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589B1 - 전화기의 재다이얼 버튼 장치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재다이얼 버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589B1
KR100452589B1 KR10-2002-0033657A KR20020033657A KR100452589B1 KR 100452589 B1 KR100452589 B1 KR 100452589B1 KR 20020033657 A KR20020033657 A KR 20020033657A KR 100452589 B1 KR100452589 B1 KR 100452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tmf
telephone
memory
cpu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3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6672A (ko
Inventor
조남창
Original Assignee
오빌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빌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빌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3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589B1/ko
Publication of KR20030096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6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5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53Generation of additional signals, e.g. additional pulses
    • H04M1/54Arrangements wherein a dial or the like generates identifying signals, e.g. in party-lin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1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 H04M1/2472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with programmable function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PU는 훅 오프 상태에서 키패드(1)를 통해 전화번호 입력이 검출되면, 첫 번째 입력된 숫자를 재다이얼링 전화번호 수록 메모리(21)에 국선선택 데이터(SL)로서 저장하고, 이어서 다음 숫자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21)에 상기 데이터(SL)에 이어서 전화번호 데이터(TD)로서 수록한 후 DTMF송출부(3)를 통해 DTMF신호를 송출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국선 선택 테이터를 포함하는 전화번호(SL-DT)를 수록함과 동시에 다이얼링하고, CPU는 훅 오프 상태에서 키패드(1)를 통해 재다이얼 버튼의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메모리(21)에 수록된 국선 선택 테이터를 포함하는 전화번호(SL-DT)를 읽어들여 첫 번째 데이터(SL) 국선 선택 데이터로 간주하여 DTMF송출부(3)를 통해 국선 선택 DTMF신호를 송출하고, 이어서 다이얼 모드의 신호음이 검출되기까지 전화회선의 신호음을 검출하고, 검출신호가 다이얼모드이면 상기 두 번째 이하의 데이터(DT)를 순차로 DTMF송출부(3)를 통해 DTMF신호로 송출하여 다이얼링한다.

Description

전화기의 재다이얼 버튼 장치 {RE-DIAL BUTTON APPARATUS FOR TELEPHONE}
본 발명은 일반 전화기의 재다이얼 버튼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사설교환기(PBX)를 통해 전화회선에 접속된 일반전화기의 재다이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설교환기에 일반전화기를 접속한 경우, 다이얼링 하려면 9번 다이얼 버튼을 먼저 눌러 국선을 선택한 다음, 전화번호를 차례로 눌러 다이얼링 하게된다. 이와 같은 이유는 사설교환기가 소수의 전화회선에 다수의 키폰전화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전화교환 장치의 하나이며, 키폰 전화기에는 회선선택버튼이 따로 구비되어있어 전화사용자는 다이얼링 전에 회선선택 버튼에서 회선을 선택한 다음 다이얼링을 하게 되어있고, 사설교환기는 키폰전화기에서 회선을 선택하면 해당전화기를 선택 회선에 연결되도록 스위칭하고, 또한 각각의 키폰전화기에 대하여 사용중의 회선을 식별할 수 있도록 사용회선 램프를 점등하는 것이다.
상기한 사설교환기는 일반전화기도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일반전화기의 연결회선을 특정(대개는 9번)하고 있다. 따라서 전화기에서 약속된 다이얼 번호 버튼을 눌러 다이얼톤 신호가 사설교환기에 전달되면, 사설교환기는 이 신호를 전화기의 외부회선 접속 요구로 간주하고 해당 전화기의 내부 회선을 비사용중인 외부회선에 접속함으로써, 전화기에서 다이얼링을 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이와 같이 일반 전화기에서 사설교환기를 통해 전화를 걸자면 약속된 국선선택 번호를 먼저 누르고, 송수화기에 신호음이 떨어졌을 때 다이얼링 하는 것이므로, 일반 전화기를 사설 교환기에 접속한 경우 재다이얼 버튼을 사용하여 직전에 다이얼링한 전화번호를 원터치로 재 발신 할 수가 없다.
그 이유를 알기 위해 일반 전화기의 재발신 버튼의 동작을 살펴본다.
