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1900B1 - 디지털 화분관리장치 및 방법과 온라인 화분배달주문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화분관리장치 및 방법과 온라인 화분배달주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1900B1
KR100451900B1 KR10-2001-0024444A KR20010024444A KR100451900B1 KR 100451900 B1 KR100451900 B1 KR 100451900B1 KR 20010024444 A KR20010024444 A KR 20010024444A KR 100451900 B1 KR100451900 B1 KR 100451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management
unit
data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4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6212A (ko
Inventor
박정연
Original Assignee
박정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연 filed Critical 박정연
Publication of KR20010106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9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화분관리장치 및 방법과 온라인 화분배달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디지털 화분관리장치는 화분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케이스와, 케이스로부터 인출되어 화분 토양의 수분을 감지하기 위한 수분감지센서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문자나 아이콘 등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 표시부와,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와, 주문자의 메시지 및 관리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메시지 저장부와, 퍼스널 컴퓨터와 결합되어 메시지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출력부와, 전원키 및 녹음키 등의 키패드를 통한 키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각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화분관리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상기 배터리의 전원공급시에 상기 수분감지센서, 키입력부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메시지를 독출하여 상기 음성 출력부로 음성 출력하고, 상기 액정 표시부에 화분에 심어진 식물명 및 관리에 필요한 정보 등을 문자로 표시하고 현재 화분관리상태를 아이콘으로 표시하며,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를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메시지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거나 관리상태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로 업로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화분관리장치 및 방법과 온라인 화분배달주문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LY CONTROLLING PLANT POT, AND METHOD FOR ORDERING PLANT POT DELIVERING ON-LINE}
본 발명은 디지털 화분관리장치 및 방법과 온라인 화분배달주문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분 관리자가 화분 관리에 대한 것을 직접 데이터화하여 관리할 수 있게 한 디지털 화분관리장치 및 방법과 온라인 화분배달주문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업이나 축하 행사시에 축하선물로 화분을 배달하는 것이 널리유행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축하화분 배달은 보내는 자의 이름을 리본에 적어서 배달 함으로써 받는 자가 리본에 기재된 보내는 자의 이름을 확인하는 것에 불과 하였다. 따라서, 보내기 전에 사전에 전화 통화를 하여 축하인사를 하면서 화분을 보내겠다는 의사를 표명하거나 바쁜 경우에는 일단 보내고 난 후에 전화 통화를 통하여 축하인사를 나누게 된다.
축하행사가 지난 다음에는 화분에 치장된 리본 등을 제거하게 되는 바, 리본이 제거되면 그 화분을 누가 보냈는지 알아보기 힘들게 되고, 이에 관심이 멀어지게 되므로 화분관리가 소홀해지게 된다. 그러므로 얼마가지 못하여 화분에 심어놓은 식물이 관리 소홀로 말라 죽게 된다.
또한, 일반인들은 아주 널리 알려진 식물이 아니면 화분에 심어진 식물의 이름을 잘 알지 못할 뿐만 아니라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관리는 어떻게 해주어야 하는 지를 잘 모르기 때문에 그 식물에 관한 애정이나 관리를 소홀하게 된다.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선행기술 중 하나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200123호(1990.8.8)에 개시된 "음성발생장치를 갖는 식목 화분(鉢)"이다.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화분관리용 제어기에 기 저장된 몇가지의 관리프로그램에 의해서 만, 화분이 필요로하는 식물의 습도,수분 등의 요구사항 및 메시시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관리할수 있도록 되어 있을 뿐, 관리자 등이 직접 필요한 데이터를 입출력하거나 하면서 관리할 수 없는 활용성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화분에 디지털 화분관리기를 장착함으로써 배달 시에는 보내는 자의 축하 메시지를 녹음하여 전달할 수 있고, 통상시에는 수분 감지에 의해 물 공급 시기를 음성출력으로 고지함으로써 애정을 가지고 화분을 잘 관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화분 관리자가 화분 관리에 대한 것을 직접 데이터화하여 관리할 수 있게 한 디지털 화분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와 같은 디지털 화분관리장치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화분의 배달주문을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a는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디지털 화분관리장치가 장착된 화분의 단면도.
도1b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식 디지털 화분관리장치가 장착된 화분 단면도.
도2a는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내장형 디지털 화분관리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2b는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카드 착탈식 디지털 화분관리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3은 도 2의 화분관리장치의 회로블럭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화분배달주문 시스템의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화분 배달주문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
도6은 도 3의 화분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
도7 내지 도 9는 자동 물공급이 가능한 디지털 화분관리장치의 사시도, 일부 단면 측면도 및 배면도.
도10은 도 7의 자동 물공급이 가능한 디지털 화분관리장치의 내부 블록도.
도11 내지 도15는 도 7의 자동 물공급이 가능한 디지털 화분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화분 20 : 디지털 화분관리기(메모리 카드)
22 : 수분감지센서 24 : 데이터 입출력부
26 : 메시지 저장부 28 : 타이머
30 : 액정 표시부 32 : 음성출력부
34 : 키입력부 36 : 배터리
38 : 제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화분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로부터 인출되어 화분 토양의 수분을 감지하기 위한 수분감지센서와, 케이스에 설치되어 문자나 아이콘 등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 표시부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와, 주문자의 메시지 및 관리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메시지 저장부와, 퍼스널 컴퓨터와 결합되어 메시지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출력부와, 전원키 및 녹음키 등의 키패드를 통한 키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각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화분관리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상기 배터리의 전원공급시에 상기 수분감지센서, 키입력부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메시지를 독출하여 상기 음성 출력부로 음성 출력하고, 상기 액정 표시부에 화분에 심어진 식물명 및 관리에 필요한 정보 등을 문자로 표시하고 현재 화분관리상태를 아이콘으로 표시하며,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를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메시지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거나 관리상태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로 업로드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데이터 입출력부는 퍼스널 컴퓨터와 시리얼 데이터 통신을 위한 RS232, USB 인터페이스회로 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AM, FM 무선송수신회로로 구성된다.
