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1123B1 - 커플러 - Google Patents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1123B1
KR100451123B1 KR1020040022902A KR20040022902A KR100451123B1 KR 100451123 B1 KR100451123 B1 KR 100451123B1 KR 1020040022902 A KR1020040022902 A KR 1020040022902A KR 20040022902 A KR20040022902 A KR 20040022902A KR 100451123 B1 KR100451123 B1 KR 100451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oupling tube
drum
thread
fema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각
Original Assignee
이인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각 filed Critical 이인각
Priority to KR1020040022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11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1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4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additional sea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 B67D7/0205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by manually operable pump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58Arrangements of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상기 드럼통의 주입구와 연결되어 하부로는 상기 드럼통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흡입하기 위한 수커플링튜브가 연결되고, 상부로는 암커플링튜브가 연결되도록 내주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의 하단으로 단턱이 형성되는 밀폐캡과; 상기 밀폐캡의 내주부와 나사결합되도록 외주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가 형성되고 내부로는 중공되어 하단에 단턱이 형성된 암커플링튜브와; 상기 암커플링튜브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하단면이 상기 단턱에 안착되고 하단부 내주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단부 내주부로는 내경방향으로 스토퍼가 돌출형성되는 한편 중공되어 유체의 통로를 제공하는 수커플링튜브와; 상단부 외주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암커플링튜브의 개방된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암커플링튜브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삽입된 수커플링튜브의 하단부 내주부에 형성된 나사산와 체결되고 내부가 중공되어 유체흐름통로를 구비하는 연결튜브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도록, 리벳형상밸브의 반구형머리부가 상기 연결튜브(의 개방된 상단면으로 연접하고, 돌출 형성된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수커플링튜브의 상단부 내부에 형성된 스토퍼에 저지되고 타단은 상기 반구형머리부에 저지되는 스프링에 삽입되어 연결되며, 상기 연결튜브의 하단은 상기 밀폐캡의 단턱에 안착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된 커플러에 의해 간단한 체결구조로 드럼통의 주입구와 액체펌프의 체결이 용이하며, 평상시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가 보스 상부의 내경을 막고 있기 때문에 드럼통의 액체가 외부와 차단되는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커플러{coupler}
본 발명은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통에 수용된 액체를 배출시키기 위해 드럼통의 주입구와 액체펌프를 체결시키는 커플러에 관한것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통(100)은 일반적으로 수용된 액체를 주입시키거나 배출시키기 위한 주입구(101)와 드럼통 외부의 대기압력과 내부의 대기압력을 동일하게 만들어 유지하여 액체가 배출되도록 공기 흡입구(10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입구(100)와 공기 흡입구(102)를 개폐하기 위하여 외경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캡(103)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상기 드럼통(100)은 대량의 액체를 수용하기 때문에, 드럼통 자체를 눕히거나 기울여 액체를 밖으로 배출시킬 수가 없었다.
이에 따라서, 주입구(101)에 긴 파이프(deep tube)가 형성된 액체펌프(200)를 삽입하여 드럼통(100)에 수용된 액체를 밖으로 배출하였다. 상기 액체펌프(200)는 상부에 펌핑수단(202)이 내설되고 하부로는 드럼통의 주입구(101)에 삽입되어 드럼통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긴 대롱(201)이 형성되며, 펌핑수단(202)의 일측으로는 대롱(201)으로 흡입되는 액체를 드럼통의 외부로 안내하는 튜브(203)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액체펌프(200)를 드럼통(100)에 삽입하여 수용된 액체를 밖으로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트럼통의 주입구 캡(103)을 분리하여 액체펌프(200)의 대롱(201)을 드럼통(100)의 내부로 삽입하고 펌핑하여 튜브(203)로 액체를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액체의 배출작업이 끝난 후에는 다시 대롱(201)을 드럼통(100)의 내부에서 꺼내고 주입구 캡(103)을 체결하여 드럼통의 액체를 외부와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드럼통(100)의 배출 작업에는 많은 위험과 불필요한 누수가발생하게 된다. 특히 반도체나 LCD제조공장에서 사용하는 약품은 인체에 위험성이 높으므로 최대한 누수나 대기와의 접촉을 막을 필요가 있다.