다이얼링을 할 때 전화번호 버튼이 차례로 눌러지면 전화기의 제어부는 버튼이 눌러질 때마다 해당 버튼의 다이얼톤 신호를 발생시켜 송출하고, 한편 버튼이 눌러진 전화번호 숫자를 제어부의 재다이얼번호 메모리에 차례로 수록한다. 그리하여 수화기를 들고 신호음이 떨어진 다음 재다이얼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는 재다이얼번호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읽어 다이얼톤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원터치로 다이얼링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일반 전화기를 사설교환기에 접속한 경우 수화기를 들고 재다이얼 버튼을 누르면 국선 선택단계를 기다림이 없이 처음부터 다이얼톤 신호를 연속하여 송출함으로써 전화 접속을 이룰 수가 없게 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일반 전화기를 사설교환기를 통하여 전화회선에 접속하였을 때(A) 재다이얼 버튼을 원 터치로 누르면 국선 선택과정을 거쳐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하는 전화기의 재다이얼 버튼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이 일반전화기의 재다이얼 버튼을 사설교환기를 고려하여 다이얼링 기능을 프로그램 하면, 이때에는 일반 전화기를 전화회선에 직접연결 하였을 때(B) 정상적인 다이얼링 기능이 상실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A)의 상태와 (B)의 상태에서 다 같이 정상적으로 재다이얼 버튼에 의해 다이얼링 할 수 있는 전화기의 재다이얼 버튼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종래 사설교환기는 일반전화기에 할당하는 국선 번호를 임으로 지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에서 일반전화기 접속을 위해 할당하는 국선 번호가 바뀌더라도 이에 맞추어 국선 선택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전화기의 재다이얼 버튼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도1은 실시예 1의 전화기 제어부 블록도
도2는 재발신 전화번호 수록 메모리 상세도
도3은 실시예 키패드를 포함하는 전화기 몸체의
도4은 실시예 2의 전화기 제어부 블록도
도5는 실시예 3의 전화기 제어부 블록도
<도면 주요부호의 설명>
1:키패드 2:메모리 21:재다이얼전화번호 수록메모리 SL:국선선택 데이터 DT:전화번호데이터 DS:딥스위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의 전화기 제어부는 도1과 같다.
도1에서 제어부는 CPU와 키입력부(1)와 메모리(2)와 DTMF송출부(3)를 구비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 CPU에서 전화회선의 신호를 검출하기위한 신호검출부(SD)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신호검출부(SD)는 전화회선의 신호를 CPU에 제공하여, CPU에서 국선선택모드인지 다이얼링모드인지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상기 CPU는 메모리(2)의 비 휘발성 영역에 수록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한다. CPU는 온 훅 상태에서 훅 스위치(HS)의 상태를 감시한다. 훅 오프 상태에서 키입력부(1)를 통해 전화번호가 순차 입력되면 CPU는 매 숫자의 입력시 마다 DTMF송출부(3)를 통해 해당 숫자의 DTMF신호를 송출한다. 동시에 CPU는 재다이얼전화번호 수록메모리(21)에 해당숫자를 차례로 수록한다. CPU는 훅 오프 상태에서 재다이얼전화번호 수록메모리(21)에 수록된 전화번호를 읽어들여 차례로 DTMF신호를 송출한다.
종래 전화기의 제어부는 키패드(1)에 포함된 버튼들을 프로그램하기 위하여 표1과 같이 전화기 버튼들에 대해서 식별 코드를 부여하였다.
표 1 :
버튼 0 1 2 3 4 5 6 7 8 9 * # 포즈 플레시 ...
16진값 0 1 2 3 4 5 6 7 8 9 A B C D
표2는 본 발명에서 재 다이얼버튼에 부여한 코드를 포함하는 코드표이다.
표 2 :
버튼 0 1 2 3 4 5 6 7 8 9 * # 포즈 플레시 재다이얼
16진값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상기 제어부에 포함된 메모리는 램, 롬 또는 EEP롬을 포함한다. 실행프로그램은 롬에 저장되고 있으며, 램은 프로그램수행시의 워킹메모리 또는 재다이얼전화번호 수록 메모리(21)등으로 활용된다. EEP롬은 자주쓰는 전화번호를 저장해 두기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CPU에 접속된 표시부(4)는 LCD표시부로서 다이얼링전화번호, 발신자전화번호, 동작모드 등을 표시한다.
