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1774B1 - 지락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지락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1774B1
KR100451774B1 KR10-2002-0007970A KR20020007970A KR100451774B1 KR 100451774 B1 KR100451774 B1 KR 100451774B1 KR 20020007970 A KR20020007970 A KR 20020007970A KR 100451774 B1 KR100451774 B1 KR 100451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fault
ground
microprocessor
curren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7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8267A (ko
Inventor
박화목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7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1774B1/ko
Publication of KR20030068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7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72Testing of electric wind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30Structural combination of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with basic electronic circuits, e.g. with amplifi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1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voltage responsive, i.e. varis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Protection Of Generators A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상 모터의 지락을 검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지락 검출 장치는 전력선의 지락 사고에 의한 고장 전류에 포함된 고조파 성분을 디지털 필터를 이용하여 지락 전류의 고조파 성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지락전류를 정확히 검출하여 상기 모터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락 검출 장치{Equipment of Detection for Ground Voltage}
본 발명은 모터의 운전 및 기동 중에 선로에 발생하는 지락 전류를 검출하여 모터를 보호하는 지락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모터 내의 코일이 권취된 고정자에 전기 에너지가 인가되면 고정자의 내측에 구성된 회전자가 코일의 자기장에 의하여 회전력을 발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모터의 기동 및 운전 시에 지락 전류가 발생하는데, 상기 지락 전류로 인해 과전류가 발생하여 상기 모터를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락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모터를 보호하기 위한 지락 검출 장치가 필요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락 검출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지락 검출 장치는 모터 선로에 지락 사고가 발생할 경우 영상전류를 감지하기 위해 ZCT(Zero-phase CurrentTransformer)와 다이오드(D1, D2)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케패시터(C1) 및 저항(R1)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ZCT 병렬회로는 복수 이상의 저항들(R1,R2,R3,R4)을 병렬연결하기 위해 딥 스위치(SW1)(Dip Switch)와 연결되고, 저항(R6)과 캐패시터(C2)를 통하여 지락 검출 IC(Integrated Circuit)(U1)에 연결된다. 다시, 상기 지락 검출 IC(U1)에 의해 출력 신호를 받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딥 스위치(SW1)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의 인식 전압에 맞추어 ZCT와 저항들(R2, R3, R4, R5)을 각각 수동으로 병렬 연결된다.
즉, 상기 딥 스위치(SW1)에 의해 스위칭된 저항이 작을 경우, 상기 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작아지기 때문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가 인식할 수 있는 전압이 작아지고, 상기 딥 스위치(SW1)에 의해 스위칭된 저항이 많을 경우, 상기 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크게 되기 때문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가 인식할 수 있는 전압이 커진다.
따라서, 상기 딥 스위치에 의해 스위칭 된 저항이 너무 작을 경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가 인식하지 못할 수 있고, 상기 저항이 너무 클 경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락 검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 운전 혹은 기동 시에 선로에 지락 사고가 발생하면 영상전류가발생하고 상기 ZCT를 통하여 지락 검출 회로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ZCT 내부에 부담 저항이 있으므로 상기 다이오드(D1, D2)는 전압으로 나타난다.
또한, 상기 캐패시터(C1)를 통하여 노이즈(Noise)는 어느 정도 제거되고 R1 및 딥 스위치(Dip Switch)에 의해 선택된 저항값(R2, R3, R4, R5)과 병렬로 계산된 저항값에 의해 지락 검출 IC(U1)의 BIAS 전압을 맞춘다.
다음, 저항(R6) 및 캐패시터(C2) 필터(Filter)를 통해 U1의 입력 포터로 연결되고, 다시 지락 검출 IC(U1)의 입력 BIAS 전압이 되면 상기 지락 검출 IC(U1)는 출력 신호을 내보낸다.
따라서, 상기 출력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에서 받아 동작 시간 내에 트립(Trip) 신호를 출력하여 모터를 정지시켜 모터의 소손을 방지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지락 검출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의 지락 검출 장치는 교류의 고조파를 걸러내기 위해 RC의 고조파 필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모터 제어용 회로에서 전력선에 의한 3 고조파, 5 고조파 등은 상기 RC 고조파 필터를 사용하여 제거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기 RC 고조파 필터를 통과한 출력 신호를 지락 검출 IC의 BIAS 전압으로 하여 동작시키면 정확한 지락 사고 전류를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지락 사고의 고장 전류에 포함된 고조파 성분을 디지털 필터(Discrete Fourier Transform : DFT)를 이용하여 지락 전류의 고조파 성분을 완전히 제거한 기본파만을 검출하여 지락을 보호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종래 기술에 따른 지락 검출 장치의 회로도.