먼저, 대롱(201)의 주입구(101) 삽입시 대롱(201)의 길이가 드럼통(100)의 내부 깊이까지 연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대롱(201)의 길이 또한 길어 질수 밖에 없어 대롱(201) 삽입작업시 작업자에게 불편함을 유발하게 된다.
그리고, 배출 작업후 대롱을 드럼통(100)의 외부로 인출시 대롱(201)의 외경으로 액체의 상당량이 묻기 때문에 불필요한 누수가 발생되며 또한, 드럼통(100)에 수용된 액체가 인체에 위험한 화공약품일 경우 작업자와 접촉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상을 초래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주입구(101)와 액체펌프(200)의 대롱(201)이 꼭맞지 않거나, 배출 작업중 주입구 캡(103)을 분실하였을 경우 외부와 차단되어야 할 드럼통에 수용된 액체가 노출되기 때문에 우수(雨水)와 같은 이물질이 드럼통 내부로 투입되어 수용된 액체와 혼합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드럼통의 주입구에 체결되며 하부에 대롱을 부설할 수 있어 배출작업시 수시로 대롱을 삽입할 필요가 없으며, 액체펌프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주입구 캡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플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드럼통의 사시도이며,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의 결합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을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커플러가 드럼통과 액체펌프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도이다.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캡 20 : 하우징
30 : 보스 40 : 밸브
41 : 스프링 50 : 액체펌프 체결봉
100 : 드럼통 200 : 액체펌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플러는 드럼통과 펌프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드럼통의 주입구와 연결되어 하부로는 상기 드럼통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흡입하기 위한 수커플튜브가 연결되고, 상부로는 암커플링튜브가 연결되도록 내주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의 하단으로 단턱이 형성되는 밀폐캡과; 상기 밀폐캡의 내주부와 나사결합되도록 외주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가 형성되고 내부로는 중공되어 하단에 단턱이 형성된 암커플링튜브와; 상기 암커플링튜브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하단면이 상기 단턱에 안착되고 하단부 내주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단부 내주부로는 내경방향으로 스토퍼가 돌출형성되는 한편 중공되어 유체의 통로를 제공하는 수커플링튜브와; 상단부 외주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암커플링튜브의 개방된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암커플링튜브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삽입된 수커플링튜브의 하단부 내주부에 형성된 나사산와 체결되고 내부가 중공되어 유체흐름통로를 구비하는 연결튜브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도록, 리벳형상밸브의 반구형머리부가 상기 연결튜브(의 개방된 상단면으로 연접하고, 돌출 형성된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수커플링튜브의 상단부 내부에 형성된 스토퍼에 저지되고 타단은 상기 반구형머리부에 저지되는 스프링에 삽입되어 연결되며, 상기 연결튜브의 하단은 상기 밀폐캡의 단턱에 안착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보다 철저한 이해를 위해 도면을 통한 설명이 추가되나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이 이들의 상세한 설명이 없이도 실시될 수도 있다는 사실이 명백할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된 특징부 내지 요소들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 이것은 본 발명의 개시를 불필요하게 애매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캡(10)은, 드럼통(100)의 주입구(101)와 꼭맞게 체결되도록 외경에 나사산(11a)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에는 내부의 내경을 좁게하고 상부의 외경보다는 좁은 형태의 드럼통 연결부(13)가 형성되어 드럼통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흡입하기 위한 수커플(201)이 억지끼워져 체결된다.
또한, 상기 밀폐캡(10)의 축중심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중공은 드럼통의 액체가 지나는 배출로(16)가 되며, 중공의 내주부 상부에는 나사산(12a)이 형성된다. 이 나사산(12a)으로는 하기에서 기술되는 암커플링튜브(20)가 나사결합된다.