상기 DTMF송출부는 CPU에서 제공하는 숫자에 해당하는 DTMF신호를 발생시켜 송출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전화기 제어부에 다음 실시 예들의 기능을 부가함으로써이루어 졌다.
실시예 1 :
실시예 1에서 메모리(2)에 실장된 프로그램은 다음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프로그램되었다.
1) 제1제어 (국번호와 전화번호의 저장)
CPU는 훅 오프 상태에서 신호검출기(SD)로부터 전화회선의 신호음을 검출하여, 검출된 신호음이 국선선택모드로 간주되고 동시에 키패드(1)를 통해 전화번호 입력이 검출되면, 첫 번째 입력된 숫자를 재다이얼전화번호 수록 메모리(21)에 국선 선택 데이터(SL)로서 저장하고, 이어서 다음 숫자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21)에 상기 데이터(SL)에 이어서 전화번호 데이터(TD)로서 수록한 후 DTMF송출부(3)를 통해 DTMF신호를 송출하는 동작을 전화번호가 모두 입력되기까지 반복하여 국선 선택테이터를 포함하는 전화번호(SL-DT)를 수록함과 동시에 다이얼링을 수행한다.
표3은 상기 데이터 SL-DT 문자열의 예이다.
표 3 :
SL DT
9 0 2 5 5 4 1 3 7 4 null
표3에서 SL 데이터 '9'는 국선 선택 번호이고, DT 중의 "02'는 지역번호이고, "5541374"는 전화번호이다.
재다이얼일 전화번호 수록 메모리(21)는 다이얼링초기 호출시에 크리어 된다. 선국번호와 전화번호의 저장기능을 구현하는 서브루틴은 처음 버튼을 누를 때부터 회선이 접속되기까지 버튼이 눌려질 때 마다 해당 버튼의 숫자 값을 제공하면서 호출된다. 선국번호와 전화번호의 저장기능을 구현하는 서브루틴은 플로우 1과 같다.
플로우 1 :
1행 : 지정된 변수메모리 (21)의 스트링 말단에 호출프로그램이 제공한 숫자를 기입하고 말미에 널(null)을 붙인다.
2행 : 리턴한다.
2) 제2제어 (선국번호를 사용하는 재다이얼링)
CPU는 훅 오프 상태에서 신호검출기(SD)로부터 전화회선의 신호음을 검출하여 국선선택모드이고 동시에 키패드(1)를 통해 재다이얼 버튼(RB) 입력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메모리(21)에 수록된 국선 선택테이터를 포함하는 전화번호(SL-DT)를 읽어들여 첫 번째 디지트(SL)를 국선 선택 데이터로 간주하여 DTMF송출부(3)를 통해 국선 선택을 위해 DTMF신호를 송출하고, 이어서 다이얼링 모드의 신호음이 검출되기 까지 전화회선의 신호음을 검출하고, 검출신호가 다이얼링모드가 되면 상기두 번째 이하의 전화번호 데이터(DT)를 순차로 DTMF송출부(3)를 통해 DTMF신호로 송출하여 다이얼링한다.
선국번호와 전화번호에 의한 재다이얼 기능을 구현하는 서브루틴의 제어는 플로우 2와 같다.
플로우 2 :
1행 : 회선의 신호음을 검출한다
2행 : 검출 신호음이 없으면 1행으로 이동하고, 검출신호음이 국선선택 대기음이면 3행으로 이동한다.
3행 : 데이터 SL을 취하여 국선 DTMF신호 송출한다.
4행 : 회선의 신호음을 검출한다.
5행 : 검출신호음이 다이얼링 대기음이면 6행으로 이동하고, 아니면 4행으로 이동한다.
