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8660A - 복수의 사용자가 식물의 상태를 공유할 수 있는 화분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의 사용자가 식물의 상태를 공유할 수 있는 화분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8660A
KR20170028660A KR1020150125552A KR20150125552A KR20170028660A KR 20170028660 A KR20170028660 A KR 20170028660A KR 1020150125552 A KR1020150125552 A KR 1020150125552A KR 20150125552 A KR20150125552 A KR 20150125552A KR 20170028660 A KR20170028660 A KR 20170028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plant
reference value
temperature
t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성
Original Assignee
김신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신성 filed Critical 김신성
Priority to KR1020150125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8660A/ko
Publication of KR20170028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6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01G25/167Control by humidity of the soil itself or of devices simulating soil or of the atmosphere; Soil humidity 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가 식물의 상태를 공유할 수 있는 화분과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화분은 화분 내 토양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화분 내 토양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 및 화분 내 식물의 성장 상태를 촬영하는 촬영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부, 디데이타이머를 구비하며, 디데이타이머가 구동된 시점부터 경과한 기간을 산출하는 제어부, 감지된 온도 또는 감지된 습도를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를 표시하고, 디데이타이머가 구동된 시점부터 경과한 기간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감지된 온도, 습도, 촬영된 식물의 이미지, 디데이타이머가 구동되어 경과한 기간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화분, 적어도 하나의 화분으로부터 감지된 온도, 습도, 촬영된 식물 이미지, 디데이타이머가 구동되어 경과한 기간의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화분으로부터 감지된 온도, 습도, 촬영된 식물 이미지, 디데이타이머가 구동되어 경과한 기간의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의 사용자가 식물의 상태를 공유할 수 있는 화분 및 시스템{FLOWERPOT AND SYSTEM FOR SHARING STATUS OF PLANT BY MULTIPLE USERS}
본 발명은 식물의 상태를 공유할 수 있는 화분에 관한 것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복수의 사용자가 서로의 화분의 상태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식물을 기르는 용기를 말하는 화분은 키우는 식물의 크기와 종류에 맞게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화분의 디자인과 기능에도 주목하고 있으며, 본래 목적인 용기의 기능뿐만 아니라 집안을 꾸미는 인테리어 용품으로도 화분이 사용된다.
스마트 폰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가 보급됨에 따라 여러 사용자가 정보를 공유하는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커플 간에 공유할 수 있는 아이템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다. SNS상에서 커플에게 흥미로운 아이템이 공개되면,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들이 공유하여 아이템을 구매하거나 선물하는 경우가 늘어났다.
이러한 커플 간의 아이템을 화분에도 적용하고, 선물의 기능뿐만 아니라 식물이 자라는 상태를 공유하고 화분을 관리하는 날짜를 카운팅할 수 있는 화분과 그러한 화분을 기초로 구성되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있다.
화분을 센서로 감지하는 시스템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7-0028128(2007.03.12.)에 개시되어 있으며, 화분의 토양 내의 수분을 체크하여 급수 시기를 알려주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일정량의 수분을 식물에 지속해서 공급하는 본래 목적에는 부합하지만, 이러한 정보를 여러 사용자 간에 공유할 수 있는 네트워크 또는 시스템에 관해서는 설명하지 못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7-0028128호 (2007.03.12.)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커플 아이템 시장과 꽃 시장에서 핫 아이템으로 자리매김하는 화분과 그 화분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디자인 혁신적이고 친환경적인 화분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가 화분의 식물의 상태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화분, 적어도 하나의 화분에서 감지된 온도, 습도, 촬영된 식물 이미지, 디데이타이머가 구동되어 경과한 기간의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및 감지된 온도, 습도, 촬영된 식물 이미지, 디데이타이머가 구동되어 경과한 기간의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화분은 센서부, 제어부, 표시부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센서부는 토양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토양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 및 식물의 성장 상태를 촬영하는 촬영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디데이타이머를 구비하며, 디데이타이머가 구동된 시점부터 경과한 기간을 산출한다. 