 플라잉카메라(431)로부터 제공되는 슬릿영상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심판에게 제공할 수 있게한 플라잉판단제어기(43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정경주 운영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착순판정카메라(411)에는 입력된 슬릿영상을 삼원색으로 분광하는 프리즘(411a)을 구비하고, 상기 프리즘(411a)에 의하여 분광된 각각의 빛을 수광하는 촬상소자(411b)를 구비하되,
    상기 영상처리장치(412)는 착순판정카메라(411)에서 출력된 삼원색의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각각의 영상앰프회로(412a)와, 상기 영상앰프회로(412a)에서 증폭된 영상신호를 독립된 RGB 신호로 믹싱하는 신호믹싱회로(412b)와, 상기 신호믹싱회로(412b)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는 A/D변환회로(412c)와, 상기 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서 동기신호에 따라 일정시간 촬영제공되는 슬릿영상을 순차저장하여 상하로 연속 결합되는 하나의 착순영상으로 저장하였다가 90도 회전출력하는 영상회전저장회로(412d)와, 상기 영상회전저장회로(412d)에서 출력되어 슬릿영상이 수평방향으로 연속되는 착순영상을 착순판정제어기(413)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412e)와 각 회로의 구동을 위한 동기신호를 발생시키는 동기신호회로(412f)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정경주 운영시스템.
KR10-2002-0078625A 2002-12-11 2002-12-11 경정경주 운영시스템 KR100455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625A KR100455632B1 (ko) 2002-12-11 2002-12-11 경정경주 운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625A KR100455632B1 (ko) 2002-12-11 2002-12-11 경정경주 운영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675A KR20040051675A (ko) 2004-06-19
KR100455632B1 true KR100455632B1 (ko) 2004-11-06

Family

ID=37345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625A KR100455632B1 (ko) 2002-12-11 2002-12-11 경정경주 운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56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893A1 (en) * 2015-08-31 2017-03-09 Intel Corporation System for sensor-based objective determin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685B1 (ko) * 2012-07-31 2019-04-11 주식회사 아이티이엔지 수상 경기 신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50079B1 (ko) * 2014-08-11 2016-08-22 (주)드림테크 경기운영 지원관리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7024A (ja) * 1995-11-17 1997-06-06 Hiroyasu Nitsuta 遠隔投票システム
KR19990073202A (ko) * 1999-06-21 1999-10-05 송경호 실시간레이싱경기중계시스템
KR20000037406A (ko) * 2000-04-21 2000-07-05 박종철 인터넷을 통한 경마 시스템의 양방향 배팅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2281492A (ja) * 2001-03-16 2002-09-27 Casio Comput Co Ltd 通過記録システムおよび通過記録方法
JP2002288381A (ja) * 2001-03-28 2002-10-04 Shigeru Kawada アドバンテージポイント付き周回レースの管理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KR20020092326A (ko) * 2002-11-15 2002-12-11 주식회사 비솔 경정경주의 플라잉 판정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7024A (ja) * 1995-11-17 1997-06-06 Hiroyasu Nitsuta 遠隔投票システム
KR19990073202A (ko) * 1999-06-21 1999-10-05 송경호 실시간레이싱경기중계시스템
KR20000037406A (ko) * 2000-04-21 2000-07-05 박종철 인터넷을 통한 경마 시스템의 양방향 배팅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2281492A (ja) * 2001-03-16 2002-09-27 Casio Comput Co Ltd 通過記録システムおよび通過記録方法
JP2002288381A (ja) * 2001-03-28 2002-10-04 Shigeru Kawada アドバンテージポイント付き周回レースの管理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KR20020092326A (ko) * 2002-11-15 2002-12-11 주식회사 비솔 경정경주의 플라잉 판정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893A1 (en) * 2015-08-31 2017-03-09 Intel Corporation System for sensor-based objective determination
US10532265B2 (en) 2015-08-31 2020-01-14 Intel Corporation System for sensor-based objective determination
US11305173B2 (en) 2015-08-31 2022-04-19 Intel Corporation System for sensor-based objective determination
US11745080B2 (en) 2015-08-31 2023-09-05 Intel Corporation System for sensor-based objective determin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675A (ko) 200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2459B2 (en) GPS features and functionality in an athletic watch system
US5027102A (en) Scoring system for athletic events
CN102930611A (zh) 多用途跑步成像计时系统
UA72328C2 (uk) Гральне обладнання для настільних ігор, у яких використовуються гральні карти і ігрові жетони, зокрема для гри "блек-джек"
US9713764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football match
CN101370125B (zh) 跳水自动跟踪拍摄和视频反馈方法及其系统
KR100455632B1 (ko) 경정경주 운영시스템
JP2002186702A (ja) 撞球練習装置および撞球練習システム
US8687066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aging signals at a bowling alley or the like
KR101528517B1 (ko) 볼링장 운영관리시스템
JPH07313665A (ja) パチンコ装置
US20230271081A1 (en) Interaction of audio, video, effects and architectural lighting with bowling scoring system and methods of use
WO2020235161A1 (ja) 無人移動体を用いた映像処理システム、映像処理方法及び映像処理装置
CN113075998B (zh) 一种线上火炬传递方法及其使用的智能运动设备和服务器
CN113075999B (zh) 一种线上火炬传递用移动终端、系统及方法
KR200305689Y1 (ko) 경정경주의 플라잉 판정시스템
KR20020092326A (ko) 경정경주의 플라잉 판정시스템
CN104754236B (zh) 行进比赛的顺序判定方法及其装置
JP2707532B2 (ja) パチンコホール用案内システム
JP4335787B2 (ja) 競技管理システムおよびスタート管理方法
JP3026271U (ja) 残ピン自動検出機能付きボウリングゲーム装置
CN213690252U (zh) 一种适用于夜跑赛事的多功能投影计时钟
JP2830941B2 (ja) 映像判定装置
US20240013580A1 (en) Run recording device, run recording system, and run recording method
JPH052315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