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046B1 -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 - Google Patents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046B1
KR102399046B1 KR1020220034696A KR20220034696A KR102399046B1 KR 102399046 B1 KR102399046 B1 KR 102399046B1 KR 1020220034696 A KR1020220034696 A KR 1020220034696A KR 20220034696 A KR20220034696 A KR 20220034696A KR 102399046 B1 KR102399046 B1 KR 102399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intelligence
information
soil
robot
hum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름다운마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름다운마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름다운마을
Priority to KR1020220034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0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3Home robots, i.e. small robots for domes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05Manipulators having means for high-level communication with users, e.g. speech generator, face recogni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2Manipulators for defensive or military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3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n audio-responsive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6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 wireless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several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02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system, structure, architecture
    • B25J9/161Hardware, e.g. neural networks, fuzzy logic, interfaces, proces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은 상기 인공지능 로봇이 설치된 토양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인공지능 로봇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토양에 식재된 화초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인공지능 로봇은 외부 서버로부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으로 상기 인공지능 로봇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재 날씨 정보 및 상기 화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인공지능 로봇은 상기 토양의 온도 및 습도와 상기 현재 날씨 정보를 기초로 창가 이동 필요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1 음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인공지능 로봇은 상기 토양의 온도 및 습도와 상기 현재 날씨 정보를 기초로 햇빛 노출 필요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2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인공지능 로봇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인사말을 제3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FOR FLOWER MANAGEMENT AND CRIME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싱글족, 독거노인 등 1인 가구가 전체 약 1900만 가구 중 520만 가구를 차지하여 27.2%의 비율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계속적으로 1인 가구의 수는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독거노인의 경우 현재 노인 6명 중 1명을 차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그 비중은 앞으로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같은 1인 가구의 증가는 반려시장의 성장을 초래하는데, 반려 산업 규모는 2016년 2조원에서 2020년 5조8000억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같이 반려시장이 성장추세에 있지만, 반려의 대상으로 동물을 선택하기 어려운 사람들, 예컨대 바쁜 직장인이나 노인들에게 반려식물이 각광받고 있으며, 식물을 대상으로 하는 반려시장 또한 커지는 경향을 보인다. 예컨대, 화분, 화초, 원예재료 등의 매출량이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여 가정에서 식물을 키우는 일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가정의 실내에서 식물을 잘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광량, 수분, 온도, 습도 등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사람이 일일이 조절해줘야 하는데, 식물을 키워본 경험이 많은 사람일 경우에는 스스로 터득된 경험에 의해, 식물을 재배할 수 있지만, 식물을 키워본 경험이 적거나 다양한 식물군을 재배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식물의 재배정보에 포함되는 온도, 습도 및 일사량 등의 성장환경조건을 각 재배자가 체감으로 정확하게 예측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일이 쉽지 않다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에 있어서, 프로세서(processor); 송수신기(transceiver); 메모리(memory), 온습도계; 스피커; 마이크; 및 카메라;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공지능 로봇이 설치된 토양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토양에 식재된 화초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으로 상기 인공지능 로봇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재 날씨 정보 및 상기 화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토양의 온도 및 습도와 상기 현재 날씨 정보를 기초로 창가 이동 필요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1 음성을 제공하고; 상기 토양의 온도 및 습도와 상기 현재 날씨 정보를 기초로 햇빛 노출 필요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2 음성으로 제공하고; 그리고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인사말을 제3 음성으로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설정된 시간에 미리 설정된 양의 수분을 상기 토양에 제공하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시간, 상기 미리 설정된 양, 및 상기 토양의 습도를 기초로 실내 습도를 측정하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부재중 상태, 수면중 상태, 및 활동중 상태로 구분되는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그리고 상기 부재중 또는 수면중의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 음성을 제공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내 습도를 기초로 소음 임계치를 조절하되, 상기 실내 습도가 높을수록 상기 소음 임계치를 낮게 조절하고, 상기 실내 습도가 낮을수록 상기 소음 임계치를 높게 조절하고; 그리고 상기 부재중 상태에서 상기 임계치 이상의 소음이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녹화하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화초의 일부를 획득하고; 상기 화초의 일부를 분쇄하고; 그리고 상기 부재중 상태에서 상기 임계치 이상의 소음이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에 포착되는 움직이는 대상을 향해, 분쇄된 상기 화초의 일부와 수분이 섞인 성분을 분사하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AI 미니 로봇을 통해 화초 관리와 방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AI 미니 로봇을 통해 화초가 현재 수분이 필요한 상태인지, 햇볕이 필요한 상태인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화초의 관리 방법, 꽃말 등에 대한 정보도 획득할 수 있으며, 방범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된, 첨부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을 포함하는 시스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의 동작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실시예들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성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 제공 방법은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이 저장공간을 구비하고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하지 않는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 제공 방법은 상기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 제공 방법이 구현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앱스토어(App store)등에서 다운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후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 