표시부는 감지된 온도 또는 감지된 습도를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를 표시하고, 디데이타이머가 구동된 시점부터 경과한 기간을 표시한다. 통신모듈은 감지된 온도, 습도, 촬영된 식물의 이미지, 디데이타이머가 구동되어 경과한 기간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화분 관련 정보를 시각, 청각 또는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식물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사용자는 서로의 화분에서 식물을 키우는 상태 및 환경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분에 물 주는 것을 소홀히 하거나 습도 또는 온도가 식물에 부적합하여 식물이 죽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가 식물의 상태를 공유할 수 있는 화분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3은 복수의 사용자가 식물의 상태를 공유할 수 있는 화분을 구비하는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서 습도를 색상으로 표시하는 화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서 디데이를 카운팅하거나 기념일 메시지를 표시하는 화분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상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태 감지가 가능한 화분과 이 화분으로 구성된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가 식물의 상태를 공유할 수 있는 화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분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분(100)은 센서부(110), 표시부(120) 또는 알림부(130), 제어부(140) 및 통신모듈(150)을 포함한다. 화분(100)은 서버(300) 또는 식물도감 데이터베이스(350)에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타이머(142,144)를 포함하며, 타이머(142,144)를 구동시켜 화분을 관리하는 디데이 또는 물공급 주기를 관리한다.
먼저, 센서부(110)는 화분 내 토양의 환경, 화분 내 식물의 성장 또는 화분 주변의 환경에 관한 상태 정보 등을 감지한다.
센서부(110)는 화분 내 토양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112), 화분 내 토양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14), 화분 주변의 광량을 측정하는 광량센서(116) 또는 화분 내 식물의 성장 상태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부(118, 예, 카메라, CCTV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습도센서(112)는 화분 내 식물에 물이 필요한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에 물공급부(도면미표시)가 더 구비되어, 습도센서(112)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소정의 양만큼 물이 물공급부에서 화분으로 공급되거나, 식물도감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정보를 참고하여 물공급부에서 화분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물공급부는 물이 여과되어 저장되는 저수통과 저수통에 저장된 물이 화분 내 토양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 공급관 및 저수통에 내설되고 저수통의 물을 펌핑하여 공급관을 통해 화분 내로 이송시키는 이송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물공급부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서 동작하며, 보다 자세하게는 습도센서(112)가 감지한 화분 내 토양의 수분 정보를 식물정보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생육정보와 비교하여, 제어부(140)가 물 보충 여부를 판단하고 물 부족시 물공급부를 통해 물을 공급한다. 물공급부의 저수통에는 제어부(140)와 연결된 수위감지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수위감지센서의 감지 정보에 따라 개폐밸브가 개폐된다. 물공급부의 공급관은 화분의 외부로 설치되거나 화분 하부에 형성된 배수홀을 통해 화분 상부 테두리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습도센서(112)는 화분에 물이 공급 중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물의 공급이 감지된 시점부터 제어부(140)는 소정의 타이머를 동작시켜 물이 공급되고 있는 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습도센서(112)는 화분 위쪽에서 분사되는 물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도센서(112)의 감지 면이 위쪽으로 설치될 수 있다. 만약 습도센서(112)의 감지 면이 위쪽으로 설치되는 경우, 한 두 방울의 물로 인하여 오동작하지 않도록 감지된 습도 값이 소정의 시간(예, 1~2초) 이상 유지되면 화분에 물이 공급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설정된다.
또 다른 예로, 습도센서(112)는 적어도 일부가 화분 내 토양에 삽입되어 토양의 수분 함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습도센서는 주장치부와 전극부로 구성되며, 전극부는 전극과 플러그부를 포함하며, 전극부의 전극은 토양에 삽입되고 플러그부는 주장치부와 결합한다. 전극부는 단일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일 전극과 토양 사이의 임피던스가 토양의 수분 함량에 따라 변화함에 따라 수분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전극과 화분 사이에는 저항(Rf2)과 병렬로 전극과 화분 사이에는 저항(Rf1)과 커패시터(Cf)가 존재하며, Cf, Rf1, Rf2는 모두 토양의 수분 함량에 따라 변화한다. 화분과 대지 사이에 저항(Re)와 커패시터(Ce)가 측정되는데, 저항(Re)과 커패시터(Ce)는 토양의 수분 함량 정도와 무관하다. 전극에서 대지를 바라볼 때 전극과 대지 사이에는 토양의 수분 함량에 따라서 달라지는 커패시턴스 및 저항을 감지하여, 토양의 수분 함량을 표시하거나 수분 부족을 알릴 수 있다.