암커플링튜브(20)은 소정의 중공된 원통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밀폐캡(10)의 나사산(12a)과 대응되어 체결되도록 하단부 외주부에 나사산(23)이 형성되어 밀폐캡(10)과 조립된다. 또한 암커플링튜브(20)의 내주부 하단부로는 이를 기준으로 상부내경보다는 작은 하부내경을 갖도록 단턱(24)이 형성된다. 또한, 미끄럼을 방지하는 스크레치(21)가 외경에 다수 가공된다.
연결튜브(30)는, 상단부 외주부에 나사산(32a)이 형성되어 상기 암커플링튜브(20)의 개방된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암커플링튜브(20)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삽입된 수커플링튜브(50)의 하단부 내주부에 형성된 나사산(52a)와 체결되고 내부가 중공되어 유체흐름통로(36)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연결튜브(30)의 하단으로는 가스켓(37)을 매개로 상기 밀폐캡(10)의 단턱(15)에 안착되는 플랜지(33)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33)의 상부로는 상기 암커플링튜브(20)의 체결부(22)가 안착된다. 이때, 상기 암커플링튜브(20)의 체결부(22)와 상기 상기 플랜지(33)의 상단과의 사이에는 링클립(35)이 개재된다.
리벳형상밸브(40)는,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는 하는데, 이 리벳형상밸브(40)의 반구형머리부(40b)가 상기 연결튜브(30)의 개방된 상단면으로 연접하고, 돌출 형성된 연결부(40d)는 일단이 상기 수커플링튜브(50)의 상단부 내부에 형성된 스토퍼(54)에 저지되고 타단은 상기 반구형머리부(40b)에 저지되는 스프링(41)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리벳형상밸브(40)는 액체의 유량을 증가 시키기 위하여 내부를 빈 공간(미도시)으로 형성하고, 상기 빈공간과 연통하거나 연통되지 않는 반구형의 머리부(40b)의 연부로 다수의 통공(40a)을 형성된다.
수커플링튜브(50)은, 상기 암커플링튜브(20)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하단면(53)이 상기 단턱(24)에 안착되고 하단부 내주부에는 나사산(52a)이 형성되며, 상단부 내주부로는 내경방향으로 스토퍼(54)가 돌출형성되는 한편 중공되어 유체의 통로를 제공한다. 여기서 수커플링튜브(50)의 내부 중공길이는 하부로 삽입되는 밸브(40)가 차지하는 길이(51)와 압축되지 않은 상태의 스프링(41)의 길이를 포함하는 길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커플러의 동작을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캡(10)의 하부 외주부에 형성된 나사산(11a)는 드럼통(100)의 주입구(101)에 체결된다. 그리고 밀폐캡(10)의 연결부(13)에 수커플(201)이 억지끼워지게 되어 트럼통에 수용된 액체를 흡입하는 통로가 된다.
수커플링튜브(50)의 상부에 연결된 액체펌프(200)가 펌핑을 개시하게 되면, 이격공간(51)에 위치한 벨브(40)가 오픈된다. 상기 리벳형상밸브(40)는 평상시에는 게재된 스프링(41)에 의해 연결튜브(30)의 상부 단부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인데, 펌핑이 개시되면, 액체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리벳형상밸브(40)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밸브가 열리게 되면, 수커플(201)을 따라 액체가 연결튜브(30)측으로 흡입된다.