제공 방법은 CD(Compact Disc)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등과 같은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태에서 PC 등과 같은 컴퓨팅 장치에 삽입되어 상기 컴퓨팅 장치의 액세스 동작을 통해서 수행되거나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컴퓨팅 장치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후 컴퓨팅 장치의 액세스 동작을 통해서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컴퓨팅 장치 또는 휴대용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된 서버에 접속가능한 경우, 상기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 제공 방법은 상기 컴퓨팅 장치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서버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 제공 방법이 실행되는 컴퓨팅 장치, 휴대용 단말기 또는 서버 등을 통칭하여 자동차 사고견적 및 손해사정 솔루션 서비스 제공 장치라고 칭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사고견적 및 손해사정 솔루션 서비스 제공 장치는 도 2에 예시된 자동차 사고견적 및 손해사정 솔루션 서비스 제공 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자동차 사고견적 및 손해사정 솔루션 서비스 제공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 사고견적 및 손해사정 솔루션 서비스 제공 장치에 국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110), 인공지능 로봇(120, 130), 및 외부 서버(200)(이하,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 서버, SNS 서버, 블로그를 운영하는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 11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가전기기, 카메라가 탑재된 디바이스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 110)은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 110), 인공지능 로봇(120, 130)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100, 110), 인공지능 로봇(120, 130)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00, 110), 인공지능 로봇(120, 130)은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 110), 인공지능 로봇(120, 130)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200)에 접속하여, 서버(20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200)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설정된 통신 세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 110), 인공지능 로봇(120, 13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라우팅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0, 110), 인공지능 로봇(120, 130) 및 외부 서버(200)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및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하며, 도 1에 도시된 각 네트워크 구성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Fi),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200)(이하, 로봇 장치(200))는 통신부(210), 프로세서(220) 및 DB(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로봇 장치(200)에는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단말들 간 유선/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근거리 통신부(미도시), 이동 통신부(미도시) 및 방송 수신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DB(23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부(21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단말의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네트워크를 거쳐 통신부(210)을 통해 로봇 장치(20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로봇 장치(200)의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및 파일 등은 프로세서(220)로 전달되거나 DB(230)로 전달되어 저장될 수 있다.
DB(230)는 로봇 장치(20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프로세서(2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DB(23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CD-ROM, 블루레이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DB(230)는 메모리라고 나타낼 수도 있다.
프로세서(220)는 로봇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DB(23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입력부(미도시), 디스플레이(미도시), 통신부(210), DB(23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DB(23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외부 로봇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로봇 장치(200)가 다른 장치(미도시) 및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장치(미도시)는 로봇 장치(200)와 같은 컴퓨팅 장치이거나, 센싱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통신부(2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외부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DB(230)는, 프로세서(2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B(230)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DB(230)는 프로세서(220)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B(230)는 프로세서(220)가 제공하는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 제공 방법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DB(230)는 로봇 장치(200)로 입력되거나 로봇 장치(200)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2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DB(230)는 프로세서(220)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인공지능 로봇이 설치된 토양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토양에 식재된 화초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으로 상기 인공지능 로봇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재 날씨 정보 및 상기 화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토양의 온도 및 습도와 상기 현재 날씨 정보를 기초로 창가 이동 필요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1 음성을 제공하고; 상기 토양의 온도 및 습도와 상기 현재 날씨 정보를 기초로 햇빛 노출 필요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2 음성으로 제공하고; 그리고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인사말을 제3 음성으로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미리 설정된 시간에 미리 설정된 양의 수분을 상기 토양에 제공하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시간, 상기 미리 설정된 양, 및 상기 토양의 습도를 기초로 실내 습도를 측정하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부재중 상태, 수면중 상태, 및 활동중 상태로 구분되는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그리고 상기 부재중 또는 수면중의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 음성을 제공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실내 습도를 기초로 소음 임계치를 조절하되, 상기 실내 습도가 높을수록 상기 소음 임계치를 낮게 조절하고, 상기 실내 습도가 낮을수록 상기 소음 임계치를 높게 조절하고; 그리고 상기 부재중 상태에서 상기 임계치 이상의 소음이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녹화하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화초의 일부를 획득하고; 상기 화초의 일부를 분쇄하고; 그리고 상기 부재중 상태에서 상기 임계치 이상의 소음이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에 포착되는 움직이는 대상을 향해, 분쇄된 상기 화초의 일부와 수분이 섞인 성분을 분사하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은 프로세서(processor), 송수신기(transceiver), 메모리(memory), 카메라(310), 분사구(320), 온습도계(330), 주입구(340), 스피커,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로봇은 카메라(310)를 통해 사람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고, 녹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분사구(320)를 통해 화초의 일부와 수분이 섞인 성분을 분사할 수 있다. 온습도계(330)를 통해 토양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습도계(330)는 화분의 토양에 심어질 수 있다. 주입구(340)를 통해 화초의 일부를 주입할 수 있다.