여기서 다운되는 데이터는 음성, 영상, MP3, WMA, ASF, RAM, RA, WAV 또는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아이콘 표시는 보살펴달라는 메시지 출력에 응답하여 적당한 시간에 물공급이 이루어진 경우와 그렇치 않은 경우를 화분관리상태 데이터로 작성하고, 상기 작성된 화분관리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식물의 싱싱함 또는 시들어감을 아이콘에 반영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이콘은 식물의 성장 나이에 따라 변형되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배달시에 초기 세팅에 의해 화분배달주문자의 음성 메시지를 음성출력하는 단계; 통상시에는 화분에 심어진 식물의 이름을 문자로 표시하고 상기 식물의 관련 정보를 문자로 표시하고, 화분관리상태를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단계;화분 토양의 수분을 감지하여 물공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물공급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이를 문자로 표시함과 동시에 보살펴달라는 메시지를 음성출력하는 단계;상기 보살펴달라는 메시지 출력에 응답하여 적당한 시간에 물공급이 이루어진 경우와 그렇치 않은 경우를 화분관리상태 데이터로 작성하는 단계; 상기 작성된 화분관리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식물의 성장 나이, 싱싱함 또는 시들어감을 아이콘에 반영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온라인 배달주문방법은 주문자가 온라인 접속된 서버에 화분배달주문과 함께 전달 메시지 파일을 업로딩하는 단계; 서버에서 업로딩된 화분배달주문을 수취인 근처의 배달판매 가입자에 중계하는 단계; 배달판매가입자가 다운로드된 화분배달주문에 응답하여 디지털 화분관리기에 주문자의 전달 메시지를 이식하고 이식된 디지털 화분 관리기가 장착된 화분을 수취인에게 배달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화분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부착되어 물탱크로부터 화분에 물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밸브; 상기 케이스로부터 인출되어 화분 토양의 수분을 감지하기 위한 수분감지센서; 상기 케이스 내에 내장되어 주변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센서; 상기 케이스 내에 내장되어 주변 조도를 검출하기 위한 조도감지센서;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문자나 아이콘 등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 표시부;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주문자의 메시지 및 관리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메시지 저장부;퍼스널 컴퓨터와 결합되어 메시지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출력부;전원키 및 녹음키 등의 키패드를 통한 키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각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화분관리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상기 배터리의 전원공급시에 상기 수분감지센서, 조도감지센서, 온도센서 및 키입력부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메시지를 독출하여 상기 음성 출력부로 음성 출력하고, 상기 액정 표시부에 화분에 심어진 식물명 및 관리에 필요한 정보 등을 문자로 표시하고 현재 화분관리상태를 아이콘으로 표시하며,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를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메시지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거나 관리상태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로 업로드하고, 물공급이 요구될 경우에는 상기 전자밸브를 제어하여 화분에 물공급을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화분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고, 사용자의 동작을 검출하기 위한 동작검출센서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문자나 아이콘 등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 표시부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와, 주문자의 메시지 및 관리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메시지 저장부와, 전원키 및 녹음키 등의 키패드를 통한 키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각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화분관리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상기 배터리의 전원공급시에 상기 동작검출센서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메시지를 독출하여 상기 음성 출력부로 음성 출력하고, 상기 액정 표시부에 화분에 심어진 식물명 및 관리에 필요한 정보 등을 문자로 표시하고 현재 화분관리상태를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동작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제어부는 동작표시모드 설정시에는 메시지 출력 대신에 동작표시부의 램프의 점소등으로 화분관리상태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동작검출센서는 사용자의 근접을 검출하기 위한 근접센서 또는 사용자의 터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센서 중 어느 하나이면 족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자세히 설명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화분관리장치가 장착된 화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식물(12)이 심어진 화분(10)의 외주연에 디지털 화분관리기(20)를 장착하고, 그 화분관리기(20)로부터 인출된 수분감지센서(22)를 화분 내의 토양에 설치함으로써 화분 토양의 수분정도를 체크할 수 있다.
디지털 화분 관리기(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착탈 가능한 타입(도 1a)과 화분(10) 제조시에 화분 내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고정 타입(도 1b)으로 제작 가능하다. 착탈 가능 타입은 수분감지센서(22)인 도전봉을 화분 내의 토양에 꽂아서 장착하거나 별도의 장착수단, 예컨대 화분에 설치구조(딸각이 구조)를 만들어 장착하거나 나사 등으로 체결할 수도 있다.