온도센서(114)는 화분 내 온도 또는 화분 주변의 온도를 감지한다. 사용자는 화분 내 생육되는 식물에 필요한 온도와 현재의 온도를 비교하여 식물에 필요한 온도로 조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
광량센서(116)는 화분에 조사되는 햇빛의 양을 감지한다. 광량센서(116)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화분 내 식물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화분 내 식물이 생육되는 식물이 음지식물과 양지식물에 따라 햇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광량센서(116)는 화분으로 조사되는 햇빛의 양을 측정하는 CDS센서일 수 있다.
촬영부(118)는 화분 내 식물을 촬영한다. 촬영부(118)는 식물의 크기, 색상 등을 촬영하여 이미지로 저장한다. 촬영부(118)가 촬영한 이미지가 화분 내 저장부(도면 미표시)에 저장되거나, 통신모듈(150)을 통해 서버(300)로 전달된다.
표시부(120)는 감지한 온도, 습도, 광량뿐만 아니라, 현재 시각 또는 디데이타이머가 카운팅하는 디데이를 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서 습도를 색상으로 표시하는 화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부(120)는 화분 내 토양 또는 화분 주변의 온도와 습도를 표시하는 제1표시부(122)를 포함한다. 표시부(120)는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데이터와 미리 결정된 기준값(예, 상한기준값, 하한기준값 등)을 비교한 결과를 표시하는 제2표시부(124)를 포함한다.
제1표시부(122)는 LCD 또는 LED 모듈일 수 있으며, 입력 버튼을 통해 생육되는 식물 관련 정보(예, 온도, 습도, 광량, 크기, 색상 등)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식물도감 데이터베이스(350)로부터 전달된 식물 정보를 표시될 수도 있다.
제1표시부(122)는 습도센서(112), 온도센서(114), 광량센서(116) 또는 촬영부(118)를 통해 감지된 화분 내 또는 화분 주변의 온도, 습도, 광량 및 식물의 외형(예, 크기, 색상 등) 정보를 표시한다.
제1표시부(122)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시계를 표시할 수 있으며, 제1표시부(122)는 현재 시각 또는 날짜를 표시하거나, 제1표시부(122)는 제어부(140)의 디데이타이머(144)의 동작하여 카운팅한 값(이른바, 디데이(D-day))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표시부(122)는 디데이타이머(144)가 동작한 후 소정의 기간(예, 100일, 200일, 1년)이 되는 시점에 미리 설정된 메시지(예, "D+100?, "D+200", "D+1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표시부(122)는 습도센서(112)가 물의 공급을 감지한 후 경과한 시간을 표시할 수 있으며, 현재 시각과 물 공급 경과 시간을 동시에 또는 교대로 표시할 수도 있다.
제2표시부(124)는 복수의 색상(예, 빨강, 초록, 파랑 등)을 표시하는 LCD 또는 LED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표시부(124)는 감지된 습도가 소정의 상한기준값보다 높으면 파란색으로 표시되거나(410), 습도가 소정의 하한기준값보다 낮으면 빨간색으로 표시되거나(420), 습도가 소정의 하한기준값과 상한기준값 사이면 초록색으로 표시된다(430). 제2표시부(124)는 제1표시부(122)의 테두리의 일부 또는 전부에 구비되는 LED 모듈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표시부(124)는 복수의 점(dot)을 표시할 수 있는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제2표시부(124)는 센서부(110) 감지된 결과를 단계 별(예, 1 ~ 10단계)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표시부(124)를 통해 시각으로 화분에서 감지된 정보를 점의 개수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화분에 물이 공급되는 것을 감지하여 마지막으로 물이 공급된 후 경과한 시간을 표시해줌으로써, 여러 명이 한 개의 화분을 관리하는 경우나 한 명이 여러 개의 화분을 관리하는 경우 물을 공급되지 않아서 고사하거나, 물이 과다하게 공급되어 과습으로 생장하지 못하는 점을 예방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식물정보 데이터베이스(350)로부터 수신한 대상 식물의 생육환경정보를 센서부(110)의 감지정보와 비교하여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20)가 미리 설정한 기념일(예, 커플의 기념일, 중요한 날)을 표시함에 따라, 화분의 사용자가 화분 내 식물을 키워가도록 유도할 뿐만 아니라 미리 설정한 기념일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다.