도 4는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의 동작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은 프로세서(processor); 송수신기(transceiver); 메모리(memory), 온습도계; 스피커; 마이크; 및 카메라; 를 포함할 수 있다.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이하, 로봇)은 토양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S400). 예를 들어, 로봇은 상기 인공지능 로봇이 설치된 토양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로봇은 화초 종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10). 예를 들어, 로봇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토양에 식재된 화초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로봇에게 토양에 식재된 화초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로봇은 위치 기반 날씨 정보 및 화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20). 예를 들어, 로봇은 외부 서버로부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으로 상기 인공지능 로봇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재 날씨 정보 및 상기 화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로봇은 GPS를 통해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해당 지역의 현재 날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화초 종류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외부 서버로부터 해당 화초 종류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은 해당 화초 종류에 대한 꽃말, 화초를 키우는 방법, 화초 관리 방법, 화초 별 적정 온도와 습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로봇은 창가 이동 필요 여부에 대한 제1 음성을 제공할 수 있다(S430). 예를 들어, 로봇은 상기 토양의 온도 및 습도와 상기 현재 날씨 정보를 기초로 창가 이동 필요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1 음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은 현재 토양의 온도, 습도 및 현재 날씨 정보를 기초로 화초가 창가로 이동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날씨가 습하고, 해당 화초가 습윤한 지역에서 자라는 종류의 화초인 경우, 로봇은 해당 화초가 습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창가에 앉고 싶어요"라는 등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로봇은 햇빛 노출 필요 여부에 대한 제2 음성을 제공할 수 있다(S440). 예를 들어, 로봇은 상기 토양의 온도 및 습도와 상기 현재 날씨 정보를 기초로 햇빛 노출 필요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2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은 현재 토양의 온도, 습도 및 현재 날씨 정보를 기초로 화초가 햇빛에 노출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날씨가 화창하고, 해당 화초가 햇빛을 많이 쐬어야 하는 종류의 화초인 경우, 로봇은 해당 화초가 햇볕을 볼 수 있도록 "오늘은 햇볕 좀 보고 싶어요"라는 등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로봇은 인사말에 대한 제3 음성을 제공할 수 있다(S450). 예를 들어, 로봇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인사말을 제3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은 사용자가 로봇의 앞을 지나갈 때 마다 인사말을 출력할 수 있다.
로봇은 토양에 수분을 제공할 수 있다(S460). 예를 들어, 로봇은 미리 설정된 시간에 미리 설정된 양의 수분을 상기 토양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분을 제공할 시간, 한 번에 제공하는 수분의 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상기 수분을 제공할 시간, 한 번에 제공하는 수분의 양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토양에 수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에 수분을 주입하는 수분 주입구가 존재할 수 있고, 로봇으로부터 토양에 수분을 공급할 수분 배출구가 존재할 수 있다. 로봇은 수분 주입구를 통해 수분을 입력 받아 수분 배출구를 통해 수분을 토양에 공급할 수 있다.
로봇은 실내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S470). 예를 들어, 로봇은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시간, 상기 미리 설정된 양, 및 상기 토양의 습도를 기초로 실내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수분이 토양에 공급되므로, 미리 설정된 시간에 가까울수록 토양에 기대되는 습도는 높을 수 있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에 따라 상대적으로 실내 습도가 달리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시점(예를 들어, A, B)에 동일한 습도가 측정되었더라도, 미리 설정된 시간으로부터 더 짧은 시간이 경과된 A에서의 실내 습도가 B에서의 실내 습도보다 더 낮게 측정될 수 있다. 즉, 미리 설정된 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이 짧을수록 온습도계를 통해 측정한 습도보다 실내 습도가 더 낮게 측정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이 길수록 온습도계를 통해 측정한 습도보다 실내 습도가 더 높게 측정될 수 있다.