도 1b의 고정 타입은 화분(10)에 화분관리기(20)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수납공간의 전면에는 화분관리기(20)의 액정 화면이 보이도록 투명창(16)이 형성되고 화분관리기(20)의 스피커에 대응하여 통공(18)이 형성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화분관리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도 2의 화분관리기의 회로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a의 메모리 칩 내장형 디지털 화분 관리기(20)는 케이스(21)의 전면에 액정표시패널(30) 및 키패드들(34)이 설치되고, 케이스 후면에는 'ㄱ'자로 꺽인 한 쌍의 도전봉이 수분감지센서(22)로 제공된다. 토양에 박힌 한 쌍의 도전봉(22) 사이의 전기 저항치는 토양에 흡수된 수분의 양에 따라서 달라지게 되는 바, 수분양에 따른 전기 저항치의 변화를 감지하여 토양 내의 수분양을 검출하게 된다.
도 2b의 메모리 칩 착탈식은 측면에 메모리 카드 삽입홈(21a)이 형성되어 메모리 칩이 장착된 메모리 카드(21b)가 카드 삽입홈(21a)에 삽입된다. 메모리 카드 착탈식은 화분 고정형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회로는 수분감지센서(22), 데이터 입출력부(24), 메시지 저장부(26), 타이머(28), 액정 표시부(30), 음성출력부(22), 키입력부(34), 배터리(36)를 포함한다.
데이터 입출력부(24)는 퍼스널 컴퓨터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온라인으로 주문된 주문자의 음성 메시지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거나, 화분관리상태 데이터를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로 업로드한다. 데이터 입출력부(24)는 퍼스널 컴퓨터와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유선 입출력, 예컨대 RS232, USB와 같은 범용 시리얼 통신방식 또는 무선 입출력, 예컨대 AM, FM 방식의 무선송수신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최근에 10m 이내의 근거리 통신방식인 불루투스(BLUETOOTH)를 채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다운되는 데이터는 음성, 영상, MP3, WMA, ASF, RAM, RA, WAV 또는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음악파일 등은 본 발명의 동작시 배경음악으로 출력될 수 있다.
메시지 저장부(26)는 불휘발성 메모리, 예컨대 EEPROM, 플래쉬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고 저장하는 메시지의 양에 따라서 그 저장용량이 결정된다. 음성뿐만 아니라 영상까지도 저장하고자 할 경우에는 대용량이 요구된다. 메시지 저장부(26)는 메모리 칩 착탈식일 경우에는 메모리 카드의 단자부와 접촉되어 데이터와 전원을 공급하는 인터페이스 회로로 구성된다.
타이머(28)는 제어부(38)에 타이밍 신호를 제공한다.
액정 표시부(30)는 식물에 대한 이름, 특성, 기를 때의 주의할 점 등의 정보를 문자로 표시하고, 감지된 수분량 및 관리상태에 대응하여 식물상태를 나타낸 아이콘 등을 표시한다. 아이콘 표시에서 식물의 성장나이, 싱싱함 및 시들어감 등을 반영하여 그때 그때마다 아이콘의 표시가 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물공급 시기가 아니면, 검출상태에 따른 식물 성장나이에 따라 변형된 '아이콘', 예컨대 탄생기,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장년기, 노년기 등으로 나이 대에 따라 대응하여 변형된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액정표시부(30)의 위와 같은 표시는 후술하는 제어부(38)에 기 입력되는 데이터들에 의하여 수행된다.
음성출력부(22)는 스피커 등을 포함하고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음성 메시지를 음성 출력하거나 경고음을 발생한다. 또한, 다운받은 음악파일을 실행하여 배경음악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키입력부(34)는 녹음키(REC) 및 전원키(PW) 등을 포함하고, 이 들 키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기능들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38)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마이크로 컴퓨터 및 그 주변회로들로 구성한다. 제어부(38)는 화분관리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화분관리 프로그램은 제어부(38)내의 ROM 또는 RAM에 기억된다. 화분에 심어진 식물의 재배특성, 예컨대 물주는 시기, 일조량, 분갈이 등에 맞는 관리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화분배달주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의 온라인 화분배달주문 시스템은 인터넷망(100)에 연결된 서버(102), 주문자 단말기(200), 배달판매자 단말기(300), 화분 수취자 단말기(400)로 구성된다.
서버(102)는 서비스 사업자의 웹서버와 데이터 베이스 서버들을 포함한다. 서버(102)는 홈페이지를 통하여 온라인 화분 배달주문 서비스를 제공한다.
주문자 단말기(200)는 인터넷에 직접 연결된 퍼스널 컴퓨터(202)와, 기지국(206)을 통하여 연결된 휴대폰(204), 공중전화망의 자동응답시스템(210)을 통하여 연결된 일반 유선전화(208) 등을 포함한다.
퍼스널 컴퓨터(202)의 마이크와 컴퓨터 비디오 카메라를 통하여 주문자의 음성 메시지 또는 영상 메시지 등을 입력하여 주문자 메시지 파일을 형성한 다음에 서버(102)에 주문오더를 내게 된다.
휴대폰(204), 예컨대 디지털 셀룰라 폰, PCS폰, IMT-2000폰 등의 무선 인터넷 폰을 통하여 자신의 음성 메시지 또는 영상 메시지를 포함한 주문오더를 내게 된다.
일반 전화로 예컨대 '080' 등의 유료 전화를 이용하여 자동응답시스템(210)의 자동응답 주문에 따라 음성 메시지를 포함하는 주문오더를 내게 된다.
이와 같이 주문자의 주문오더는 주문자의 음성 또는 영상 메시지를 포함하여 서버(102)에 접수되고, 서버(102)에서는 접수된 주문오더들을 수취자의 주소에 응답하여 최근접 배달 판매자(300)의 단말기로 중계한다.