알림부(130)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부(110)의 감지 결과를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사용자는 식물의 환경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즉각적으로 취할 수 있다. 알림부(130)는 벨 소리를 이용하여 알림 음 또는 경고음을 들려줄 수 있다. 알림부(130)는 진동 모터를 더 구비하여 진동을 일으켜 사용자가 진동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알림부(130)는 제어부(140)의 디데이타이머(144)가 동작하여 경과한 시점을 사용자에게 간헐적으로 또는 수시로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부(130)는 디데이타이머(144)가 동작한 후 100일, 200일, 1년이 되는 시점 등을 음성 또는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알림부(130)는 물이 공급되는 주기를 미리 정한 시점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시점에 음성 또는 진동으로 알림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분 내 식물에 물공급을 위한 주기를 직접 설정하거나 식물도감 데이터베이스(350)로부터 수신하여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언제 화분에 물을 주어야 할지 알림을 듣고 알 수 있다. 물공급 주기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각 식물에 알맞은 주기로 물을 공급하여 식물의 성장 발육을 도울 수 있다.
화분 내 구비된 알림부(130)뿐만 아니라, 화분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푸시 알림을 통해 물공급 주기 또는 디데이를 알릴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센서부(110), 표시부(120), 알림부(130) 및 통신모듈(150)를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타이머, 예를 들어, 물공급타이머(142), 디데이타이머(14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부(110)가 물이 새로 공급됨을 감지하면 제어부(140)는 물공급타이머(142)를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습도센서(114)에서 감지된 습도가 단위 시간내에 소정의 기준값이상 상승하면 물이 새로 공급됨으로 감지한다. 물공급타이머(142)가 미리 설정한 화분의 물공급 주기에 도달하면, 물공급 주기에 도달함을 표시부(120)에서 표시하거나 또는 알림부(130)에 이를 알리도록 제어부(140)가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미리 설정한 물공급 주기에 해당하는 시점에 소정의 메시지(예, 알림 메시지)를 통신모듈(150)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해당 메시지를 문자 메시지 또는 SNS로 전달하거나 애플리케이션에서 푸시 알림으로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미리 설정한 시점(예, 화분을 관리하기 시작한 시점)에 디데이타이머(144)가 동작하여 경과하는 시간을 카운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디데이타이머(144)는 화분을 관리하기 시작한 시점부터 동작하여 해당 화분에서 식물을 키우는 기간을 지속해서 카운팅한다.