로봇은 사용자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80). 예를 들어, 로봇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부재중 상태, 수면중 상태, 및 활동중 상태로 구분되는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부재중 또는 수면중의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 음성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부재중인지, 수면중인지, 또는 활동중인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로봇은 사용자가 부재중이거나 수면중 상태인 경우 음성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로봇은 부재중 상태에서 방범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S490). 예를 들어, 로봇은 상기 실내 습도를 기초로 소음 임계치를 조절하되, 상기 실내 습도가 높을수록 상기 소음 임계치를 낮게 조절하고, 상기 실내 습도가 낮을수록 상기 소음 임계치를 높게 조절할 수 있다. 습도가 높을수록 소리 파동이 진행되는 매질의 밀도가 높아지므로 소리가 더 빨리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습도에 따라 소음 임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부재중 상태에서 상기 임계치 이상의 소음이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즉, 로봇은 임계치 이상의 소음이 수신되면, 다른 사람이 침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침입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봇은, 상기 화초의 일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은 화분위에 떨어진 낙엽 등을 흡입을 통해 획득할 수도 있고, 사용자로부터 미리 화초의 일부를 획득하였을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로봇은, 상기 화초의 일부를 분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은 획득한 화초의 일부를 작은 입자가 되도록 분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봇은, 상기 부재중 상태에서 상기 임계치 이상의 소음이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에 포착되는 움직이는 대상을 향해, 분쇄된 상기 화초의 일부와 수분이 섞인 성분을 분사할 수 있다. 즉, 로봇은 침입자에게 상기 화초를 분쇄한 작은 입자의 화초와 수분을 섞은 성분을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로봇은 침입자에게 화초 성분 일부를 분사할 수 있게 되고, 침입자의 옷 등에 화초의 일부가 잔존할 수 있다. 침입자는 로봇의 존재 및 로봇이 화초의 일부를 자신에게 분사했다는 사실을 알기 어려울 수 있다.
화초에도 DNA가 존재하고, 화초의 DNA 비교를 통해 사용자의 화초의 일부가 침입자의 옷에 묻어 있다는 사실이 나중에 수사를 통해 밝혀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지에 침입이 발생하고, 수사를 통해 용의자가 검거된 경우, 용의자에 대한 유력한 증거로 해당 용의자의 옷에 남아있는 식물의 DNA가 사용될 수 있다.
침입자는 화초의 일부 성분이 자신의 옷에 분사되었음을 알기 어렵기 때문에 증거를 인멸하기 어려울 수 있고, 이후 범죄 수사 단계에서 식물 DNA가 유력한 증거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의 일례에 표시된 세부 단계 중 일부는 필수 단계가 아닐 수 있고, 생략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단계 외에 다른 단계가 추가될 수 있고, 상기 단계들의 순서는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단계들 중 일부 단계가 독자적 기술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에 있어서, 프로세서(processor); 송수신기(transceiver); 메모리(memory), 온습도계; 스피커; 마이크; 및 카메라;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공지능 로봇이 설치된 토양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토양에 식재된 화초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으로 상기 인공지능 로봇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재 날씨 정보 및 상기 화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토양의 온도 및 습도와 상기 현재 날씨 정보를 기초로 창가 이동 필요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1 음성을 제공하고; 상기 토양의 온도 및 습도와 상기 현재 날씨 정보를 기초로 햇빛 노출 필요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2 음성으로 제공하고; 그리고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인사말을 제3 음성으로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설정된 시간에 미리 설정된 양의 수분을 상기 토양에 제공하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시간, 상기 미리 설정된 양, 및 상기 토양의 습도를 기초로 실내 습도를 측정하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부재중 상태, 수면중 상태, 및 활동중 상태로 구분되는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그리고 상기 부재중 또는 수면중의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 음성을 제공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내 습도를 기초로 소음 임계치를 조절하되, 상기 실내 습도가 높을수록 상기 소음 임계치를 낮게 조절하고, 상기 실내 습도가 낮을수록 상기 소음 임계치를 높게 조절하고; 그리고 상기 부재중 상태에서 상기 임계치 이상의 소음이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녹화하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화초의 일부를 획득하고; 상기 화초의 일부를 분쇄하고; 그리고 상기 부재중 상태에서 상기 임계치 이상의 소음이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에 포착되는 움직이는 대상을 향해, 분쇄된 상기 화초의 일부와 수분이 섞인 성분을 분사하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그 기술적 아이디어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다양한 실시예들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Claims (5)

  1.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에 있어서,
    프로세서(processor); 송수신기(transceiver); 메모리(memory), 온습도계; 스피커; 마이크; 및 카메라;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공지능 로봇이 설치된 토양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토양에 식재된 화초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으로 상기 인공지능 로봇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재 날씨 정보 및 상기 화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토양의 온도 및 습도와 상기 현재 날씨 정보를 기초로 창가 이동 필요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1 음성을 제공하고;