배달 판매자 단말기(300)에서는 서버(102)로부터 제공된 주문오더에 의해 주문된 화분을 준비하고 단말기에 연결된 메시지 이식기(302)를 통하여 디지털 화분관리장치(20)에 주문자의 음성 또는 영상 메시지를 이식하고, 이식된 디지털 화분 관리기(20)를 주문된 화분(10)에 장착하여 배달하게 된다. 이식기는 관리장치(20)의 데이터 통신 방식에 따라 유선방식 및 무선방식으로 구성된다.
디지털 화분 관리기(20)는 식물의 재배특성에 맞도록 미리 관리 프로그램이 프로그램되어 있다. 또는 배달 판매자가 주문시에 주문된 식물의 특성에 맞는 관리 프로그램을 디지털 화분 관리기에 이식할 수도 있다.
수취자 단말기(400)는 배달된 화분의 디지털 화분관리기(20)와 데이터 통신으로 서로 결합된다. 유선인 경우에는 RS232 직렬포트나 USB 포트를 통하여 연결되고, 무선인 경우에는 불루투스(BLUE TOOTH) 송수신기를 통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수취자 단말기(400)는 디지털 화분관리기(20)로부터 송신된 화분관리 상태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하여 배달주문자의 컴퓨터(202)나 무선 인터넷 폰(204)에 화분 관리상태 데이터를 직접 제공하거나 서버(102)에 제공하게 된다. 서버(102)에 제공된 화분관리상태 데이터는 주문 오더 코드별 또는 주문자 별로 분류되어 데이터 베이스 서버 상에 관리된다. 그러므로, 후자의 경우에는 주문자가 서버(102)에 접속하여 자신이 보낸 화분의 관리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화분 배달주문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주문자가 서버에 접속하여(502) 배달주문을 선택하면(504), 서버에서는 화분 및 꽃병 등의 배달 상품의 선택정보를 제공한다(506).
주문자가 배달 화분을 선택하고, 자신의 전달 메시지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입력하여(508) 메시지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메시지 파일을 서버에 전송한다(510). 이어서, 서버에서는 주문서와 메시지 파일을 결합한 주문오더를 수취자 최근접의 배달 판매자 단말기로 중계한다(512).
배달 판매자 단말기에서는 주문오더를 다운로드하고(514) 다운로드된 주문자 메시지를 메시지 이식기를 통하여 디지털 화분관리기에 이식한다(516). 여기에서, 화분에 심어진 식물의 재배특성에 알맞은 관리 프로그램을 상기 메시지 이식시에 함께 이식할 수도 있다. 이어서, 메시지가 이식된 디지털 화분관리기를 주문한 화분에 장착한 다음에 수취자에게 배달한다(518).
504단계에서 배달 주문이 아닌 경우에는 주문 리스트를 표시한다(520). 화면 상에 표시된 주문자의 주문 리스트 상에서 특정 주문 화분을 선택하면(522) 서버에 관련된 화분의 화분관리상태 데이터의 요청이 이루어진다(524).
이에, 서버에서는 요청된 화분관리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불러다가 주문자 단말기, 퍼스널 컴퓨터 또는 IMT-2000 폰과 같은 인터넷 폰으로 전송한다(526). 전송된 화분관리 데이터가 화면상에 표시된다(528).
그러므로, 주문자는 배달 주문 후에도 수취자의 화분관리상태를 서버를 통하여 알아 볼 수 있어서 자신이 보낸 화분의 상태를 온라인으로 체크할 수 있다. 물론, 수취자가 화분관리상태 데이터를 서버 상에 올리거나 직접 이메일 등으로 전송한 경우에만 가능하다.
그러므로, 화분의 관리 상태를 통하여 보낸 자와 받은 자 사이에 지속적인 대화의 연결고리를 제공하게 된다.
도 6은 도 3의 화분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이다. 도 6에서 디지털 화분관리기는 전원 온상태인가를 체크하고(600), 전원 온상태이면 배터리 로우상태를 체크한다(602).
602단계에서 배터리 로우상태이면 액정표시부에 배터리 로우상태를 표시한다(604).
602단계에서 배터리가 정상상태이면, 녹음모드인가를 체크하고(606), 녹음모드이면, 데이터 입출력부를 통하여 퍼스널 컴퓨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로딩하여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한다(608).
606단계에서 녹음모드가 아니면, 초기 세팅인가를 체크하고(610), 초기세팅이면, 주문자의 전달 메시지, 예컨대 축하 메시지 등을 음성출력부나 액정 표시부를 통하여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한다(602). 즉, 수취자가 화분을 배달받아서 처음 전원을 온시키면 보내는 자의 축하 메시지가 음성출력된다.
612단계에서 음성 메시지의 출력이 완료되면 액정 표시부 상에 화분에 심어진 식물의 이름을 화면 상에 표시하고 토양의 수분을 수분감지 센서를 통하여 검출된 토양의 수분상태를 표시한다(614).
610단계에서 초기상태가 아니면, 수분감지 센서를 통하여 토양의 수분양을 감지하고(616), 감지된 수분양이 90% 이상이면, 화분에 물이 새로이 공급되고 있다는 것으로 판단하여,'안녕하세요, 저는 '자스민' 이랍니다. 사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무럭무럭 잘 자라겠습니다. 저는 배달주문자 누구의 메신저입니다'라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고, 액정 표시부에 생글생글 웃는 밝은 표정의 아이콘을 표시하게 된다(620). 그러므로, 받은 사람은 화분에 물을 줄 때마다 이 화분은 어떤 사람이 나에게 보낸 것임을 상기하게 되고 보낸 사람의 성의를 다시 한 번 생각할 수 있게 된다.