만약, 연인인 사용자들이 교제하는 시점에 2개의 화분을 하나씩 나누어 키우기 시작하고 디데이타이머(144)를 동작시키면, 화분은 화분을 관리하는 기간(즉, 교제하는 기간)을 카운팅하여 표시하거나 알림한다. 이러한 디데이 카운팅 기능은 화분이 단순한 선물의미에서 끝나지 않고, 상대방과 함께하는 의미를 부여해줄 수 있다. 연인인 사용자는 식물이 자람에 따라서 커플 간의 연애 기간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들은 화분을 볼 때마다 애틋한 감정을 가질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디데이타이머(144)의 카운팅을 기초로 기산점부터 100일, 200일, 1년 등과 같은 기념일에 소정의 메시지가 표시부(12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서 디데이를 카운팅하거나 기념일 메시지를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통신모듈(150)은 서버 또는 식물도감 데이터베이스(350), 또는 사용자의 단말과 정보(예, 감지된 화분의 상태)를 송수신하는 모듈이다. 통신모듈(150)은 식물도감 데이터베이스(350)로부터 각종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최적의 온도와 습도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은 코끼리의 전부 또는 일부의 형상일 수 있으며, 습도센서(110)에서 소정의 상한기준값 이상 물이 공급됨이 감지되면 코끼리 코 부분에서 물이 배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식물도감 데이터베이스(350)는 적어도 하나의 화분,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과 연동될 수 있다. 식물도감 데이터베이스(350)는 화분 내 식물에 관한 식물도감 정보를 저장하며 홈페이지와 애플리케이션상에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홈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식물의 육성법과 타이머의 동작에 따른 식물의 성장 상태의 바람직한 예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는 홈페이지와 애플리케이션은 서버에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화분에 사용자 단말(에, 스마트폰)이 연동될 수 있다. 통신모듈을 통해 데이터가 전달된다. 사용자 단말은 화분의 식물을 관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식물도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물공급 주기에 관한 정보를 얻거나 식물의 정상적인 이미지(즉, 발육이 잘 되는 식물의 이미지)를 수신하거나, 갤러리에서 화분 내 식물 이미지를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거나, 질문게시판 상에서 식물에 관한 정보를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는 등 화분을 관리하는데 관심 있는 다른 사용자들과 정보 또는 의견을 교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분의 사용자들은 서로의 식물을 자랑하거나 지식을 넓혀갈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플랜트 다이어리를 기재할 수 있으며, 물을 주는 시점을 미리 설정하거나 기록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와 기재한 다이어리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화분에서 측정한 온도 또는 습도 값이 서버로 전달되면, 사용자 단말은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날짜별 식물의 환경(즉, 온도, 습도)를 그래프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3은 복수의 사용자가 식물의 상태를 공유할 수 있는 화분을 구비하는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제1 화분(100), 제2 화분(200), 서버(300), 식물도감 데이터베이스(350), 제1 사용자 단말(190), 제2 사용자 단말(290)을 포함한다.
제1 화분은 자신의 센서부에서 감지된 습도, 온도, 광량, 식물 이미지 등을 서버로 전송하고, 제2 화분은 자신의 센서부에서 감지된 습도, 온도, 광량, 식물 이미지 등을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는 제1 또는 제2 단말로 제1 화분 또는 제2 화분의 습도, 온도, 광량, 식물 이미지 등을 전송한다.
제1 및 제2 화분은 각각의 타이머(예, 디데이타이머, 물공급타이머)를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다. 디데이타이머가 동일한 시점에 구동되거나 한 쪽의 화분에서 구동된 디데이타이머에 관한 정보가 서버로 전달되어 다른 화분의 디데이타이머를 구동시키면, 제1 및 제2 화분은 표시부에서 동일한 디데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분이 커플 아이템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단말은 각각 서버로부터 제1 또는 제2 화분의 습도, 온도, 광량, 식물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으므로, 제1 또는 제2 단말의 사용자는 제1 화분 또는 제2 화분의 상태를 모두 확인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단말은 애플리케이션상에서 제1 또는 제2 화분에서 식물을 기르기 시작한 시점(이른바, 디데이), 물을 준 시점(이른바, 물공급 시점), 화분의 상태 등을 플랜트 다이어리에 기록할 수 있고 기록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서버(300)는 식물도감 데이터베이스(350)를 포함하거나, 식물도감 데이터베이스(350)에 연결될 수 있다.
서버(300)는 식물도감 데이터베이스(350)로부터 얻은 정보를 제1 또는 제2 단말에 전달하며, 제1 또는 제2 단말은 홈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 상에 식물 육성법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예로, 제1 또는 제2 단말은 애플리케이션상에서 제1 또는 제2 화분에서 촬영된 식물의 이미지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의 사용자가 제1 화분을 관리하고 제2 단말의 사용자가 제2 화분을 관리하는 경우, 제1 및 제2 화분은 각각 통신 모듈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온도, 습도, 광량 또는 식물 이미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달한다.