6행 : 데이터 DT를 취하여 다이얼링루틴을 호출한다
7행 : 리턴
3) 제3제어 (선국번호 저장 없는 다이얼링)
CPU는 훅 오프 상태에서 신호검출기(SD)로부터 전화회선에서 검출한 신호음이 다이얼링 신호음이면 전화기가 전화회선에 직접 연결된 것으로 간주하여 종래전화기의 다이얼링 동작과 같이 전화번호를 저장하면서 다이얼링을 수행하고, 이와 달리 재다이얼 버튼(RB)이 선택되었으면 전화번호 재다이얼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실시예 1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전화를 걸 때 CPU가 전화회선의 신호음을 검출하고 전화기가 전화회선에 직접연결되었는지 아니면 사설교환기를 통하여 접속되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동작모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동작모드에 따라 사설교환기가 설치되어있으면 다이얼링시에 국선 선택 번호를 전화번호와 함께 메모리에 저장하면서 다이얼링하고, 재다이얼모드시 저장된 데이터에 의해 CPU가 국선 선택단계와 다이얼링 단계를 식별하여 원터치 자동 다이얼링을 수행하도록 하며, 사설교환기가 설치되어있지 아니하면 통상의 다이얼링 제어와 같이 제어하여 다이얼링 또는 원터치 재다이얼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실시예 2 :
실시예 2에서 도4와 같이 제어부는 CPU와 키입력부(1)와 메모리(2)와 DTMF송출부(3)를 구비하고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더하여 모드 선택용 딥스위치(DS)가 더 설치되어 있다. HS는 훅 스위치 이다.
표4는 본 발명에서 딥스위치의 상태에 할당한 동작모드이다.
표 4 :
딥스위치상태 오프
동작모드 사설교환기 설치됨 사설교환기 없음
실시예2을 적용한 본 발병 전화기 사용자는 전화회선의 상태에 맞추어 딥스위치(DS)의 상태를 변경해야 한다.
실시예 2에서 제어프로그램 수록 매체인 메모리(2)에 다음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프로그램되었다.
1) 제4제어 (선국번호와 전화번호 저장)
CPU는 훅 오프 상태에서 딥스위치(DS)의 상태를 검출하여 사설교환기가 설치된 국선선택모드로 간주되고 동시에 키패드(1)를 통해 전화번호 입력이 검출되면, 첫 번째 입력된 숫자를 재다이얼전화번호 수록 메모리(21)에 국선선택 데이터(SL)로서 저장하고, 이어서 다음 숫자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21)에 상기 데이터(SL)에 이어서 전화번호 데이터(TD)로서 수록한 후 DTMF송출부(3)를 통해 DTMF신호를 송출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국선 선택테이터를 포함하는 전화번호(SL-DT)를 수록함과 동시에 다이얼링을 수행한다.
2) 제5제어 (선국을 포함하는 재 다이얼링)
CPU는 훅 오프 상태에서 딥스위치(DS)의 상태를 검출하여 사설교환기가 설치된 국선선택모드로 간주되고 동시에 키패드(1)를 통해 재다이얼 버튼(RB)의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메모리(21)에 수록된 국선 선택테이터를 포함하는 전화번호(SL-DT)를 읽어들여 첫 번째 데이터(SL) 국선 선택 데이터로 간주하여 DTMF송출부(3)를 통해 국선 선택 DTMF신호를 송출하고, 이어서 다이얼링 모드의 신호음이 검출되기 까지 전화회선의 신호음을 검출하고, 검출신호가 다이얼링모드이면 상기 두 번째 이하의 데이터(DT)를 순차로 DTMF송출부(3)를 통해 DTMF신호로 송출하여 다이얼링한다.
3) 제6제어 (선국 없는 다이얼링)
CPU는 훅 오프 상태에서 딥스위치(DS)의 상태를 검출하여 전화기가 전화회선에 직접 연결된 것으로 간주되면 종래 전화기의 다이얼링 동작과 같이 전화번호를 저장하면서 다이얼링을 수행하고 또는 전화번호 재다이얼 기능을 수행한다.