618단계에서 체크된 수분양이 30% 이하로 체크되면(622), 물 공급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예컨대,'물 좀 주세요. 물 좀 주세요. 배가 고파요! 사랑해주세요'
라는 음성 메시지가 배경음악과 함께 출력하고 액정 표시부에는 아픈 표정이나 화난 표정의 아이콘을 표시하게 된다(624).
이와 같은 메시지는 물을 줄 때까지 일정 시간 간격, 예컨대 10분 이나 30분 간격으로 반복해서 출력된다.
622단계에서 30%이하가 아니면, 업로딩 시간인가를 체크하고(626), 업로딩 시간이면, 상기 618 및 622단계에서 체크된 상태정보에 의해 작성된 관리상태 데이터를 데이터 입출력부를 통하여 수취자 단말기로 업로딩한다(628). 따라서, 수취자, 즉 화분을 받은 사람이 화분상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면 보낸 사람이 이 상태정보를 받아볼 수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자동 물공급이 가능한 디지털 화분관리장치의 사시도, 일부 단면 측면도 및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본체(1000), 투명캡(1000a), 물탱크(1012), 온도센서(1008), 접근센서(1024), 조도감지센서(1010), 수위센서(1012), 전자밸브(1026), 수분감지센서(1006), 공급관(1104)을 포함한다.
본체(1000)는 전면에 액정표시부(1018)와 동작표시부(1016), 키입력부(1022)를 포함한다. 동작표시부(1016)는 발광다이오드와 같은 표시램프로 구성된다. 키입력부(1022)는 녹음키(REC), 재생키(PL), 세트키(SET), 파워키(PW), 업다운키 등을 포함한다.
전자밸브(1026)의 유입구에는 물탱크(1100)가 결합되고, 유출구에는 공급관(1104)가 결합된다. 물탱크(1100)의 중앙에 설치된 봉(1026)의 중간 내부에는 수위감지센서가 내장되어 물탱크(1100)의 수위를 검출한다. 물탱크(1100)에는 물병(1102)이 병입구가 하방으로 향하도록 거꾸로 결합된다.
따라서, 물병(1102) 내의 물이 전부 없어지고, 물탱크(1100)내의 수위가 수위감지센서(1012)의 위치까지 낮아지면 이를 검출하게 된다.
도 10은 도 7의 자동 물공급이 가능한 디지털 화분관리장치의 내부 블록도를 나타낸다. 회로구성은 메시지 저장부(1002), 데이터 입출력부(1004), 수분감지센서(1006), 온도센서(1008), 조도감지센서(1010), 수위센서(1012), 타이머(1014), 동작표시부(1016), 액정표시부(1018), 음성입출력부(1020), 키입력부(1022), 접근센서(1024), 전자밸브(1026) 등이 제어부(1028)에 연결된 구성이다. 각 회로부들은 배터리(1030)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는다.
여기서, 온도센서(1008)는 주변 대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와 화분 내의 토양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센서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동작표시부(1016)는 발광다이오드와 같은 램프로 구성되어 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따라서, 메시지와 같은 음성 출력 대신에 램프 점소등에 의한 동작상태의 표시도 가능하다.
접근센서(1024)는 초음파 센서, 광센서와 같이 관리자의 접근을 감지하거나, 관리자가 화분이나 화분관리장치를 터치하면 이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센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1 내지 도 15는 도 7의 자동 물공급이 가능한 디지털 화분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를 나타낸다.
도 11의 메인 프로그램은 전원 온상태를 체크하고(2000), 전원 온 상태에서 배터리 로우상태를 체크한다(2002). 2002단계에서 로우배터리가 체크되면, 액정표시부에 로우 배터리 상태를 표시한다(2004).
제어부는 키입력이 있는가를 체크하고(2006), 키입력이 있으면, 해당 키입력을 처리한다(2008).
제어부는 타이머를 통하여 시간을 체크하고, 센싱타임이면(2010) 센싱동작을 수행한다(2012). 또한, 관리타임이면(2014) 관리프로그램을 수행한다(2016).
제어부는 접근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고(2018) 접근시에는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한다(2020).
도 12를 참조하면, 키입력동작은 녹음키(REC) 입력을 체크하고(2022), 음성입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고, 메시지 저장부에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저장한다(2024). 재생키(PL) 입력시에는(2026)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를 메시지저장부로부터 독출하여 음성입출력부를 통하여 음성 출력한다(2028).
세트키(SET) 입력시에는(2030) 대응하는 세팅동작을 수행한다(2032). 업/다운키 입력시에는(2034) 액정표시부의 화면 상에 커서 위치를 해당위치로 이동시킨다(2036).
도 13을 참조하면, 센싱동작은 센싱타임 체크시에 수행되며, 수분센서 체크시에는(2038) 수분검출데이터를 저장하고(2040), 온도센서 체크시에는(2042) 온도검출데이터를 저장하고(2044), 조도센서 체크시에는(2046) 조도검출데이터를 저장하고(2048), 수위센서 체크시에는 수위검출데이터를 저장한다(2052). 센서 스캔타임은 예컨대 10분, 30분 또는 60분단위로 조정이 가능하다.