연결튜브(30)측으로 흡입된 액체는 리벳형상밸브(40)을 경유하여 액체펌프에 도달하게 되고, 튜브(203)를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체결구조로 드럼통의 주입구와 액체펌프의 체결이 용이하며, 평상시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가 보스 상부의 내경을 막고 있기 때문에 드럼통의 액체가 외부와 차단되는 발명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2)

  1. 드럼통과 펌프를 연결하는 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드럼통(100)의 주입구(101)와 연결되어 하부로는 상기 드럼통(100)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흡입하기 위한 수커플튜브(50)가 연결되고, 상부로는 암커플링튜브(20)가 연결되도록 내주부에 나사산(12a)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12a)의 하단으로 단턱(15)이 형성되는 밀폐캡(10)과;
    상기 밀폐캡(10)의 내주부와 나사결합되도록 하단 외주부에 나사산(23)이 형성된 체결부(22)가 형성되고 내부로는 중공되어 하단에 단턱(24)이 형성된 암커플링튜브(20)와;
    상기 암커플링튜브(20)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하단면(53)이 상기 단턱(24)에 안착되고 하단부 내주부에는 나사산(52a)이 형성되며, 상단부 내주부로는 내경방향으로 스토퍼(54)가 돌출형성되는 한편 중공되어 유체의 통로(56)를 제공하는 수커플링튜브(50)와;
    상단부 외주부에 나사산(32a)이 형성되어 상기 암커플링튜브(20)의 개방된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암커플링튜브(20)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삽입된 수커플링튜브(50)의 하단부 내주부에 형성된 나사산(52a)와 체결되고 내부가 중공되어 유체흐름통로(36)를 구비하는 연결튜브(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도록, 리벳형상밸브(40)의 반구형머리부(40b)가 상기 연결튜브(30)의 개방된 상단면으로 연접하고, 돌출 형성된 연결부(40d)는 일단이 상기 수커플링튜브(50)의 상단부 내부에 형성된 스토퍼(54)에 저지되고 타단은 상기 반구형머리부(40b)에 저지되는 스프링(41)에 삽입되어 연결되며, 상기 연결튜브(30)의 하단은 상기 밀폐캡(10)의 단턱(15)에 안착되는 플랜지(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형상리벳형상밸브(40)의 중앙부 또는/및 반구형머리부(40b)로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KR1020040022902A 2004-04-02 2004-04-02 커플러 KR100451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902A KR100451123B1 (ko) 2004-04-02 2004-04-02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902A KR100451123B1 (ko) 2004-04-02 2004-04-02 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1123B1 true KR100451123B1 (ko) 2004-10-06

Family

ID=37366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902A KR100451123B1 (ko) 2004-04-02 2004-04-02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11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498B1 (ko) * 2022-09-13 2023-02-07 윤승관 플라스틱 드럼통용 드럼 커플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498B1 (ko) * 2022-09-13 2023-02-07 윤승관 플라스틱 드럼통용 드럼 커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06291C1 (ru) 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ая муфта для вакуумных выпускных систем
CN107874651B (zh) 一种真空杯
US11555553B2 (en) Non-return valve
KR20070021230A (ko) 액체 탱크 장착용 커넥터 및 그를 구비한 액체 탱크
KR200204744Y1 (ko) 유제 공급 펌프의 방수구조
US9457367B2 (en) Tire repair solution can
JP7124254B2 (ja) 洗濯添加剤ケース及び洗濯機
KR100451123B1 (ko) 커플러
KR101059660B1 (ko) 탱크로부터의 액체공출용 커넥터
KR102399775B1 (ko) 유체 필터용 배출 장치
KR200452369Y1 (ko) 수도꼭지용 호스-커플링장치
CN108349341B (zh) 瓶盖及其使用方法
KR100778642B1 (ko) 커플러
JP6563913B2 (ja) ダイアフラム・ポンプおよびこのようなポンプのための弁装置
KR200305256Y1 (ko) 액체 주입용 튜브의 캡
KR200418728Y1 (ko) 커플러
JP3190294U (ja) 継手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ポンプ
KR20030081046A (ko) 압축 가스 피스톤 구동 네일링과 연료 카트리지를 위한커플링
JP2020085195A (ja) ボール型逆止弁、バルブアセンブリ、および、往復動ポンプ
KR102163629B1 (ko) 커플러
TWI740408B (zh) 流體填充裝置
KR101622129B1 (ko) 충진밸브 어셈블리
KR100276819B1 (ko) 파워 스티어링 리저버의 누유방지 구조
KR102391620B1 (ko) 엘피지 용기밸브
KR200435901Y1 (ko) 화장품용기의 펌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5