이때 제1 화분에서 온도, 습도, 광량 또는 식물 이미지가 통신모듈을 통해 서버로 전달되면 서버는 수신한 제1 화분의 온도, 습도, 광량 또는 식물이미지를 제2 단말로 전달하며, 제2 단말의 사용자는 제1 화분의 온도, 습도, 광량 또는 식물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화분에서 온도, 습도, 광량 또는 식물 이미지가 통신모듈을 통해 서버로 전달되면 서버는 수신한 제2 화분의 온도, 습도, 광량 또는 식물이미지를 제1 단말로 전달하며, 제1 단말의 사용자는 제2 화분의 온도, 습도, 광량 또는 식물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둘 이상의 사용자가 서로의 화분의 상태를 공유할 수 있다. 연인과 같은 가까운 사이에서 서로의 화분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단순한 꽃 그릇에 불과했던 화분과 달리, 여러 사용자가 서로의 사랑을 확인하고, 식물을 키워나갈 수 있는 아이템으로써의 화분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식물을 가꾸는 데 도움을 주는 화분이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아이들일 경우, 화분이 식물의 생육에서 선생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복수의 사용자가 화분의 식물의 상태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화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분으로부터 감지된 온도, 습도, 촬영된 식물 이미지, 디데이타이머가 구동되어 경과한 기간의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분으로부터 감지된 온도, 습도, 촬영된 식물 이미지, 디데이타이머가 구동되어 경과한 기간의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분은,
    화분 내 토양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화분 내 토양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 및 화분 내 식물의 성장 상태를 촬영하는 촬영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부;
    디데이타이머를 구비하며, 상기 디데이타이머가 구동된 시점부터 경과한 기간을 산출하는 제어부;
    상기 감지된 온도 또는 상기 감지된 습도를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를 표시하거나, 상기 디데이타이머가 구동된 시점부터 경과한 기간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감지된 온도, 습도, 상기 촬영된 식물의 이미지 또는 상기 디데이타이머가 구동되어 경과한 기간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분은
    상기 표시부에 상기 감지된 습도가 소정의 상한기준값보다 높으면 제1 색으로 표시되고, 상기 감지된 습도가 소정의 하한기준값보다 낮으면 제2 색으로 표시되고, 상기 감지된 습도가 상기 소정의 하한기준값보다 높고 상기 소정의 상한기준값보다 낮으면 제3 색으로 표시되는 제2표시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분은
    상기 센서부에서 소정의 하한기준값 미만의 습도가 감지되면, 물 공급을 요청하는 알림을 출력하는 알림부; 또는
    상기 센서부에서 소정의 상한기준값 이상의 습도가 감지되면, 화분 내 물을 배출하는 코끼리 코 형상의 물 배출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복수의 사용자가 식물의 상태를 공유할 수 있는 화분(100)에 있어서,
    화분 내 토양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12), 화분 내 토양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114) 및 화분 내 식물의 성장 상태를 촬영하는 촬영부(11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부(110);
    디데이타이머를 구비하며, 상기 디데이타이머가 구동된 시점부터 경과한 기간을 산출하는 제어부(140);
    상기 감지된 온도 또는 습도를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를 표시하고, 상기 디데이타이머가 구동된 시점부터 경과한 기간을 표시하는 표시부(120); 및
    상기 온도센서(112)에서 감지된 온도 또는 상기 습도센서(114)에서 감지된 습도를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 상기 촬영부(118)가 촬영한 이미지 및 상기 디데이타이머가 구동된 시점부터 경과한 기간을 서버(300)로 전송하는 통신모듈(15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사용자가 식물의 상태를 공유할 수 있는 화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120)는
    상기 습도센서(114)에서 감지된 습도가 소정의 상한기준값보다 높으면 제1 색으로 표시되고, 상기 감지된 습도가 소정의 하한기준값보다 낮으면 제2 색으로 표시되고, 상기 감지된 습도가 상기 소정의 하한기준값보다 높고 상기 소정의 상한기준값보다 낮으면 제3 색으로 표시되는 제2표시부(124)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사용자가 식물의 상태를 공유할 수 있는 화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10)에서 소정의 하한기준값 미만의 습도가 감지되면, 물 공급을 요청하는 알림을 출력하는 알림부(130); 또는
    상기 센서부(110)에서 소정의 상한기준값 이상의 습도가 감지되면, 화분 내 물을 배출하는 코끼리 코 형상의 물 배출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사용자가 식물의 상태를 공유할 수 있는 화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0)는
    물공급 주기를 카운팅하는 물공급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습도센서에서 감지된 습도가 소정의 시간 내에 소정의 기준값이상 상승하면 상기 물공급타이머를 동작시키고, 상기 물공급타이머가 미리 설정된 물공급 주기만큼 경과한 시점에 상기 표시부에서 물공급 주기임을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알림부에서 물공급 주기임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사용자가 식물의 상태를 공유할 수 있는 화분.