도 14를 참조하면, 세트키(SET) 입력에 의해 시간조정모드, 센싱시간조정모드, 관리시간조정모드, 문자표시선택모드, 수분감지조정모드 등을 액정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선택 가능하다.
시간조정모드에서는(2054)에서는 연월일시분의 항목을 업다운키로 선택하고 선택된 항목에서 업다운키에 의해 조정한다(2056).
센싱시간조정모드에서는(2058) 센싱시간을 업다운키에 의해 조정한다(2060).
관리시간조정모드에서는(2062) 관리시간을 업다운키에 의해 조정한다(2064). 관리시간은 예컨대 하루 1회 또는 2회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문자표시선택모드에서는(2066) 액정표시부에 표시되는 다양한 문자 메시지를 사용자가 업다운키를 사용하여 선택한다(2068).
수분감지조정모드는(2070) 사용자가 업다운키를 사용하여 상한과 하한을 업다운키를 사용하여 조정한다(2072).
도 15를 참조하면,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가 설정해놓은 관리시간에 따라 관리시간을 체크한다(2074). 관리시간이 체크되면, 센싱동작에 의해 센싱되어 저장된 온도, 수분, 조도 데이터를 독출한다(2076).
독출된 온도검출 데이터를 가지고, 하루동안 최고온도 및 최저온도를 체크하여 일교차를 산출하고, 1일 평균온도를 산출한다(2078).
또한, 독출된 조도검출 데이터를 가지고, 하루동안 일조량을 산출하고, 1일 평균 조도를 산출한다(2080).
또한, 독출된 수분검출 데이터를 가지고, 하루동안 수분 변화량을 산출한다(2080).
상기 산출된 각종 데이터 및 시간데이터를 자료로 사용하여 현재 계절을 판단하고(2084), 판단된 게절에 따른 최적의 물공급시기를 판단한다(2086). 2086단계에서 판단된 물공급시기를 체크하고(2088) 물공급시기이면 전자밸브를 작동하여 최적의 물공급량을 화분에 공급한다(2090).
물 공급 시기가 아니면, 검출상태에 따른 식물 성장나이에 따라 변형된 '아이콘', 예컨대 탄생기,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장년기, 노년기 등으로 나이 대에 따라 대응하여 변형된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한다(2092).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오프라인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퍼스널 컴퓨터와 온라인으로 연결하는 구성이 없이 오프라인형태로 구성하고, 녹음방식으로 음성 메시지를 입력하고 입력된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식이다.
또한, 음성메시지를 듣는 것이 싫을 경우에는 램프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램프모드에서는 동작표시부를 통하여 식물의 관리상태, 예컨대 점멸에 의해 물을 달라는 표시 등의 상태표시를 램프의 점소등으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화분 관리자로 하여금 화분 관리에 대한 것을 직접 데이터화하여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또한, 화분에 심어진 식물에 관한 정보를 문자로 표시함으로써 식물에 대한 공부와 더불어 보다 애정을 가지고 식물을 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온라인으로 화분의 배달주문을 할 때, 보내는 자의 음성메시지를 메모리에 녹음하여 배달하고 받는 자가 배달을 받을 때, 보내는 자이 음성 메시지를 들을 수 있게 됨으로써 축하인사를 화분 선물과 동시에 할 수 있다.
또한, 화분이 메시지 출력을 통하여 물이 필요하거나 물을 주어서 고맙다는 메시지를 음성 출력하고 자신의 상태를 아이콘의 상태로 표시하게 되므로 식물과 대화가 가능하게 되므로 흥미와 관심을 가지게 되어 유아들에게 흥미를 유발시켜서 식물을 사랑하게 되는 마음을 가지게 할 수 있어서 유아들의 정서상 매우 유용하고, 식물에 관한 이름이나 정보를 용이하게 배울 수 있는 학습효과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식물이 심겨진 화분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로부터 인출되어 화분 토양의 수분을 감지하기 위한 수분감지센서,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수분감지센서의 수분감지 여부에 따라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 음성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기 위한 관리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메시지 저장부,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구비하여 된 디지털 화분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화분에 심겨진 식물의 성장나이에 따른 변형 상태 등의 데이터를 영상, 문자나 아이콘 등으로 표시하기 위한 액정 표시부;
    상기 제어부와 데이터 입출력을 하기 위한 퍼스널 컴퓨터를 구비하고, 상기 퍼스널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액정표시부 측으로 표시되는 메시지 데이터 등을 제어부로부터 입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출력부;
    전원키 및 녹음키 등의 키패드를 구비하며, 이 키 패드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어부 측으로 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 및
    상기 배터리의 전원공급시에 상기 수분감지센서, 키입력부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주문자 및 관리 메시지를 독출하여 상기 음성 출력부로 음성을 출력하고, 상기 액정 표시부에는 화분에 심어진 식물명 및 관리에 필요한 정보 등을 문자로 표시함과 아울러 현재 화분의 관리상태를 영상 및 아이콘으로 표시하며,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를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메시지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거나 관리상태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로 업로드하는 화분관리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분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는 퍼스널 컴퓨터와 시리얼 데이터 통신을 위한 RS232, USB 인터페이스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분 관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는 퍼스널 컴퓨터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AM, FM 무선송수신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분 관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를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음성, 영상, MP3, WMA, ASF, RAM, RA, WAV 또는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분 관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표시는 보살펴달라는 메시지 출력에 응답하여 적당한 시간에 물공급이 이루어진 경우와 그렇치 않은 경우를 화분관리상태 데이터로 작성하고, 상기 작성된 화분관리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식물의 싱싱함 또는 시들어감을 아이콘에 반영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분관리장치.