도 2 본 발명에 따른 지락 검출 장치의 회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지락 검출 장치는, ZCT를 통과한 영상전류의 서지 또는 노이즈를 제거한 후 이를 전압 형태로 변환하기 위해 병렬로 연결된 배리스터(Varistor), 캐패시터 및 저항; 상기 변환된 전압을 일정 레벨의 전압 이하로 조절하기 위한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에서 출력된 신호의 고조파를 필터링하기 위한 고조파 필터; 상기 고조파 필터를 거쳐 필터링 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 그리고,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컨버터와, 상기 A/D 컨버터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와, 상기 DFT에 의해 필터링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지락 전류를 판단하는 지락 전류 판단부로 이루어진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락 사고의 고장 전류에 포함된 고조파 성분을 디지털 필터( DFT)를 이용하여 지락 전류의 고조파 성분을 완전히 제거한 후 기본파만을 검출하여 지락을 보호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락 검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지락 검출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락 검출 장치는 교류모터에서 지락 사고가 발생 할 경우 ZCT를 통과한 고조파의 전류를 필터링하기 위해 병렬로 연결된 VARISTOR(MV), 캐패시터(C1, C2), 및 저항(R1, R2, R3, R4, R5, R6)과, 상기 ZCT에서 발생한 전류를 일정 전압의 세기 이하로 조절하기 위한 다이오우드(D1, D2, D3, D4)와, 상기 고조파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AMP)와, 상기 증폭기(AMP)를거친 출력 신호를 받아 상기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증폭기(AMP)를 거친 고조파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기 위한 A/D 컨버터(Converter)와, 상기 디지털 신호를 변환 필터링하여 기본파를 만들기 위한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와, 상기 DFT에 의해 변환 필터링된 기본파를 이용하여 지락을 판단하기 위한 지락 전류 판단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지락 검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락이 발생하면 ZCT를 통하여 영상 전류가 검출되어 저항(R1)을 거쳐 전압으로 변환된다. 이 전압은 그라운드가 다이오드(D3)에 의해 일정 전압 플로팅 되어있어 상기 일정 전압 이상을 초과할 수 없다.
동시에, VARISTOR(MV)가 ZCT 단자를 통하여 들어오는 서지(Surge)를 제거하여 주고, 상기 다이오드(D1, D2)는 12V 이상의 전압을 블락킹(Blocking)시킬 수 있다.
또한, 부담 저항을 거쳐 변환된 전압은 R2, C2 필터를 거쳐 8 고조파까지 필터링 한다. 이 신호는 AMP의 "+" 단자에 연결되어 저항(R4, R5)에 의해 증폭된 후 마이크로프로세서의 A/D 컨버터로 입력되어 진다.
이때, 상기 다이오드(D4)는 일정전압 이상의 전압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입력되지 못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저항(6)에 의해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가 입력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A/D 컨버터에 의해 디지털로 변환된 출력신호를 상기 DFT에 의해 디지털 필터로 제공되어 진다. 이렇게 되면 기본파 성분만이 제공되어 진다.