실시예 2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전화를 걸 때 CPU가 딥스위치의 상태를 검출하여 전화기가 전화회선에 직접연결되었는지 아니면 사설교환기를 통하여 접속되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동작모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동작모드에 따라 사설교환기가 설치되어있으면 다이얼링시에 국선 선택 번호를 전화번호와 함께 메모리에 저장하면서 다이얼링하고, 재다이얼모드시 CPU가 국선 선택단계와 다이얼링 단계를 식별하여 원터치 자동 다이얼링을 수행하도록 하며, 사설교환기가 설치되어있지 아니하면 통상의 다이얼링 제어같이 제어되어 다이얼링 또는 원터치 재다이얼을 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실시예 3 :
실시예 3에서 도5와 같이 제어부는 CPU와 키입력부(1)와 메모리(2)와 DTMF송출부(3)를 구비하고 있으며,
본 발명은, 제어프로그램 수록 매체인 메모리(2)에 다음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프로그램되었다. HS는 훅 스위치 이다.
1) 제7제어 (선국번호와 전화번호의 저장)
CPU는 훅 오프 상태에서 키패드(1)를 통해 전화번호 입력이 검출되면, 첫 번째 입력된 숫자를 재다이얼전화번호 수록 메모리(21)에 국선선택 데이터(SL)로서 저장하고, 이어서 다음 숫자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21)에 상기 데이터(SL)에 이어서 전화번호 데이터(TD)로서 수록한 후 DTMF송출부(3)를 통해 DTMF신호를 송출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국선 선택테이터를 포함하는 전화번호(SL-DT)를 수록함과 동시에 다이얼링을 수행한다.
2) 제8제어 (선국을 포함하는 재다이얼링)
CPU는 훅 오프 상태에서 키패드(1)를 통해 재다이얼 버튼(RB)의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메모리(21)에 수록된 국선 선택테이터를 포함하는 전화번호(SL-DT)를 읽어들여 첫 번째 데이터(SL) 국선 선택 데이터로 간주하여 DTMF송출부(3)를 통해 국선 선택 DTMF신호를 송출하고, 이어서 다이얼링 모드의 신호음이 검출되기 까지 전화회선의 신호음을 검출하고, 검출신호가 다이얼링모드이면 상기 두 번째 이하의 데이터(DT)를 순차로 DTMF송출부(3)를 통해 DTMF신호로 송출하여 다이얼링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 전화기를 사설교환기를 통하여 전화회선에 접속하였을 때 재다이얼 버튼을 원 터치로 누르면 국선 선택과정을 거쳐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하는 재다이얼 버튼장치를 제공하고; 사설교환기를 통한경우 또는 일반 전화기를 전화회선에 직접연결 한 경우 다 같이 정상적으로 재다이얼 버튼에 의해 다이얼링 할 수 있는 전화기의 재다이얼 버튼 장치를 제공하고; 사설 교환기에서 일반전화기 접속을 위해 할당된 국선 번호가 임으로 바뀌더라도 이에 맞추어 국선 선택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전화기의 재다이얼 버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3)

  1. 제어부에 CPU와 키입력부(1)와 메모리(2)와 DTMF송출부(3)를 구비하고, CPU는 메모리(2)의 비 휘발성 영역에 수록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고, CPU는 온 훅 상태에서 훅 스위치의 상태를 감시하고, CPU는 훅 오프 상태에서 키입력부(1)를 통해 전화번호가 순차 입력되면 매 숫자의 입력시 마다 DTMF송출부(3)를 통해 해당 숫자의 DTMF신호를 송출하고, 동시에 재다이얼전화번호 수록메모리(21)에 해당숫자를 차례로 수록하고, CPU는 훅 오프 상태에서 재다이얼전화번호 수록메모리에 수록된 전화번호를 읽어들여 차례로 DTMF신호를 송출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CPU에서 전화회선의 모드를 검출할 수 있게 설치하는 신호검출부(SD)를 포함시키고;