  6. 삭제
  7. 식물이 심겨진 화분 토양의 수분을 감지하여 물공급 여부를 판단하고, 물 공급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제어부로 하여금 음성출력부를 통해 출력하여 화분을 관리하도록 된 화분관리방법에 있어서,
    배달시에 초기 세팅에 의해 화분배달주문자의 음성 메시지를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하여 식물을 보살펴달라는 메시지 출력에 응답하여 적당한 시간에 물공급이 이루어진 경우와 그렇치 않은 경우를 서버를 통하여 제공되는 화분관리상태 데이터에 의하여 작성하는 단계; 및
    보통시에는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제공되는 화분의 식물 이름과 그 식물에 관련된 정보를 문자로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화분관리상태 데이터에 응답하는 화분 관리상태의 정보도 외부에서 확인가능하게 아이콘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분관리 방법.
  8. 주문자가 온라인 접속된 서버를 통하여 화분배달주문과 함께 전달 메시지 파일을 업 로딩하는 단계;
    주문자로부터 업 로딩된 화분배달주문을 기 가입된 배달판매가입자들로 하여금 상기 서버를 통해 배달가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단계; 및
    화분 배달판매 가입자에 의한 화분배달 여부 확인에 따라 상기 서버로부터 화분 배달주문용 전달메시지 파일을 다운 로드 후, 그 메시지를 수취인에게 배달될 화분에 구비된 디지털 화분관리기의 메모리 카드에 입력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화분 배달주문방법.
  9. 식물이 심겨진 화분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로부터 인출되어 화분 토양의 수분을 감지하기 위한 수분감지센서,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수분감지센서의 수분감지 여부에 따라서 관리용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 음성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기 위한 관리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메시지 저장부,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구비하여 된 디지털 화분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부착되어 화분에 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밸브;
    상기 전자밸브가 설치된 상기 케이스 내에 내장되어 식물의 주변 조도를 검출하기 위한 조도감지센서;
    상기 조도감지센서가 설치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화분의 식물 관리상태에 대한 정보를 문자나 아이콘 등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 표시부;
    식물관리에 대한 데이터를 입출력을 하기 위한 퍼스널 컴퓨터를 구비하고, 상기 퍼스널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액정표시부 측으로 표시되는 메시지 데이터 등을 제어부로부터 입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출력부;
    전원키 및 녹음키 등의 키패드를 구비하며, 이 키 패드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어부 측으로 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 및
    상기 배터리의 전원공급시에 상기 수분감지센서, 조도감지센서, 온도센서 및 키 입력부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주문자 및 관리 메시지를 독출하여 상기 음성 출력부로 음성을 출력하고, 상기 액정 표시부에는 화분에 심어진 식물명 및 관리에 필요한 정보 등을 문자로 표시함과 아울러 현재 화분의 관리상태를 영상 및 아이콘으로 표시하며,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를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메시지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거나 관리상태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로 업로드하고, 물 공급이 요구될 경우에는 상기 전자밸브를 제어하여 화분에 물공급을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분 관리장치.
  10. 식물이 심겨진 화분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화분 관리용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 음성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기 위한 관리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메시지 저장부,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구비하여 된 디지털 화분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어 화분 사용자의 동작을 검출하기 위한 동작검출센서;
    상기 동작검출센서가 설치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화분의 식물 관리상태에 대한 정보를 문자나 아이콘 등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 표시부;
    전원키 및 녹음키 등의 키패드를 구비하며, 이 키 패드를 통하여 상기 액정 표시부에 표시할 데이터들을 상기 제어부 측으로 키 신호로서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 및
    상기 배터리의 전원공급시에 상기 동작검출센서 및 키 입력부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주문자 및 관리 메시지를 독출하여 상기 음성 출력부로 음성을 출력하고, 상기 액정 표시부에는 화분에 심어진 식물명 및 관리에 필요한 정보 등을 문자로 표시함과 아울러 현재 화분의 관리상태를 영상 및 아이콘으로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분 관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동작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제어부는 동작표시모드 설정시에는 메시지 출력 대신에 동작표시부의 램프의 점소등으로 화분관리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분 관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검출센서는 화분 사용자의 근접을 검출하기 위한 근접센서 또는 사용자의 터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센서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분 관리장치.