KR1020150125552A 2015-09-04 2015-09-04 복수의 사용자가 식물의 상태를 공유할 수 있는 화분 및 시스템 KR201700286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552A KR20170028660A (ko) 2015-09-04 2015-09-04 복수의 사용자가 식물의 상태를 공유할 수 있는 화분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552A KR20170028660A (ko) 2015-09-04 2015-09-04 복수의 사용자가 식물의 상태를 공유할 수 있는 화분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660A true KR20170028660A (ko) 2017-03-14

Family

ID=58460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552A KR20170028660A (ko) 2015-09-04 2015-09-04 복수의 사용자가 식물의 상태를 공유할 수 있는 화분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866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046B1 (ko) * 2022-03-21 2022-05-18 주식회사 아름다운마을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
WO2023048323A1 (ko) * 2021-09-24 2023-03-30 임진현 스마트화분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4082894A1 (zh) * 2022-10-17 2024-04-25 杭州睿胜软件有限公司 一种植物换盆的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8128A (ko) 2005-09-07 2007-03-12 (주)하희연플라워 화분의 급수시기 알림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8128A (ko) 2005-09-07 2007-03-12 (주)하희연플라워 화분의 급수시기 알림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8323A1 (ko) * 2021-09-24 2023-03-30 임진현 스마트화분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99046B1 (ko) * 2022-03-21 2022-05-18 주식회사 아름다운마을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
WO2024082894A1 (zh) * 2022-10-17 2024-04-25 杭州睿胜软件有限公司 一种植物换盆的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101143A4 (en) Plant profile game system
CN108882683B (zh) 智能灌溉泵浦
CA3136475A1 (en) Gardening apparatus
US20140222223A1 (en) Web-based irrigation controller
JPWO201710484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026474A1 (en) Automated grow system
CN205161283U (zh) 一种智能种植机
CN107317937A (zh) 一种基于手机app的立体农业种植棚远程管理系统
WO2015003011A1 (en) Automatic detection and configuration of new irrigation system components
WO2016045355A1 (zh) 一种植物浇水提醒系统
CN206948896U (zh) 物联网智能水肥管理种植设备
KR101266087B1 (ko) 식물 자동관리장치
US20200375127A1 (en) Soilless plant growing systems
KR20170028660A (ko) 복수의 사용자가 식물의 상태를 공유할 수 있는 화분 및 시스템
US20150077087A1 (en) Automatic detection of expansion component irrigation controller
CN105159366B (zh) 一种适于温室环境监控系统的用户行为采集方法
CN104705080B (zh) 瓶养植株种植控制方法
WO2019148993A1 (zh) 智能养殖装置、方法以及系统
CN106453252A (zh) 互联网农作物定制培植方法
CN207039650U (zh) 基于iot技术的远程多端种植系统
CN110169281B (zh) 阳台植物养护系统及其方法
KR20160145264A (ko) 식물의 감정을 표시해주는 화분
CN107667716A (zh) 智能灌溉花盆
KR102214008B1 (ko) 식물생장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식물생장 관리방법
CN106818282A (zh) 一种植物养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