    상기 메모리(2)에, CPU가 훅 오프 상태에서 신호검출기(SD)가 제공하는 전화회선의 신호음에서 국선선택모드를 검출하고, 동시에 키패드(1)를 통해 전화번호 입력을 검출하면, 첫 번째 입력된 숫자를 재다이얼전화번호 수록 메모리(21)에 국선선택 데이터(SL)로서 저장하고, 이어서 다음 숫자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21)에 상기 데이터(SL)에 이어서 전화번호 데이터(TD)로서 수록한 후 DTMF송출부(3)를 통해 DTMF신호를 송출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국선 선택테이터를 포함하는 전화번호(SL-DT)를 수록함과 동시에 다이얼링 하는 제1제어와;
    CPU가 훅 오프 상태에서 신호검출기(SD)가 제공하는 전화회선의 신호음에서 국선선택모드를 검출하고, 동시에 키패드(1)를 통해 재다이얼 버튼의 입력을 검출하면, 상기 메모리(21)에 수록된 국선 선택테이터를 포함하는 전화번호(SL-DT)를 읽어들여 첫 번째 데이터(SL) 국선 선택 데이터로 간주하여 DTMF송출부(3)를 통해 국선 선택 DTMF신호를 송출하고, 이어서 다이얼링 모드의 신호음이 검출되기 까지 전화회선의 신호음을 검출하고, 검출신호가 다이얼링모드이면 상기 두 번째 이하의 데이터(DT)를 순차로 DTMF송출부(3)를 통해 DTMF신호로 송출하여 다이얼링 하는 제2제어를; 포함시킨 전화기의 재다이얼 버튼 장치.
  2. 제어부에 CPU와 키입력부(1)와 메모리(2)와 DTMF송출부(3)를 구비하고, CPU는 메모리(2)의 비 휘발성 영역에 수록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고, CPU는 온 훅 상태에서 훅 스위치의 상태를 감시하고, CPU는 훅 오프 상태에서 키입력부(1)를 통해 전화번호가 순차 입력되면 매 숫자의 입력시 마다 DTMF송출부(3)를 통해 해당 숫자의 DTMF신호를 송출하고, 동시에 재다이얼전화번호 수록메모리(21)에 해당숫자를 차례로 수록하고, CPU는 훅 오프 상태에서 재다이얼전화번호 수록메모리에 수록된 전화번호를 읽어들여 차례로 DTMF신호를 송출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CPU에 제어 모드를 지시하기 위한 딥스위치(SD)를 포함시키고;
    상기 메모리(2)에, CPU가 훅 오프 상태에서 딥스위치(DS)로부터 국선선택모드를 검출하고, 키패드(1)를 통해 전화번호 입력을 검출하면, 첫 번째 입력된 숫자를 재다이얼전화번호 수록 메모리(21)에 국선 선택 데이터(SL)로서 저장하고, 이어서 다음 숫자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21)에 상기 데이터(SL)에 이어서 전화번호 데이터(TD)로서 수록한 후 DTMF송출부(3)를 통해 DTMF신호를 송출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국선 선택 테이터를 포함하는 전화번호(SL-DT)를 수록하고, 동시에 다이얼링하는 제4제어와;
    CPU가 훅 오프 상태에서 딥스위치(DS)로부터 국선선택모드를 검출하고, 키패드(1)를 통해 재다이얼 버튼의 입력을 검출하면, 상기 메모리(21)에 수록된 국선 선택테이터를 포함하는 전화번호(SL-DT)를 읽어들여 첫 번째 데이터(SL) 국선 선택 데이터로 간주하여 DTMF송출부(3)를 통해 국선 선택 DTMF신호를 송출하고, 이어서 다이얼링 모드의 신호음이 검출되기까지 전화회선의 신호음을 검출하고, 검출신호가 다이얼링모드이면 상기 두 번째 이하의 데이터(DT)를 순차로 DTMF송출부(3)를 통해 DTMF신호로 송출하여 다이얼링하는 제5제어를; 포함시킨 전화기의 재다이얼 버튼 장치.