  13. 삭제
KR10-2001-0024444A 2000-05-06 2001-05-04 디지털 화분관리장치 및 방법과 온라인 화분배달주문방법 KR100451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24259 2000-05-06
KR1020000024259 2000-05-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212A KR20010106212A (ko) 2001-11-29
KR100451900B1 true KR100451900B1 (ko) 2004-10-08

Family

ID=196681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558A KR20010100761A (ko) 2000-05-06 2001-01-11 디지털 화분관리장치 및 방법과 온라인 화분배달주문방법
KR10-2001-0024444A KR100451900B1 (ko) 2000-05-06 2001-05-04 디지털 화분관리장치 및 방법과 온라인 화분배달주문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558A KR20010100761A (ko) 2000-05-06 2001-01-11 디지털 화분관리장치 및 방법과 온라인 화분배달주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1007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761A (ko) * 2000-05-06 2001-11-14 박정연 디지털 화분관리장치 및 방법과 온라인 화분배달주문방법
KR100481162B1 (ko) * 2002-08-02 2005-04-07 (주) 게릴라미디어 성장환경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화분
KR100742704B1 (ko) * 2006-02-01 2007-07-25 한상준 화분
KR101296509B1 (ko) * 2013-03-26 2013-08-13 주식회사 모뉴엘 식물 관리기
KR101614917B1 (ko) * 2014-01-22 2016-04-29 (주)인스페이스 식물의 감성을 표현하는 꽃분 관리 장치
KR101614915B1 (ko) * 2014-01-22 2016-04-29 (주)인스페이스 꽃분 관리 장치
KR20190103768A (ko) 2018-02-28 2019-09-05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센서가 구비된 식물관리 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0619A (ja) * 1988-10-07 1990-04-12 Ozawa Denshi Kogyo Kk 音声発声装置付き植木鉢
JPH02200123A (ja) * 1989-01-27 1990-08-08 Zouga Denki Seisakusho:Kk 音声発生装置を備えた植木鉢
JPH0363522A (ja) * 1989-08-01 1991-03-19 Mazda Motor Corp 走行誘導装置
JPH08187031A (ja) * 1995-08-25 1996-07-23 Yuji Dokin 植物の生態活性表示方法
KR200167122Y1 (ko) * 1999-07-29 2000-02-15 이강원 뮤직박스의사운드출력및음성녹음/재생장치
KR20000036741A (ko) * 2000-03-28 2000-07-05 장민순 네트워크를 이용한 꽃 배달 시스템 및 방법
KR200196083Y1 (ko) * 2000-04-22 2000-09-15 곽봉철 소리를 내는 화초용기
KR200203381Y1 (ko) * 2000-05-25 2000-11-15 김태천 분토의 수분함량에따라 멜로디와 경고음이 구분 발생되는화분
KR20010100761A (ko) * 2000-05-06 2001-11-14 박정연 디지털 화분관리장치 및 방법과 온라인 화분배달주문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711Y1 (ko) * 2000-04-11 2000-08-16 배인수 선물포장용 상자
KR20010000698A (ko) * 2000-10-13 2001-01-05 구성모 온라인 상에서의 쇼핑과 포장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0619A (ja) * 1988-10-07 1990-04-12 Ozawa Denshi Kogyo Kk 音声発声装置付き植木鉢
JPH02200123A (ja) * 1989-01-27 1990-08-08 Zouga Denki Seisakusho:Kk 音声発生装置を備えた植木鉢
JPH0363522A (ja) * 1989-08-01 1991-03-19 Mazda Motor Corp 走行誘導装置
JPH08187031A (ja) * 1995-08-25 1996-07-23 Yuji Dokin 植物の生態活性表示方法
KR200167122Y1 (ko) * 1999-07-29 2000-02-15 이강원 뮤직박스의사운드출력및음성녹음/재생장치
KR20000036741A (ko) * 2000-03-28 2000-07-05 장민순 네트워크를 이용한 꽃 배달 시스템 및 방법
KR200196083Y1 (ko) * 2000-04-22 2000-09-15 곽봉철 소리를 내는 화초용기
KR20010100761A (ko) * 2000-05-06 2001-11-14 박정연 디지털 화분관리장치 및 방법과 온라인 화분배달주문방법
KR200203381Y1 (ko) * 2000-05-25 2000-11-15 김태천 분토의 수분함량에따라 멜로디와 경고음이 구분 발생되는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212A (ko) 2001-11-29
KR20010100761A (ko) 2001-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086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ly controlling plant pot, and method for ordering plant pot delivering on-line
KR100451900B1 (ko) 디지털 화분관리장치 및 방법과 온라인 화분배달주문방법
US8584397B1 (en) Automated plant watering system
JP2005304044A (ja) 移動通信端末機用育成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装置
CN102067578A (zh) 用于使用传感器配置移动装置的方法和系统
KR102117002B1 (ko) 스마트 화분, 스마트 화분을 포함하는 화분 생장 시스템
KR101296509B1 (ko) 식물 관리기
JP2009195294A (ja) 仮想植物育成システム及び仮想植物育成装置
CN1214836A (zh) 远程通信设备及一种提供振铃信息的方法
CN102280009A (zh) 基于位置的定时提醒方法及其终端
KR200227438Y1 (ko) 디지털 화분관리장치 및 화분
CN103051718A (zh) 一种移动终端的动态待机界面及各级菜单生成方法及系统
US9740833B2 (en) Personalized audio content device for gifting audio content
JPH02200123A (ja) 音声発生装置を備えた植木鉢
KR102519983B1 (ko) 감성형 화분
KR20170028660A (ko) 복수의 사용자가 식물의 상태를 공유할 수 있는 화분 및 시스템
CN100420214C (zh) 使用连接到家庭网络的设备对特定信息进行的操作
US8451291B2 (e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KR102276966B1 (ko) IoT 무드등
CN101266740B (zh) 凌空动态电子显示棒
US20170315776A1 (en) Personalized audio content device for gifting audio content
JP2007293020A (ja) 表示装置、画面表示方法および表示システム
CN112904704A (zh) 一种基于天气信息自动播报的闹钟装置及控制方法
KR20160146441A (ko) 벽걸이 화분 식물 성장 시스템
JP3513824B2 (ja) 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受信装置、送受信装置、メッセージ作成装置及びメッセージ作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