결국, 이 값을 지락 검출 판단부에서 판단한 후 고장 값이 기준 값보다 커지면 지락 고장 트립(Trip)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모터의 전원을 차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락 검출 장치는 3상 모터의 전력선에서 지락이 발생할 경우 상기 ZCT를 통하여 고조파가 입력되고 이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디지털 변환 및 필터링하여 상기 모터의 전원을 트립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락 검출 장치는 지락 사고의 고장 전류에 포함된 고조파 성분을 디지털 변환한 후 디지털 필터(DFT)를 이용하여 필터링하고, 지락 전류의 고조파 성분을 완전히 제거한 기본파만을 검출하여 지락을 보호하는 장치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콘트롤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지락 검출 장치는 3상 모터 전력선의 지락 사고에 의한 고장 전류에 포함된 고조파 성분을 디지털 필터를 이용하여 지락 전류의 고조파 성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지락전류를 정확히 검출하여 상기 모터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ZCT를 통과한 영상전류의 서지 또는 노이즈를 제거한 후 이를 전압 형태로 변환하기 위해 병렬로 연결된 배리스터(Varistor), 캐패시터 및 저항;
    상기 변환된 전압을 일정 레벨의 전압 이하로 조절하기 위한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에서 출력된 신호의 고조파를 필터링하기 위한 고조파 필터;
    상기 고조파 필터를 거쳐 필터링 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 그리고,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컨버터와, 상기 A/D 컨버터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와, 상기 DFT에 의해 필터링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지락 전류를 판단하는 지락 전류 판단부로 이루어진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락 검출 장치.
  2. 삭제
  3.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증폭기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사이에 각각 저항과 다이오드를 하나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락 검출 장치.
KR10-2002-0007970A 2002-02-14 2002-02-14 지락 검출 장치 KR100451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970A KR100451774B1 (ko) 2002-02-14 2002-02-14 지락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970A KR100451774B1 (ko) 2002-02-14 2002-02-14 지락 검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267A KR20030068267A (ko) 2003-08-21
KR100451774B1 true KR100451774B1 (ko) 2004-10-08

Family

ID=32221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970A KR100451774B1 (ko) 2002-02-14 2002-02-14 지락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17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1359A (ko) * 1991-11-08 1993-06-24 이기원 디지탈 배전선로 보호시스템
KR950026073A (ko) * 1994-02-25 1995-09-18 사또 후미오 지락전류로부터 추출된 직류성분에 의하여 지락을 검출하는 계자지락 검출기 및 계자지락계전기
JPH08331752A (ja) * 1995-06-01 1996-12-13 Togami Electric Mfg Co Ltd 地絡事故検出方法
KR20000007581U (ko) * 1998-10-01 2000-05-06 정기호 사고전류치의 저장기능을 갖는 디지털형 과전류 계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1359A (ko) * 1991-11-08 1993-06-24 이기원 디지탈 배전선로 보호시스템
KR950026073A (ko) * 1994-02-25 1995-09-18 사또 후미오 지락전류로부터 추출된 직류성분에 의하여 지락을 검출하는 계자지락 검출기 및 계자지락계전기
JPH08331752A (ja) * 1995-06-01 1996-12-13 Togami Electric Mfg Co Ltd 地絡事故検出方法
KR20000007581U (ko) * 1998-10-01 2000-05-06 정기호 사고전류치의 저장기능을 갖는 디지털형 과전류 계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267A (ko) 200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9014B1 (ko) 광대역노이즈면역성을갖는접지고장회로차단기
AU2004200271B2 (en) Earth leakage protection device and electrical switchgear unit comprising such a device
RU2743460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ыстрого устранения ферромагнитного резонанса трансформатора напряжения
US70502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impedance grounding of medium voltage AC drives
US8704481B2 (en) Choke with current sensor
US8390967B2 (en) Wiring device having leakage detection function
US6229682B1 (en) Transient voltage surge suppressor
US6025980A (en) Earth leakage protective relay
US4199798A (en) Phase balance monitoring system incorporating voltage and phase sequence monitoring
EP2874259B1 (en) A residual current device
KR830000301B1 (ko) 보호 계전 장치
JP2013539336A (ja) 検知システム、検知方法および自己テスト方法
JP4017343B2 (ja) 電力調整回路
US20040264094A1 (en) Protectiv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devices
US20060018061A1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enhanced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suppression
CN114252741A (zh) 具有宽带传感器的电弧故障检测装置
GB1599131A (en) Apparatus for detecting subsynchronous current in power systems
KR100451774B1 (ko) 지락 검출 장치
KR100501419B1 (ko) 동작테스트 기능을 갖는 저압 1상용 과전압 누전차단기
KR830001530B1 (ko) 보호 계전기 장치
US10310001B2 (en) Short-circuit sensor
JPH04368420A (ja) 携帯用交流電源装置
GB2170367A (en) Residual current device
JP4425648B2 (ja) 地絡検出装置
JP4450349B2 (ja) 漏電検出器のテスト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