  3. 제어부에 CPU와 키입력부(1)와 메모리(2)와 DTMF송출부(3)를 구비하고, CPU는 메모리(2)의 비 휘발성 영역에 수록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고, CPU는 온 훅 상태에서 훅 스위치의 상태를 감시하고, CPU는 훅 오프 상태에서 키입력부(1)를 통해 전화번호가 순차 입력되면 매 숫자의 입력시 마다 DTMF송출부(3)를 통해 해당 숫자의 DTMF신호를 송출하고, 동시에 재다이얼전화번호 수록메모리(21)에 해당숫자를 차례로 수록하고, CPU는 훅 오프 상태에서 재다이얼전화번호 수록메모리에 수록된 전화번호를 읽어들여 차례로 DTMF신호를 송출하는 것에 있어서,
    제어프로그램 수록 매체인 상기 메모리(2)에, CPU가 훅 오프 상태에서 키패드(1)를 통해 전화번호 입력을 검출하면, 첫 번째 입력된 숫자를 재다이얼전화번호 수록 메모리(21)에 국선 선택 데이터(SL)로서 저장하고, 이어서 다음 숫자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21)에 상기 데이터(SL)에 이어서 전화번호 데이터(TD)로서 수록한 후 DTMF송출부(3)를 통해 DTMF신호를 송출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국선 선택 테이터를 포함하는 전화번호(SL-DT)를 수록함과 동시에 다이얼링하는 제7제어와;
    CPU가 훅 오프 상태에서 키패드(1)를 통해 재다이얼 버튼의 입력을 검출하면, 상기 메모리(21)에 수록된 국선 선택테이터를 포함하는 전화번호(SL-DT)를 읽어들여 첫 번째 데이터(SL) 국선 선택 데이터로 간주하고, DTMF송출부(3)를 통해 국선 선택 DTMF신호를 송출하고, 이어서 다이얼링 모드의 신호음이 검출되기 까지 전화회선의 신호음을 검출하고, 검출신호가 다이얼링모드이면 상기 두 번째 이하의 데이터(DT)를 순차로 DTMF송출부(3)를 통해 DTMF신호로 송출하여 다이얼링하는 제8제어를; 포함시킨 전화기의 재다이얼 버튼 장치.
KR10-2002-0033657A 2002-06-17 2002-06-17 전화기의 재다이얼 버튼 장치 KR100452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657A KR100452589B1 (ko) 2002-06-17 2002-06-17 전화기의 재다이얼 버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657A KR100452589B1 (ko) 2002-06-17 2002-06-17 전화기의 재다이얼 버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672A KR20030096672A (ko) 2003-12-31
KR100452589B1 true KR100452589B1 (ko) 2004-10-13

Family

ID=32387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657A KR100452589B1 (ko) 2002-06-17 2002-06-17 전화기의 재다이얼 버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258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672A (ko)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4058A (en) Telephone and telephone system having improved one-touch calling
US6829337B2 (en) Telephone apparatus with capability of adding, deleting and comparing telephone numbers
JPS6232671B2 (ko)
KR100452589B1 (ko) 전화기의 재다이얼 버튼 장치
JP3162269B2 (ja) 呼設定情報自動送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312183B1 (ko) Isdn단말기의재다이얼링방법
JP2628439B2 (ja) 電話交換装置
KR100269766B1 (ko) 전화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방법
JP3193919B2 (ja) 電話機
KR100397343B1 (ko) 간이교환기시스템의 발신자 자동 리다이얼링방법
KR19990074831A (ko) 종합통신망 무선전화기에서 발신자에 따른 무선 핸드셋 착신링 발생 방법
KR100222787B1 (ko)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선택 등록방법
KR100724855B1 (ko) 키폰전화기에 있어서 전화번호 저장방법
KR200313356Y1 (ko) 국선을 이용한 휴대폰
KR910001279B1 (ko) 통신단말장치
JPH01231495A (ja) 電話装置
KR200289994Y1 (ko) 전화기의 온훅 다이얼링 장치
KR20010104208A (ko) 메모리 전화기
JPH04109741A (ja) ボタン電話装置
JPH01279642A (ja) 通信装置
JPH05252243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S63217855A (ja) 通信端末装置
JPH0239658A (ja) ボタン電話装置の再通話時発信方式
KR19990049834A (ko) 전화기에서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KR19990018682A (ko) 송화자 전화번호 표시 및 단축 다이얼링 가능한 전화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