    상기 토양의 온도 및 습도와 상기 현재 날씨 정보를 기초로 햇빛 노출 필요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2 음성으로 제공하고; 그리고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인사말을 제3 음성으로 제공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설정된 시간에 미리 설정된 양의 수분을 상기 토양에 제공하도록 더 설정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시간, 상기 미리 설정된 양, 및 상기 토양의 습도를 기초로 실내 습도를 측정하도록 더 설정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부재중 상태, 수면중 상태, 및 활동중 상태로 구분되는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그리고
    상기 부재중 또는 수면중의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 음성을 제공하지 않도록 설정되고,
    상기 실내 습도를 기초로 소음 임계치를 조절하되, 상기 실내 습도가 높을수록 상기 소음 임계치를 낮게 조절하고, 상기 실내 습도가 낮을수록 상기 소음 임계치를 높게 조절하고; 그리고
    상기 부재중 상태에서 상기 임계치 이상의 소음이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녹화하도록 더 설정되는,
    인공지능 로봇.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34696A 2022-03-21 2022-03-21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 KR102399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696A KR102399046B1 (ko) 2022-03-21 2022-03-21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696A KR102399046B1 (ko) 2022-03-21 2022-03-21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9046B1 true KR102399046B1 (ko) 2022-05-18

Family

ID=81801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696A KR102399046B1 (ko) 2022-03-21 2022-03-21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0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660A (ko) * 2015-09-04 2017-03-14 김신성 복수의 사용자가 식물의 상태를 공유할 수 있는 화분 및 시스템
JP2017085350A (ja) * 2015-10-28 2017-05-18 京セラ株式会社 再生装置
KR102269362B1 (ko) * 2019-12-16 2021-06-25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건물 내의 식물에 대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29940A (ko) * 2020-09-02 2022-03-10 주식회사 유비벨록스모바일 인공지능 분석 기반 스마트 잔디 매니지먼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660A (ko) * 2015-09-04 2017-03-14 김신성 복수의 사용자가 식물의 상태를 공유할 수 있는 화분 및 시스템
JP2017085350A (ja) * 2015-10-28 2017-05-18 京セラ株式会社 再生装置
KR102269362B1 (ko) * 2019-12-16 2021-06-25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건물 내의 식물에 대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29940A (ko) * 2020-09-02 2022-03-10 주식회사 유비벨록스모바일 인공지능 분석 기반 스마트 잔디 매니지먼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884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рекомендации по сорту растения
US10241485B2 (en) Smart electronic device management system
CN103488134B (zh) 基于位置的装置自动操作
Imteaj et al. IoT based autonomous percipient irrigation system using raspberry Pi
US20160219804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wireless irrigation control
US9143920B2 (en) Fine grain position data collection
AU2008280209B2 (en) A system for the remote control of control units, even battery powered control units, for irrigation devices
US9439367B2 (en) Network enabled gardening with a remotely controllable positioning extension
RU263884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рректировки условий окружающей среды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KR20120076691A (ko) 농산물 생육시스템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US20100263603A1 (en) Animal garment with integrated sound device
KR102204417B1 (ko) 노지용 스마트팜 제어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N106372196A (zh) 种植管理方法、系统及终端
Saputra et al.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automation system of expert system on hydroponics nutrients control using forward chaining method
AU2018201706A1 (en) Intelligent grounds management system
CN105163089A (zh) 基于wifi的家庭庭院智能看护装置
KR102399046B1 (ko) 화초 관리 및 방범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
KR101792557B1 (ko) 농축산 또는 그린 시설물 통합관리 시스템
CN103902002A (zh) 电源管理方法及装置
CN107726923A (zh) 具无人飞行器的保全驱逐系统
US20220343558A1 (en) Rendering images stored with grow protocol along with conditions per growth stage
US20180106092A1 (en) Smart Management System for Garage Doors and Electronic Devices
US10788438B2 (en) Remote sensor system
CN204390004U (zh) 一种智能家居背景音乐控制系统
KR102480381B1 (ko) 실내외에서 스마트 애완견-자동-다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